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830B1 -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830B1
KR100574830B1 KR1020040009020A KR20040009020A KR100574830B1 KR 100574830 B1 KR100574830 B1 KR 100574830B1 KR 1020040009020 A KR1020040009020 A KR 1020040009020A KR 20040009020 A KR20040009020 A KR 20040009020A KR 100574830 B1 KR100574830 B1 KR 10057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pin insertion
reinforceme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0861A (ko
Inventor
강용구
Original Assignee
강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구 filed Critical 강용구
Priority to KR102004000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830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곡이 심한 보강토옹벽 시공이 용이하고 흙옹벽 축조시 토질상태에 따라 선택되는 다양한 보강재와 블록과의 결합이 보강된 옹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앙을 관통하여 중앙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 다수의 저면돌기가 형성된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통공은 전면을 향한 변의 중단 부분에 상기 저면돌기가 굴곡부 보강토옹벽 축조시 원활하게 선형을 유지할수 있도록 한 호 형상의 전면 호형부가 형성되고, 양 측벽에 각각 한 쌍의 핀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핀 삽입홈 사이에 핀삽입턱을 더 형성하여 구성되며,
절개지 또는 성토부에 접하는 평평한 지면에 기초 옹벽용 블록을 서로 다른 블록과 대면되게 배치하고, 서로 대면되도록 배치된 기초 옹벽블록들의 상부에 보강재를 올려놓은 후, 보강재의 망눈을 관통하여 고정핀을 블록들의 핀 삽입홈에 삽입하여 보강재가 저층의 블록들에 고정되게 하며, 그 상부에 상층 옹벽블록들을 올려 그 저면에 형성된 저면돌기가 상기 보강재의 망눈을 관통하여 저층에 설치된 옹벽용 블록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관통공에 삽입되게 하는 과정에 의해 시공된다.
옹벽용 블록, 핀삽입홈, 핀 삽입턱, 저면돌기, 전면호형부

Description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A block for revetment and assembly and revetment construc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를 이용하여 일직선상으로 시공한 시공예이고,
도 6은 도 5의 B-B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C-C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호형상으로 시공한 시공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을 내측으로 굽혀지게 호형상으로 시공한 시공예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의 시공에 사용되는 보강재의 일예를 도 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보강재를 이용한 옹벽용 블록의 시공예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고,
도 12내지 도 15는 종래의 옹벽용 블록 및 그 시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블록
10 : 중앙관통공 11 : 전면 호형부 21, 22, 23 : 저면돌기
31, 32 : 핀 삽입턱 41~44 : 핀 삽입홈 50 : 고정핀
60 : 그리드
본 발명은 도로, 하천, 성토지, 방조제등의 보호를 위한 보강토옹벽 축조시 사용되는 옹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토옹벽 축조시 곡선부 시공이 용이하고 다양한 형태의 보강재를 자유롭게 수용하며 그보강재와 옹벽용블록을 보다 견고하게 상호 결합될 수 있게 하여 옹벽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옹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용 블록은 도로, 하천 등의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토사유출 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옹벽이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옹벽의 시공에는 옹벽용 블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옹벽 구조물 구축시에는 옹벽용 블록을 횡열로, 그리고 서로 위로 겹치게 다수 개를 적층시켜 벽을 이루게 되며, 벽뒤쪽에 보강재를 이용한 성토체와 벽 블록이 보강재를 통해 결합하여 하나의 옹벽 구조물을 형성하여 옹벽 구조물이 전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단과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적층된 옹벽용 블록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서 옹벽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 또는 그러한 구조를 갖는 옹벽용 블록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참고적으로 블록 벽 뒤쪽 성토체에 사용되는 보강재는 전 세계적으로 10여종에 이르며, 일반적으로 일체형 및 결합형 2종류의 지오 그리드가 보강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그 모양은 가지 각색이어서 보강재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보강재를 이용한 옹벽용 블록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39040호가 있으나 이는 양 측방에 형성된 돌기를 충분히 서로 결합시키기가 어렵고, 그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가 보강재 구멍과 결합하기가 어렵고 공개특허공보 제 2001-32384호의 옹벽용 블록은 도 12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직선형의 옹벽 축조시에는 문제가 없으나 굴곡부의 옹벽 축조시 보강재의 망눈과 블록에 형성된 고정공이 일치하지 않아 블록과 보강재와 결합력이 약하여 벽이 전도될 위험이 많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옹벽용 블록들은 호형 시공시 그 일측에 형성된 돌기가 중 앙의 관통구멍이 일직선으로 이루어져 돌기가 삽입할 때 서로 다른 층에 설치된 옹벽용 블록들 사이에 옹벽전면 또는 후면으로 밀림이 발생하여 옹벽이 붕괴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층의 옹벽들이 수직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공이 용이하고, 다양한 보강재와 블록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옹벽용 블록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다.
또한 본 발명은 호형상으로 돌출되거나 파인 옹벽에도 용이하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옹벽용 블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용 블록을 다양한 종류의 보강재와 보다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을 관통하여 중앙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 다수의 저면돌기가 형성된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통공은 전면을 향한 변의 중단 부분에 상기 저면돌기가 호 형상의 블록 적충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호 형상의 전면 호형부가 형성되고, 양 측벽에 각각 한 쌍의 핀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용 블록을 조립하는 조립체에 있어서, 중앙을 관 통하여 중앙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 다수의 저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 관통공은 전면을 향한 변의 중단 부분에 상기 저면돌기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호 형상의 전면 호형부가 형성되고, 양 측벽에 각각 한 쌍의 핀 삽입홈이 형성된 옹벽용 블록과 ; 상기 옹벽용 블록의 상부에 놓여지는 다양한 형상의 보강재와 ; 상기 다양한 형상의 보강재의 망눈을 관통하여 상기 옹벽용 블록에 형성된 한 쌍의 핀삽입홈에 그 양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핀 삽입홈 사이에 핀삽입턱을 더 형성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절개지 또는 성토부에 접하는 평평한 지면에 기초 옹벽용 블록을 서로 다른 블록과 대면되게 배치하고, 서로 대면되도록 배치된 기초 옹벽블록들의 상부에 보강재를 올려놓은 후, 보강재의 망눈을 관통하여 고정핀을 블록들의 핀 삽입홈에 삽입하여 보강재가 저층의 블록들에 고정되게 하며, 그 상부에 상층 옹벽블록들을 올려 그 저면에 형성된 저면돌기가 상기 보강재의 망눈을 관통하여 저층에 설치된 옹벽용 블록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관통공에 삽입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에 의해 이루어 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을 일직선상으로 시공한 시공예이고, 도 6은 도 5의 B-B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C-C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호형상으로 시공한 시공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을 내측으로 굽혀지게 호형상으로 시공한 시공예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의 시공에 사용되는 보강재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은 중앙을 관통한 중앙 관통공(10)을 갖는다.
상기 중앙 관통공(10)은 블록이 설치된 상태에서 전면을 향하는 부분이 호형상으로 파여 전면 호형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 호형부(1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용 블록을 호형상으로 시공할 때 그 저면에 형성된 저면돌기(21, 22)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고, 관통공(10)에 저면돌기(21, 22)가 삽입된 상태에서도 상, 하층의 옹벽용 블록(100, 200)들이 서로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은 도 1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측에 각각 한 쌍의 핀 삽입홈(41~44)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핀 삽입홈들(41, 43)과 다른 한 쌍의 핀삽입홈들(42, 44) 사이에는 핀 삽입턱(31, 32)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 삽입홈(41~44)은 후술하는 고정핀(50)이 삽입되는 홈으로서 도 4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재(60)에 형성된 망눈을 관통하여 삽입된 고정핀(50)이 삽입된다.
상기 핀 삽입홈들(41~43)사이에 형성된 핀 삽입턱(31, 3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의 하단 부분에 형성되며, 아래층 옹벽용 블록(200)의 핀 삽입홈(41, 43)에 삽입되는 고정핀(50)의 위 부분이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은 그 저면의 양 가장자리 부분에 저면 돌기(21, 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면돌기(21, 2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층에 설치된 옹벽용 블록(200)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관통공(10)에 삽입되는 돌기로서 서로 다른 층들의 블록들(100, 200)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저면돌기(21, 2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기둥으로 형성함으로서 호 형상의 블록적충시 선형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다른 블록의 중앙 관통공(10)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옹벽용 블록의 저면의 배면을 향한 부분에는 또 다른 저면돌기(23)를 형성하여 이것이 보강재(60)의 망눈 사이에 끼이게 함으로서 블록이 망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옹벽용 블록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을 사다리꼴을 이루게 형성함으로서 볼록하게 돌출된 옹벽을 형성할 때 보다 용이하게 시 공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옹벽용 블록을 시공함에 사용되는 즉, 다양한 형상의 보강재와 블록을 결합시킴에 사용되는 조립 수단으로는 고정핀(50)과 보강재(6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50)은 도 4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용 블록(100, 200)의 양측에 형성된 핀 삽입홈(41~44)에 삽입 설치되는 핀으로서 "
Figure 112004005710359-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양단의 하향 절곡된 부분이 블록들(100, 200)에 형성된 한 쌍의 핀 삽입홈(41, 43, 42, 44)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고정핀(50)과 옹벽용 블록(100, 200) 사이에는 보강재(60)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재(6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망체 형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층의 옹벽용 블록들(100, 200)사이에 설치되고, 그 일측 단부가 옹벽을 이루는 토사나 암석에 매설되어 고정된다.
상기 보강재(60)는 도 4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눈 형상의 망체 형상을 이루거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눈이 긴 망체가 될 수 있으며 그 재질 또한 연질에서 강질까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옹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를 이용하여 옹벽을 구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개지 또는 성토부에 접하는 평평한 지면에 옹벽용 블록(200)을 서로 다른 블록과 대면되게 배치한다.
이때 바닥에 보강재(60)를 설치한 후 고정핀(50)을 고정한 후 1층의 블록(200)을 시공할 수 있다.
서로 대면되도록 배치된 블록들(200)의 상부에 보강재(60)를 올려놓은 후, 보강재(60)의 망눈을 관통하여 고정핀(50)을 블록들(200)의 핀 삽입홈(41~44)에 삽입하여 보강재(60)가 1층의 블록들(200)에 고정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1층의 블록들(200)이 설치되고 그 위에 보강재(60) 및 고정핀(50)이 설치되며, 그 상부에 2층 블록(100)을 올려 그 저면에 형성된 저면돌기(21, 22)가 상기 보강재(60)의 망눈을 관통하여 1층에 설치된 옹벽용 블록(200)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관통공(10)에 삽입되게 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시공되는 옹벽용 블록은 각층마다 보강재(60)를 설치할 수 있으나, 이렇게 각층마다 보강재(60)를 설치할 경우 시공 과정이 너무 복잡하고 많은 자재가 낭비되므로 옹벽이 시공되는 절개지 또는 성토부의 토질에 따라 격층마다 설치하거나 소정의 층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블록은 그 양측에 형성된 핀삽입홈에 고정핀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블록이 보강재에 고정되게 하여 블록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고정핀을 "
Figure 112004005710359-pat00002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고정핀이 보강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의 저면 양측 즉, 핀 삽입홈들 사이에 핀 삽입턱을 형성함으로서 아래층의 블록에 설치된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아래층 블록과 위층 블록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을 전체 적으로 사다리꼴로 형성함으로서 호형상으로 돌출된 옹벽의 시공이 용이하다.

Claims (7)

  1. 중앙을 관통하여 중앙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 다수의 저면돌기가 형성된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통공은 전면을 향한 변의 중단 부분에 상기 저면돌기가 호 형상의 블록적충시 블록이 뒤 또는 앞으로 밀림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호 형상의 전면 호형부가 형성되고, 양 측벽에 각각 한 쌍의 핀 삽입홈과 핀을고정할수있는 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2. 옹벽용 블록을 조립하는 조립체에 있어서,
    중앙을 관통하여 중앙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 다수의 저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 관통공은 전면을 향한 변의 중단 부분에 상기 저면돌기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호 형상의 전면 호형부가 형성되고, 양 측벽에 각각 한 쌍의 핀 삽입홈이 형성된 옹벽용 블록과 ;
    상기 옹벽용 블록의 상부에 놓여지는 망체 형상의 그리드와 ;
    상기 망체 형상의 그리드의 망눈을 관통하여 상기 옹벽용 블록에 형성된 한 쌍의 핀삽입홈에 그 양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3. 제 2 항의 옹벽 조립체를 이용한 옹벽용 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절개지 또는 성토부에 접하는 평평한 지면에 기초 옹벽용 블록을 서로 다른 블록과 대면되게 배치하고, 서로 대면되도록 배치된 기초 옹벽블록들의 상부에 보강재를 올려놓은 후, 보강재의 망눈을 관통하여 고정핀을 블록들의 핀 삽입홈에 삽입하여 보강재가 저층의 블록들에 고정되게 하며, 그 상부에 상층 옹벽블록들을 올려 그 저면에 형성된 저면돌기가 상기 보강재의 망눈을 관통하여 저층에 설치된 옹벽용 블록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관통공에 삽입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4. 제 1 항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핀 삽입홈 사이에 핀삽입턱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5. 제 1 항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
    Figure 112004005710359-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6. 제 1 항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블록은 평면에서 도시하였을 때 광폭부와 협폭부를 갖는 사다리 꼴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7. 제 1 항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블록은 저면에 형성된 저면돌기는 사다리꼴의 기둥임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KR1020040009020A 2004-02-11 2004-02-11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574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020A KR100574830B1 (ko) 2004-02-11 2004-02-11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020A KR100574830B1 (ko) 2004-02-11 2004-02-11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439U Division KR200352266Y1 (ko) 2004-02-11 2004-02-11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861A KR20050080861A (ko) 2005-08-18
KR100574830B1 true KR100574830B1 (ko) 2006-05-02

Family

ID=3726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020A KR100574830B1 (ko) 2004-02-11 2004-02-11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8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999B1 (ko) * 2007-12-14 2008-12-11 서동수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KR101331826B1 (ko) * 2013-06-11 2013-11-20 (주)영신콘크리트산업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151B1 (ko) * 2011-03-04 2013-04-25 다성기업(주) 옹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
KR200489624Y1 (ko) 2015-07-17 2019-07-12 성기호 옹벽용 블록 구조체
CN115748740A (zh) * 2022-12-21 2023-03-07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沟谷大跨内凹拱式加筋土挡墙支护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999B1 (ko) * 2007-12-14 2008-12-11 서동수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KR101331826B1 (ko) * 2013-06-11 2013-11-20 (주)영신콘크리트산업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861A (ko)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729B2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AU2008202542A1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1439314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금속 스트립 보강재
AU2003210567A1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0574830B1 (ko)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190057208A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200402396Y1 (ko) 식재용 옹벽 블록
KR200352266Y1 (ko)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
KR20060026098A (ko) 옹벽 블럭 구조
KR200339448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20060089367A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200429936Y1 (ko) 수직 적층식 옹벽블록
KR101265079B1 (ko)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KR200358082Y1 (ko) 조적식 옹벽블록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2135475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옹벽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100574778B1 (ko) 식생 보강토 옹벽 블록
JP3227020U (ja) 堤防補強装置
KR100872999B1 (ko)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JP2004308244A (ja) 擁壁ブロックおよび仕切り板ならびに擁壁の構築方法
JP3374975B2 (ja) 補強土構造体
JP2002220834A (ja) 補強土構造物および補強土ブロック
KR100993140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JPH09170240A (ja) 擁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擁壁
KR20090028184A (ko) 금속 보강재를 이용한 옹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