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763A - 범퍼백빔 - Google Patents

범퍼백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763A
KR20090012763A KR1020070076886A KR20070076886A KR20090012763A KR 20090012763 A KR20090012763 A KR 20090012763A KR 1020070076886 A KR1020070076886 A KR 1020070076886A KR 20070076886 A KR20070076886 A KR 20070076886A KR 20090012763 A KR20090012763 A KR 20090012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stay
housing
back bea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6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763A/ko
Publication of KR2009001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28Metall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백빔에 관한 것으로, 차체스테이와 결합하여 범퍼커버 내에서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의 범퍼빔에 있어서, 상기 범퍼빔(10) 양측면부에 상기 범퍼빔(10)과 일체로 형성된 범퍼스테이(20)와, 상기 범퍼스테이(20) 내부에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모듈(10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범퍼빔과 범퍼스테이를 일체로 형성하고, 범퍼스테이내에 충격모듈을 구비하여 효과적으로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제품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범퍼백빔에 관한 발명이다.
범퍼백빔

Description

범퍼백빔 {Bumper back beam}
본 발명은 범퍼백빔에 관한 것으로, 범퍼빔의 양 측면부에 범퍼스테이를 일체로 형성하고, 범퍼스테이내에 외부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모듈을 구비하여 효과적으로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품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범퍼백빔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을 비롯하여 자동차의 외형을 구성하는 차체와 상기 차체에 장착되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 및 정지를 가능하게 하는 샤시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체는 다수의 패널이 용접 또는 볼트 등으로 결합하여 차량 전체의 외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차체에는 엔진과 변속기를 비롯한 차량 운행에 필요한 각종 구성부품이 장착되어, 사고로 인한 충돌 및 전복시 외부충격으로부터 차량내의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구비하며, 이와 함께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하여 승객 에게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함으로써 상해 정도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장착되는 프런트 범퍼와 리어 범퍼는 차량의 전방충돌 및 후방충돌 사고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탑승객을 보호함과 동시에 엔진을 비롯한 차량 각부의 차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자동차의 범퍼백빔은 차량 충돌시의 충격을 대부분 흡수해 주는 완충부재로, 범퍼백빔의 전면에는 범퍼커퍼가, 범퍼백빔의 양측 후면에는 범퍼스테이가 장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범퍼백빔의 구성과 이에 대한 문제점을 알아본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범퍼백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범퍼백빔의 경우, 통상적으로 차량의 충돌시 자기차량을 보호하기 위해 범퍼의 외피를 이루는 범퍼커버(미도시)와, 상기 범퍼커버(미도시)의 형상유지와 충돌시에 충격을 완화하고 형상복원 기능을 갖는 에너지흡수부(미도시), 및 상기 에어지흡수부(미도시)와 접촉되어, 충돌시의 에너지를 탄성변형 또는 소성변형을 통하여 흡수하는 범퍼빔(10)과 상기 범퍼빔의 후면 측면부에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고 설치되는 범퍼스테이(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범퍼스테이(11)는 범퍼빔(10)에 별도로 결합되어 복잡한 조립 및 생산공정을 거치게 되며, 특히 외부충격 발생 시, 범퍼스테이 자체의 강성만으로 변형이 일어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충돌시 차체의 변형을 더욱 가중시켜 효율적인 충격흡수 구조를 가지지 못하며 수리비용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범퍼빔의 양 측면부에 범퍼스테이를 일체로 형성하고, 범퍼스테이내에 외부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모듈을 구비하여 효과적으로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품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범퍼백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 스테이와 결합하여 범퍼커버 내에서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의 범퍼빔에 있어서, 상기 범퍼빔 양측면부에 상기 범퍼빔과 일체로 형성된 범퍼스테이와, 상기 범퍼스테이 내부에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범퍼빔의 양 측면부에 범퍼스테이를 일체로 형성하고, 범퍼스테이내에 외부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모듈을 구비하여 효과적으로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으로써 제품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탁월한 효력을 발휘하는 발명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백빔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백빔의 범퍼스테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백빔의 탄성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백빔에 대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백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 스테이와 결합하여 범퍼커버 내에서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의 범퍼빔에 있어서, 상기 범퍼빔(10) 양측면부에 상기 범퍼빔(10)과 일체로 형성된 범퍼스테이(20)와, 상기 범퍼스테이(20) 내부에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모듈(10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범퍼빔(10)의 양 측면부에는 일반적인 포밍 또는 주물에 의해 박스형상의 범퍼스테이(20)를 범퍼빔(10)과 일체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타당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범퍼빔(10)이 가지는 휘어짐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포밍 형성하여 박스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실시함이 타당하다.
상기 범포스테이(20) 내측에는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폰지, 에어튜 브, 스프링 등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모듈(100)을 설치하여 실시함이 타당한데, 상기 탄성모듈(100)은 상기 탄성체가 충전된 실린더 등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모듈(100)에 대한 일 예로 상기 범퍼스테이(20) 내에 형성된 가이드홈(21)에 삽입되어 차량운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범퍼스테이(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10)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120)은 외부 충격에 의해 충격량이 가해지면, 충격 방향으로 압축하며 탄성에너지를 저장하여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는 형태의 코일형 스프링을 사용함이 타당하고,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코일스프링(120)을 지지하며 고정하는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111)의 양 측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21)에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12)와, 상기 가이드부(112)의 끝단부에 상기 가이드부(112)와 소정각을 이루며 굴절되어 형성된 걸림부(113)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1)는 코일스프링(120)을 고정 지지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20)이 이탈되지 않도록 코일스프링(120)과의 접촉부에 접촉 홈 또는 접촉돌기 등을 형성하여 실시함이 타당하다.
상기 가이드부(112)는 상기 지지부(111)와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으나, 비용 및 공정의 간이도를 고려하여 상기 지지부(111)와 일체로 형성함이 타당하며, 상기 지지부(111)가 충격방향으로 수평운동 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직선형 바 형태로 형성함이 타당하고, 상기 가이드부(112)와 대응되어 형성된 범퍼스테이(20)내의 가이드홈(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실시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12)의 끝단부는 상기 가이드부(112)와 소정각을 이루도록 테이퍼로 삐침이 형성된 걸림부(113)가 구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120)의 되 튀김 시에도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범퍼스테이(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 및 효력을 설명한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백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의 (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조립시, 상기 코일스프링(120)의 반력을 극복하기 위해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을 지그 등을 이용하여 장착할 있는데, 상기 걸림부(113)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21)에 삽입 후, 상기 하우징(110)이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5의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에 외력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가이드부(112)가 슬라이딩 운동하며 변위 이동을 하게 되며,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스프링(120)이 압축되며 탄성력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비해 보다 간이한 공정으로 범퍼백빔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범퍼백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백빔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
도 3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백빔의 범퍼스테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백빔의 탄성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백빔에 대한 요부 사시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백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범퍼빔 20 : 범퍼스테이
21 : 가이드홈 100 : 탄성모듈
110 : 하우징 111 : 지지부
112 : 가이드부 113 : 걸림부
120 : 코일스프링

Claims (3)

  1. 차체 스테이와 결합하여 범퍼커버 내에서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의 범퍼빔에 있어서,
    상기 범퍼빔 양측면부에 상기 범퍼빔과 일체로 형성된 범퍼스테이와,
    상기 범퍼스테이 내부에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백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범퍼스테이 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차량운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범퍼스테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백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코일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 측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부에 상기 가이드부와 소정각을 이루며 굴절되어 형성된 걸림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백빔.
KR1020070076886A 2007-07-31 2007-07-31 범퍼백빔 KR20090012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886A KR20090012763A (ko) 2007-07-31 2007-07-31 범퍼백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886A KR20090012763A (ko) 2007-07-31 2007-07-31 범퍼백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763A true KR20090012763A (ko) 2009-02-04

Family

ID=4068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886A KR20090012763A (ko) 2007-07-31 2007-07-31 범퍼백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7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57511A (zh) * 2012-12-21 2013-04-24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行人保护机舱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57511A (zh) * 2012-12-21 2013-04-24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行人保护机舱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0828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KR101014139B1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구조
US9120444B2 (e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KR101402021B1 (ko) 차량용 범퍼유닛
KR101691110B1 (ko)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
JP2008174174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101063397B1 (ko) 차량용 에너지 업서버
KR20090012763A (ko) 범퍼백빔
KR101373546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JP4539320B2 (ja) 車両用牽引フックの取付構造
KR20100008978A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0979649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005461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KR20130070357A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CN220577200U (zh) 一种吸能盒、吸能结构及汽车
KR100844356B1 (ko) 범퍼백빔
KR101137257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CN216994514U (zh) 副车架防撞梁组件及车辆
KR102405632B1 (ko) 차량용 범퍼 지지구조
KR20140029074A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100440855B1 (ko) 자동차의 범퍼
JP2008074264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20060134425A (ko) 차량의 범퍼 조립구조
JP2022107245A (ja) 車台の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