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506B1 -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 Google Patents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506B1
KR101788506B1 KR1020170032497A KR20170032497A KR101788506B1 KR 101788506 B1 KR101788506 B1 KR 101788506B1 KR 1020170032497 A KR1020170032497 A KR 1020170032497A KR 20170032497 A KR20170032497 A KR 20170032497A KR 101788506 B1 KR101788506 B1 KR 101788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alinity
opening
cage
hea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자이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이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023/0025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에 관한 것으로, 국이나 탕의 국물요리를 조리할 때 내용물의 염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국물요리의 식재료를 준비하여 미리 넣어주면 시간에 따라 국물요리를 수행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어 열을 통하여 국물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하고, 국물의 상태를 측정하는 염도계부(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COOKING SOUP VESSEL WITH SALINOMETER}
본 발명은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에 관한 것으로, 국이나 탕의 국물요리를 조리할 때 내용물의 염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국물요리의 식재료를 준비하여 미리 넣어주면 시간에 따라 국물요리를 수행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의 맛을 좌우하는 짠맛은 중독성이 강하여 짜게 먹는 사람은 점점더 짠 음식을 요구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렇게 짠 음식을 먹게 되면 과다한 나트륨(Na)의 섭취로 인하게 여러 가지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
특히 우리의 음식 문화가 서구화되어 감과 더불어, 나트륨의 과다 섭취로 인하여 당뇨, 고혈압 등과 같은 여러가지 성인병의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우리의 전통 음식은 통상적으로 조리하면서 조리된 음식의 일부분을 소량 덜어내어 맛을 판별하는데, 이때 음식을 덜어내는 도구로서 국자나 숟가락과 같은 주방 기물을 사용하고 있고, 이렇게 덜어낸 음식은 조리하는 사람이 입으로 직접 맛을 봐 판단하기 때문에 조리하는 사람의 입맛에 맞추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소금은 음식물의 맛을 내는 가장 중요한 식품이다. 대체로 음식물은 주방일을 맡은 사람이 직접 맛을 보아 관능검사로서 측정한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조리법과 음식 습관이 모두 다양해지고 있으며, 음식물의 조리 기술이 대형화, 공업화되고 있으며, 또는 표준화되는 과정을 맞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리기술이 표준화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음식물 특히 국물의 염도를 객관적인 지표로서 나타내는 것이다.
종래의 염도 측정 기술로서는 염도센서를 통해 흐르는 맥동 전류를 증폭하여 적분 콘덴서에 충전하고, 적분 된 콘덴서의 전류를 비교기의 일측 단자에 일정한 시간동안 인가하고, 비교기의 타측 단자에 증폭시킨 온도 센서의 검출 전류를 인가하여, 비교기의 출력단에서 온도 보상 염도 전류를 얻고, 비교기 출력을 버퍼를 통해 A/D변환기에서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디지털 값을 LCD모듈에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 염도계는, 다수의 부품들이 내장되도록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가 구비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국이나 탕 또는 찌개 등의 국물 요리를 조리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간을 맛봐야 하고, 국물 요리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장시간 조리해야 하면서 육수를 우려내는 곰탕이나 갈비탕의 경우 장시간 내내 주기적으로 맛을 확인하거나 탕의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데 실시간으로 이렇게 간을 확인하거나 육수의 농도를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국이나 국물이 있는 음식을 조리할 경우, 국물 음식이 조리될 때까지 각각의 시점에서 식재료를 넣어주어야 하는데 식재료를 넣어주는 시간 차가 클 경우 그 시간을 맞추기 번거롭고 식재료를 넣어주기 위하여 국물 요리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036887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는, 국이나 탕 또는 찌개 등의 국물 요리를 조리하면서 염도계를 통하여 국물 요리의 염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음향과 문자로 알려줄 수 있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는, 국물 요리를 하면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식재료의 투입 방법과 투입 시간을 조절하여 투입함으로써 국물 조리를 보조할 수 있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는, 육수를 우려내는 곰탕이나 국물의 농도를 확인해야 하는 국물 요리 시, 국물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한 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어 열을 통하여 국물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하고, 국물의 상태를 측정하는 염도계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에 배치되되 상기 염도계부(200)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염도계부(200)에서 측정된 염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고 열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통(110)과, 상기 가열통(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뚜껑(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뚜껑(120)은, 상기 개폐뚜껑(120)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뚜껑(120)이 상기 가열통(110)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열통(110)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부분개폐문(130)과, 상기 부분개폐문(130)의 상면에 상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채로 상기 부분개폐문(130)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손잡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가열통(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식재료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국물 요리시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시간에 식재료를 가열통(110)의 물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식재료투입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식재료투입부(400)는, 상기 가열통(110)의 내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 및 하부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지지프레임(410)과, 상기 지지프레임(410)에 진입되어 지지될 수 있고, 반출 가능하게 구비되되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된 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식재료가 가열통(110)의 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망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지(420)와, 상기 케이지(420)의 외면에 연결되면서 상기 가열통(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지(420)가 가열통(110) 내에서 배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기(430)와,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에 일부가 구비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가열통(11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케이지개폐기(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뚜껑(120)에는, 부분적으로 관통홀(1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22)에는 상기 관통홀(122)을 개폐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높이조절기(430)와 연결되는 개폐편(124)이 포함되고, 상기 높이조절기(430)는, 상기 케이지(420)의 외면에서 상 방향으로 봉 형태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관통홀(122)에 구비되는 개폐편(124)을 관통하면서 상기 가열통(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되게 형성되는 높이조절봉(432)과, 상기 개폐편(124)의 상기 높이조절봉(432)이 관통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봉(432)을 가압하면서 상기 높이조절봉(432)의 유동을 제한하는 조절패킹(434)과, 상기 높이조절봉(432)의 외면에 다수 개가 엠보싱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봉(432)이 상기 조절패킹(434)에서 유동 되는 것을 제한하고, 외부 가압에 의해 높이조절봉(432)이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엠보싱(4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지개폐기(440)는, 상기 케이지(420)의 하면을 이루면서 망으로 된 판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판(442)과, 상기 회전판(442)의 중심부위에 회전판(442)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442)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444)과, 상기 회전축(444)과 직각을 이루며 회전판(442)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444)의 회전에 연동되는 연동암(446)과, 상기 연동암(446)의 일측과 힌지(447)로 연결되고 상기 연동암(446)에서 상 방향으로 상기 높이조절봉(432)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개폐편(124)을 관통하며 형성되며, 상하로 유동 되어 상기 연동암(446)이 상하로 연동 되면서 상기 회전축(444)이 회전되도록 하는 개폐암(448)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암(446)의 타측에는 연동암(446)이 개폐암(448)의 무게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무게뭉치(44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재료투입부(400)는, 상기 지지프레임(410)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면서 상기 가열통(110)의 물로 식재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되, 식재료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국자 형태의 식재료투입망(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재료투입망(450)은,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가열통(110)의 물에 식재료가 담궈 지도록하는 투입망(452)과, 상기 투입망(452)에 연결되면서 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상부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투입망연결암(4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도계부(200)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계(210)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계(220)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염도계부(200)에서 측정된 내용을 외부에서 문자나 숫자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창(310)과, 상기 염도계부(200)에서 측정된 내용을 음향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음향기(320)와, 상기 본체부(100) 에서의 국물 요리 시작시 레시피를 안내하면서 문자나 숫자 또는 음향으로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제어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330)는, 상기 본체부(100) 에서의 국물 요리가 완성된 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에 재가열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고 전원을 인가받아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국물요리를 하고, 전원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동작 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냄비 형태로 형성되어 인덕션 또는 가스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염도계부(200)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계(210)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계(220)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230)와, 상기 염도계(210)와 농도계(220)와 온도계(230)가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부(100) 내부 국물요리의 염도와 농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양대(250)를 포함하고, 상기 부양대(250)는, 상기 염도계(210)와 농도계(220)와 온도계(230)의 상부를 지지하면서 하부가 상기 본체부(100) 내의 국물요리에 수용될 수 있도록 노출되도록 하는 지지편(252)과, 상기 지지편(252)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거치 될 수 있도록 하는 갈고리 형태의 거치편(25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는, 국물 요리를 조리하면서 염도계를 통하여 국물의 염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국물 요리의 간을 사용자의 설정에 맞게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는, 국물 요리를 조리하면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식재료를 투입하는 방법과 투입 시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국물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는, 육수를 우려내거나 국물의 농도를 확인해야 하는 국물 요리의 경우, 국물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른 볼일을 보면서도 용이하게 국물의 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구성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구성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국이나 탕의 국물요리를 조리할 때 내용물의 염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국물요리의 식재료를 준비하여 미리 넣어주면 시간에 따라 국물요리를 수행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특히, 염도계부]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어 열을 통하여 국물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하고, 국물의 상태를 측정하는 염도계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두 가지의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로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고 전원을 인가받아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국물요리를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본체부(100)는, 냄비 형태로 형성되어 인덕션 또는 가스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밥통과 같은 방법으로 전원을 제공받고 염도계부(200)가 설치된 상태로 가열되고 보온 유지되며 재가열되는 동작을 통하여 국물요리의 염도를 측정하면서 국물요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방법으로 상기 본체부(100)가 냄비 형태로 형성되고 염도계부(200)가 설치되어 가스에의해 가열되면서 국물요리의 염도를 측정하면서 국물요리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에 배치되되 상기 염도계부(200)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염도계부(200)에서 측정된 염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고 열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통(110)과, 상기 가열통(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뚜껑(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부(100)가 전원을 제공받아 가열되거나 보온 유지할 경우에는, 전원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동작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뚜껑(120)은, 상기 개폐뚜껑(120)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뚜껑(120)이 상기 가열통(110)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열통(110)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부분개폐문(130)과, 상기 부분개폐문(130)의 상면에 상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채로 상기 부분개폐문(130)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손잡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통(110)은 국물 요리를 하기 위해 내부에 물과 식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원기둥 형태 또는 사각기둥 형태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전원이나 가스 열원에 의해 직접적으로 열을 제공받기 때문에 내열성의 금속이나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뚜껑(120)은 상기 가열통(110)의 상부를 폐쇄하여 상기 가열통(110)이 가열되는 동안 수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열통(110)의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뚜껑(120)에는, 상기 부분개폐문(130)이 구비되고, 상기 부부분개폐문(130)은 상기 개폐손잡이(132)를 통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부분개폐문(130)은 개폐뚜껑(120) 상에서 부분적으로 개폐되면서 상기 가열통(110)에서 개폐뚜껑(120)을 완전히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개폐하여 부분개폐문(130)을 통해 가열통(110)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식재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부분개폐문(130)은 상기 개폐뚜껑(120) 상에 부채꼴 형태나 원형 및 타원형 처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염도계부(200)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계(210)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계(220)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염도계(210)는, 상기 가열통(110) 내의 물에 진입된 상태로 가열통(110) 내 물의 염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염도계(21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내용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하여 표시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가열통(110) 내 국물요리가 진행됨에 따른 변화되는 염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농도계(220)는 상기 가열통(110) 내의 물에 진입된 상태로 가열통(110) 내 물의 농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농도계(22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내용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하여 표시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가열통(110) 내 국물요리가 진행됨에 따른 변화되는 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온도계(230)는, 상기 가열통(110) 내의 물에 진입된 상태로 가열통(110) 내 물의 온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계(23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내용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하여 표시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가열통(110) 내 국물요리가 진행됨에 따른 변화되는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온도계(230)는, 상기 가열통(110) 내의 국물요리를 취식 전, 후 국물요리의 온도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도의 국물요리를 취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염도계부(200)에서 측정된 내용을 외부에서 문자나 숫자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창(310)과, 상기 염도계부(200)에서 측정된 내용을 음향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음향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본체부(100) 에서의 국물 요리 시작시 레시피를 안내하면서 문자나 숫자 또는 음향으로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제어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창(310)은 상기 염도계부(200)에서 측정된 내용을 외부에서 문자나 숫자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음향기(320)는 상기 염도계부(200)에서 측정된 내용을 실시간 음향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표시창(310)과 음향기(32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문자나 숫자 및 소리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제어기(330)는, 상기 본체부(100) 에서의 국물 요리가 완성된 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에 재 가열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고 전원을 인가받아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국물요리를 하고, 전원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동작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기(330)는, 상기 가열통(110) 내의 국물요리를 취식한 후, 다음 취식 전까지 국물요리가 원하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온할 수 있도록 조절하고,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에 다시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국물요리를 취식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가열통(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식재료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국물 요리시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시간에 식재료를 가열통(110)의 물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식재료투입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재료투입부(400)는 상기 가열통(110) 내에서 국물 요리를 진행할 경우, 가열통(110) 내에 수용된 물에 식재료가 설정된 시간에 투입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식재료투입부(400)는, 상기 가열통(110)의 내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 및 하부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지지프레임(410)과, 상기 지지프레임(410)에 진입되어 지지될 수 있고, 반출 가능하게 구비되되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된 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식재료가 가열통(110)의 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망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재료투입부(400)는, 상기 케이지(420)의 외면에 연결되면서 상기 가열통(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지(420)가 가열통(110) 내에서 배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기(430)와,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에 일부가 구비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가열통(11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케이지개폐기(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410)은 상부와 하부 및 측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다만, 상기 지지프레임(410) 상기 케이지(420)가 지지프레임(410) 내에서 견고하게 지지 및 부양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프레임(410)은 상기 가열통(110)의 내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케이지(420)를 견고하게 지지 및 부양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열통(110) 내의 물이 끓는 상황에서도 재질 및 형태의 변화가 발생되면 안되기 때문에 내열성 금속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지(420)는 국물 요리시 상기 가열통(110) 내의 물을 끓이면서 식재료의 맛을 우려내거나 끓는 물에 식재료를 투입하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에 식재료를 상기 가열통(110) 내의 물을 끓는 물에 투입하거나, 식재료가 케이지(420) 내에서 맛이 우려날 동안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지(420)의 내부에 식재료가 자유롭게 수납 또는 인출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상부가 간편하게 개구 되거나, 케이지(42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케이지(420)은 망사 형태로 형성되어 식재료가 케이지(42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끓는 물에 동시에 수용되어 식재료의 맛을 우려낼 수 있어야 하고, 필요시 식재료가 상기 케이지(420)에서 가열통(110) 내의 끓는 물로 직접 투입될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상기 케이지(420)는 상기 가열통(110) 내의 끓는 물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케이지(420)는 케이지(420)와 연결되게 구비되는 상기 높이조절기(430)를 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410) 내에서 상하로 유동 되면서 상기 가열통(110) 내의 끓는 물에 진입 또는 이탈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지개폐기(440)는, 상기 케이지(420)와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를 설정된 시간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하면서 상기 케이지(420) 내부에 수납된 식재료가 상기 가열통(110) 내로 직접 투하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높이조절기(430)와 케이지개폐기(44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구성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어 열을 통하여 국물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하고, 국물의 상태를 측정하는 염도계부(2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고 열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통(110)과, 상기 가열통(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뚜껑(1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재료투입부(400)는, 상기 가열통(110)의 내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 및 하부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지지프레임(410)과, 상기 지지프레임(410)에 진입되어 지지될 수 있고, 반출 가능하게 구비되되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된 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식재료가 가열통(110)의 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망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10)은 상부와 하부 및 측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410) 상기 케이지(420)가 지지프레임(410) 내에서 견고하게 지지 및 부양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개폐뚜껑(120)에는, 부분적으로 관통홀(1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22)에는 상기 관통홀(122)을 개폐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높이조절기(430)와 연결되는 개폐편(124)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뚜껑(120)의 관통홀(122)에 구비되는 개폐편(124)은 상기 관통홀(122) 상에 지지 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개폐편(124)이 관통홀(122)에 지지 되게 되면 상기 개폐편(124)이 관통홀(122)을 폐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편(124)은 상기 관통홀(122)을 개방 또는 폐쇄하면서 상기 개폐뚜껑(120)의 관통홀(122) 내에 구비되는 부양편(121)에 의해 부양 및 지지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개폐편(124)을 관통홀(122)에서 이탈시키면 상기 관통홀(122)은 간편하게 개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기(430)는, 상기 케이지(420)의 외면에서 상 방향으로 봉 형태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관통홀(122)에 구비되는 개폐편(124)을 관통하면서 상기 가열통(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되게 형성되는 높이조절봉(432)과, 상기 개폐편(124)의 상기 높이조절봉(432)이 관통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봉(432)을 가압하면서 상기 높이조절봉(432)의 유동을 제한하는 조절패킹(434)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높이조절기(430)는, 상기 높이조절봉(432)의 외면에 다수 개가 엠보싱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봉(432)이 상기 조절패킹(434)에서 유동 되는 것을 제한하고, 외부 가압에 의해 높이조절봉(432)이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엠보싱(43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410) 내에 상기 케이지(420)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지(420)와 연결된 높이조절봉(432)은 개폐편(124)의 조절패킹(434)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뚜껑(12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개폐뚜껑(120)의 상부로 노출된 높이조절봉(432)을 사용자가 파지한 채로 높이조절봉(432)을 가압하여 승강되도록 한 후 사용자가 파지한 부분을 놓게 되면 상기 높이조절봉(432)의 외면에 다수 개가 형성되는 조절엠보싱(436)이 상기 조절패킹(434)에 걸리게 되어 상기 높이조절봉(432)과 케이지(420)는 승강 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높이조절봉(432)의 조절엠보싱(436)이 상기 조절패킹(434)에 걸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봉(432)과 케이지(420)는 승강 된 위치에 고정되게 되고, 사용자가 다시 높이조절봉(432)을 파지한 후 가압하여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봉(432)과 케이지(420)는 가압이 완료된 위치에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는 상기 높이조절봉(432)을 가압하여 높이조절봉(432)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지(420)가 가열통(110) 내의 물 위에 배치되거나 물 안에 배치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지(420)가 가열통(110) 내의 물 위에 배치되거나 물 안에 배치될 수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가열통(110) 내의 국물요리의 방법을 다양하게 시도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상기 가열통(110) 내 물을 끓이면서 국물요리가 진행될 경우, 상기 가열통(110) 내 물을 끓임과 동시에 상기 케이지(420) 내에 식재료를 수납한 채로 케이지(420)가 가열통(110) 내 물에 수용되어 가열통(110) 내 물과 케이지(420) 내에 식재료로 국물요리가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열통(110) 내에서 국물요리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케이지(420)를 개방하여 케이지(420) 내부의 식재료가 가열통(110) 내의 끓는 물과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상기 가열통(110) 내에서 국물요리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케이지(420) 내에 식재료가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상기 가열통(110) 내의 국물요리가 완성된 시점에서 케이지(420)를 가열통(110)에서 반출시켜 케이지(420) 내의 식재료가 가열통(110) 내에서 반출된 후 버려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통(110) 내 물이 끓고 난 후 국물 요리가 거의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케이지(420) 내에 식재료를 수납한 채로 케이지(420)가 가열통(110) 내 국물요리에 수용되어 가열통(110) 내 물과 케이지(420) 내에 식재료로 국물요리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통(110) 내 물이 끓고 난 후 국물 요리가 거의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가열통(110) 내 국물요리의 상부에서 케이지(420)의 하부를 개방하여 케이지(420) 내에 식재료를 가열통(110) 내에 투입하여 국물요리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듯 다양한 요리와 레시피에 따라 다양한 식재료를 상기 케이지(420)에 수납한 후 케이지(420) 내의 식재료를 가열통(110)에 투입 또는 혼합하는 시점을 설정하여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물요리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구성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어 열을 통하여 국물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하고, 국물의 상태를 측정하는 염도계부(2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지개폐기(440)는,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에 일부가 구비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가열통(11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케이지개폐기(440)는, 상기 케이지(420)와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를 설정된 시간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하면서 상기 케이지(420) 내부에 수납된 식재료가 상기 가열통(110) 내로 직접 투하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지개폐기(440)는, 상기 케이지(420)의 하면을 이루면서 망으로 된 판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판(442)과, 상기 회전판(442)의 중심부위에 회전판(442)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442)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444)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개폐뚜껑(120)에는, 부분적으로 관통홀(1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22)에는 상기 관통홀(122)을 개폐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높이조절기(430)와 연결되는 개폐편(124)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뚜껑(120)의 관통홀(122)에 구비되는 개폐편(124)은 상기 관통홀(122) 상에 지지 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개폐편(124)이 관통홀(122)에 지지 되게 되면 상기 개폐편(124)이 관통홀(122)을 폐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편(124)은 상기 관통홀(122)을 개방 또는 폐쇄하면서 상기 개폐뚜껑(120)의 관통홀(122) 내에 구비되는 부양편(121)에 의해 부양 및 지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지개폐기(440)는, 상기 회전축(444)과 직각을 이루며 회전판(442)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444)의 회전에 연동되는 연동암(446)과, 상기 연동암(446)의 일측과 힌지(447)로 연결되고 상기 연동암(446)에서 상 방향으로 상기 높이조절봉(432)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개폐편(124)을 관통하며 형성되며, 상하로 유동 되어 상기 연동암(446)이 상하로 연동 되면서 상기 회전축(444)이 회전되도록 하는 개폐암(448)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동암(446)의 타측에는 연동암(446)이 개폐암(448)의 무게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무게뭉치(445)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지(420)는, 상기 케이지(420)의 하면을 이루면서 망사의 판 형태로 이루어진 회전판(442)이 일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개방될 수 있고, 상기 회전판(442)이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다시 폐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가 개방되는 실시 예를 살펴보면, 상기 케이지(420)와 간접적으로 연결된 상기 개폐암(448)은 상기 개폐편(124)을 관통하여 개폐암(448)의 일부가 상기 개폐편(124)의 상부에 노출되고 다른 일부가 개폐편(124)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편(124)에는 상기 개폐암(448)이 관통되는 개폐홀(449)이 구비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개폐편(124)을 관통하여 개폐편(124)의 상부에 노출된 개폐암(448)을 파지한 채로 가압하여 상기 개폐암(448)이 하강되도록 하면, 상기 개폐암(448)의 하부에 힌지(447)로 연결되면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연동암(446)의 힌지(447)와 연결된 부위가 연동 되어 하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연동암(446)은 경사각을 형성하게 된다.
이의 경우, 상기 연동암(446)과 직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회전판(442)의 폭방향으로 축을 이루는 상기 회전축(444)이 상기 연동암(446)의 하 방향으로 하강 되면서 경사각을 형성하는 동작과 연동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회전축(444)이 일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판(442) 또한 연동 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회전판(442)이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케이지(420) 내부에 수납되었던 식재료들은 상기 케이지(420)에서 낙하되어 상기 가열통(110) 내 물에 투입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지(420)의 회전판(442)의 회전으로 케이지(420) 내부에 수납되었던 식재료들이 가열통(110)으로 모두 투입되면 사용자가 개폐암(448)의 가압을 멈추게 되고 파지한 부분을 놓게 되면 상기 연동암(446) 일측의 힌지(447)가 형성된 반대 방향의 연동암(446) 타측에 배치된 상기 무게뭉치(445)의 무게에 의해 상기 연동암(446)은 다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상기 무게뭉치(445)에 의해 상기 연동암(446)이 다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 상기 힌지(447)에 연결된 상기 개폐암(448)이 승강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동암(446)이 다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회전축(444) 또한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판(442) 또한 연동 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개폐암(448)의 하강 또는 승강을 통하여 상기 케이지(420) 하부의 회전판(442)이 회전되게 함으로써,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케이지(420) 내부에 수납된 식재료들이 상기 케이지(420)에서 낙하되어 상기 가열통(110) 내 물에 간편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요리의 종류 및 레시피에 따라 상기 개폐암(448)을 조작하여 케이지(420) 내부의 식재료들을 원하는 시간에 가열통(110) 내 국물요리에 투입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어 열을 통하여 국물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하고, 국물의 상태를 측정하는 염도계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식재료투입부(400)는, 상기 지지프레임(410)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면서 상기 가열통(110)의 물로 식재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되, 식재료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국자 형태의 식재료투입망(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재료투입망(450)은,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가열통(110)의 물에 식재료가 담궈 지도록하는 투입망(452)과, 상기 투입망(452)에 연결되면서 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상부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투입망연결암(45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410)은 상기 식재료투입망(450)이 가열통(110)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식재료투입망(450)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식재료들을 가열통(110)에 투입 시키되 식재료들이 상기 식재료투입망(45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통(1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식재료투입망(450)은 상기 투입망(452) 내부에 식재료들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투입망(452)과 연결된 투입망연결암(454)을 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410)에 간편하게 연결 또는 분리함으로써, 식재료들을 가열통(110)의 물에 혼합시키지 않으면서도 가열통(110)의 물에 수용시킨 후 국물요리의 조리 중이나 종료 후에 가열통(110)의 회부로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투입망(452)은 내열성을 갖고 형태가 없는 망사 형태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열성을 갖고 사각박스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망사 형태의 금속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투입망(452)과 연결되는 투입망연결암(454)의 상부에는 상기 투입망연결암(454)이 지지프레임(410)에 간편하게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후크(4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상부에는 상기 후크(455)가 간편하게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후크연결암(412)이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투입망(452)은 상기 투입망연결암(454)에 연장형성되는 상기 후크(455)가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후크연결암(412)에 간편하게 연결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투입망(452) 내의 식재료가 상기 가열통(110) 내의 물에 진입 또는 반출되어 조리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 예로 상기 투입망연결암(454)의 상부에 후크(455)가 구비되어 사용하였지만, 상기 투입망연결암(454)이 상기 지지프레임(410)에 간편하게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면 천공된 홀(미도시)과 돌기(미도시)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어 열을 통하여 국물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하고, 국물의 상태를 측정하는 염도계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냄비 형태로 형성되어 인덕션 또는 가스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체부(100)는, 손잡이(111)가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되는 냄비형태로 형성되는 가열통(110)과, 상기 가열통(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뚜껑(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뚜껑(120)은 상기 가열통(110)의 상부를 폐쇄하여 상기 가열통(110)이 가열되는 동안 수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열통(110)의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뚜껑(120)에는, 상기 부분개폐문(130)이 구비되고, 상기 부부분개폐문(130)은 상기 개폐손잡이(132)를 통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손잡이(132)는 일 실시예로 상기 부부분개폐문(130)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부부분개폐문(130)을 개폐한다고 하였지만, 상기 개폐손잡이(132)는 상기 부부분개폐문(130)을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부분개폐문(130)은 개폐뚜껑(120) 상에서 부분적으로 개폐되면서 상기 가열통(110)에서 개폐뚜껑(120)을 완전히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개폐하여 부분개폐문(130)을 통해 가열통(110)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식재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부분개폐문(130)은 상기 개폐뚜껑(120) 상에 부채꼴 형태나 원형 및 타원형 처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염도계부(200)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계(210)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계(220)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염도계(210)와, 농도계(220) 및 온도계(230)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염도계(210)와, 농도계(220) 및 온도계(230)는, 상기 가열통(110)의 내측 벽면에 동시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가열통(110) 내의 물 및 국물 요리의 염도, 농도,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염도계(210)와, 농도계(220) 및 온도계(230)는 상기 가열통(110) 내의 물 및 국물 요리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염도계(210)는, 상기 가열통(11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한 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염도계창(2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농도계(220)는, 상기 가열통(110) 내부의 국물 요리의 농도를 측정한 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농도계창(2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계(230)는, 상기 가열통(11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온도를 측정한 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계창(232)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염도계부(200)는, 상기 염도계(210)와 농도계(220)와 온도계(230)가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부(100) 내부 국물요리의 염도와 농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양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양대(250)는, 상기 염도계(210)와 농도계(220)와 온도계(230)의 상부를 지지하면서 하부가 상기 본체부(100) 내의 국물요리에 수용될 수 있도록 노출되도록 하는 지지편(252)과, 상기 지지편(252)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거치 될 수 있도록 하는 갈고리 형태의 거치편(25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염도계(210)와, 농도계(220) 및 온도계(230)는, 상기 부양대(250)의 지지편(252)에 지지된 채로 상기 가열통(110) 내의 국물요리의 염도, 농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252)에 연장형성되는 상기 거치편(254)은, 상기 본체부(100)의 가열통(110) 상부 테두리 부위에 간편하게 거치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252)과 거치편(254)의 형상은 일 실시 예일 뿐, 상기 지지편(252)과 거치편(254)이 염도계(210)와, 농도계(220) 및 온도계(230)를 지지한 채로 상기 가열통(110)에 간편하게 거치 또는 분리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국물 요리를 조리하면서 염도계를 통하여 국물의 염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국물 요리의 간을 사용자의 설정에 맞게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국물 요리를 조리하면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식재료를 투입하는 방법과 투입 시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국물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더불어, 육수를 우려내거나 국물의 농도를 확인해야 하는 국물 요리의 경우, 국물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른 볼일을 보면서도 용이하게 국물의 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본체부 110 : 가열통
120 : 개폐뚜껑 122 : 관통홀
124 : 개폐편
130 : 부분개폐문 132 : 개폐손잡이
200 : 염도계부 210 : 염도계
220 : 농도계 230 : 온도계
250 : 부양대
300 : 디스플레이부 310 : 표시창
320 : 음향기 330 : 제어기
400 : 식재료투입부 410 : 지지프레임
420 : 케이지 430 : 높이조절기
432 : 높이조절봉 434 : 조절패킹
436 : 조절엠보싱
440 : 케이지개폐기 442 : 회전판
444 : 회전축 445 : 무게뭉치
446 : 연동암 447 : 힌지
448 : 개폐암
450 : 식재료투입망 452 : 투입망
454 : 투입망연결암

Claims (15)

  1.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어 열을 통하여 국물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하고, 국물의 상태를 측정하는 염도계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고 열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통(110)과, 상기 가열통(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뚜껑(12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가열통(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식재료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국물 요리시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시간에 식재료를 가열통(110)의 물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식재료투입부(400)가 구비되고,
    상기 식재료투입부(400)는,
    상기 가열통(110)의 내면에 탈부착 되고 내부 및 하부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지지프레임(410)과,
    상기 지지프레임(410)에 진입되어 지지될 수 있고, 반출 가능하게 구비되되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된 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식재료가 가열통(110)의 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망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지(420)와,
    상기 케이지(420)의 외면에 연결되면서 상기 가열통(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지(420)가 가열통(110) 내에서 배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기(430)와,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에 일부가 구비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가열통(11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케이지(420)의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케이지개폐기(440)를 포함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면에 배치되되 상기 염도계부(200)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염도계부(200)에서 측정된 염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뚜껑(120)은,
    상기 개폐뚜껑(120)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뚜껑(120)이 상기 가열통(110)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열통(110)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부분개폐문(130)과,
    상기 부분개폐문(130)의 상면에 상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채로 상기 부분개폐문(130)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손잡이(132)를 포함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뚜껑(120)에는,
    부분적으로 관통홀(1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22)에는 상기 관통홀(122)을 개폐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높이조절기(430)와 연결되는 개폐편(124)이 포함되고,
    상기 높이조절기(430)는,
    상기 케이지(420)의 외면에서 상 방향으로 봉 형태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관통홀(122)에 구비되는 개폐편(124)을 관통하면서 상기 가열통(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되게 형성되는 높이조절봉(432)과,
    상기 개폐편(124)의 상기 높이조절봉(432)이 관통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봉(432)을 가압하면서 상기 높이조절봉(432)의 유동을 제한하는 조절패킹(434)과,
    상기 높이조절봉(432)의 외면에 다수 개가 엠보싱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봉(432)이 상기 조절패킹(434)에서 유동 되는 것을 제한하고, 외부 가압에 의해 높이조절봉(432)이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엠보싱(436)을 포함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개폐기(440)는,
    상기 케이지(420)의 하면을 이루면서 망으로 된 판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판(442)과,
    상기 회전판(442)의 중심부위에 회전판(442)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442)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444)과,
    상기 회전축(444)과 직각을 이루며 회전판(442)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444)의 회전에 연동되는 연동암(446)과,
    상기 연동암(446)의 일측과 힌지(447)로 연결되고 상기 연동암(446)에서 상 방향으로 상기 높이조절봉(432)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개폐편(124)을 관통하며 형성되며, 상하로 유동 되어 상기 연동암(446)이 상하로 연동 되면서 상기 회전축(444)이 회전되도록 하는 개폐암(448)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암(446)의 타측에는 연동암(446)이 개폐암(448)의 무게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무게뭉치(445)가 포함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료투입부(400)는,
    상기 지지프레임(410)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면서 상기 가열통(110)의 물로 식재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되, 식재료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국자 형태의 식재료투입망(450)을 포함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료투입망(450)은,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가열통(110)의 물에 식재료가 담궈 지도록하는 투입망(452)과,
    상기 투입망(452)에 연결되면서 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상부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투입망연결암(454)을 포함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계부(200)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계(210)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계(220)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230)를 포함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염도계부(200)에서 측정된 내용을 외부에서 문자나 숫자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창(310)과,
    상기 염도계부(200)에서 측정된 내용을 음향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음향기(320)와,
    상기 본체부(100) 에서의 국물 요리 시작시 레시피를 안내하면서 문자나 숫자 또는 음향으로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제어기(330)를 포함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330)는,
    상기 본체부(100) 에서의 국물 요리가 완성된 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에 재가열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식재료가 진입되고 전원을 인가받아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국물요리를 하고, 전원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동작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냄비 형태로 형성되어 인덕션 또는 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계부(200)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계(210)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계(220)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국물 요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230)와,
    상기 염도계(210)와 농도계(220)와 온도계(230)가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부(100) 내부 국물요리의 염도와 농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양대(250)를 포함하고,
    상기 부양대(250)는,
    상기 염도계(210)와 농도계(220)와 온도계(230)의 상부를 지지하면서 하부가 상기 본체부(100) 내의 국물요리에 수용될 수 있도록 노출되도록 하는 지지편(252)과,
    상기 지지편(252)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거치 될 수 있도록 하는 갈고리 형태의 거치편(254)을 포함하는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KR1020170032497A 2017-03-15 2017-03-15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KR101788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497A KR101788506B1 (ko) 2017-03-15 2017-03-15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497A KR101788506B1 (ko) 2017-03-15 2017-03-15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506B1 true KR101788506B1 (ko) 2017-10-23

Family

ID=6029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497A KR101788506B1 (ko) 2017-03-15 2017-03-15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5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418B1 (ko) 2017-08-17 2018-08-21 이상훈 바비큐 그릴장치
KR20190098799A (ko) * 2018-01-30 2019-08-23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물의 간 수치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418B1 (ko) 2017-08-17 2018-08-21 이상훈 바비큐 그릴장치
KR20190098799A (ko) * 2018-01-30 2019-08-23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물의 간 수치화 장치
KR102026431B1 (ko) 2018-01-30 2019-09-2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물의 간 수치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4430B1 (en) Outdoor cooking apparatus
WO2018133861A1 (e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it for cooking
US7461589B2 (en) Appliance for making food that requires the use of heating, stirring, and liquid addition
EP2705780A2 (en) Pressure cooker for cooking noodles
MX2014001591A (es) Movimiento y control de alimentos dentro de un contenedor para preparación de alimentos.
CN107361629B (zh) 自适应称重电饭煲及其控制方法
RU2757788C1 (ru) Система для варки
CN106618149A (zh) 多功能烹调器
JP5026081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化調理方法
KR101390912B1 (ko) 순대찜기
JP3227782U (ja) 炒め機の自動炒め装置
KR101788506B1 (ko) 염도계가 구비된 자동 조리 국통장치
KR100936990B1 (ko) 요리 도우미 장치
KR20030074042A (ko) 전기 조리기
US4261328A (en) Teakettle with attached boiling vessel
JP2790783B2 (ja) 調理装置
KR100818224B1 (ko) 라면전용 압력냄비
CN107319949A (zh) 复式旋转防油溅锅盖
JP4022883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21520841A (ja) 調理プロセス
TWI280113B (en) Intellectually cooking method
CN104020689A (zh) 一种自动/半自动的爆炒烹调方法
CN205041234U (zh) 一种防油溅锅盖
CN208510649U (zh) 一种新型可加热分离型升降火锅
TWI308864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