KR20090013103U - 생수통 하부내장형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생수통 하부내장형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103U
KR20090013103U KR2020080008293U KR20080008293U KR20090013103U KR 20090013103 U KR20090013103 U KR 20090013103U KR 2020080008293 U KR2020080008293 U KR 2020080008293U KR 20080008293 U KR20080008293 U KR 20080008293U KR 20090013103 U KR20090013103 U KR 200900131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bottled
bottled water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섭
차경립
고관평
Original Assignee
김병섭
차경립
고관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섭, 차경립, 고관평 filed Critical 김병섭
Priority to KR2020080008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3103U/ko
Publication of KR200900131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1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1Component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 B67D2001/0097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using a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수통이 사용되어지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수통이 냉온수기 본체의 하부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직립된 생수통의 생수를 모두 소진토록 함과 아울러 생수통의 물을 펌핑하게 되는 펌핑수단의 단속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통을 사용하는 냉온수기는 상부에 생수통을 거꾸로 뒤집어서 생수가 자중에 의하여 저수통에 저장된 상태에서 냉수와 온수로 사용하게 되어 있고 이러한 생수통은 대용량을 사용하게 됨으로 부녀자 및 노약자들에게는 이러한 생수통의 교환이 불가능한 것이고, 또한 생수통을 교환하기 위하여 냉온수기의 상부에서 분리시킬 경우에 냉온수기의 투입구의 오픈된 상부로 각종 이물질이 진입하게 되고 특히 생수통의 토출구가 형성된 주변으로는 각종 이물질 및 균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냉온수기의 투입구의 상부에 안착토록 할 경우에 각종 균이나 이물질이 동시에 저수통에 들어가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생수통이 직립된 상태에서 사용토록 하고, 생수통의 물을 완전사용토록 하며 동시에 하부에서 상부로 펌핑할 경우에 작동되는 펌프의 구동을 간단하게 단속토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
냉온수기, 리드스위치, 자석, 받침대

Description

생수통 하부내장형 냉온수기{The Water Cooling And Heating Unit which is contained the bucket internally}
본 고안은 생수통이 사용되어지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수통이 냉온수기 본체의 하부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직립된 생수통의 생수를 모두 소진토록 함과 아울러 생수통의 물을 펌핑하게 되는 펌핑수단의 단속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는 상부에 생수통을 거꾸로 뒤집어서 장착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내려오도록 생수를 냉각시키거나 히팅시켜서 사용자에게 찬물이나 뜨거운 물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냉온수기의 생수통은 대체로 부피가 크고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힘이 약한 부녀자 및 노약자가 생수통을 들어올려 냉온수기의 상부에 장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고, 특히 거꾸로 생수통을 장착하면서 생수통의 물이 일부 외부로 누출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냉온수기 하부에 직립된 생수통을 설치하고 동시에 설치된 생수통의 생수를 상부의 저수조로 끌어올려 제공하는 생수공급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생수공급장치는 반드시 생수통이 직립되어 있기 때문에 노줄이 바닥면에 남겨 진 생수를 모두 저수조로 끌어올리지 못하여 다량의 생수를 생수통에 남기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생수통에 남겨진 잔량의 생수에 의해, 생수통의 바닥면은 더러운 물때가 생기게 되어 청소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었고, 특히 물때를 제거하지 못할 경우에는 오염된 생수통을 버려야만 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되었다.
더불어, 생수통을 교체하면서 남겨진 물들이 주변으로 누출되어 버릴 염려가 있고, 특히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도 저수통의 부족한 생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핑작업을 계속 진행하기 때문에 교제작업 중에도 갑작스런 펌핑작업에 의해 설치자나 주변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생수통이 직립된 상태에서 사용토록 하고, 생수통의 물을 최대한 소모토록 함과 아울러 하부에서 상부로 펌핑작업을 수행할 경우에 작동되는 펌프의 구동을 간단하게 단속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
즉,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하부에 일측으로 개방되어 생수통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공간의 전면 일측으로 상기 수납공간 안쪽에 수용되어 있는 생수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힌지결합 되어, 보호커버(10)를 회동시켜 수납공간 안쪽에 직립되어 있는 생수통을 꺼내거나 혹은 반대로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기는 수납공간 안쪽으로 이동하는 받침대의 받침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받침대의 받침면에 올려진 생수통이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고 동시에 기울어진 생수통이 받침대 밖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받침턱을 형성함으로써, 생수통의 남겨진 물들을 모아 최대한 상부의 저수조에 끌어올려 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보호커버에 자석을 부착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인 냉온수기의 하부에 리드스위치를 설치하여, 생수통 설치후 개방된 덮개를 닫아 상기 자석과 리드스위치가 접촉되어 지도록 할 때에는 자착된 자석에 의해 오픈된 리드스위 치가 닫힌상태로 전환되면서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펌프를 구동시켜 주도록 하는 한편, 보호커버가 개방되어 질 때에는 자석이 상기 리드스위치로부터 떨어지면서 상기 리드스위치가 열린상태로 전환되어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켜 펌프 작동을 용이하게 단속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경사진 받침면이 수납공간 안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생수통의 무게중심이 수납공간 안쪽방향으로 쏠리도록 하여, 받침대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에 의해 안쪽 방향으로 무게중심이 기울어진 생수통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경사진 바닥면을 가진 받침대에 의해 생수통의 무게중심이 냉온수기 안쪽방향으로 향하면서 무거운 생수통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직립된 생수통이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바닥면에 남겨진 생수를 최대한 모아 냉온수기의 저수조로 공급되어 지도록 되어 지게 된다.
또한, 생수통 설치시 개방된 덮개를 닫아지는 동작에 의해 리드스위치와 자석이 접촉하면서 자동으로 생수통에 담겨진 물이 저수조로 끌어올려 지도록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생수통 하부내장형 냉온수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 기 도 1의 냉온수기의 덮개가 개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직립된 생수통이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생수통이 설치되어 있는 냉온수기로서, 냉온수기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개방되어 생수통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공간(20)의 전면 일측으로 상기 수납공간(20) 안쪽에 수용되어 있는 생수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10)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결합된 보호커버(10)가 회동하면서 수납공간(20) 안쪽에 직립되어 있는 생수통을 꺼내거나 혹은 반대로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20) 안쪽으로는, 올려진 생수통을 받쳐주는 받침대(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받침대(30)에는 상기 받침대(30)에 올려진 생수통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줄 수 있는 이동수단(33)과 손잡이가 구현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이동수단(33)은 상기 받침대(30)가 가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지도록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이동바퀴나 베어링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받침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려진 생수통과 접촉하는 받침면(31)이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고, 동시에 받침면(31)의 끝단에는 올려진 생수통이 받침대(30) 밖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턱진 받침턱(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생수통이 받침대(30)에 올려진 경우에는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생수통 안쪽에 있는 물들이 가운데 부분으로 모아 지게 되어, 최대한 많은 물들을 저수조(41)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냉온수기의 내부의 모습을 살펴보면, 하부 수납공간(20)에 수용되어 있는 생수통이 있고, 이 생수통의 물을 저수조(41)로 끌어올리는 펌프(40)가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최상부에는 상기 펌프(40)를 통해 끌어올려진 물을 담아두는 저수조(41)와, 냉각부와 온수부에 의해 상기 저수조(41)의 물을 냉각시켜주는 컴프레셔(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저수조(41)의 하부에는 상기 저수조에서 유입한 물을 히팅시켜 뜨거운 물을 모아두는 온수통(43)이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저수조(41)에는 생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44)가 설치되어 있어, 만수시 펌프(40)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한편, 저수조(41)에 물이 없게 되면 상기 펌프(40)를 재작동시켜 생수통의 생수를 끌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센서 외에 또 다른 수위감지센서가 한개 더 추가적으로 장착되어 센서 고장시 물넘침 및 제어 장치 정지를 방지하는 이중 안전장치 기능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받침대(30)의 받침면(31)의 경사방향을 냉온수기 안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받침대(30)에 올려진 생수통의 무게 중심이 수납공간(20) 안쪽방향으로 향해지도록 함으로써, 무거운 생수통을 쉽게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개방된 수납공간(20)을 막아주는 보호커버(10)에는 수납공간(20)에 수용된 생수통의 물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10)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만들어진 투명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10)의 일단에는 가이드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 이드대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12)이 수납공간(20)에 형성되어 있는 리드스위치(21)와 접촉하면서 펌프(40)를 구동시켜 줄 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보호커버(10)가 자석(12)에 의해 자착되면서 가이드대 혹은 이 가이드대의 밀음돌기(미도시)에 의해 수납공간(20)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수납공간(20)에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스위치가 동작되어 펌프(40)를 구동시켜 줄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되어 진 바와 같이 가이드대에 부착된 자석(12) 혹은 가이드대의 밀음돌기에 의해 열린상태에 있던 리드스위치 혹은 구동스위치가 닫힌상태로 전환되면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펌프(40)를 구동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생수통을 설치하기 위하여 보호커버를 개방할 때에는 자착된 자석이 리드스위치로부터 떨어지면서 계속해서 생수통의 물을 저수조로 끌어올리는 펌핑작업이 정지하게 되어 안전하게 생수통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만일 상기 저수조(41)의 수위감지센서(44)가 저수조(41)에 담긴 생수의 수위가 만수임을 감지하게 되면 이사실을 제어부(50)에 알려 펌프(4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수위감지센서(44)가 감지한 저수조(41)의 수위가 낮아 생수공급을 요청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생수통의 생수를 저수조(41)로 끌어올려 공급되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생수통의 물을 더 이상 펌핑할 수 없을 정도로 생수통에 물이 없을시 제어부(50)는 이러한 사실을 외관에 형성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동작시키거나 경보 기를 작동시켜 주위 사람들에게 알리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냉온수기의 보호커버가 개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직립된 생수통이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냉온수기 2:생수통
10:보호커버 11:가이드대
12:자석
20:수납공간 21:리드스위치
30:받침대 31:받침면
32:받침턱 33:이동수단
40:펌프 41:저수조
42:컴프레셔 43:온수통
44:수위감지센서 45:필터
50:제어부 51:냉각부
52:온수부

Claims (3)

  1. 본 고안은 하부에 일측으로 개방되어 생수통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공간(20)의 전면 일측으로 상기 수납공간(20) 안쪽에 수용되어 있는 생수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10)가 힌지결합 되어, 보호커버(10)를 회동시켜 수납공간(20) 안쪽에 직립되어 있는 생수통을 꺼내거나 혹은 반대로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기는 수납공간(20) 안쪽으로 이동하는 받침대(30)의 받침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받침대(30)의 받침면에 올려진 생수통이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고 동시에 기울어진 생수통이 받침대(30)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받침턱을 형성함으로써, 생수통의 남겨진 물이 한쪽 구석으로 모아지도록 하여 모아진 물들을 최대한 펌프(40)에 의해 상부의 저수조(41)에 끌어올려 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하부내장형 냉온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일단에 형성된 가이드대에는 자석을 부착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인 냉온수기의 하부에는 리드스위치를 설치하여, 생수통 설치후 개방된 덮개를 닫아 상기 자석과 리드스위치가 접촉되어 지도록 할 때에는 자착된 자석에 의해 오픈된 리드스위치가 닫힌상태로 전환되면서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펌프를 구동시켜 주도록 하는 한편, 보호커버가 개방되어 질 때에는 자석이 상기 리드스위치로 부터 떨어지면서 상기 리드스위치가 열린상태로 전환되어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켜 용이하게 펌프의 작동을 단속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하부내장형 냉온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는 받침면이 수납공간(20) 안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받침대(30)에 올려진 무거운 생수통의 무게중심이 수납공간(20) 안쪽방향으로 쏠리도록 하여, 받침대(30)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와 이동수단에 의해 안쪽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하부내장형 냉온수기.
KR2020080008293U 2008-06-20 2008-06-20 생수통 하부내장형 냉온수기 KR200900131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293U KR20090013103U (ko) 2008-06-20 2008-06-20 생수통 하부내장형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293U KR20090013103U (ko) 2008-06-20 2008-06-20 생수통 하부내장형 냉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103U true KR20090013103U (ko) 2009-12-29

Family

ID=4929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293U KR20090013103U (ko) 2008-06-20 2008-06-20 생수통 하부내장형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310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875B1 (ko) * 2018-01-18 2019-07-04 (주)원봉 슬라이드 방식 냉온수기
JP2020083329A (ja) * 2018-11-16 2020-06-04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浄水ウォーターサーバ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875B1 (ko) * 2018-01-18 2019-07-04 (주)원봉 슬라이드 방식 냉온수기
WO2019143183A1 (ko) * 2018-01-18 2019-07-25 (주)원봉 슬라이드 방식 냉온수기
JP2020083329A (ja) * 2018-11-16 2020-06-04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浄水ウォーターサー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5775T3 (es) Aparato para el lavado de piezas y procedimiento para el lavado de las mismas.
ES2831828T3 (es) Deshumidificador
ES2471397T3 (es) Lavavajillas con equipo de iluminación
ES2224955T3 (es) Dispositivo para vaciar recipientes de transporte y almacenamento de liquidos.
ES2939843T3 (es) Máquina automática de limpieza de suelos y proceso
US9802228B2 (en) Method for cleaning mechanical parts using a portable parts washer
JP2006296459A (ja) 食器洗浄機
ES2338059T3 (es) Modulo de bomba de calentador de lavador de piezas.
KR20090013103U (ko) 생수통 하부내장형 냉온수기
KR102011662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CN1173311A (zh) 木桶正立式冷热水器
US5649557A (en) Parts washing apparatus
JP2006141516A (ja) 食器洗い機
KR101138330B1 (ko) 소형 자동판매기용 급수장치
KR100920690B1 (ko) 벽걸이형 냉온수기
CN112707064A (zh) 垃圾桶
KR20120085428A (ko) 콘택즈렌즈 케이스
KR100691768B1 (ko) 정립식 냉온수기
KR200365863Y1 (ko) 냉.온수기
KR20160054723A (ko) 제습기
CN218978792U (zh) 储液容器及基站
CN217337854U (zh) 一种多功能厨台
CN219707989U (zh) 一种废弃物回收装置
JP2006141515A (ja) 食器洗い機
CN221062813U (zh) 一种多功能试管存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