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016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016A
KR20090012016A KR1020070138308A KR20070138308A KR20090012016A KR 20090012016 A KR20090012016 A KR 20090012016A KR 1020070138308 A KR1020070138308 A KR 1020070138308A KR 20070138308 A KR20070138308 A KR 20070138308A KR 20090012016 A KR20090012016 A KR 20090012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member
height
shield
contact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시 아사이
다이스케 오키쓰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성을 높이면서 적절한 실드 처리가 실현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접속대상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오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11)과, 일단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내측에 수용되고 또한 타단이 커넥터 하우징(11)의 외측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접속부(15)로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콘택트(13)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저면 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제1실드부재(16)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벽면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제2실드부재(24)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1실드부재(16) 중 상기 콘택트(13)의 접속부(15)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실장 높이에 따라 일부를 절단하여 높이 조정이 가능한 실드 높이 조정부(17)로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등의 전자부품(電子部品)을 접속대상(接續對象)으로 하여 이 접속대상과 프린트 배선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데에 적절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부품용 커넥터,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용 커넥터는,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오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수용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프린트 배선 기판에 커넥터를 실장한 후에 커넥터의 접속 오목부에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고 있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용 커넥터를 프린트 배선판에 실장할 경우에, 제품에 의하여 실장 높이가 다르게 된다. 여기에서 실장 높이라 함은, 카메라 모듈용 커넥터의 저면(底面)으로부터 프린트 배선판에 접속하는 콘택트 위치로부터 커넥터의 저면까지의 높이로서, 종래에는 제품의 실장 높이에 대응하는 커넥터를 각각 제조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범용성을 가질 수 없 어 비용이 비싸지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커넥터로서,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1을 이미 제안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1에 기재된 커넥터는, 프린트 배선 기판의 표면(表面)과 이면(裏面)의 어느 쪽의 면에도 실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종래와 비교하여 범용성을 높인 것이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140111호
이 특허문헌1에 기재된 커넥터에 의하면, 2종류의 실장 높이를 선택하여 프린트 배선판에 실장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범용성이 높아진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부품의 설치 스페이스는 엄밀한 위치결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복수의 제품에 대응하기 위하여는 2종류로는 전부 대응할 수 없다. 현재의 상태에 있어서, 제품마다 또는 거래처마다 서로 다른 실장 높이가 요구될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 각각 금형 제작(mold making)을 하여 부품을 생산하는 것은, 비용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커넥터에 있어서 실드 처리(shield 處理)가 실시되어 있지만, 이렇게 실드 처리를 실시할 경우에는 가능한 한 시간간격 없이 할 필요가 있어, 제품 마다 실장 높이를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실드 효과가 감소되는 일이 없도록, 범용성의 확보와 적절한 실드 처리를 함께 실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범용성을 높이면서 적절한 실드 처리가 실현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1은, 접속대상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오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11)과, 일단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내측에 수용되고 또한 타단이 커넥터 하우징(11)의 외측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접속부(15)로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콘택트(13)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외주면 및/또는 내주면을 실드부재에 의하여 실드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실드부재 중 상기 콘택트(13)의 접속부(15)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접속부(15)까지의 높이(실장 높이)에 따라 일부를 절단하여 높이 조정이 가능한 실드 높이 조정부(17)로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2는, 접속대상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오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11)과, 일단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내측에 수용되고 또한 타단이 커넥터 하우징(11)의 외측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접속부(15)로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콘택트(13)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저면 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제1실드부재(16)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벽면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제2실드부재(24)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1실드부재(16) 중 상기 콘택트(13)의 접속부(15)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접속부(15)까지의 높이(실장 높이)에 따라 일부를 절단하여 높이 조정이 가능한 실드 높이 조정부(17)로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 넥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3은, 청구항2에 더하여, 상기 제2실드부재(24)에 접촉하는 평판부(33)과, 이 평판부(33)과 대략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설치되고 콘택트(13)의 접속부(15)의 상측을 덮도록 하여 실드를 하기 위한 콘택트 실드부(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3실드부재(31)을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이 제3실드부재(31)은, 실장 높이에 따라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을 한 후에 상기 제2실드부재(24)에 대하여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4는, 청구항2 또는 3에 더하여, 상기 제2실드부재(24)에 접촉하는 평판부(35)와, 실장대상인 프린트 배선판(23)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36)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4실드부재(32)을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이 제4실드부재(32)는, 상기 콘택트(13)의 접속부(15)와 상기 접속단자(36)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위치결정을 한 후에 상기 제2실드부재(24)에 대하여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5는, 청구항1 내지 4에 더하여, 상기 실드 높이 조정부(17)은, 가늘고 긴 판자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장판부(38)이,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연결부(39)에 의하여 높이 방향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39) 부분을 절단하여 높이 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이다.
청구항1의 발명에 의하면, 실장 높이에 따라 실드 높이 조정부(17)의 높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마다 금형 제작을 할 필요가 없어져 범용성이 높아진다.
청구항2의 발명에 의하면, 제1실드부재(16) 중 상기 콘택트(13)의 접속부(15)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접속부(15)까지의 높이(실장 높이)에 따라, 부재의 일부를 절단하여 높이 조정이 가능한 실드 높이 조정부(17)로서 형성하고 있으므로, 실장 높이에 따라 실드 높이 조정부(17)의 높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마다 금형 제작을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범용성이 높아진다.
청구항3의 발명에 의하면, 콘택트(13)의 접속부(15) 부분을 실드하기 위한 제3실드부재(31)에 관해서도, 실장 높이에 따라 위치조정을 하고 나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게 실드 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또한 범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4의 발명에 의하면, 실장대상인 프린트 배선판(23)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36)을 구비하는 제4실드부재(32)에 관해서도, 실장 높이에 따라 위치조정을 하고 나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게 실드 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또한 범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5의 발명에 의하면, 실드 높이 조정부(17)은, 가늘고 긴 판자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장판부(38)이,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연결부(39)에 의하여 높이 방향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39) 부분을 절단하여 높이 조정을 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실장 높이에 따라 실드 높이 조정부(17)의 높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마다 금형 제작을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범용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접속대상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오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11)과, 일단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내측에 수용되고 또한 타단이 커넥터 하우징(11)의 외측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접속부(15)로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콘택트(13)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저면 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제1실드부재(16)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벽면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제2실드부재(24)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1실드부재(16) 중 상기 콘택트(13)의 접속부(15)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접속부(15)까지의 높이(실장 높이)에 따라 일부를 절단하여 높이 조정이 가능한 실드 높이 조정부(17)로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실드부재(24)에 접촉하는 평판부(33)과, 이 평판부(33)과 대략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설치되고, 콘택트(13)의 접속부(15)의 상측 을 덮도록 하여 실드를 하기 위한 콘택트 실드부(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3실드부재(31)을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이 제3실드부재(31)은, 실장 높이에 따라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을 한 후에 상기 제2실드부재(24)에 대하여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2실드부재(24)에 접촉하는 평판부(35)와, 실장대상인 프린트 배선판(23)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36)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4실드부재(32)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이 제4실드부재(32)는, 상기 콘택트(13)의 접속부(15)와 상기 접속단자(36)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위치결정을 한 후에 상기 제2실드부재(24)에 대하여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커넥터는, 도3(a)내지 (f)에 나타내는 각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a)에 있어서, 11은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정면벽11a, 측면벽11b, 11c, 배면벽11d 및 저면11e로 구성되고, 중앙이 모듈12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오목부로 되어 있다. 이 커넥터 하우징11의 정면벽11a와 배면벽11d에는 콘택트13을 부착할 수 있다. 저면11e에는 콘택트용 윈도우(contact用 window)14가 설치되어 있어, 저면11e 측으로부터 콘택트13을 삽입함으로써 부착이 이루어진다. 이 때에, 정면측 및 배면측으로 돌출한 콘택트13의 일부분이, 프린트 배선판23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15가 된다.
여기에서 콘택트13은, 도3(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 높이를 높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접속부를 15a와 같이 구성하고, 실장 높이를 낮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접속부를 15b와 같이 구성 함으로써 제품에 요구되는 실장 높이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콘택트13의 설치수(設置數)는 조립되는 모듈12에 의하여 다른 것으로서, 모듈12에 대응시켜 적절하게 구성된다.
도3(b)에 나타내는 것은 제1실드부재16이다. 이 제1실드부재16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저면11e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으로서, 저판19, 측판18 및 실드 높이 조정부17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인청동(燐靑銅; phosphor bronze)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드 높이 조정부17은 도2(a) 및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자 모양의 장판부38이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겹쳐 쌓이고 또한 각각의 인접간에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연결부39로 연결되어 있는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이 연결부39를 실장 높이에 따라 절단함으로써 실드 높이를 조정 가능한 것이다.
도3(f)에 나타내는 것은, 제2실드부재24a, 24b이다. 이 중에서, 제2실드부재24a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정면벽11a 및 배면벽11d에 대하여 상측(上側)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으로서, 정면벽11a 또는 배면벽11d의 외측에 접촉하는 외판부26과, 동(同) 내측에 설치되는 모듈12를 결합하기 위한 복 수 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결합탄성부25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단에 결합편2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편27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측면벽11b, 11c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3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도3(f)에 나타내는 제2실드부재24b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측면벽11b, 11c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으로서, 측면벽11b, 11c의 외측에 접촉하는 외판부28, 동(同) 내측에 접촉하는 내판부29 및 동(同) 내측에 배치되는 모듈12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결합탄성부25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판부28과 내판부29의 간격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측면벽11b, 11c의 두께에 맞추어져 형성되어 있다.
도3(e)에 나타내는 것은, 제3실드부재31 및 제4실드부재32이다. 제3실드부재31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정면벽11a 및 배면벽11d의 벽면에 고정된 제2실드부재24a에 대하여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2실드부재24a에 접촉하는 평판부33과, 이 평판부33과 대략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고 콘택트13의 접속부15의 상측을 덮도록 하여 실드를 하기 위한 콘택트 실드부34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콘택트 실드부34는 콘택트13을 실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단이 하방을 향하여 만곡한 만곡부40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실드부재32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측면벽11b, 11c의 벽면에 고정된 제2실드부재24b의 위로부터 씌우도록 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이 제4실드부재32는, 제2실드부재24b에 접촉하는 평판부35와 프린트 배선판23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36이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평판부35의 양단이 정면벽11a 및 배면벽11d 측으로 90도 굴곡한 굴곡부37로서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37은,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정면벽11a 및 배면벽11d 측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3실드부재31의 평판부33의 단부와 겹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하여 부착된다.
또, 상기 제1실드부재16, 제2실드부재24a, 24b, 제3실드부재31 및 제4실드부재32를 각각 커넥터 하우징11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존재하는 결합수단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각 부품의 조립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커넥터 하우징11의 저면11e 측으로부터 콘택트13을 소정의 장소에 삽입하여 부착한다. 콘택트13은, 미리 실장 높이에 따라 접속부15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콘택트13을 부착한 후에, 제1실드부재16을, 실드 높이 조정부17이 정면벽11a 및 배면벽11d 측으로 오도록, 저면11e를 씌우도록 하여 부착한다. 실드 높이 조정부17은, 미리 실장 높이에 따라 장판부38을 절단함으로써 높이 조정을 한다.
다음에 제2실드부재24a, 24b를 부착한다. 제2실드부재24a는 커넥터 하우징11의 정면벽11a 및 배면벽11d의 벽면에, 제2실드부재24b는 측면벽11b, 11c를 각각 씌우도록 하여 부착한다.
다음에, 제3실드부재31 및 제4실드부재32를 부착한다. 제3실드부재31은 제2실드부재24a에 접촉시키도록 하여 배치하고, 제4실드부재32는 제2실드부재24b에 접촉시키도록 하여 배치한다. 이 때에, 제4실드부재32의 양단의 굴곡부37은, 커넥터 하우징11의 정면벽11a, 배면벽11d에 각각 배치된 제3실드부재31의 단부에 포개지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제2실드부재24a, 제3실드부재31 및 제4실드부재32의 3개의 부재가 겹친 상태로 되어 있어, 이 3개의 부재를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용접하여 고정한다.
이 레이저 용접을 할 때에, 제3실드부재31과 제4실드부재32를 설치하는 높이를 실장 높이에 따라 조절 가능한 점이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다.
도3(f)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실드부재24a의 단부는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부41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3실드부재31과 제4실드부재32의 설치위치를 하방으로 이동시켜도, 레이저 용접할 수 있다. 제3실드부재31과 제4실드부재32를 설치하는 위치는, 미리 실장 높이에 맞추어서 형성된 콘택트13의 접속부15가 기준이 된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속부15의 높이, 제3실드부재31의 만곡부40의 하단부분의 높이 및 제4실드부재32의 접속단자36의 높이가 모두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을 한다.
이렇게 하여 조립한 후에, 도3(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프린트 배선판23의 개구부22에 대하여 커넥터의 저면측을 삽입하고, 콘택트13의 접속부15를 배선 패턴20에 솔더링 등에 의하여 접속하고, 제4실드부재32의 접 속단자36도 패턴21 부분에 솔더링 등에 의하여 고정한다. 또한 제3실드부재31의 만곡부40의 하단부분에 관해서도 솔더링 등에 의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콘택트13 이외의 부재에 관해서는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여러 가지 실장 높이에 맞는 조정이 가능하고 또한 그 실장 높이를 조정하여도 적절하게 실드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내는 것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정면도로서, 중앙의 일점쇄선으로부터 우측은, 실드 높이 조정부17을 조정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을 경우의 실장 높이h1을 나타내고 있고, 중앙의 일점쇄선에서 좌측은, 실드 높이 조정부17을 모두 절단하여 사용하였을 경우의 실장 높이h2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장 높이h1로부터 h2까지의 사이에 있어서도, 요구되는 실장 높이에 따라 실드 높이 조정부17의 절단장소를 변경함으로써 넓은 조정폭으로 대응 가능하다. 또한 실드 높이 조정부17의 절단장소의 수(數) 이외에는 실장 높이의 선택이 없는 것이 아니고, h1로부터 h2의 사이의 연속적인 범위에서 실장 높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재를 변경하지 않고 실장 높이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범용성을 높임으로써 코스트 다운(비용절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 실드 높이 조정부17은, 도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늘고 긴 판자 모양의 장판부38이 연결부39에서 연 결되어 있는 형상으로서, 이 연결부39를 실장 높이에 따라 절단함으로써 실드 높이를 조정 가능한 것이다. 연결부39를 절단하는 경우에, 가능하면 실드 높이 조정부17로서 남는 측의 장판부38의 상변(上邊)을 따라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2(a)에 나타내는 형상에 있어서는 파선부분에서 절단되기 때문에 절단 후에 돌출부42가 남겨지고 만다. 실시예1에 있어서는, 콘택트13의 접속부15와 실드 높이 조정부17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절단 후에 남는 돌출부42가 접속부15와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공정이 한 단계 더 필요하여 장판부38을 절단하여 대응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실드 높이 조정부17을 도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도2(b)에 나타내는 구성은, 실시예1의 경우 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가늘고 긴 판자 모양의 장판부38이 연결부39에서 연결되고 있는 형상이지만, 연결부39의 양편에 있어서 실드 높이 조정부17로서 남는 측의 장판부38의 상변에 오목부43을 각각 형성한다. 이 오목부43을 연결부39의 양편에 형성함으로써, 도2(b)에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판부38의 상변을 따라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절단후의 장판부38의 상변 부분이 직선 모양이 된다. 이에 따라 콘택트13의 접속부15와 실드 높이 조정부17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한 단계 더 필요한 공정인 장판부38의 절단이 필요한가 아닌가를 장판부38의 상변을 기준으로 하여 판단할 수 있으므로, 더 한층 적절한 실드 처리가 실현된다.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는, 제3실드부재31과 제4실드부재32를 고정할 때에, 커넥터 하우징11의 정면벽11a 및 배면벽11d의 면에 있어서, 제2실드부재24a에 대하여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반드시 커넥터 하우징11의 정면벽11a 및 배면벽11d의 면일 필요는 없어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며 또한 제3실드부재31과 제4실드부재32를 포개서 한번에 용접하는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고, 각각을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는, 제2실드부재24a에 연장부41을 설치하고, 이 연장부41 부분에 대하여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을 한 후에, 제3실드부재31과 제4실드부재32를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제1실드부재16을 상측으로 연장시켜서, 제1실드부재16에 대하여 제3실드부재31과 제4실드부재32를 레이저 용접하는 것 같은 구성이더라도 좋다.
상기 실드 높이 조정부17은, 가늘고 긴 판자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장판부38이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연결부39에 의하여 높이 방향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지만,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는, 도1내지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 장소에 연결부39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때에, 인접하는 연결부39 사이의 거리를, 제품의 적용 주파수보다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직육면체 형상의 모듈12에 적용하기 위하여 되(승(升)) 모양의 형상으로 커넥터를 구성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모듈에 적용하기 위하여 통 모양의 커넥터로서 구성하는 경우이더라도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각 부재를 원통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시켜서 구성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2는, 실드 높이 조정부17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3은 각 부재의 사시도로서, (a)는 하우징11, (b)은 제1실드부재16, (c)는 프린트 배선판23, (d)는 콘택트13, (e)는 제3실드부재31 및 제4실드부재32, (f)는 제2실드부재24a, 24b를 각각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커넥터 하우징, 11a…정면벽, 11b…측면벽, 11c…측면벽, 11d…배면벽, 11e…저면, 12…모듈, 13…콘택트, 14…콘택트용 윈도우, 15…접속부, 16…제1실드부재, 17…실드 높이 조정부, 18…측판, 19…저판, 20…배선 패턴, 21…패턴, 22…개구부, 23…프린트 배선판, 24…제2실드부재, 25…결합탄성부, 26…외판부, 27…결합편, 28…외판부, 29…내판부, 30…결합홈, 31…제3실드부재, 32…제4실드부재, 33…평판부, 34…콘택트 실드부, 35…평판부, 36…접속단자, 37…굴곡부, 38…장판부, 39…연결부, 40…만곡부, 41…연장부, 42…돌출부, 43…오목부

Claims (5)

  1. 접속대상(接續對象)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오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connector housing)과, 일단(一端)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고 또한 타단(他端)이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접속부(接續部)로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콘택트(contact)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주면 및/또는 내주면을 실드부재(shield 部材)에 의하여 실드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실드부재 중 상기 콘택트의 접속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저면(底面)으로부터 상기 접속부까지의 높이에 따라 일부를 절단하여 높이 조정이 가능한 실드 높이 조정부로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접속대상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오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고 또한 타단이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접속부로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콘택트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저면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제1실드부재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벽면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제2실드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1실드부재 중 상기 콘택트의 접속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접속부까지의 높이에 따라 일부를 절단하여 높이 조정이 가능한 실드 높이 조정부로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드부재에 접촉하는 평판부와, 이 평판부와 대략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설치되고 콘택트의 접속부의 상측을 덮도록 하여 실드를 하기 위한 콘택트 실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3실드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이 제3실드부재는, 실장(實裝) 높이에 따라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을 한 후에 상기 제2실드부재에 대하여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드부재에 접촉하는 평판부(平板部)와, 실장대상(實裝對象)인 프린트 배선판(print 配線板)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接續端子)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4실드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이 제4실드부재는, 상기 콘택트의 접속부와 상기 접속단자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위치결정을 한 후에 상기 제2실드부재에 대하여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높이 조정부는, 가늘고 긴 판자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장판부가,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연결부에 의하여 높이 방향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를 절단하여 높이 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70138308A 2007-07-25 2007-12-27 커넥터 KR200900120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93566A JP4387428B2 (ja) 2007-07-25 2007-07-25 コネクタ
JPJP-P-2007-00193566 2007-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16A true KR20090012016A (ko) 2009-02-02

Family

ID=4030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308A KR20090012016A (ko) 2007-07-25 2007-12-27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87428B2 (ko)
KR (1) KR20090012016A (ko)
CN (1) CN1013552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0710B2 (ja) * 2009-07-22 2011-12-21 Smk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ソケット
CN112366484B (zh) * 2020-09-10 2022-02-22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具有该电连接器的连接器组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8725B2 (ja) * 2004-03-25 2009-10-21 Smk株式会社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55219B (zh) 2011-10-19
JP2009032455A (ja) 2009-02-12
CN101355219A (zh) 2009-01-28
JP4387428B2 (ja)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842B1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JP6663565B2 (ja) 基板用コネクタ
EP1675220B1 (en) Electric distribution block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6943287B2 (en) Shielding cage with improved EMI shielding gasket construction
EP1930995A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26907B1 (ko) 전기 장치
US7147510B2 (en) Socket for installing electronic parts
JP6501116B2 (ja) 電気接続箱
JP2009163991A (ja) コネクタ及び電子制御装置
CN102683941A (zh) 能够降低微分信号对之间的不齐量的微分信号连接器
JP2019192861A (ja) コネクタ付きプリント基板の筐体構造
JP2012222168A (ja) 電子モジュール
JP4857935B2 (ja) シールド構造体
KR20090012016A (ko) 커넥터
JP7044736B2 (ja) 電子部品ユニット
US7924571B2 (en) Circuit module
US5535098A (en) Electrical device, particularly switching and control device for motor vehicles
CN108513522B (zh) 组装组件及其组装方法
JP2009158548A (ja) シールドケース、配線基板、及び電子部品モジュール
WO2019146432A1 (ja) 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固定構造
KR102005479B1 (ko) 카메라 모듈
JP5070126B2 (ja) 表面実装コネクタのプリント基板への固定構造
JP7094774B2 (ja) 絶縁シートの取付構造および絶縁シート
CN111313170B (zh) 接线端子和相应的电子设备
JP2557935B2 (ja) プリント配線板収納用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