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218U -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218U
KR20090012218U KR2020080006908U KR20080006908U KR20090012218U KR 20090012218 U KR20090012218 U KR 20090012218U KR 2020080006908 U KR2020080006908 U KR 2020080006908U KR 20080006908 U KR20080006908 U KR 20080006908U KR 20090012218 U KR20090012218 U KR 200900122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oking vessel
heater
support surfac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철
Original Assignee
이봉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철 filed Critical 이봉철
Priority to KR2020080006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218U/ko
Publication of KR20090012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2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2Cooking- or baking-vessels or supports thereof for using only o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 시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는 조리용기를 개시한다. 박판형의 일회용 조리용기로서, 열을 가하는 히터부에 접촉되고 지지되는 바닥면과, 조리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된 제1측면과, 조리용기의 입구를 확장시킴과 동시에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측면의 끝단에서 상기 바닥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확장된 지지면과 조리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의 테두리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된 제2측면으로 구성됨으로써, 조리용기의 입구가 확장되고 히터부가 구비된 조리면 위에 조리용이가 얹어져 조리되는 경우 상기 바닥면에 히터부에 얹어져 지지되고 상기 지지면이 상기 조리면에 추가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지지력이 향상되어 조리용기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조리용기, 바닥면, 제1측면, 지지면, 제2측면

Description

조리용기{COOKING POT}
본 고안은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면 이외에 지지면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조리용기를 라면 간편 조리기 등에 조리하는 경우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라면조리기는 단지 끊는 물만 공급하여 소위 컵라면 등과 같은 즉석라면을 조리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라면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배출하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자동라면조리기는 통상적으로 라면이 미리 적재된 조리용기를 적층하고 있으며 상기 조리용기를 개별적으로 인출하여 히터로 이송하고 물을 투입한 후 히터에 의하여 라면이 조리되면 이를 배출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318063호 또는 제0325418호는 자판기 형태로 활용되는 자동라면조리기를 보인다.
이러한 자동라면조리기는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편리한 특징이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또한 이러한 자동라면조리기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수동적인 면이 있는데, 즉 단순히 라면자동조리기 운영자가 장착한 라면에 대해서만 조리가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폭넓게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 의 라면에 대한 선택권이 제한적이다. 또한 현재까지 개발된 자동라면조리기의 경우 다양한 첨가물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데는 한계를 지닌다. 즉 현재까지 개발된 자동라면조리기는 기호에 따라 라면에 계란, 파 등의 첨가물을 넣어 조리하는 것은 곤란한 일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구조의 라면 간편 조리기(1000)는 상부에 급수원으로서 메인물통(100)이 제공되고 하단에 라면과 스프가 놓인 조리용기(400)가 얹어지는 히터부(300)가 설치된다. 히터부(300)에는 조리용기(400)가 얹어지면 그 하중에 따른 모멘트에 의하여 눌려지는 누름자(355)가 설치되어 있다.
히터부(300)의 상단에는 수도꼭지 형태의 급수전(235)이 설치되어 조리용기(400)로 라면조리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물 공급스위치(40)와 조리표시부(50)가 각각 설치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물 공급스위치(40)는 사용자가 이를 눌러 접점할 경우 예열된 물이 급수전(235)을 통하여 히터부(300)의 상단에 안착된 조리용기(400)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조리용기(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401)과 조리물이 담아질 수 있도록 바닥면(401)의 테두리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된 측면(402)과, 측면(402)의 끝단에서 바닥면(401)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부(403)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리용기(400)는 히터부(300)에 얹어지기 위해 삽입홀(3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홀(301)에 지지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외부 에서 조리용기(400)에 살짝만 힘이 가해져도 조리용기(400)가 얹혀진 위치를 벗어나거나 엎어질 위험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리용기(400)에 담겨진 조리물을 먹을 때, 측면(402)의 경사도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입구를 넓게 하여 사용자가 쉽게 음식물을 잡거나 시식 하는 것을 편리하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용기가 히터부 위에 얹혀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용기의 입구를 확장시켜 안에 담겨있는 조리물을 잡거나 시식하는데 편리하도록 하는 조립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리용기는 박판형의 일회용 조리용기로서, 열을 가하는 히터부에 접촉되고 지지되는 바닥면; 조리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된 제1측면; 조리용기의 입구를 확장시킴과 동시에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측면의 끝단에서 상기 바닥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확장된 지지면; 및 조리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의 테두리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된 제2측면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리용기는 지지면이 형성되어 라면 간편 조리기에서 조리되는 경우 히터부에 얹어진 상태로 지지면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므로 지지력이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면에 의해 조리용기의 입구가 추가적으로 확장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리물을 젓가락으로 잡거나 시식하는데 편리성이 증가되고, 라면과 같은 뜨거운 음식물을 조리한 경우 입구가 확장되어 외부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므로 식히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면에서 지지면까지의 높이가 내부에 채워지는 조리물의 양을 조절허간, 라면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주입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는 양조절 눈금으로 사용되어 사용의 편리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리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리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라면 간편 조리기에 얹어진 조리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리용기는 박판형의 일회용 조리용기로서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재질로 많이 이루어지며, 라면 간편 조리기의 히터부와 같이 열이 가해지는 히터부에 접촉되는 바닥면(41)과, 바닥면(41)의 테두리를 따라 경사지게 일측면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된 제1측면(42)과, 제1측면(42)의 돌출된 끝단에서 바닥면(41)과 수평한 방향으로 확장된 지지면(43)과, 지지면(43)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제1측면(42)이 돌출된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 연장된 제2측면(44)과, 제2측면(44)의 돌출된 끝단에서 바닥면(41)과 수평한 방향으로 확장된 손잡이부(45)로 이루어진다.
바닥면(41)에는 강도가 보강될 수 있도록 보강리브(41a)가 테두리부를 따라 하나 형성되고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된 보강리브(41a)를 가로지는 보강리브(41a)가 다수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손잡이부(45)에는 손잡이부(45)와 제2측면(44)이 접하는 모서리부에는 소정의 깊이로 요입된 보강홈부(45a)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보강홈부(45a)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리용기(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면 간편 조리기의 조리면(301a)에 형성된 삽입홀(301)에 삽입되어 히터부(300) 위에 얹어지는 경우 1차적으로 바닥면(41)이 히터부(300) 위에 한번 지지되고, 추가적으로 지지면(43)이 조리면(301a)에 지지되므로 지지력이 향상되어 조리중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힘에 의해 조리용기가 위치를 벗어나는 위험성을 저감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바닥면(41) 뿐만 아니라 지지면(43)이 히터부(300)와 조리면(301a)에 밀착되는 경우, 조리용기의 제조 시 발생될 수 있는 오차로 인해 지지면(43)의 높이가 낮아져 바닥면(41)이 히터부(300)에 밀착되지 못하는 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조리면(301a)과 지지면(43)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도록 지지면(43)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조리면(301a)과 지지면(43)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더라도 외력이 작용하여 조리용기(40)가 기울어지게 되면 일정간격만큼 떨어져있던 지지면(43)이 조리면(301a)에 접촉되면서 지지력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므로 조리용기(40)가 위치를 이탈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바닥면(41)과 수평한 방향으로 확장되는 지지면(43)이 형성되므로 조리용기의 입구가 추가적으로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조리용기(40)에 채워져 조리되는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조리에 적합한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바닥면(41)에서 조리면(43) 까지의 높이를 조절한다. 일예로 라면을 조리용기(40)에 채워 조리하는 경우에 바닥면(41)에서 지지면(43) 까지의 높이가 주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양조절 눈금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지지면(43) 높이까지 채워지는 물이 라면의 조리에 적합한 물량이 되도록 지지면(43)의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라면 간편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구조의 조리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조리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라면 간편 조리기에 얹어진 조리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조리용기 41 : 바닥면
42 : 제1측면 43 : 지지면
44 : 제2측면

Claims (5)

  1. 박판형의 일회용 조리용기로서,
    열을 가하는 히터부에 접촉되고 지지되는 바닥면;
    조리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된 제1측면;
    조리용기의 입구를 확장시킴과 동시에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측면의 끝단에서 상기 바닥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확장된 지지면; 및
    조리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의 테두리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된 제2측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의 끝단에는 상기 바닥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확장된 손잡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와 제2측면이 접하는 모서리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요입된 보강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소정의 폭으 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서부터 상기 지지면까지의 높이는 내부에 충진되는 조리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양 조절 눈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KR2020080006908U 2008-05-27 2008-05-27 조리용기 KR200900122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908U KR20090012218U (ko) 2008-05-27 2008-05-27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908U KR20090012218U (ko) 2008-05-27 2008-05-27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218U true KR20090012218U (ko) 2009-12-02

Family

ID=4929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908U KR20090012218U (ko) 2008-05-27 2008-05-27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21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67Y1 (ko) * 2011-03-28 2013-02-15 문제구 조리용 냄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67Y1 (ko) * 2011-03-28 2013-02-15 문제구 조리용 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93283A (zh) 电饭煲的蒸笼、电饭煲及其控制方法
US9642491B2 (en) Self-making bread method, bread machine and bread ingredient box thereof
US5974953A (en) Kitchen and table-ware for steam cooking
US20080206437A1 (en) Combined Steaming/Poaching and Sauce Preparation
JP5022786B2 (ja) 炊飯方法及び炊飯器
KR20170032320A (ko) 조리 기구
KR20090012218U (ko) 조리용기
CN107635438A (zh) 烹饪系统
KR101788506B1 (ko)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WO2015065503A1 (en) Microwave macaroni cooking bowl
JP2009184712A (ja) 電子レンジ用容器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210989763U (zh) 一种收集盒及其饭煲
KR101844632B1 (ko)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분리형 조리장치
KR20060016831A (ko) 라면 자판기
CN105249840A (zh) 一种加热汉堡的烤盘组合咖啡壶
JP2007097936A (ja) 電気湯沸かし器
JP2020199211A (ja) 炊飯用補助容器及び炊飯方法
WO2013097977A1 (en) A ho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JP5913203B2 (ja) 炊飯が可能な調理装置及び炊飯方法
JP3678214B2 (ja) 電気調理器
CN211269919U (zh) 一种蒸煮器
CN217792506U (zh) 蒸煮式内胆及具有该蒸煮式内胆的烹饪装置
KR102162001B1 (ko) 즉석 계란탕 및 찜 용기 및 그 조리방법
CN211269921U (zh) 一种饭煲
CN217510311U (zh) 一种电炖锅的炖盅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