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309U - 손수레 - Google Patents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309U
KR20090012309U KR2020080007021U KR20080007021U KR20090012309U KR 20090012309 U KR20090012309 U KR 20090012309U KR 2020080007021 U KR2020080007021 U KR 2020080007021U KR 20080007021 U KR20080007021 U KR 20080007021U KR 20090012309 U KR20090012309 U KR 200900123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fastening
box
frame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열
Original Assignee
이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천열 filed Critical 이천열
Priority to KR2020080007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309U/ko
Publication of KR20090012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3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tiltably-mount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Abstract

본 고안은 수화물을 적재함에 담아 운반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수레의 적재함이 가스스프링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회동하도록 하여, 상기 적재함을 적은 힘으로 회전시켜 수화물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하역할 수 있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는 상기 적재함이 젖혀지는 회전각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손수레를 제공한다.
손수레, 적재함, 적재프레임, 지지대, 가스스프링

Description

손수레{a cart}
본 고안은 적재함이 슬라이딩 회동가능한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화물을 적재함에 담아 운반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수레의 적재함이 가스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딩 회동하도록 형성하여, 적은 힘으로 상기 적재함을 들어올릴 수 있어 상기 적재함 내의 수화물을 안전하게 하역할 수 있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레(cart)는, 축에 설치된 둥근 바퀴와 축의 회전운동으로 사람이나 물건을 운반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으로, 원동력의 종류에 따라 우차(달구지), 마차, 인력거, 자전거, 자동차, 기차, 전차 등으로 구별된다.
역사적으로는 BC 2500년경 수메르시대의 도시국가인 우르의 왕묘(王墓) 등에서 2륜, 4륜의 영구차가 발굴되었고, BC 2000년경에는 구리로 만든 바퀴테를 가진 전차가 발견되었다. 중국에서는 BC 1300년경 은(殷)나라에 전차가 있었고 소가 끄는 달구지도 이때 나타났으며, 후에 말이 가축으로 사용됨에 따라 마차가 출현하였다.
이중, 짐을 운반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수레인 손수레(wagon)는, 우마차와 같이 동물이 끄는 것과 사람의 힘으로 끄는 것이 있다. 때로는 4륜차도 사용되고 있으나 2륜차가 대부분이며, 그것도 교통이 발달하여 도로나 교량이 정비된 근세의 중엽까지는 일부의 도시를 제외하고는 거의 보급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그 후 근교 농촌과 도시를 잇는 교통수단으로서 농작물의 반출 등에 활발하게 이용하게 되었다. 이 밖에 리어카(rear car)는 처음에는 자전거의 뒷부분에 다는 고무바퀴의 2륜 차였으나, 그 후 근대적 짐수레로서 도시,농촌에서 이용하게 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손수레는 1개 또는 2개의 바퀴가 체결된 금속재의 적재프레임과 짐이 적재되는 적재함이 일체로 결합하여 단거리로 짐을 이동시킬 때 주로 사용되는 데, 동력운반장치가 통과하지 못하는 좁은 길이나 굽은 길을 통하여 운반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종래 손수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손수레의 적재함에 적재된 수화물을 하역하고자 할 경우, 적재함에 일체로 연결된 적재프레임을 적재함의 바닥면이 지면을 향할 때까지 들어올려 수화물이 빠져나오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적재함에 무거운 짐이 실려 있거나 힘이 없는 노약자가 손수레를 사용할 경우 적재함이 들려지지 않아 수화물을 적재함으로부터 하역할 수 없게 되며, 억지로 적재함을 들어올리게 될 경우 사용자의 허리에 적재함의 하중이 전달되어 사용자의 허리 및 근육에 디스크 및 통증을 유발하거나 각종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적재함과 적재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많은 양의 수화물을 운반할 경우 용량이 큰 적재함으로 교체할 수 없어, 여러 번에 걸쳐 운반작업을 해야함으로 작업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는, 상기 적재함의 전방에 적재프레임의 일단이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적재함이 상기 적재프레임의 상,하로 회동가능하며, 내부에 기체가 압축밀봉되는 압축실린더에 피스톤로드가 삽입되면서 압축실린더 내부 기체의 체적변화를 일으켜 하중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가스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적재프레임 및 적재함에 링크체결되어, 상기 적재함의 회동시 상기 적재함에 체결되는 피스톤로드가 상기 압축실린더에 삽탈되면서 상기 적재함이 슬라이딩 회동하는 손수레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적재함 저면에는 전후방에 체결브래킷이 구비되는 체결판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 체결브래킷에 상기 적재프레임의 선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후방 체결브래킷 및 상기 샤프트에 상기 가스스프링의 양단이 링크체결되어, 상기 적재함 및 적재프레임의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가스스프링의 일단이 링크체결되도록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지지대가 상기 적재프레임의 선단부와 상기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스프링이 체결되는 체결공에 따라 상기 적재함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수화물이 적재되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을 받쳐주는 적재프레임이 분리되고, 높은 반력과 감쇄 기능이 탁월한 가스스프링 및 회전축에 의해 상기 적재함과 적재프레임을 결합하여 상기 적재함을 적은 힘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수화물의 하역작업시 남녀노소 누구나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는 적재함과 적재프레임 사이에 체결판을 형성하여 상기 적재함 및 적재프레임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며, 상기 적재함뿐 아니라 부피가 크고 작은 적재함 또는 적재판의 체결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변형이 자유롭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는 각종 하역작업에 따라 적재함이 젖혀지는 회전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수화물을 적재함에 담아 운반하는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화물의 하역시 손수레의 적재함을 가스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딩 회동하도록 형성하여, 무거운 짐이 담긴 적재함을 적은 힘으로 들어올려 수화물을 안전하게 하역할 수 있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분해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짐 또는 수화물 등이 담기도록 상부가 개방된 사각 또는 마름모 형상의 적재함(10)이 구비되고, 상기 적재함(10)을 받쳐주면서 끌고 다닐 수 있도록 손잡이(20a)가 형성된 적재프레임(20)이 상기 적재함(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적재프레임(20)은,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함(10)의 하부에 체결고정되어 상기 적재함(10)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함(10)의 하부 양측에 한쌍의 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적재함(10)을 지지함으로써 제작단가를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적재프레임(20)은, 상기 적재함(10)의 하부에서는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10)함을 받쳐주며, 상기 적재함(10)의 말단부에서는 상부로 절곡연장되어 끝단에 손잡이(20a)가 형성된다.
상기 적재프레임(20)은, 상기 적재함(10)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는 회전축(23) 또는 연결봉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함(1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브라켓(60a)에 상기 회전축(23) 또는 연결봉이 체결된다.
즉, 상기 적재프레임(20)이 상기 적재함(10)의 선단부와 회동가능하도록 회전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3)을 중심으로 상기 적재함(10)을 상기 적재프레임(20)에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적재함(10) 하부에 형성되는 적재프레임(20)의 전후방에는 지지봉(22a,22b)이 상기 적재프레임(20)에 횡으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함(10)을 받쳐주면서 상기 한쌍의 프레임이 항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특히 상기 적재프레임(10) 전방의 지지봉(22a)에는 후술할 가스스프링(40)의 일단이 체결된다.
상기 적재프레임(20)의 하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함(10) 말단부의 상기 적재프레임(20) 하부에는, 지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적재프레임(20)의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기 적재프레임(20)의 전방에 연결되는 착지대(21)가 형성된다.
상기 착지대(21)는,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가 지면에 안착시 상기 적재함(10)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움직이는 것을 예방하고, 적재함(10)에 무거운 짐 이 실려 콘크리트 지면이나 실내의 바닥면에 홈이 패여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곡선으로 가공처리된다.
상기 착지대(21)의 전방 일측부에는 샤프트(30a)가 상기 착지대(21)에 횡으로 연결고정되고, 상기 샤프트(30a)의 양단에는 바퀴(30)가 체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30a)는, 상기 적재함(10)의 중심부에서 선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함(10)의 중심부에서 선단부까지의 길이를 3등분으로 나누었을 경우 선단부에서 1/3 되는 지점 내에 상기 착지대(21) 하부에 고정되는 것이 좋으며, 이는 사용자가 손수레의 손잡이(20a)를 파지하고 허리 부근까지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손수레의 무게중심이 상기 적재함(10)의 전방으로 향하여 최소한의 힘으로 손수레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는, 내부에 질소 등의 불연성 가스기체가 압축밀봉되는 압축실린더(40a)에 피스톤로드(40b)가 삽입되면서 압축실린더(40a) 내부 기체의 체적변화를 일으켜 하중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가스스프링(40)이 구비되고, 상기 가스스프링(40)의 양단이 상기 적재프레임 전방의 지지봉(22a) 및 상기 적재함 하부 일측에 구비된 체결브래킷(60b)에 각각 링크체결되어, 상기 적재함(10)의 회동시 상기 피스톤로드(40b)가 상기 압축실린더(40a)에 일정속도로 삽탈되면서 상기 적재함(10)이 슬라이딩 회동하게 된다.
상기 가스스프링(40)은, 상기 압축실린더(40a) 내부에 가스기체와 오일을 충진하고 상기 가스기체와 오일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압축실린더(40a) 내부로 삽입 왕복운동하는 피스톤로드(40b)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및 반발력을 크게 감쇄시키도록 형성된 댐핑(damping)부재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에 적재되는 수하물의 무게에 따라 상기 가스스프링(40)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의 하부면에는, 선단부 및 후단부에 체결브래킷(60a,60b)이 각각 구비되는 체결판(50)이 형성되어, 상기 적재프레임(20) 선단부에 형성되는 회전축(23)을 상기 체결판(50)의 선단부 체결브라켓(60a)에 체결하고, 상기 가스스프링(40)의 피스톤로드(40b) 일단을 상기 체결판(50)의 후단부 체결브라켓(60b)에 체결하여, 상기 적재함(10)에 상기 체결판(50)을 분리하여 상기 적재프레임(20)을 상기 적재함(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체결판(50)에 다양한 종류의 적재함(10) 또는 적재판 등 적재수단을 체결할 수 있어 손수레의 활용을 다양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10) 또는 체결판(50)의 일측에는 체결고리(80a)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고리(80a)에 대응하여 상기 적재프레임(20)에 록킹(locking)부재(80b)가 형성되어, 상기 적재함의 하강시 상기 체결고리(80a)가 상기 록킹부재(80b)에 체결되어 상기 적재함이 안착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는, 상기 적재함(10)의 회동시 상기 적재함(10) 내부에 적재된 수화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적재함(10)이 젖혀지는 회전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일단은 상기 적재프레임(20)의 전방 지지봉(22a)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 기 샤프트(30a)에 고정되며 내측에 다수의 체결공(70a,70b,70c)이 형성되는 지지대(7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70)는, 상기 지지봉(22a)과 상기 샤프트(30a)의 높이차에 의해 상기 지지봉(22a)에서 상기 샤프트(30a)로 경사가 형성되어, 각각 높이가 다른 체결공(70a,70b,70c)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지지대(70)의 체결공(70a,70b,70c)에는 상기 가스스프링(40)의 압축실린더(40a) 말단이 링크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봉(22a)에서 가장 인접한 체결공(70c) 즉, 지면에서 높이가 가장 높은 체결공(70c)에 상기 가스스프링(40)이 체결될 경우 상기 적재함(10)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에 가깝게 완전히 젖혀져 상기 적재함(10) 내부의 내용물이 모두 하역되어 적재함(10)에서 이탈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스프링(40)을 상기 샤프트(30a)에 가장 인접한 체결공(70a) 즉, 높이가 가장 낮은 체결공(70a)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적재함(10)이 지면으로부터 90° 내측으로 비스듬히 젖혀져 상기 적재함(10)의 내용물이 상기 적재함(10) 내부에 일부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는 상기 적재함(10)의 내용물에 따라 상기 적재함(10)이 젖혀지는 회전각도를 사용자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를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상기 적재함(10)에 수화물을 싣고, 상기 적재프레임(20)의 손잡 이(20a)를 파지하여 수화물을 하역할 장소까지 손수레를 밀어 이동하게 된다.
손수레를 하역장소까지 이동되면 상기 수화물을 하역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10)의 말단부를 살짝 들어올리게 되고, 이때 상기 가스스프링(40)의 피스톤로드(40b)가 상기 압축실린더(40a)에서 빠져나오면서 내부에 압축되었던 기체가스가 상기 적재함(1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피스톤로드(40b)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적재함(10)의 모멘트가 증가하게 되어 회전력이 커져 작업자는 적은 힘으로 손쉽게 상기 적재함(10)을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적재함(10)이 젖혀진 상태에서 상기 적재프레임(20)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가스스프링(40)은 점차적으로 압축되면서 반력이 증가하게 되며, 반력의 작용거리 또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적재함(10)의 회전력은 상기 가스스프링(40)에 축적되면서 상쇄되어 상기 적재함(10)이 부드럽게 상기 적재프레임(20)에 안착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는, 상기 적재함(10) 또는 체결판(50)의 말단에 체결고리(80a)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고리(80a)에 대응하여 상기 적재프레임(20)에 록킹(locking)부재(80b)가 형성되어, 상기 적재함(10)의 하강시 상기 체결고리(80a)가 상기 록킹부재(80b)에 삽입체결되어 상기 적재함(10)이 상기 적재프레임(20)에 안착고정된다.
상기 록킹(locking)부재(80b)는, 상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입구에는 탄성부재에 연결된 걸이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고리(80a)가 상기 홈에 삽입된 후 상기 홈의 걸이부재에 걸리어 상기 체결고리(80a)가 삽입고정되며, 상기 체결고 리(80a)의 해체시 상기 록킹부재(80b) 일측의 레버를 당기면 상기 걸이부재가 풀리면서 상기 체결고리(80a)가 상기 록킹부재(80b)의 홈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손수레의 이동시 상기 적재함(10)을 상기 적재프레임(20)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적재함(10)이 흔들려 적재함(10) 내의 수화물이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예방하게 되고,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적재함(10) 내부 수화물의 하역시 상기 적재함(10)을 지면으로부터 90°이상 회전시켜 완전히 젖혀지도록 하여 상기 수화물이 상기 적재함 내에 남지 않도록 상기 가스스프링(10)의 일단을 상기 지지대(70)의 체결공(70a,70b,70c) 중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공(70c)에 체결하여 상기 적재함(10)이 젖혀지는 회전각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는, 상기 적재함(10) 저면에 체결판(50)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판(50)에는 상기 적재프레임(20) 및 가스스프링(40)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적재함과 적재프레임을 분리/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판(50)에 적재함(10) 뿐 아니라 받침판 등을 체결하여 손수레의 기능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손수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의 분해사시도 및 체결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체결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스프링이 지지대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모식도.
도 5a 및 도 5b는 가스스프링이 체결되는 체결공에 따라 적재함의 회전범위를 도시한 모식도.
도 6은 체결고리 및 록킹부재가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의 모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적재함 20 : 적재프레임
20a : 손잡이 21 : 착지대
22a,22b : 지지봉 23 : 회전축
30 : 바퀴 30a : 샤프트
40 : 가스스프링 40a : 압축실린더
40b : 피스톤로드 50 : 체결판
60a,60b : 체결브래킷 70 : 지지대
70a,70b,70c : 체결공 80a : 체결고리
80b : 록킹(locking)부재

Claims (5)

  1. 손잡이가 구비된 적재프레임의 상부에 적재함이 안치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샤프트 고정되어 회전하는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적재프레임의 선단부가 상기 적재함의 전방에 회동가능하도록 축결합되어 상기 적재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며,
    내부에 기체가 압축밀봉되는 압축실린더에 피스톤로드가 삽입되면서 압축실린더 내부 기체의 체적변화를 일으켜 하중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가스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적재프레임 및 적재함에 링크체결되어, 상기 적재함의 회동시 상기 적재함에 체결되는 피스톤로드가 상기 압축실린더에 삽탈되면서 상기 적재함이 슬라이딩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저면에는 다수의 체결브래킷이 형성되는 체결판이 형성되어, 일측 체결브래킷에 상기 적재프레임의 선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타측 체결브래킷 및 상기 샤프트에 상기 가스스프링의 양단이 링크체결되어, 상기 적재함 및 적재프레임의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프레임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가면서 높이가 낮아지는 착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바퀴는 상기 착지대의 전방 일측에 고정되는 샤프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프레임의 선단부와 상기 샤프트 사이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지지대가 형성되어, 상기 가스스프링의 일단을 상기 체결공 중 어느 하나에 링크체결하여 상기 적재함이 상기 적재프레임에서 젖혀지는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의 일측에는 체결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고리에 대응하여 상기 적재프레임에 록킹(locking)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적재함의 하강시 상기 체결고리가 상기 록킹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적재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KR2020080007021U 2008-05-29 2008-05-29 손수레 KR200900123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021U KR20090012309U (ko) 2008-05-29 2008-05-29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021U KR20090012309U (ko) 2008-05-29 2008-05-29 손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309U true KR20090012309U (ko) 2009-12-03

Family

ID=4929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021U KR20090012309U (ko) 2008-05-29 2008-05-29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30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780B1 (ko) * 2013-08-07 2014-06-18 주식회사 그룹원 포스트텐셔닝 그리스캡 제거 및 장착 보조용 바스켓
CN112319562A (zh) * 2020-11-15 2021-02-05 李昌平 一种便于卸料的采矿运输车
EP4091904A1 (de) 2021-05-21 2022-11-23 Wanzl GmbH & Co. KGaA Transportwag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780B1 (ko) * 2013-08-07 2014-06-18 주식회사 그룹원 포스트텐셔닝 그리스캡 제거 및 장착 보조용 바스켓
CN112319562A (zh) * 2020-11-15 2021-02-05 李昌平 一种便于卸料的采矿运输车
EP4091904A1 (de) 2021-05-21 2022-11-23 Wanzl GmbH & Co. KGaA Transportwagen
DE102021113283A1 (de) 2021-05-21 2022-11-24 Wanzl GmbH & Co. KGaA Transportwag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8775B2 (en) Convertible hand cart with improved locking means
US2514825A (en) Hand truck with lift platform
US5673831A (en) Tip down vehicle top carrier
US8544874B2 (en) Transport device frame assembly
US20070075509A1 (en) Stair climbing cart
CN110979413A (zh) 一种材料运输用减震推车
CN211494092U (zh) 一种方便操作的双轮短途转土转运车
CN201849504U (zh) 带轮子的搬运装置
CN106004955B (zh) 一种快递货物升降搬运车
US1965944A (en) Truck construction
KR20090012309U (ko) 손수레
JP3219769U (ja) 三輪式台車
CN209161401U (zh) 一种手动液压搬运车
CN208360234U (zh) 一种定位连接座用运输装置
CN212022671U (zh) 一种建筑施工用材料运输装置
CN211685175U (zh) 一种具有高载物能力的快递分拣推动车
JPH0784174B2 (ja) 運搬機
NL1044382B1 (nl) verbeterde kruiwagen
CN201052782Y (zh) 液料桶运输手推车
CN211391410U (zh) 一种带刹车的机场行李车
CN219523957U (zh) 一种翻转式货仓车
CN109367594A (zh) 一种用于玉米销售的运输推车
CN212556345U (zh) 一种实验室用多功能简易物品运送手推车
CN211468464U (zh) 建筑工程运料车
RU2090421C1 (ru) Ручная тележ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