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836A -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활성화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활성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836A
KR20090012836A KR1020070077015A KR20070077015A KR20090012836A KR 20090012836 A KR20090012836 A KR 20090012836A KR 1020070077015 A KR1020070077015 A KR 1020070077015A KR 20070077015 A KR20070077015 A KR 20070077015A KR 20090012836 A KR20090012836 A KR 20090012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user interface
menu
lock mode
graphic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7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836A/ko
Publication of KR2009001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for selecting a function from a menu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잠금 버튼의 잘 못 눌림에 따라 터치 메뉴가 활성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은 잠금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터치를 요구하는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그에 대한 터치를 확인하며, 그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터치가 확인되면 터치 스크린의 다른 위치에 터치를 요구하는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그에 대한 터치를 확인하며,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터치되면 터치 메뉴에 대한 잠금 모드를 해제시킨다. 이에 따르면, 터치 위치의 변화에 의해 사용자의 잠금 기능의 해제 의지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부주의로 인한 터치 메뉴의 실행이 방지될 수 있다.
휴대 전자 장치, 휴대 단말, 잠금 모드, 터치 스크린, 터치 메뉴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HAND-HELD DEVICE HAVING OUTSIDE TOUCH PANEL PART AND MENU ACTIV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잠금 모드의 해제를 보완하는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간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도와주는 다양한 휴대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휴대 전자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MP3 플레이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휴대 전자 장치는 버튼(button)의 눌림에 의해 입력이 이루어지는 버튼 입력 방식의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터치 패드(touch pad)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접촉(touch) 입력 방식의 휴대 전자 장치가 증가 되고 있다. 특히 소형화와 구조 단순화를 고려하여 화면 표시 장치 상에 터치 패널을 부착하여 구성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휴대 전자 장치가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접촉 입력 방식의 휴대 전자 장치는 신체 또는 사물에 살짝 닿기만 해도 사용자의 조작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되어 버린다. 따라서 일견 직관적이고 편리한 입력 방식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 사용 과정에서 잦은 오작동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 기능을 이용하는 휴대 전자 장치의 기술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전자 장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휴대 전자 장치(510)는 터치 메뉴에 대한 잠금 기능이 구현되어 있는 예로서, 잠금 버튼(519)의 눌림에 따라 터치 스크린(518)에 대한 잠금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잠금 기능의 실행 중에 터치 스크린(518)에 대한 터치가 발생되더라도 동작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부주의로 인한 터치 메뉴의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 전자 장치 역시 사용자가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지니고 이동하는 경우 등에서 잠금 버튼이 잘못 눌려져 잠금 기능이 해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잠금 버튼과 같이 하드웨어적인 잠금과 달리 소프트웨어적인 잠금 해제 과정을 통하여 버튼의 잘 못 눌림에 따른 터치 메뉴의 활성화를 방지할 수 있는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잠금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터치를 요구하는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그에 대한 터치를 확인하는 터치 확인 과정과, 그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터치가 확인되면 터치 스크린의 다른 위치에 터치를 요구하는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그에 대한 터치를 확인하는 터치 재확인 과정, 및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터치되면 터치 메뉴에 대한 잠금 모드를 해제시키는 잠금 모드 해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장치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치 메뉴를 표시하고 그 터치 메뉴의 터치에 따라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스크린과; 그 터치 메뉴의 터치에 대한 잠금 모드를 수행하게 제어하고, 그 잠금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발생되면 터치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터치를 요구하는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게 제어하고,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터치가 발생되면 터치 스크린의 다른 위치에 터치를 요구하는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게 제어하며,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터치되면 잠금 모드를 해제하고 터치 메뉴가 활성화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에서 표시 위치가 바뀌어지면서 여러 차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그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에 터치 메뉴의 잠금이 해제된다. 터치 위치의 변화에 의해 사용자의 잠금 기능의 해제 의지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부주의로 인한 터치 메뉴의 실행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과 실시예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러뜨리지 않도록 본 발명의 중심 기술 사상과 관련이 없는 부분에 대한 도시 및 기재를 생략한다. 그리고 실시예의 설명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동일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 전자 장치(10)는 터치 스크린(17), 잠금 버튼(19), 저장부(21), 오디오부(23) 및 제어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 스크린(17)은 휴대 전자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터치 패널과 그 하부에 위치하는 화면 표시 장치로 구성된다. 화면 표시 장치가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화면으로 출력하고, 터치 패널이 터치에 따라 휴대 전자 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에 관련된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숫자나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과 각종 기능 키들을 포함하는 터치 메뉴가 액정 표시 장치에 표시되고 그에 대 한 터치 패널의 터치에 의해 해당 신호가 발생된다. 화면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 다양한 화면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잠금 버튼(19)은 휴대 전자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눌림에 따라 터치 스크린(17)의 터치 메뉴에 대한 잠금 기능의 실행 또는 해제 명령 신호를 발생시된다.
저장부(21)는 휴대 전자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들과 그 데이터 및 휴대 전자 장치(1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의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및 그의 재생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1)는 휴대 전자 장치(10)에서 터치 메뉴에 대한 잠금 기능의 수행 시에 터치 스크린(17)를 통하여 표시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다.
오디오부(23)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파일의 재생에 따라 그 소리를 스피커(SPK)를 통하여 출력시킨다.
제어부(11)는 휴대 전자 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터치 스크린(17)을 통한 터치 입력과 화면 출력 및 입력에 따른 동작 수행을 제어한다. 제어부(11)는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부(13)를 포함하여 터치 입력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능이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부(13)는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게 휴대 전자 장치(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잠금 버튼(19)의 입력에 따라 잠금 모드의 동작과 해제를 제어한다. 잠금 모드의 동작 시에 제어부(11)는 터치 스크린(17)에서 터치 메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1)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한 잠금 모드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제어하는 GUI 처리부(15)를 포함한다.
GUI 처리부(15)는 잠금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17)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17)에 표시되게 제어하고,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터치가 발생되면 다른 위치에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게 제어하며,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터치되면 잠금 모드를 해제하고 터치 메뉴가 활성화되게 제어한다. 제어부(11)는 그 밖에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파일과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고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부(23)를 통하여 출력되게 제어하고 비디오 신호를 터치 스크린(17)를 통하여 출력하게 제어한다. 제어부(11)로서는 휴대 장치(1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마이컴(MICOM)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1)는 S111과정에서 잠금 모드를 수행한다. 잠금 모드에서 터치 메뉴가 터치 스크린(17)의 터치에 대하여 비활성화된다. 여기서, 잠금 모드는 대기 모드의 수행 상태에서 잠금 버튼(19)의 눌림에 의해 동작되거나 특정 기능,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부(13)의 제어하에 저장부(21)에 저장된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 버튼(19)의 눌림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잠금 모드의 수행 중에 제어부(11)는 S113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7)에 대한 터치가 있는지 판단한다. 잠금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17)의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1)는 S115과정에서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17)를 통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그 형태와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는 S117과정에서 일정 시간 내에 터치 스크린(17)에 대한 터치가 있는지 판단한다. 일정 시간 내에 터치 스크린(17)에 대한 터치가 없으면, 제어부(11)는 S111과정의 잠금 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17)에 터치가 있으면, 제어부(11)는 S119과정에서 그 터치가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인지를 확인한다.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가 아니면, 제어부(11)는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S115과정으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S119과정에서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로 판단되면, 제어부(11)는 S121과정에서 먼저 표시된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위치와 다른 위치에 색상이 다른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17)를 통하여 표시한다.
이어서, 제어부(11)는 S123과정에서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스크린(17)에 대한 터치가 있는지 판단한다. 터치 스크린(17)에 대한 터치가 없으면, 제어부(11)는 S111과정의 잠금 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17)에 대한 터치가 있으면, 제어부(11)는 S125과정에서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인지를 확인한다.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가 아니면, 제어부(11)는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S121과정으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S125과정에서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로 판단되면, 제어부(11)는 S127과정에서 잠금 모드를 해제하고 S129과정에서 터치 메뉴를 활성화시킨다. 이에 따라 터치 메뉴의 터치 시에 해당 기능이 수행된다.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그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의지가 반영된 터치인지를 재확인 함으로써 부주의로 인한 동작 발생을 방지한다. 이러한 재확인 과정은 반복적으로 수회 진행될 수 있다.
도 4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이다.
도 4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 예를 들어, 잠금 모드의 수행 중에 터치 스크린(17)에 대한 터치가 있으면, 도 4에서와 같이 터치 스크린(17)에 "Press the red spot"이라는 안내 문구와 함께 손가락으로 터치가 가능한 크기의 적색 점(51)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적색 점(51)에 대한 터치가 발생되면, 도 5에서와 같이 터치 스크린(17)에 "Press the green spot"이라는 안내문구와 함께 손가락으로 터치가 가능한 크기의 녹색 점(55)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녹색 점(55)에 대한 터치가 발생되면 잠금 모드가 해제되고 도 6에서와 같이 터치 스크 린(17)에 메인 메뉴 화면(61)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17)에 표시된 터치 메뉴가 활성화되어 터치에 의한 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적색 점(51)의 터치가 발생되면, 도 7에서와 같이, 터치 스크린(17)에 "Press the password"라는 안내 문구와 함께 패스워드 입력 창(57)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에 따라 잠금 모드의 해제와 터치 메뉴가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 전자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UMTS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 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전자 장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이다.

Claims (5)

  1.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메뉴의 잠금 모드를 수행하는 휴대 전자 장치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터치를 요구하는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그에 대한 터치를 확인하는 터치 확인 과정과,
    상기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터치가 확인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다른 위치에 터치를 요구하는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그에 대한 터치를 확인하는 터치 재확인 과정, 및
    상기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터치되면 상기 터치 메뉴에 대한 잠금 모드를 해제시키는 잠금 모드 해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장치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확인 과정과 상기 터치 재확인 과정은
    일정 시간 내에 터치 입력이 없으면 잠금 모드로 복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장치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재확인 과정은
    복수 회 반복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재확인 과정은
    상기 터치 확인 과정의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와 다른 색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터치 메뉴 활성화 방법.
  5. 터치 메뉴를 표시하고 그 터치 메뉴의 터치에 따라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메뉴의 터치에 대한 잠금 모드를 수행하게 제어하고, 그 잠금 모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터치를 요구하는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게 제어하고, 상기 제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다른 위치에 터치를 요구하는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게 제어하며, 상기 제2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터치되면 잠금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터치 메뉴가 활성화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장치.
KR1020070077015A 2007-07-31 2007-07-31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활성화 방법 KR20090012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015A KR20090012836A (ko) 2007-07-31 2007-07-31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활성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015A KR20090012836A (ko) 2007-07-31 2007-07-31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활성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836A true KR20090012836A (ko) 2009-02-04

Family

ID=40683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015A KR20090012836A (ko) 2007-07-31 2007-07-31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활성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8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147A (ko) * 2009-09-22 201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
WO2011149231A3 (en) * 2010-05-26 2012-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having a touch-lock stat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device
WO2015009110A1 (ko) * 2013-07-18 2015-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EP2860619A4 (en) * 2012-06-11 2016-02-24 Huizhou Tcl Mobile Comm Co Ltd METHOD, SYSTEM AND TOUCH SCREEN DEVICE FOR DISABLING THE SCRE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147A (ko) * 2009-09-22 201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
WO2011037366A3 (en) * 2009-09-22 2011-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of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ouch screen and mobile terminal thereof
US9225824B2 (en) 2010-05-26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having a touch-lock stat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device
US8749516B2 (en) 2010-05-26 2014-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having a touch-lock stat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device
US8982098B2 (en) 2010-05-26 2015-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having the touch lock status and operation system thereof
WO2011149231A3 (en) * 2010-05-26 2012-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having a touch-lock stat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device
US9628608B2 (en) 2010-05-26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having a touch-lock stat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device
US9942386B2 (en) 2010-05-26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having a touch-lock stat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device
US10244101B2 (en) 2010-05-26 201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having a touch-lock stat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device
EP2860619A4 (en) * 2012-06-11 2016-02-24 Huizhou Tcl Mobile Comm Co Ltd METHOD, SYSTEM AND TOUCH SCREEN DEVICE FOR DISABLING THE SCREEN
US10114529B2 (en) 2012-06-11 2018-10-30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Screen-unlocking method, system and touch screen terminal
WO2015009110A1 (ko) * 2013-07-18 2015-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US10775869B2 (en) 2013-07-18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48816A1 (en)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KR10176119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65768B1 (ko) 휴대단말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JP5922522B2 (ja) 携帯端末
US9848329B2 (en) Portable terminal and lock state control method
EP2192475A2 (en) Control of input/output through touch
KR10165754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5968A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100093293A (ko) 터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KR102336329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작동 방법
US20120287073A1 (en) Selection of a selection item on a touch-sensitive display
KR20110131909A (ko)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CN106980445A (zh) 操控菜单的唤起方法及装置、电子设备
JP2013089212A (ja) 携帯端末および低感度領域設定プログラム
KR20150012396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090128506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ensitive Input
KR20090012836A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전자 장치와 그의 터치 메뉴활성화 방법
KR20090015259A (ko) 단말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US20060088143A1 (en) Communications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of providing notes
JP2014095963A (ja) 入力装置、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2977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6189A (ko)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06100811A1 (ja) 情報処理装置、画像移動指示方法及び情報記憶媒体
KR2015000899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8276B1 (ko)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