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975U - 엔진 테스트 바지선 - Google Patents

엔진 테스트 바지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975U
KR20090012975U KR2020080008003U KR20080008003U KR20090012975U KR 20090012975 U KR20090012975 U KR 20090012975U KR 2020080008003 U KR2020080008003 U KR 2020080008003U KR 20080008003 U KR20080008003 U KR 20080008003U KR 20090012975 U KR20090012975 U KR 200900129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engine
barge
shop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278Y1 (ko
Inventor
박치선
김기현
김창근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8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278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9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9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2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 테스트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내부에 밸러스트 탱크(122)를 구비하며 상단면이 평평한 갑판을 이루는 선체부(12)와; 상기 선체부(12)의 갑판 상에 설치되며, 테스트 대기 중인 엔진(1)을 탑재하는 테스트 대기부(142), 테스트되는 엔진(2)을 탑재시켜 미리 결정된 검사 항목에 대하여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한 테스트 베드(144), 엔진(1,2)을 이동시키기 위한 크레인(146, 148)을 내부에 구비하는 테스트샵(14)와; 상기 선체부(12)의 갑판 상에서 상기 테스트 샵(14) 옆에 설치되며, 자재를 보관하고 상기 테스트 샵(14)의 각종 장치를 콘트롤 하기 위한 설비가 설치되는 보조실(16)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신규로 육상의 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부지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이후 테스트 설비 자체를 완성된 제품으로서 판매함으로써 투자비용의 회수가 용이하게 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엔진, 테스트, 바지선

Description

엔진 테스트 바지선{AN ENGINE TEST BARGE}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엔진을 테스트하는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면 상에서 엔진을 테스트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신규로 육상의 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부지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이후 테스트 설비 자체를 완성된 제품으로서 판매함으로써 투자비용의 회수가 용이하게 한 새로운 엔진 테스트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엔진의 경우, 완성 조립후 선급과 선주 입회 하에 엔진 시운전 테스트를 마친 후, 선주에게 인도된다. 즉 엔진 시운전 테스트는 선박엔진 생산의 최종단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엔진 테스트는 예컨대 부하별 엔진 성능 시험, 연료소모량 측정(SFOC: Specific Fuel Oil Consumption), 배기가스 측정(NOx), 시운전 후 엔진 개방 검사, 및 기타 검사 등을 포함하며, 각 검사 항목에 있어서 해당 엔진이 선급과 국제 규격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현재 세계적인 조선 사업 호황으로 선박 엔진 수요가 폭증하고 있어, 기존 선박 엔진 생산량이 수요량을 따라 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선박 엔진 생산 업체에서는 시장 수요에 맞게 공급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심하고 있다. 공급량을 증 가시키기 위해서 엔진 생산 공장을 증설하여야 하는데, 신규 공장 부지 매입에 따른 초기 투자 비용이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즉 적절한 위치에서 신규 공장 부지를 찾기도 힘들뿐만 아니라 찾는다 하더라도 이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규모의 비용이 투입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또한 미래에 사업 환경이 변경되는 경우 증설된 공장 설비를 처리하는 문제도 만만치 않다.
그러므로 선박 엔진을 테스트하여 공급하는 설비의 설치 문제에 있어서, 육상의 설비 설치를 위한 부지 확보 문제를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사업 환경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설치 부지 확보 방안에 대한 절실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엔진 테스트 설비를 위한 부지 확보 문제를 개선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수면 상에서 엔진을 테스트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신규로 육상의 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부지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이후 테스트 설비 자체를 완성된 제품으로서 판매함으로써 투자비용의 회수가 용이하게 한 새로운 엔진 테스트 바지선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엔진 테스트 바지선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테스트 바지선은, 내부에 밸러스트 탱크를 구비하며 상단면이 평평한 갑판을 이루는 선체부와; 상기 선체부의 갑판 상에 설치되며, 테스트 대기 중인 엔진을 탑재하는 테스트 대기부, 테스트되는 엔진을 탑재시켜 미리 결정된 검사 항목에 대하여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한 테스트 베드, 엔진을 이동시키기 위한 크레인을 내부에 구비하는 테스트 베드와; 상기 선체부의 갑판 상에서 상기 테스트 샵 옆에 설치되며, 자재를 보관하고 상기 테스트 베드의 각종 장치를 콘트롤 하기 위한 설비가 설치되는 보조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베드 상에서 복수의 엔진이 동시에 테스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과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 테스트 바지선은, 신규로 육상의 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부지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육상설비 기준 대략 70%의 초기 투자비로 설치 가능하며 이후 테스트 설비 자체를 완성된 제품으로서 판매함으로써 투자비용의 회수가 용이하게 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테스트 바지선의 구성을 보여주는 바지선의 폭방향(도 3의 A-A)에서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바지선의 길이방향(도 3의 B-B)에서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바지선의 갑판 높이에 서 수평으로 자른 단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테스트 바지선의 측면 및 정면(도 3의 VIEW C, VIEW D)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외관도이다. 또한 도 6 내지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테스트 바지선에 설치될 수 있는 엔진 테스트를 위한 주요 시스템의 계통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테스트 바지선(10)은, 육상이 아니라 강이나 호수의 표면, 또는 해수면 상에 떠 있는 선박의 형태로 엔진 테스트 설비를 구성하였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엔진 테스트 바지선(10)은 선체부(12), 테스트샵(14), 보조실(16)을 구비한다.
선체부(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선 형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밸러스트 탱크(122)를 구비하고, 상단면이 평평한 갑판을 이룬다. 밸러스트 탱크(122)는 전체 엔진 테스트 바지선(10)의 중량에 따라 외부에서 물을 빨아들이거나 배출시킴으로써 적절한 부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수단이며, 이러한 밸러스트 탱크(122)의 동작과 기능에 대해서는 선박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테스트샵(14)은 선체부(12)의 갑판 상에 설치되며, 테스트 될 엔진을 수용하며 또한 엔진 테스트를 위한 주요 설비들이 구비되는 부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샵(14)의 내부에는 테스트 대기 중인 엔진(1)을 탑재하는 테스트 대기부(142), 테스트되는 엔진(2)을 탑재시켜 미리 결정된 검사 항목에 대하여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한 테스트 베드(144), 엔진(1,2)을 이동시키기 위한 크레 인(146, 148)을 구비한다.
테스트 대기부(142)는 테스트를 기다리는 엔진 또는 테스트가 완료된 엔진을 대기시키는 부분이다. 테스트 베드(144)는 실제로 엔진(2)이 탑재되어 동력계(144a)(도 2 참조)에 연결된 후, 예컨대 부하별 엔진 성능 시험, 연료소모량 측정(SFOC: Specific Fuel Oil Consumption), 배기가스 측정(NOx), 시운전 후 엔진 개방 검사, 및 기타 검사 등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테스트 시스템에는 도 6 내지 도 9에 예시되어 있는 연료유, 윤활유, 냉각수 등의 순환 시험을 위한 설비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은 육상에 설치되는 엔진 테스트 시스템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테스트 베드(144)에는 파이프 및 펌프와 같은 수단을 통해 연결된 테스트 오일 탱크(124)와 연결될 수 있다. 테스트 오일 탱크(124)에는 테스트에 필요한 윤활유가 수용되어, 테스트 동작시 테스트 베드(144)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테스트 오일은 테스트 후에는 회수하여 재사용하거나 폐기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설비는 육상에서의 테스트 설비에서와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다.
크레인(146, 148)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샵(14)의 천정에 설치되는 오버헤드 크레인(146)과 측벽에 설치되는 웰 크레인(14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비의 규모에 따라 적절한 수로 설치될 수 있다.
보조실(14)은 선체부(12)의 갑판 상에서 테스트 베트(14) 옆에 설치되며, 자재를 보관하고 상기 테스트샵(14)의 각종 장치를 콘트롤 하기 위한 설비가 설치된 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테스트 베드(144) 상에서 복수의 엔진(2)이 동시에 테스트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엔진 테스트 바지선(10)은 육상에 엔진 테스트 설비를 구축하는 경우에 불가피하게 투입되어야 할 신규 공장 부지 매입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육상설비 기준 대략 70%의 초기 투자비로 설치가 가능), 사업 환경 변화에 따라 엔진 테스트 바지선(10) 자체를 매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엔진 테스트 바지선(10)을 제작한 비용도 용이하게 회수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예컨대 대형 선박용 디젤 엔진과 같은 엔진을 완성 조립 후 출시전 최종 공정으로서 시운전 테스트를 하는 테스트 설비 분야에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테스트 바지선의 구성을 보여주는 바지선의 폭방향에서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테스트 바지선의 구성을 보여주는 바지선의 길이방향에서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테스트 바지선의 갑판 높이에서 수평으로 자른 단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테스트 바지선의 측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외관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테스트 바지선의 정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외관도.
도 6 내지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테스트 바지선에 설치될 수 있는 엔진 테스트를 위한 주요 시스템의 계통도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엔진 10 : 엔진 테스트 바지선
12 : 선체부 122 : 밸러스트 탱크
124 : 테스트 오일 탱크 14 : 테스트샵
142 : 테스트 대기부 144 : 테스트 베드
144a : 동력계 146 : 오버헤드 크레인
148 : 웰 크레인 16 : 보조실

Claims (2)

  1. 엔진 테스트 바지선으로서,
    내부에 밸러스트 탱크(122)를 구비하며 상단면이 평평한 갑판을 이루는 선체부(12)와;
    상기 선체부(12)의 갑판 상에 설치되며, 테스트 대기 중인 엔진(1)을 탑재하는 테스트 대기부(142), 테스트되는 엔진(2)을 탑재시켜 미리 결정된 검사 항목에 대하여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한 테스트 베드(144), 엔진(1,2)을 이동시키기 위한 크레인(146, 148)을 내부에 구비하는 테스트샵(14)과;
    상기 선체부(12)의 갑판 상에서 상기 테스트 샵(14) 옆에 설치되며, 자재를 보관하고 상기 테스트샵(14)의 각종 장치를 콘트롤 하기 위한 설비가 설치되는 보조실(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테스트 바지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베드(144) 상에서 복수의 엔진(2)이 동시에 테스트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테스트 바지선.
KR2020080008003U 2008-06-16 2008-06-16 엔진 테스트 바지선 KR200451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003U KR200451278Y1 (ko) 2008-06-16 2008-06-16 엔진 테스트 바지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003U KR200451278Y1 (ko) 2008-06-16 2008-06-16 엔진 테스트 바지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975U true KR20090012975U (ko) 2009-12-24
KR200451278Y1 KR200451278Y1 (ko) 2010-12-07

Family

ID=4447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003U KR200451278Y1 (ko) 2008-06-16 2008-06-16 엔진 테스트 바지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2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16B1 (ko) * 2010-02-24 2014-02-2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바지선, ro 모듈의 조립 시스템, ro 모듈의 조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575Y1 (ko) * 2014-03-27 2016-02-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그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오버헤드 크레인 배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9366B2 (ja) 1996-09-03 2002-09-30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ベンチテスト用排ガス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16B1 (ko) * 2010-02-24 2014-02-2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바지선, ro 모듈의 조립 시스템, ro 모듈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278Y1 (ko)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7632B (zh) 用于潮汐涡轮机的配置的系统和方法
CN106184609A (zh) 半悬挂舵在半船起浮状态下的安装方法
KR20130068306A (ko) 선체블록의 해상 교체방법
KR200451278Y1 (ko) 엔진 테스트 바지선
CN106275253A (zh) 一种船舶下水前引海水提前动发电机的方法
CN205770042U (zh) 一种海洋工作平台
AU2009100098A4 (en) Modularised topsides for offshore platforms
JP4759620B2 (ja) タンデム建造方法に適用する浸水方法
CN107399412B (zh) Mopu的建造方法
CN105775057A (zh) 一种模块化自升式海工平台
MX2014013115A (es) Metodo para varar en dique seco una unidad flotante.
CN103910029A (zh) 自航耙吸挖泥船机机舱泵舱区舾装方法
Storhaug Which sea states are dimensioning for container vessels when whipping is included?
KR101928571B1 (ko) 선박용 스크러버 배출밸브의 수중 시공방법
van Diemen et al. Displacing 10,000 t of water to install 2,500 t of steel buoy at 250m below sea level
RU2013132723A (ru) Способ обустройства морских глубоководных нефтегазовых месторождений
KR20160059217A (ko) 반잠수식 리그 및 반잠수식 리그의 경사시험 방법
KR101095113B1 (ko) 진수시 데드웨이트를 측정하는 선박건조공법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CN203464844U (zh) 一种具有反冲洗功能的板式冷却器
Crowle Floating Offshore Wind: A Review of Installation Vessel Requirements
Mikalsen et al. Combined and Re-Deployable Platform and Storage Solutions for Stranded Reserves
KR20130022924A (ko) 엔진 룸에서 발전기를 제거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1506920A1 (en) Buo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60022934A (ko) 선박건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