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414U -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가 가능한 병 불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가 가능한 병 불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414U
KR20090012414U KR2020090005602U KR20090005602U KR20090012414U KR 20090012414 U KR20090012414 U KR 20090012414U KR 2020090005602 U KR2020090005602 U KR 2020090005602U KR 20090005602 U KR20090005602 U KR 20090005602U KR 20090012414 U KR20090012414 U KR 200900124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model
working position
blowing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2557Y1 (ko
Inventor
짜이 순 장
신치 우
Original Assignee
짜이 순 장
신치 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짜이 순 장, 신치 우 filed Critical 짜이 순 장
Publication of KR20090012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4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5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29C49/061Injection blow-moulding with parison holding means displaceable between injection and blow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29C49/30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29C49/32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moving "to and fr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 및 선형탑재가 가능한 병 불기 시스템으로 승강 회전기구는 승강대를 가지고 있고 그 내부에는 회전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판 아래 직경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열고 닫힘이 가능한 병 입구가 설치되며, 병 입구에는 병 입구모형이 있고,회전판의 회전을 통해 두 병 입구의 제1,2 작업위치 교환이 이루어진다. 사출기구는 제1작업위치에 위치하며 병 원형 모형 및 심 모형을 가지고 있어 병 원형의 사출이 유리하게 진행된다. 이동탑재기구는 제2작업위치에 위치하며 이동탑재대를 가지고 있고 이동탑재대는 병 입구 모형을 연결하여 병 원형의 병 입구를 잡고 있으며, 이동탑재대는 이동탑재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이동탑재대와 병 입구가 제3작업위치의 연장 병 불기 기구를 향해 이동한다. 연장 병 불기 기구는 열고 닫을 수 있는 병 불기 모형을 가지며 그 상방에는 승강이 가능한 연장막대가 있어 공기를 불어 병 모양을 형성하는데 편리하게 되어있다. 정출기구는 제2작업위치에 위치하고 승강이 가능한 병 분리장치를 가진다. 연장 병 불기 후의 병체는 이동탑재기구로부터 제3작업위치에서 제2작업위치로 될 때 병 분리장치가 하강하여 병 입구 모형이 분리되게 되어 병체와 병 입구가 분리된다.
병 불기, 승강 회전, 사출, 이동탑재, 정출

Description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가 가능한 병 불기 시스템{Blow molding system with rotating and linear conveying functions}
본 고안은 병 불기 시스템으로 특히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가 가능한 병 불기 시스템을 일컫는다.
병 불기 기술은 현재 많이 사용되는데 특히 속이 빈 반 밀폐 용기는 모두 병 불기 장치로 만들어진 것으로 음료수 병, 향수병, 약병 등 할 것 없이 크고 작은 생활용기가 모두 이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병 불기 원리로 말하자면, 고분자 원료를 취득하여 먼저 병 원형 모형을 사출하여 사출성형방식으로 속이 빈 병 모형을 만들며, 그런 후 병 원형 모형을 다른 하나의 이미 예비 가열된 연장 불기 기구의 병 불기 모형 내에 넣고 다시 공기를 불어넣는 방식으로 열을 받아 부드러워진 병 원형 모형을 확장하여 병 불기 모형 내벽에 붙이며 마지막으로 성형된 병체를 정출기구를 통해 병 불기 모형에서 정출해 낸다. 따라서 병 불기 작업에서 일반적으로 병 입구의 나선부의 부분이 가공품을 잡는 부위가 된다.
상술한 병 불기 원리는 이미 업계에 알려진 가로(눕혀두는 방식)로 두 개의 작업위치로 연장 병 불기 장치를 사출하고 활동모형판, 회전모형판을 순서대로 좌우 평행배열하고 회전모형판의 좌측과 지탱대의 회전대 축심을 연결하여 이 활동모형판을 심 모형과 연장막대에 가설하고, 회전모형판을 두 조의 동일한 병 입구에 가설하며 고정모형판을 사출모형과 병 원형 모형으로 사출하고, 심 모형과 사출모형을 대칭되게 두 조의 병 입구 중의 한 조의 병 입구에 서로 대응되게 하여 병 원형을 사출성형한다. 연장막대, 병 불기 모형은 대칭되게 두 조의 병 입구 중의 한 조의 병 입구에 서로 대응되게 하여 병 원형을 연장 병 불기로 병체를 성형하고 회전대를 통해 회전판을 180°상하회전하여 위치를 고정시켜 두 조의 병 입구의 위치를 바꾸어 이로써 계속해 병 원형 사출과 연장 병 불기로 연속적인 자동 생산화를 가능케 한다.
상술한 눕혀두는 식 혹은 전통적인 입식 작업위치로 연장 병 불기 장치를 사출하는 것은 병 원형 사출과 연장 불기 성형을 일체로 통합하는 것인데, 이 회전모형판(회전판)의 크기와 병 불기 모형의 크기가 제한을 받게 되어 병 불기 모형이 작은 크기의 병체 만을 만들어 내게 된다. 사실상 만약 큰 크기의 병체를 만들어 내려면 이 병 불기 모형 주변의 공간이 제한을 받게 되어 기압실린더로만 병 불기 모형의 모형 결합과 모형 열기를 진행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잠금력이 부족하게 되어 품질이 불량한 병체를 생산하게 된다. 만약 회전판 크기를 크게 만들면 액압실린더로 병 불기 모형의 열고 닫기를 진행할 수 있어 큰 크기의 병체를 생산할 수 있다. 다만 이 방식은 병 불기 모형 장치의 크기를 크게 해야하기 때문에 운송에 불리하고 제작원가도 대폭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개선이 필요하다.
본 출원인은 다년간의 병 불기 장치의 설계와 생산판매의 경험을 살려 상술한 두 개의 작업 위치식 혹은 여러 작업 위치식의 병 불기 장치를 회전판의 크기에 맞추어 작은 크기의 병체 만을 만들어내는 결점을 개선하고 승강 회전기구를 통해 제1작업위치로 사출한 병 원형을 제2작업위치까지 회전한 후 이동탑재기구의 선형 이동탑재로 제3작업위치로 연장 병 불기 기구로 이동하여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게 되며 다시 실험과 테스트를 거쳐 본 고안인「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가 가능한 병 불기 시스템」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목적은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가 가능한 병 불기 시스템으로, 연장 병 불기 기구를 승강 회전기구의 측변에 설계하여 이 승강 회전기구가 병 원형을 제1작업위치로부터 제2작업위치로 이동한 후 이동탑재기구의 선형 이동탑재를 통해 병 원형을 제3작업위치의 연장 병 불기 기구로 이동하여 연장 병 불기 작업을 진행한다.
본 고안의 다음 목적은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 기능을 가진 병 불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출기구와 연장 병 불기 기구의 공간배치를 바꾸어 병 불기 시스템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으며, 또한 연장 병 불기 기구 주변의 공간을 크게 만들어 모형을 잠그는 힘이 비교적 양호한 개폐구동장치를 채용하여 유압실린더가 병 불기 모형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여 연장 병 불기로 큰 크기의 병체를 만들고 연장 병 불기 기구의 다양한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채용한 기술수단은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의 병 불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승강 회전기구, 제1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사출기구, 제2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이동탑재기구, 제3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연장 병 불기 기구, 및 제3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정출기구를 포함한다.
승강 회전기구는 베이스에서 승강하는 승강대를 가지며, 이 승강대 내에는 회전판이 설치되고, 회전판 아래면 직경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폐되는 제1,2병 입구가 설치되고, 제1,2병 입구에는 병 원형을 가진 병 입구 모형이 설치되며, 회전판의 회전을 통해 제1,2병 입구의 제1,2 작업위치가 서로 바뀐다.
제1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사출기구는 회전판 하방에 설치되는 병 원형 모형과 승강대의 위에 설치되며 세로로 승강하는 심 모형을 가지는데, 심 모형은 회전판과 병 입구 모형을 뚫고 병 원형 모형 내에 들어가 병 원형의 사출에 사용된다.
제2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이동탑재기구는 이동탑재대를 가지며, 이 이동탑재대는 이동탑재 구동장치의 구동을 통해 이동탑재대와 연동되는 제1병 입구가 연장 병 불기 기구를 향해 이동하게 한다.
제3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연장 병 불기 기구는 병 불기 모형과 연장막대로 구성되는데, 개폐구동장치를 통해 병 불기 모형이 통제되고, 병 불기 모형 내부에 병 원형을 받아들이며, 상부에 제1병 입구가 연접되고, 병 불기 모형의 상방에는 승강가능한 연장막대가 설치되고, 이 연장막대는 제1병 입구의 병 입구 모형을 통과하여 병 원형 내로 들어가 공기를 불어넣게 된다.
제3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정출기구는 승강이 가능한 병 분리장치를 가지며, 연장 병 불기 후의 병체는 이동탑재기구를 통해 제3작업위치로부터 제2작업위치로 되돌아 올 때, 병 분리장치가 하강하여 반으로 나뉜 병 입구 모형이 분리되면서 병체와 제1병 입구를 분리되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를 통해 생산이 증가된 효과는 연장 병 불기 기구가 승강 회전기구의 직경 방향 측변에 설치되어 이 승강 회전기구가 병 원형을 제1작업위치로부터 제2작업위치로 회전한 후, 이동탑재기구의 선형 이동탑재를 통해 이 병 원형을 제3작업위치의 연장 병 불기 기구로 이동탑재하는 데 있다. 이 연장 병 불기 기구의 주변공간이 커지게 되어 빗장 모형이 비교적 양호한 개폐구동장치,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를 채용해야만 연장으로 큰 크기의 병체를 불어 제작할 수 있다. 특히 더 나아가 본 고안은 전통적인 회전식 두 개의 작업위치 혹은 여러 작업위치의 병 불기 시스템과 비교하여 동일한 용적의 병체 생산으로 말하자면 회전판 및 병 불기 규모의 크기 제한으로 인해 병 불기 시스템의 크기를 축소하는 외 연장 병 불기 기구의 공간이 커지게 되어 연장 병 불기 기구의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여 현행 회전식 두 개의 작업위치 혹은 여러 작업위치의 병 불기 시스템 중 가장 획기적인 고안이라 하겠다.
본 고안의 기술내용을 더 자세히 제시하기 위해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인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 기능을 가진 병 불기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병 불기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병 불기 시스템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병 불기 시스템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이동탑재기구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승강 회전기구와 연장 병 불기 기구의 개략도이고, 도 7에서 도 10은 본 고안의 병 불기 시스템의 이동탑재, 연장 병 불기 및 정출작업의 과정도이고, 도 11과 12는 본 고안의 승강 회전기구와 이동탑재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동도이며, 도 13과 14는 본 고안의 승강 회전기구와 이동탑재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우측면도와 좌측면도이다.
도 1에서 4에 도시한 것은,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가 가능한 병 불기 시스템은 승강 회전기구(1), 사출기구(2), 이동탑재기구(3), 연장 병 불기 기구(4) 및 정출기구(5)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승강회전 기구(1)는 승강대(11) 내에 회전판(12)을 설치하고, 승강대(11)는 승강 구동장치(13), 예를 들어 기압실린더 또는 액압실린더로 움직여지고 베이스에 고정 설치된 다수의 지탱대(14)는 세로 방향으로 승강하며 동시에 회전판(12)을 움직여 세로로 위치 이동한다. 이는 종래의 기술과 같으므로 여기서 더 부연설명하지는 않는다.
회전판(12)의 상방에는 전동장치(15)가 있어, 예를 들어 서버모터가 회전을 가능케 하고 회전판 아래면 직경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2병 입구(121,122)를 설치하여 180°로 상호 위치 교환하게 하며, 즉 제1작업위치와 제2작업위치가 상호 위치교환된다. 제1,2병 입구(121,122)는 종래와 같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병 입구모형(123)이 설치되어 있고, 제1,2병 입구(121,122)는 각자 반으로 나누어져, 즉 제1,2병 입구(121,122)가 두 개의 반으로 되는 모형이 닫혀 결합되며, 양자 사이에는 탄성장치, 즉 스프링으로 서로 대응되게 봉합되며, 두 양측 밖에는 각각 하나의 경사면이 있고 봉합시 하나의 경사지게 오목홈이 형성된다.
도 2와 6에서 도시된 바처럼, 제1,2병 입구(121,122) 양측은 각자 한 쌍의 고정 미끄럼 궤도(16) 내에 씌워져 설치된다. 이 각각의 제1,2병 입구(121,122)가 회전할 때 원심력 작용으로 인해 각자가 속한 각 고정 미끄럼 궤도(16)에 대해 떨어져 나오게 되는데, 이로 인해 그중 하나의 고정 미끄럼 궤도(16) 밖에 맞물림 장치(17)를 설치하고 그 한쪽 단의 당김 자루(171)가 고정 미끄럼 궤도(16)를 통과하고 제1,2병 입구(121,122)에 설치된 당김 홈(124)에 맞물려 당겨질 때 각 제1,2병 입구(121, 122)의 위치 지정과 고정이 이루어진다.
사출기구(2)는 병 원형 모형(21)과 심 모형(22)으로 구성되며, 병 원형 모형(21)은 베이스 위에 고정 설치되고, 승강 회전기구(1)의 회전판(21) 하방에 위치하며, 심 모형(22)은 승강대(11) 위에 가설되고, 종래의 신축구동장치(23), 예를 들어 기압실린더에 의해 움직여지며 승강대(11)를 통해 하강하는 회전판(12)과 그 하방의 제1병 입구(121) 또는 제2병 입구(122)의 병 입구 모형(123)까지 움직인 뒤, 심 모형(22)이 병 원형 모형(21) 내에 들어가 심 모형과 병 원형 모형이 결합된 상태가 된다.이때 사출기의 사출장치(24)가 용해된 플라스틱 재료를 병 원형 모형(21) 내에 사출하여 병 원형을 형성하며, 모형을 연 후 심 모형(22)과 승강대(11)의 회전판(12)이 상승하여 병 원형을 병 원형 모형(21)에서 떨어져 나가게 하고, 제1병 입구(121)의 병 입구 모형(123)에 의해 잡히게 되어(도 3에서 예시) 이 병 원형이 제1작업위치의 사출기구(2)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6과 7에서 도시한 바처럼, 제1병 입구(121)와 그 병 입구 모형(123)에 의해 잡혀진 병 원형은 회전판(12)을 통해 이동탑재기구(3)의 위치에 이를 때 승강대(11)가 회전판(12)을 아래로 하강하게 움직이고, 이때 해제장치(18), 예를 들어 기압실린더의 신축막대(181)를 통해 연장되어 나오고 맞물림 장치(17)의 다른 한쪽 단의 탄성부(172)를 밀어 이 당김 자루(171)를 내부로 신축되게 하여 제1병 입구(121)가 맞물림 상태를 벗어나게 하며 이동탑재기구(3)를 통해 제1병 입구(121)와 그 병 입구 모형(123)에 의해 잡혀진 병 원형을 도 8에서 도시한 제3작업위치, 즉 연장 병 불기 장치(4)까지 이동탑재한다.
도 4에서 6에서 도시한 이동탑재기구(3)는 회전판(12) 하방의 제1병 입구(121)를 제1작업위치에서 제2작업위치까지 회전하고, 다른 한 측의 제2병 입구(122)를 제2작업위치에서 제1작업위치로 회전한 후, 제1,2병 입구(121,122)는 회전판(12)을 따라 하강하여 제2병 입구(122)가 병 원형 모형(21)에 위치하게 될 때 심 모형(22)이 하강하여 병 원형 모형(21) 내부로 깊이 들어가게 되어 모형이 닫히는 상태가 되어 병 원형의 사출작업이 편리하게 진행된다.
제1병 입구(121)는 이동탑재대(31)의 튀어나와 연장된 연접 빗장(32)과 제1병 입구(121) 끝 부분의 빗장구멍(125)으로 연접이 형성되고, 이동탑재 구동장치(33), 예를 들어 서버모터의 작동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나선막대(331)의 이동탑재대(31)에 연접되어 제3작업위치의 연장 병 불기 기구(4)를 향해 이동한다.
연장 병 불기 기구(4)의 병 불기 모형(41) 상방에는 한 쌍의 연장 미끄럼 궤 도(34)가 설치되고 회전판(12)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 미끄럼 궤도(16)에 연접되어 제1병 입구(121)가 이동탑재대(31)와 연접 빗장(32)을 통해 가로방향으로 위치이동하고 연장 미끄럼 궤도(34)를 따라 제3작업위치의 연장 병 불기 기구(4)의 위치에 진입한다.
이동탑재기구(3)의 왕복식 부품은 상술한 이동탑재 구동장치(33)와 나선막대(331)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전통적인 신축구동장치, 예를 들어 기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로도 가능하며 이럴 경우 역시 선형 이동탑재 효과를 가진다.
도 1에서 4에서 도시한 바의 연장 병 불기 기구(4)는 병 불기 모형(41)과 그 상방의 연장막대(42)로 구성되며, 상술한 대로 이동탑재기구(3)를 통해 이동탑재되는 제1병 입구(121) 및 그 병 입구 모형(123)에 의해 잡혀있는 병 원형 모형을 연 상태의 병 불기 모형(41) 내로 진입시킨 후 양측의 개폐구동장치(43),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를 통해 닫음을 진행하고 이때 연장막대(42)는 신축구동장치(44), 예를 들어 기압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하강하여 제1병 입구(121)의 병 입구 모형(123)을 밀폐하여 병 원형 내에 깊게 넣어져 공기 불어넣기 작업을 진행하여 병 원형이 팽창하여 병 불기 모형(41) 내벽에 붙게 되어 도 9에서 도시한 병체가 형성된다.
이 병체의 온도가 하강하여 굳어진 후 연장막대(42)를 신축시켜 회수하고 병 불기 모형(41)이 개폐구동장치(43)를 통해 모형을 열게 되는데 이때 이 제1병 입구(121)와 그 병 입구 모형(123)에 의해 잡혀있던 병체가 이동탑재기구(3)를 통해 제2작업위치로 이동되고 맞물림 장치(17)의 당김 자루(171)가 자동으로 제1병 입구(121)의 당김 홈(124)을 맞물리게 당겨 위치를 고정시킨다.
도면 4에서 10에서 예시한 대로 정출기구(5)는 병 분리장치(51)를 가지고 있고, 이는 두께가 경사지게 깎여 뾰족하고 평평한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나선칼 모양의 정출칼날(511)이며, 이는 연결막대(512)의 양측에 고정설치되고 이 연결막대(512)는 신축구동장치(52)에 의해 움직여 승강 동작을 진행한다. 연장 병 불기 후의 병체는 이동탑재기구(3)에 의해 제3작업위치로부터 제2작업위치로 되돌아오며 병 분리장치가 하강하여 정출칼날(511)이 상술한 제1병 입구(121) 양측의 경사진 면에 형성된 오목홈 내에 깊이 들어가서 반으로 나뉜 병 입구 모형(123)을 분리되게 하는 동시에 연결막대(512)에 의해 연접 장치되는 정출막대(53)가 제1병 입구(121)의 병 입구 모형(123) 내에 깊이 들어가 병체의 병 입구를 밀어 연장 병 불기가 완성된 병체를 낙하시키는 일을 더욱 빠르게 진행시키며, 그런 후 정출칼날(511)은 연결막대(512)를 따라 원래 위치로 신축하여 회복하며 낙하된 병체는 수송띠(6)를 따라 베이스 외부로 수송된다. 이때 회전판(12)은 승강대(11)에 의해 움직여 상승하여 제2입 입구(122)의 병 입구 모형(123)이 다른 하나의 사출성형된 병 원형을 상승하게 잡고 있어 상술한 회전, 이동탑재, 연장 불기 및 정출 작업이 중복 진행되게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반복동작으로 인해 병 원형의 사출과 연장 불기의 자동화로 연속생산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2작업위치에서 제3작업위치로 이동탑재될 때 회전판(12)은 반드시 승강대(11)를 따라 하강해야 잡혀진 병 원형의 제1,2병 입구(121, 122)의 빗장 구멍(125)과 이동탑재대(31)의 연접 빗장(32)이 서로 결합하여 병 입구를 이동탑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병 불기 모형(41)은 열려있는 모형 상태이며 그 닫혀지는 시간은 반드시 1-2초가 필요하므로 이 시간은 자동화 연속생산으로 말하자면 생산능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과 14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의 이동탑재기구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승강대(11)에 제3작업위치의 연장 병 불기 기구(4)의 방향을 향해 일체로 연장판(111)이 설치되고 그 상면은 연장 병 불기 기구(4)의 설치에 제공되고 그 하면에는 한 쌍의 연장 미끄럼 궤도(34)가 설치되어 회전판(12)의 한 쌍의 미끄럼 궤도(16)와 연접하여 어떠한 병 입구(121 혹은 122)라도 승강대(11)에 가설된 제2작업위치 외측의 이동탑재기구(3)를 경과해 이동탑재가 진행된다.
도 11과 12에서 도시한 바대로 이동탑재기구(3)는 이동탑재대(31)에 연접 빗장(32), 예를 들어 기압실린더를 설치하고 상승상태의 어떠한 병 입구(121 혹은 122)가 병 원형을 집어 제1작업위치에서 제2작업위치로 회전할 때 연접 빗장(32)이 즉시 나와 병 입구의 빗장구멍(125)에 삽입되어 연결이 형성된다. 이때 이동탑재대(31)는 이동탑재 구동장치(33), 예를 들어 서버모터의 작동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나선막대(331)의 이동탑재대(31)에 연접해 제3작업위치의 연장 병 불기 기구(4)로 이동한다.
도 13과 14에서 도시한 바대로, 병 입구, 예를 들어 제1병 입구(121)와 병 원형이 이동탑재기구(3)를 통해 연장 병 불기 기구(4)까지 이동될 때 승강대(11)가 하강하여 제1병 입구(121)가 병 불기 모형(41)에 붙게되고 병 원형이 직접 닫힌 상태의 병 불기 모형(41) 내로 직접 삽입된다. 그리고 제2병 입구(122)는 병 원형 모형(21)에 붙어 설치되고 심 모형(22)이 직접 제2병 입구(122)와 병 입구 모형(123) 을 통해 병 원형 모형(21) 내로 삽입되어 각각 연장 불기 및 사출작업을 진행한다. 이러한 작업은 병 불기 모형(41)의 모형을 닫는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능력을 증가시킨다.
본 고안은 비교적 구체적인 실시예이며 모든 국부적인 변경 혹은 수식도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의한 것이면 모두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드는 것임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가 가능한 병 불기 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병 불기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병 불기 시스템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병 불기 시스템의 좌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이동탑재기구의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 승강 회전기구와 연장 병 불기 기구의 개략도.
도 7에서 도 10은 본 고안의 병 불기 시스템의 이동탑재, 연장 병 불기 및 정출작업의 과정도.
도 11과 12는 본 고안의 승강 회전기구와 이동탑재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동도.
도 13과 14는 본 고안의 승강 회전기구와 이동탑재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우측면도와 좌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
1:승강 회전기구 11:승강대
111:연장판 12:회전판
121:제1병 입구 122:제2병 입구
123:병 입구 모형 124:당김 홈
125:빗장구멍 13:승강 구동장치
14:지탱대 15:전동장치
16:고정 미끄럼궤도 17:맞물림 장치
171:당김 자루 172:탄성부
18:해제장치 181:신축막대
22:심 모형 23:신축구동장치
24:사출장치 3:이동탑재기구
31:이동탑재대 32:연접 빗장
33:이동탑재 구동장치 331:나선막대
34:연장 미끄럼궤도 4:연장 병 불기 기구
41:병 불기 모형 42:연장막대
43:개폐구동장치 44:신축구동장치
5:정출기구 51:병 분리장치
511:정출칼날 512:연결막대
52:신축구동장치 53:정출막대
6:수송띠

Claims (10)

  1. 승강 회전기구(1), 제1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사출기구(2), 제2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이동탑재기구(3), 제3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연장 병 불기 기구(4), 및 제3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정출기구(5)를 포함하는데,
    승강 회전기구(1)는 베이스에서 승강하는 승강대(11)를 가지며, 이 승강대 내에는 회전판(12)이 설치되고, 회전판 아래면 직경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폐되는 제1,2병 입구(121,122)가 설치되고, 제1,2병 입구에는 병 원형을 가진 병 입구 모형(123)이 설치되며, 회전판의 회전을 통해 제1,2병 입구의 제1,2 작업위치가 서로 바뀌며,
    제1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사출기구(2)는 회전판 하방에 설치되는 병 원형 모형(21)과 승강대(11)의 위에 설치되며 세로로 승강하는 심 모형(22)을 가지는데, 심 모형은 회전판과 병 입구 모형을 뚫고 병 원형 모형(21) 내에 들어가 병 원형의 사출에 사용되며,
    제2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이동탑재기구(3)는 이동탑재대(31)를 가지며, 이 이동탑재대는 이동탑재 구동장치(33)의 구동을 통해 이동탑재대와 연동되는 제1병 입구가 연장 병 불기 기구(4)를 향해 이동하게 하며,
    제3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연장 병 불기 기구(4)는 병 불기 모형(41)과 연장막대(42)로 구성되는데, 개폐구동장치(43)를 통해 병 불기 모형(41)이 통제되고, 병 불기 모형 내부에 병 원형을 받아들이며, 상부에 제1병 입구가 연접되고, 병 불기 모형의 상방에는 승강가능한 연장막대가 설치되고, 이 연장막대는 제1병 입구의 병 입구 모형을 통과하여 병 원형 내로 들어가 공기를 불어넣게 되며,
    제3작업위치에 위치하는 정출기구(5)는 승강이 가능한 병 분리장치(51)를 가지며, 연장 병 불기 후의 병체는 이동탑재기구를 통해 제3작업위치로부터 제2작업위치로 되돌아 올 때, 병 분리장치가 하강하여 반으로 나뉜 병 입구 모형이 분리되면서 병체와 제1병 입구를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의 병 불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2병 입구 양측은 회전판(12)에 연접된 한 쌍의 고정 미끄럼 궤도(16) 내에 씌워져 설치되고, 연장 병 불기 기구의 병 불기 모형(41) 상방에는 한 쌍의 연장 미끄럼 궤도(3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의 병 불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제1,2병 입구 양측은 회전판(12)에 연접된 한 쌍의 고정 미끄럼 궤도(16) 내에 씌워져 설치되고, 승강대(11)에는 제3작업위치의 연장 병 불기 기구 방향으로 연장판(111)이 일체성형되는데, 그 상면은 연장 병 불기 기구(4)의 설치에 제공되고, 그 하면에는 한 쌍의 연장 미끄럼궤도(3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의 병 불기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고정 미끄럼 궤도의 바깥에 맞물림 장치(17)를 설치하는데, 한쪽 단의 당김 자루(171)는 고정 미끄럼 궤도를 통과하여 각 병 입구에 설치된 당김 홈(124)에 맞물려 당겨지고, 제1병 입구가 제1작업위치에서 제2작업위치로 회전할 때, 승강대 측면에 연결설치된 해제장치(18)의 신축막대(181)가 신장되어 나오는 것을 통해 맞물림 장치의 다른 한쪽 단의 탄성부(172)를 밀어 당김 자루(171)를 내부로 신축해 들어가게 하여 제1병 입구가 맞물림 상태를 벗어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의 병 불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이동탑재대는 튀어나와 연장된 연접 빗장(32)이 있는데, 이 연접 빗장은 제1병 입구 단부의 빗장구멍(125)과 연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의 병 불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이동탑재 구동장치는 서버모터로서 나선막대(331)의 이동탑재대와 연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의 병 불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이동탑재 구동장치는 기압실린더 또는 액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의 병 불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개폐구동장치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의 병 불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병 분리장치는 두께가 경사지게 깎여 뾰족하고 평평한 모양의 정출칼날(511)을 형성하며, 이 정출칼날은 연결막대(512)의 양측에 고정설치되고, 이 연결막대는 신축구동장치(52)에 의해 움직여 승강 동작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의 병 불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연결막대에는 정출막대(53)가 설치되어 이 정출막대가 제1,2병 입구의 병 입구 모형 내에 들어가 병체를 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의 병 불기 시스템.
KR2020090005602U 2008-05-29 2009-05-08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가 가능한 병 불기 시스템 KR20046255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7209400U TWM344969U (en) 2008-05-29 2008-05-29 Bottle-blowing system having rotational and linear transfer
TW097209400 2008-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414U true KR20090012414U (ko) 2009-12-03
KR200462557Y1 KR200462557Y1 (ko) 2012-09-14

Family

ID=4138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602U KR200462557Y1 (ko) 2008-05-29 2009-05-08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가 가능한 병 불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02539B2 (ko)
JP (1) JP3152733U (ko)
KR (1) KR200462557Y1 (ko)
TW (1) TWM34496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44969U (en) 2008-05-29 2008-11-21 Zai-Shun Zhang Bottle-blowing system having rotational and linear transfer
KR101612410B1 (ko) * 2015-03-18 2016-04-14 이제관 완성품 변형방지용 보호캡을 구비한 블로우 사출성형기의 완성품 배출장치
KR101597608B1 (ko) * 2015-06-26 2016-02-26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반출 모듈
AU2016284878B2 (en) * 2015-06-26 2019-10-03 Shinwoo Costec Co., Ltd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CN106842354B (zh) * 2016-12-27 2018-12-25 东莞市朗信机械有限公司 一种封口检测装置及检测方法
TWI611897B (zh) 2017-07-05 2018-01-21 Zhang Zai Shun 用於成型機的快速換模裝置(二)
CN107953501B (zh) * 2017-10-17 2023-10-20 福建鸿龙机械有限公司 一种转盘式eva鞋底二次发泡成型机及其成型方法
TWI741859B (zh) * 2020-10-28 2021-10-01 張再順 用於成型機的快速換模裝置(三)
CN113198091B (zh) * 2021-04-15 2022-11-22 上海中医药大学附属龙华医院 药线制作系统及药线制作方法
CN113650237B (zh) * 2021-07-07 2023-09-08 宁波均胜群英汽车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汽车空调叶片组件的模内装配模具
CN114772264A (zh) * 2022-04-29 2022-07-22 永康中奥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带取放机械手的保温杯加工液压拉伸整形设备
KR102497146B1 (ko) 2022-08-05 2023-02-07 주식회사 네오블로 사출연신블로우머신의 플라스틱 용기 제조를 위한 턴 테이블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0427A (ja) * 1982-12-28 1984-07-12 Katashi Aoki 射出延伸吹込成形機における2層プリフオ−ム成形装置
JPS60247541A (ja) 1984-05-22 1985-12-07 Katashi Aoki 射出延伸吹込成形機における温調吹込成形装置
US5213822A (en) 1989-07-31 1993-05-25 Nissei Asb Machine Co., Ltd.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apparatus
US5516274B1 (en) * 1994-09-23 1997-03-18 Electra Form Inc Stretch blow molding machine with movable blow mold assembly
TWM344969U (en) 2008-05-29 2008-11-21 Zai-Shun Zhang Bottle-blowing system having rotational and linear trans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344969U (en) 2008-11-21
US8002539B2 (en) 2011-08-23
US20090297654A1 (en) 2009-12-03
KR200462557Y1 (ko) 2012-09-14
JP3152733U (ja)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557Y1 (ko) 회전 및 선형 이동탑재가 가능한 병 불기 시스템
JP4285727B2 (ja) ブロー成形装置の移送機構
CN100354105C (zh) 广口容器的双轴拉伸吹塑成形方法以及装置
US20160121529A1 (en) Injection moulding device
KR102017185B1 (ko) 블로 성형 장치 및 블로 성형 방법
CN102555192A (zh) 一种瓶坯传送装置
EP2851176B1 (en) Machine for forming containers made of thermoplastic material
CN107073799A (zh) 具有以机械方式移动的模具且无需电气、液压或气动装置辅助的吹塑成型机器
US20200269483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tainer having three-dimensional shape
JPS63256420A (ja) 回転式吹込み成形機
JP2877482B2 (ja) 延伸ブロー成形容器の製造装置
CN210552946U (zh) 多工位注吹机取瓶机构
CN210415490U (zh) 上下输送自动落坯式吹瓶机
CN205097520U (zh) 一种双工位全自动吹瓶机的改良结构
JP4638535B2 (ja) ブロー成形装置の反転移送機構
CN210362406U (zh) 一种新型pet全自动吹瓶机
JP2846690B2 (ja) 2段延伸ブロー成形装置
JP2008302707A (ja) ブロー成形装置
TWI775533B (zh) 換模承載裝置
CN100522561C (zh) 塑料注吹中空成型机升降机构
CN214294412U (zh) 一种用于生产塑料瓶的注吹机
CN2444754Y (zh) 吹瓶装置
CN216329770U (zh) 一种方便调整高度的可立把手加工用注塑模具
CN211640752U (zh) 一种隐形眼镜模具传送装置
CN113165220B (zh) 压缩成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