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648U - 보강토 옹벽 블록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648U
KR20090011648U KR2020080006209U KR20080006209U KR20090011648U KR 20090011648 U KR20090011648 U KR 20090011648U KR 2020080006209 U KR2020080006209 U KR 2020080006209U KR 20080006209 U KR20080006209 U KR 20080006209U KR 20090011648 U KR20090011648 U KR 200900116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earth retaining
reinforceme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80006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648U/ko
Publication of KR200900116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6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04F21/183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for setting a plurality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강토 옹벽 벽체를 구성하는 옹벽 블록의 전면에 다양한 문양을 쉽게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보강토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은 복수개가 서로 적층되어 보강토 옹벽의 옹벽 벽체를 이루는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서, 상하로 적층되어 옹벽 벽체를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결합되어 옹벽 벽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면판만을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설계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무늬가 전면에 나타나는 벽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양에 따라 보강토 옹벽 블록 전체를 다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 비용의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옹벽, 블록, 전면판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블록{Block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본 고안은 보강토 옹벽 블록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보강토 옹벽 벽체를 구성하는 옹벽 블록의 전면에 다양한 문양을 쉽게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보강토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옹벽 블록의 후방으로 성토부에 그리드와 같은 보강재를 배치하고 토사를 적층하여 층별로 다짐하여 시공하게 되는 종래의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 옹벽 벽체를 형성하는 옹벽 블록은 전면부의 문양을 변경하려면 옹벽 블록 전체를 다시 제작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으며, 상,하부 옹벽 블록간 지지 수단이 뚜렷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연결강도가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종래 기술이 가지는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블록 몸체의 전면을 일정한 형태의 홈을 형성하여 전면판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면판 만을 별도로 제작하여 다양한 문양의 전면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곡선형 옹벽 벽체의 시공시에도 블록의 몸체를 변형하는 공정없이 바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상하층 블록간 지지수단을 갖추어 벽체 형성시 상하층 적층시 연결 강도가 우수하게 되는 보강토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복수개가 서로 적층되어 보강토 옹벽의 옹벽 벽체을 이루는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서, 상하로 적층되어 옹벽 벽체를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결합되어 옹벽 벽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은 보강토 옹벽 블록에서 상기 몸체의 후방측 상면에는, 옹벽 벽체 후방에 형성되는 성토부에 배치되는 보강재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의 후방측 상면에 장착홀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홀에는, 옹벽 벽체 후방에 형성되는 성토부에 배치되는 보강재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삽입하는 구조를 가진 보강토 옹벽 블록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면판만을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설계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무늬가 전면에 나타나는 벽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양에 따라 보강토 옹벽 블록 전체를 다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 비용의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곡선형 옹벽 벽체의 시공시에도 블록의 몸체를 변형하는 공정없이 바로 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옹벽 벽체 형성시 상하층 적층시 연결 강도가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강토 옹벽 블록(100)에서 몸체(101)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몸체(101)에 결합되는 전면판(102)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100)은, 상하로 적층되어 옹벽 벽체를 형성하는 몸체(101)와, 상기 몸체(101)의 전방에 조립 결합되어 옹벽 벽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10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상기 몸체(101)의 전면에는 오목한 결합홈(151)이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면판(102)의 배면에는 상기 결합홈(151)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돌기(153)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53)가 상기 결합홈(15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면판(102)이 상기 몸체(101)와 일체로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102)의 전면(152)에는 소정 형상이 무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늬는 한정되지 아니하며, 설계의 필요성이나 주위 환경에 맞도록 다양하게 변화 가능하다. 상기 전면판(102)은 상기 결합홈(151)이 있는 상기 몸체(101)와 반드시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필요는 없으며, 자연석을 이용해 다양한 질감을 표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벽체 형성시 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종래 다양한 무늬를 띄는 옹벽 블록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 블록 전체를 모두 포함하여 제작하였어야만 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전면판(102)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100)은 상기 전면판(102)의 전면(152) 만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제작하고, 이와 결합되는, 결합홈(151)이 있는 상기 몸체(101)는 별도로 제작 가능하므로 시공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보강토 옹벽 블록(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1)의 상면에는 그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들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돌기(11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01)의 양측면에는 그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들의 상기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연결홈(131, 14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100)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보강토 옹벽 블 록(100)이 적층되는 경우, 하층 블록의 상기 연결돌기(112)는 상층의 두개의 인접하는 블록의 각각의 연결홈(131, 14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하층은 엇갈려서 적층되는데, 이 때, 상기 연결돌기(112)와 연결홈(131, 141)이 서로 결속되어 지지하게 됨으로써 옹벽 벽체를 형성할 때, 보강토 옹벽 블록간의 자중 이외에 층간 지지력을 주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더욱 견고한 옹벽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에는 각각 상기 보강토 옹벽 블록(100)이 배열되어 옹벽 벽체의 한 층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100)의 몸체는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후방측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보강토 옹벽 블록(100)을 만곡지게 배열하여 옹벽 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몸체(101)의 측면을 잘라 내는 등의 별도의 공정 없이도 쉽게 보강토 옹벽 블록(100)을 원하는 형상으로 배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곡선진 형태로 보강토 옹벽 블록(100)을 배열할 때 상기 연결돌기(112)가 상층 블록의 연결홈(131, 141) 사이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100)의 연결홈(131, 141) 사이의 간격은 상기 연결돌기(112)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100) 다수개가 적층되고 그 후방으로 성토부에 배치되는 보강재인 그리드(200)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b에는 도 6a에 도시된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c에는 상기 보강토 옹벽 블록(100)이 적층되고 뒷채움재(1)가 채워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살펴본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101)의 후방측 상면(120)에 고정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돌기(121)는 성토부에 배치되는 보강재로서 그리드(200)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보강토 옹벽 블록(100)을 한층 배열하고, 뒷채움재(1)를 채워 다진 뒤에 그리드(200)의 단부가 상기 고정돌기(121)에 맞물리도록 얹는다.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100)은 몸체(101)에 상면에서 하면을 관통하는 중공부(111)를 가질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옹벽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뒷채움재(1)는 상기 보강토 옹벽 블록(100)의 중공부(111)에도 채워지게 된다. 상기 중공부(111)에도 뒷채움재(1)가 채워짐으로써, 상하층간에 더 큰 자중을 주게 되어, 블록간 연결을 더 견고히 할 수 있다.
일 층으로 배열된 보강토 옹벽 블록(100) 위에 블록(100)을 한층 적층하고, 다시 뒷채움재(1)를 채워 다지고 난 뒤 그리드를 정착하는 순서로 옹벽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보강토 옹벽 블록(100)의 상면에 연결 블록(11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전면에서 보았을 때 보강토 옹벽 블록(100)들이 서로 엇갈린 형태로 적층된다.
도 7a에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100)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b는 도 6b에 대응되는 측면도로서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 블록(100)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100)은 성토부 보강재인 그리드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1)의 후방측 상면(120)에 고정돌기(121)를 형성하는 대신에, 상면(120)에 장착홀(122)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홀(122)에 고정핀(123)을 삽입하여 상기 그리드(200)의 단부가 상기 고정핀(123)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기타 구성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위와 같은 고정돌기(121)나 고정핀(123)을 구비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도 8에는 이와 같이 고정돌기(121)나 고정핀(123)을 구비하지 아니한 형태의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100)의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강토 옹벽 블록에서 몸체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몸체에 결합되는 전면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이 곡선으로 배열되어 옹벽 벽체의 한 층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다수개가 적층되고 그 후방으로 성토부에 배치되는 보강재인 그리드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c는 보강토 옹벽 블록이 적층되고 뒷채움재가 채워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6b에 대응되는 측면도로서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 블록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고정돌기나 고정핀을 구비하지 아니한 형태의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Claims (3)

  1. 복수개가 서로 적층되어 보강토 옹벽의 옹벽 벽체을 이루는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서,
    상하로 적층되어 옹벽 벽체를 형성하는 몸체(101)와;
    상기 몸체(101)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결합되어 옹벽 벽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10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1)의 후방측 상면(120)에는, 옹벽 벽체 후방에 형성되는 성토부에 배치되는 보강재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1)의 후방측 상면(120)에는 장착홀(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홀(122)에는, 옹벽 벽체 후방에 형성되는 성토부에 배치되는 보강재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핀(123)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
KR2020080006209U 2008-05-13 2008-05-13 보강토 옹벽 블록 KR200900116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209U KR20090011648U (ko) 2008-05-13 2008-05-13 보강토 옹벽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209U KR20090011648U (ko) 2008-05-13 2008-05-13 보강토 옹벽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648U true KR20090011648U (ko) 2009-11-18

Family

ID=4929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209U KR20090011648U (ko) 2008-05-13 2008-05-13 보강토 옹벽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648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831B1 (ko) * 2011-03-29 2013-06-10 (주)메카모아 옹벽블록
KR101374053B1 (ko) * 2013-09-23 2014-03-12 (주)그린코리아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럭
KR102137545B1 (ko) * 2020-03-27 2020-07-24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전면판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37538B1 (ko) * 2020-03-27 2020-07-24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절토부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44810B1 (ko) 2021-09-01 2021-12-28 박광일 갤러리 블록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831B1 (ko) * 2011-03-29 2013-06-10 (주)메카모아 옹벽블록
KR101374053B1 (ko) * 2013-09-23 2014-03-12 (주)그린코리아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럭
KR102137545B1 (ko) * 2020-03-27 2020-07-24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전면판이 구비된 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37538B1 (ko) * 2020-03-27 2020-07-24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절토부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44810B1 (ko) 2021-09-01 2021-12-28 박광일 갤러리 블록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1648U (ko) 보강토 옹벽 블록
CN103403279A (zh) 用于地板覆盖物的系统
KR101285266B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140508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219570B1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KR200429651Y1 (ko)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KR20170009571A (ko) 조립식 옹벽블럭 및 옹벽시공방법
JP4898591B2 (ja) コンクリート版およびコンクリート版の接合構造
WO2003062538A2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1116393B1 (ko) 보강토 옹벽용 블럭
KR200381301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1032968B1 (ko) 보강토블록
KR200429718Y1 (ko)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록
KR100970303B1 (ko) 옹벽블럭
JP2015527512A (ja) 構造ユニット及び位置決め部材
CN210562229U (zh) 土工格栅格室边坡覆绿固土装置
KR101148228B1 (ko)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의 장착구조
KR200429936Y1 (ko) 수직 적층식 옹벽블록
KR101072414B1 (ko) 보강토 옹벽
JP2007314960A (ja) 補強土擁壁構造、及び、補強土擁壁を積層する施工具。
KR100768484B1 (ko) ㄷ자 블록과 i자 블록을 이용한 블록 옹벽
KR100574830B1 (ko)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220100121A (ko) 조립식 옹벽블럭 및 옹벽시공방법
KR200431882Y1 (ko) 블록 조립구조
KR100770041B1 (ko) 조립식 옹벽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