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668U -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668U
KR20090011668U KR2020080006234U KR20080006234U KR20090011668U KR 20090011668 U KR20090011668 U KR 20090011668U KR 2020080006234 U KR2020080006234 U KR 2020080006234U KR 20080006234 U KR20080006234 U KR 20080006234U KR 20090011668 U KR20090011668 U KR 200900116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addle
seat tube
seat pos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7701Y1 (ko
Inventor
김남식
윤중욱
Original Assignee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6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701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6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7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01Preventing theft of parts or accessories used on cycles, e.g. lamp, dynam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프레임(32)의 일측에는 시트튜브(52)가 연장되고, 상기 시트튜브(52)에는 체결공(56)이 형성된다. 안장(60)의 하부에는 시트포스트(62)가 연장되고, 상기 시트포스트(62)는 상기 시트튜브(52)에 삽입된다. 상기 시트포스트(62)의 외주면에는 고정채널(6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채널(64)에는 스토퍼(6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체결구(78)는 상기 시트튜브(52)의 체결공(56)을 관통하여 그 선단이 상기 시트포스트(62)의 고정채널(64)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체결구가 시트튜브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그 선단이 시트포스트의 고정채널에 위치하므로 시트포스트의 회전이 방지되고, 스토퍼에 의해 시트포스트가 시트튜브에서 분리되지 않으므로 안장의 도난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자전거, 안장, 시트포스트, 고정채널, 스토퍼

Description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Antitheft apparatus for saddle of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장의 도난을 방지하는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고정장치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전거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시트튜브(12)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튜브(12)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단 일측에 상부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그 선단 일측에 조임슬롯(14)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안장(16)은 자전거의 운전자가 앉는 부분으로, 그 하부에 시트포스트(18)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포스트(18)는 그 외경이 상기 시트튜브(12)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어 상기 시트튜브(12)에 삽입된다.
상기 안장(16)의 높이는 상기 시트포스트(18)가 상기 시트튜브(12)에 삽입된 정도에 따라 달라지고, 조절된 안장(16)의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시트튜브(12)의 선단 외주를 둘러싸도록 클램프(20)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20)는 일측이 개구된 링형상으로 상기 개구된 측에 각각 연결부(22)가 클램프(20)를 형성하는 외주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2)를 각각 관통하여서는 연결공(23)이 형성되고, 각각의 연결부(22)에 형성된 연결공(23)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이다.
상기 연결부(22)의 연결공(23)을 관통하게 조임연결구(24)가 구비된다. 상기 조임연결구(24)는 상기 연결공(23)의 내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봉형상으로 일단부에 나사부(25)가 형성된다. 상기 조임연결구(24)는 상기 연결부(22)를 관통한 상태로 체결너트(26)가 체결되어 클램프(20)에 설치된다.
상기 체결너트(26)가 위치하는 반대쪽 연결부(22)에는 밀착캡(27)이 구비된다. 상기 밀착캡(27)은 상기 조임연결구(24)가 그 중앙을 관통한다. 상기 밀착캡(27)의 내부에는 탄성재질의 밀착부재(28)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부재(28)는 고무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연결구(24)의 일단부에는 캠레버(29)가 연결된다. 상기 캠레버(29)는 상기 조임연결구(24)와 힌지핀(29')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힌지핀(29')은 상기 조임연결구(24)를 횡방향으로 관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시트포스트(18)가 상기 시트튜브(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시트튜브(12) 선단 외주면을 둘러 클램프(20)가 위치되고 상기 조임연결구(24)는 상기 연결부(22)의 연결공(23)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부(25)에 체결너트(26)가 체결되어 설 치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캠레버(29)는 상기 연결부(22)의 일측면에 상기 밀착캡(27)과 밀착부재(28)가 안착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캠레버(29)를 상기 힌지핀(29')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캠레버(29)중 상기 힌지핀(29')에서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부분이 상기 밀착부재(28)에 밀착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연결부(22) 사이의 틈새가 좁아지면서 상기 클램프(20)가 상기 시트튜브(12)를 조여준다. 이때, 상기 시트튜브(12)는 상기 조임슬롯(14)의 존재에 의해 그 직경이 줄어들면서 그 내면이 상기 시트포스트(18)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시트포스트(18)가 상기 시트튜브(12)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고정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 상기 시트튜브(12)에는 상기 시트포스트(18)의 인출 한계를 제한하는 구성이 없어서 상기 시트포스트(18)를 인출시키다가 상기 시트튜브(12)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포스트(18)를 상기 시트튜브(12)에서 분리하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으므로 상기 안장(16)이 쉽게 도난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안장(16)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시트포스트(18)를 상기 시트튜브(12)에 삽입 또는 인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시트포스트(18)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성이 없어 상기 안장(16)이 설치방향을 정확하게 고정할 수 없 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시트포스트의 인출 한계가 제한되는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안장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안장이 설치되는 시트포스트가 시트튜브에 대해 회전되지 않는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프레임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체결공이 형성되는 시트튜브와; 안장의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시트튜브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고정채널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채널에는 스토퍼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시트포스트와; 상기 시트튜브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그 선단이 상기 시트포스트의 고정채널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포스트가 상기 시트튜브에 대해 인출한계를 벗어날 때 상기 스토퍼에 걸어지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채널은 상기 안장으로부터 상기 시트포스트가 상기 시트튜브에 대해 이동되는 거리만큼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안장으로부터 상기 시트포스트가 상기 시트튜브에 대해 이동되는 거리만큼 떨어진 상기 시트포스트의 고정채널에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시트포스트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핀이 상기 시트포스트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채널을 관통하여 상기 시트포스트의 외주면까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은 상기 시트튜브의 상단에서 상기 고정채널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시트튜브에는 그 선단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조임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튜브의 선단에는 상기 시트포스트를 상기 시트튜브에 대해 고정시키는 클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클램프체결공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시트포스트의 고정채널에 스토퍼가 구비되고 체결구에 의해 시트포스트의 이동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시트포스트의 분리를 염려하지 않고 안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시트포스트가 시트튜브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시트포스트의 도난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체결구가 시트튜브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그 선단이 시트포스트의 고정채널에 위치하므로 시트포스트의 회전이 방지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서는 시트포스트를 분리하기 위해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야하므로 안장의 도난이 방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가 채용된 자전거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a 및 도 3b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각각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시트포스트의 다양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 및 도 6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요부구성이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전거의 골격은 프레임(32)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32)의 앞 측에는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앞바퀴(34)가 설치된다. 상기 앞바퀴(34)에는 브레이크(35)가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35)는 아래에서 설명될 브레이크레버(45)에 의해 작동되어 앞바퀴(34)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속도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32)의 뒤 측에는 뒷바퀴(37)가 설치된다. 상기 뒷바퀴(37)는 아래에서 설명될 크랭크조립체(4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뒷바퀴(37)에도 브레이크레버(45)에 의해 작동되어 뒷바퀴(37)에 마찰력을 발생 시켜 속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뒷바퀴(37)의 중앙에는 체인(C)에 의해 크랭크조립체(41)와 연결되는 스프라켓(38)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라켓(38)은 체인(C)의 이동을 뒷바퀴(37)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스프라켓(38)은 다수개가 서로 다른 직경과 톱니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인(C)은 다수개의 스프라켓(38) 사이를 이동하며 자전거의 주행속도 및 주행에 필요한 동력의 요구량을 변화시킨다.
상기 스프라켓(38)에는 상기 체인(C)의 이동을 규제하는 리어디레일러(40)가 설치된다. 상기 리어디레일러(40)는 상기 체인(C)이 기어 변동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앞바퀴(34)와 뒷바퀴(37)의 사이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크랭크조립체(41)가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조립체(41)는 서로 다른 직경과 톱니의 갯수를 갖는 다수개의 체인링(도면부호 부여하지 않음), 크랭크암(도면부호 부여하지 않음) 및 페달(도면부호 부여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인링에는 뒷바퀴(37)에 연결된 상기 체인(C)이 걸어진다.
상기 크랭크조립체(41)의 상부에는 상기 체인(C)의 이동을 규제하는 프론트디레일러(42)가 설치된다. 상기 리어디레일러(40)와 프론트디레일러(42)는 변속레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체인(C)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2)의 전방에는 운전자가 파지하여 주행중 균형을 유지하고 상기 앞바퀴(34)에 연계되어 주행시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43)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43)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32)에는 자전거의 전방으로 빛을 발산하는 전 조등(44)이 장착된다.
상기 핸들(43)에는 상기 브레이크(35)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레버(45)가 장착된다. 상기 브레이크레버(45)에 인접한 상기 핸들(43)에는 자전거의 주행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변속레버(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한편, 도 3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32)의 일측에는 시트튜브(52)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튜브(52)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그 선단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조임슬롯(54)이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조임슬롯(54)이 하나만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시트튜브(52)의 일측을 횡으로 관통하여서는 체결공(5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56)은 상기 시트튜브(52)의 상단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채널(64)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안장(60)은 자전거의 운전자가 앉는 부분이고, 그 하단에 시트포스트(62)가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시트포스트(62)는 상기 시트튜브(52)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그 외경이 상기 시트튜브(52)의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도 4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포스트(62)에는 고정채널(64)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고정채널(64)은 상기 시트포스트(62)의 외주면에서 상기 시트포스트(6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시트포스트(62)에서 상기 고정채널(64)이 형성된 부분의 단면은 대략 반원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설계조건에 따라 삼각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채널(6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 결구(78)의 선단이 닿게 된다. 상기 고정채널(64)은 상기 시트포스트(62)가 상기 시트튜브(52)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채널(64)의 하부에는 스토퍼(66)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66)는 상기 고정채널(64)에서 상기 시트포스트(62)의 외주면까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66)는 상기 고정채널(64)에서 상기 시트포스트(62)의 인출한계 거리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시트포스트(62)의 후단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상기 고정채널(64)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66)는 상기 안장(60)으로부터 상기 시트포스트(62)가 상기 시트튜브(52)에 대해 이동되는 거리만큼 떨어진 상기 시트포스트(62)의 고정채널(64)에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66)는 용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채널(64)에 별도로 형성된 스토퍼(66)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66)는 상기 시트튜브(52)에서 상기 시트포스트(62)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트포스트(62)의 다른 실시예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트포스트(162)의 외주면에는 고정채널(164)이 상기 시트포스트(16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포스트(162)에는 스토퍼(166)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166)는 상기 시트포스트(162)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핀 등이 상기 시트포스트(162)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채널(164)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시트포스트(162)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스토퍼(166)의 양단은 각각 상기 고정채널(164)에서 상기 시트포스트(162)의 외주면까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시트포스트(62)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트포스트(262)의 외주면에는 고정채널(264)이 상기 시트포스트(26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채널(264)은 상기 시트포스트(262)의 선단에서 상기 시트포스트(262)의 대략 중간까지만 연장된다. 즉, 상기 고정채널(264)은 상기 시트포스트(262)의 후단까지 연장되지 않고 상기 시트포스트(262)가 상기 시트튜브(52)에서 이동되는 거리만큼만 형성된다. 상기 고정채널(264)의 일단에는 스토퍼(266)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66)는 상기 고정채널(264)과 상기 시트포스트(262)의 외주면 사이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별도의 구성이 추가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들은 상기 시트포스트(62)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므로 본 고안이 위의 형상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시트포스트(62)의 인출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튜브(52)에는 클램프(70)가 상기 시트튜브(52)의 선단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70)는 상기 시트튜브(52)에 삽입된 상기 시트포스트(62)를 상기 시트튜브(5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램프(70)는 대략 링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70)가 개구된 부분에는 각각 연결부(7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72)를 횡으로 관통하여서는 연결공(73)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공(73)은 상기 연결부(72)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72) 중 하나에는 안착곡면(7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곡면(72')은 아래에서 설명될 캠레버(90)의 캠면(93)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곡면이다. 상기 클램프(70)에는 상기 시트튜브(52)의 체결공(56)과 대응되는 위치에 클램프체결공(75)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체결공(75)에는 나사부(76)가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체결공(75)의 나사부(76)에는 상기 클램프(70)를 상기 시트튜브(52)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78)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구(78)는 상기 클램프체결공(75) 및 상기 체결공(56)을 관통하여, 그 선단이 상기 시트튜브(52)의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시트포스트(62)가 상기 시트튜브(5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체결구(78)의 선단은 상기 시트포스트(62)의 고정채널(64)에 위치된다. (도 5 및 도 6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체결구(78)에 의해 상기 클램프(70)가 상기 시트튜브(52)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78)의 선단이 상기 고정채널(64)에 위치하여 상기 시트포스트(62)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포스트(62)의 삽입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시트튜브(52)에 대해 인출시킬 때, 상기 체결구(78)의 선단이 상기 스토퍼(66)에 걸려 상기 시트포스트(62)가 상기 시트튜브(52)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체결구(78)가 상기 클램프체결공(75)과 체결공(56)을 관통하여 체결되었을 때, 그 선단이 상기 고정채널(64)이 형성된 시트포스트(62)에 닿지 않아야 한다. 이는 상기 안장(60)의 높이조절을 위해 상기 시트포스트(62)가 상기 시트튜브(52)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상기 체결공(56) 및 상기 체결구(78)는 설계조건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 및 사용되어 상기 클램프(70)를 고정시키는 구성과 별도로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즉, 도 3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포스트(62)의 회전 및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체결공(56')과 체결구(78')가 상기 시트튜브(52)의 하부에 별개의 구성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구(78)는 일반 볼트와 달리 머리 부분이 없어 조립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세트스크류(set screw)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세트스크류는 드라이버가 아닌 렌치(wrench) 등의 특수 공구에 의해서만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안장 도난의 위험성을 줄인다.
상기 클램프(70)의 연결부(72)에 형성된 연결공(73)을 관통하여서는 조임연결구(80)가 설치된다. 상기 조임연결구(8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나사부(82)가 형성된다. 상기 조임연결구(80)의 나사부(82)에는 체결너트(84)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너트(84)는 상기 조임연결구(80)가 상기 클램프(70)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연결부(72) 사이의 간격을 캠레버(90)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일측 연결부(72)의 밀착곡면(72')에는 밀착부재(86)가 안착된다. 상기 밀착부재(86)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재(86)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상기 밀착곡면(72')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연결구(80)의 타단부에는 캠레버(90)가 설치된다. 상기 캠레버(90)는 상기 조임연결구(80)의 타단부를 횡으로 관통하는 힌지핀(9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힌지핀(91)과 인접한 캠레버(90)의 일단부에는 상기 힌지핀(91)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캠면(93)이 형성된다. 상기 캠면(93)은 그 회전반경이 점차 달라지게 형성되어, 상기 캠레버(9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힌지핀(91)에서 캠면(93)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캠레버(90)를 조작하여 상기 시트포스트(62)가 상기 시트튜브(52)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70)는 상기 클램프(70)의 클램프체결공(75)과 상기 시트튜브(52)의 체결공(56)이 서로 대응되게 상기 시트튜브(52)의 선단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포스트(62)는 상기 고정채널(64)이 상기 시트튜브(52)의 체결공(56)과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시트튜브(52)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시트포스트(62)의 스토퍼(66)가 상기 시트튜브(52)의 체결공(56) 보다 아래에 위치되면, 상기 체결구(78)를 상기 클램프(70)의 클램프체결공(75)에 체결시킨다. 상기 체결구(78)는 상기 클램프체결공(75)과 체결공(56)을 관통하여, 그 선단이 상기 고정채널(64)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구(78)의 선단이 상기 고정채널(64) 내에 위치되면, 상기 시트포스트(62)의 회전이 방지되면서도 상기 시트튜브(52)에 대해 상하로 이동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포스트(62)에 구비된 상기 안장(60)의 설치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안장(6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시트포스트(62)를 상기 시트튜브(52)에 대해 인출시킬 때, 상기 체결구(78)의 선단이 상기 스토퍼(66)에 걸려 상기 시트포스트(62)가 일정길이 이상 인출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안장(60)의 높이를 조절할 때 상기 스토퍼(66)에 의해 상기 시트포스트(62)의 인출높이가 제한되므로, 상기 시트포스트(62)의 분리를 염려하지 않고 자유롭게 상기 안장(6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시트포스트(62)가 상기 시트튜브(52)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상기 안장(60)의 도난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시트포스트(62)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위치시킨 후에는 상기 클램프(70)를 조이는 방향으로 상기 캠레버(9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캠레버(90)에 의해 상기 연결부(72)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클램프(70)가 상기 시트튜브(52)를 죄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상기 시트포스트(62)가 상기 시트튜브(52)에 고정되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스토퍼(66)에 걸리는 상기 체결구(78)는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 핀 등을 상기 시트튜브(52)의 체결공(56)에 압입시키거나 핀 등을 직접 상기 시트튜브(52)에 용접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78)가 관통되는 상기 체결공(56)은 반드시 상기 시트튜브(52)의 상단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시트튜브(52)의 중간이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가 채용된 자전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각각 보인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시트포스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보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요부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2: 시트튜브 54: 조임슬롯
56: 체결공 60: 안장
62: 시트포스트 64: 고정채널
66: 스토퍼 70: 클램프
72: 연결부 73: 연결공
75: 클램프체결공 78: 체결구
80: 조임연결구 86: 밀착부재
90: 캠레버 91: 힌지핀
93: 캠면

Claims (6)

  1. 프레임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체결공이 형성되는 시트튜브와;
    안장의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시트튜브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고정채널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채널에는 스토퍼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시트포스트와;
    상기 시트튜브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그 선단이 상기 시트포스트의 고정채널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포스트가 상기 시트튜브에 대해 인출한계를 벗어날 때 상기 스토퍼에 걸어지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채널은 상기 안장으로부터 상기 시트포스트가 상기 시트튜브에 대해 이동되는 거리만큼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안장으로부터 상기 시트포스트가 상기 시트튜브에 대해 이동되는 거리만큼 떨어진 상기 시트포스트의 고정채널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시트포스트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핀이 상기 시트포스트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채널을 관통하여 상기 시트포스트의 외주면까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시트튜브의 상단에서 상기 고정채널과 연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튜브에는 그 선단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조임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튜브의 선단에는 상기 시트포스트를 상기 시트튜브에 대해 고정시키는 클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클램프체결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KR2020080006234U 2008-05-13 2008-05-13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KR200447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234U KR200447701Y1 (ko) 2008-05-13 2008-05-13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234U KR200447701Y1 (ko) 2008-05-13 2008-05-13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668U true KR20090011668U (ko) 2009-11-18
KR200447701Y1 KR200447701Y1 (ko) 2010-02-12

Family

ID=44210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234U KR200447701Y1 (ko) 2008-05-13 2008-05-13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701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114B1 (ko) * 2009-11-12 2010-05-25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자전거의 안장 또는 조향핸들 높낮이 조절장치
KR101138376B1 (ko) * 2010-07-14 2012-04-26 심재호 자전거 시트의 잠금 조립체
KR200477077Y1 (ko) * 2013-09-24 2015-05-04 주식회사 알톤스포츠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
CN104986269A (zh) * 2015-07-24 2015-10-21 刘畅 一种儿童自行车座垫的紧固装置
KR20160064586A (ko)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명지 일체형 자전거 프레임
EP3069969A1 (en) * 2015-03-20 2016-09-21 Orbea, S. Coop. Ltda. Seatpost unit that defines one or two predertermined seat heights
KR20170033003A (ko) 2015-09-16 2017-03-24 우태훈 도난 방지형 자전거 안장
CN115402446A (zh) * 2022-07-20 2022-11-29 金华卓远实业有限公司 一种代步工具的鞍管连接结构
KR102571798B1 (ko) * 2022-03-22 2023-08-28 노일훈 개인이동수단의 높이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7615B2 (ja) * 1993-10-22 1999-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転車のサドル取付装置
JP2006206021A (ja) * 2005-01-25 2006-08-10 Norio Yamazaki サドル盗難防止サドルストッパーシステム
KR200395054Y1 (ko) * 2005-06-08 2005-09-07 김성국 보드형 삼륜 자전거
KR200410965Y1 (ko) * 2005-12-20 2006-03-10 태하메카트로닉스 (주) 바이크 안장 조절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114B1 (ko) * 2009-11-12 2010-05-25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자전거의 안장 또는 조향핸들 높낮이 조절장치
KR101138376B1 (ko) * 2010-07-14 2012-04-26 심재호 자전거 시트의 잠금 조립체
KR200477077Y1 (ko) * 2013-09-24 2015-05-04 주식회사 알톤스포츠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
KR20160064586A (ko)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명지 일체형 자전거 프레임
EP3069969A1 (en) * 2015-03-20 2016-09-21 Orbea, S. Coop. Ltda. Seatpost unit that defines one or two predertermined seat heights
CN104986269A (zh) * 2015-07-24 2015-10-21 刘畅 一种儿童自行车座垫的紧固装置
KR20170033003A (ko) 2015-09-16 2017-03-24 우태훈 도난 방지형 자전거 안장
KR102571798B1 (ko) * 2022-03-22 2023-08-28 노일훈 개인이동수단의 높이조절장치
CN115402446A (zh) * 2022-07-20 2022-11-29 金华卓远实业有限公司 一种代步工具的鞍管连接结构
CN115402446B (zh) * 2022-07-20 2024-03-22 金华卓远实业有限公司 一种代步工具的鞍管连接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701Y1 (ko)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701Y1 (ko) 자전거의 안장도난방지장치
US9056646B1 (en) Bicycle cable routing system
US7669871B2 (en) Bicycle wheel securing adapter and bicycle fork using the same
US8006944B2 (en) Fixing device
US9701293B2 (en) Bicycle cable routing system
TWI323234B (en) Bicycle rear derailleur
US6003405A (en) Bicycle handlebar bar ends
US20060189424A1 (en) Bicycle rear derailleur guard
US4142813A (en) Saddle carriages
JP2000280971A (ja) 自転車用フロントディレーラ
US8590418B2 (en) Adjusting mechanism for handle position of bicycle
US7757582B2 (en) Bicycle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EP1627808B1 (en) Bicycle headset arrangement
US9446817B2 (en) Derailleur guide device
US9168969B2 (en) Eccentric bottom bracket assembly
KR200477077Y1 (ko)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
CN114379694B (zh) 自行车踏板
US10906605B2 (en) Dual crown steering assembly
EP4227197A2 (en) Bicycle frame with cantilevered seatmast and seatpost securing assembly
US9598142B2 (en) Support assembly for a bicycle front derailleur
KR100858038B1 (ko) 자전거 커넥터
US6684732B2 (en) Top head set securing device for bicycles
US11939027B2 (en) Bicycle pedal
KR200265939Y1 (ko)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 조절장치
JP7149435B1 (ja) カウル取り付け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