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189U - 탈부착이 용이한 환풍장치가 구비된 한약장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한 환풍장치가 구비된 한약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189U
KR20090009189U KR2020080003122U KR20080003122U KR20090009189U KR 20090009189 U KR20090009189 U KR 20090009189U KR 2020080003122 U KR2020080003122 U KR 2020080003122U KR 20080003122 U KR20080003122 U KR 20080003122U KR 20090009189 U KR20090009189 U KR 200900091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ase
herbal medicine
medicine cabinet
ventilato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중
Original Assignee
윤성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중 filed Critical 윤성중
Priority to KR2020080003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189U/ko
Publication of KR200900091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1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04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integrated in or forming part of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약재가 수용되는 보관함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을 위해 구비되는 환풍기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되는 한약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장은 한약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보관함이 구비되며, 각 보관함이 구비되는 수용부 중 하나 이상의 수용부에 공기의 환풍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한약장 본체와; 상기 한약장 본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한약장 본체에 형성된 배출부와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장착베이스와; 상기 장착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끼워지는 결합구멍이 구비되는 환풍기와; 상기 환풍기가 장착베이스에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한약장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을 위한 환풍기의 장착 및/또는 장착된 환풍기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한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환풍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감소와 한약장 외부로부터 벌레 또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P2020080003122
한약장, 환풍, 유로, 습도 조절, 온도 조절, 탈부착, 수리, 교환

Description

탈부착이 용이한 환풍장치가 구비된 한약장{A HERB MEDICINE STORAGE CLOSET HAVING VENTILATION FAN CAPABLE OF EASILY JOIN AND SEPERATION}
본 고안은 한약재가 수용되는 보관함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을 위해 구비되는 환풍기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되는 한약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장은 한약을 취급하는 판매자 또는 한의사가 생 약재, 약초, 약용식물 등을 포함하는 한약재를 보관 또는 임시 저장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한약장에 보관되는 한약재는 그 저장방법에 따라서 한약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예를 들어, 생 약재는 될 수 있는 한 곤충이나 다른 동물에서 유래하는 물질 또는 동물의 배설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보관되어야 하고, 또한, 곰팡이 또는 그 밖의 변질의 징조가 없어야 한다. 따라서, 한약장에 보관 또는 임시 저장되는 한약재는 습기 및/또는 충해를 피하여 저장하여야 하며, 직사광선을 피한 저온 냉암 소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한약재 저장시 주의하여야 할 사항은 방습, 방충, 곰팡이 방지, 광선의 차단, 일정한 온도 유지이며, 이러한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한 약재를 종이봉지에 넣어 천정에 매달아 놓는 방법이 있고, 또한 주로 방습을 목적으로 하는 특수한 나무로 만든 한약 장을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는 보관 방식이다.
요즈음은 과거와 달리 한약재를 한꺼번에 많이 구입해 한의원에 쌓아두는 일이 드물고, 마대자루나 큰 종이 봉투에 넣어두는 것이 아니어서 과거보다는 보관이 한결 쉬워졌다. 예를 들어, 한약 재들은 대부분 500∼600g 단위로 포장되거나, 사용량이 많은 한약재의 경우 3kg 내지 6kg 단위로 포장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량의 단위로 보관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예를 들어 장마 등과 같은 시기에는 한약재의 보관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한약재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인 것으로는 온도와 습도·빛·효소 등과 미생물의 발생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한약재는 보통 저온(低溫),저습(低濕),암소(暗所),방충(防蟲) 등을 염두에 두고 보관·관리해야 하는데, 한약재의 최대 문제점은 고온다습(高溫多濕)한 환경이고, 이와 같이 고온 다습한 하 절기에 가장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곰팡이다. 공기 중에는 다량의 곰팡이가 떠다니고 있으며, 그러다가 온도와 습도가 적당해지면 즉시 균사를 퍼뜨려 효소를 분비한다. 곰팡이의 균사가 한약재에 포착하면 내부조직을 용식(溶蝕) 하고, 유효성분의 변화를 촉진시켜 효능을 떨어뜨린다.
종래에는 한약재의 보관을 위하여 복수의 보관함이 구비되는 한약장을 구비하여, 한약재를 각 종류별로 보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한약장은 각 종류에 따른 한약재의 보관을 위한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한약재 의 보관에 어려움이 따르고, 또한, 하 절기에는 일부 한약재의 변질, 곰팡이 발생 또는 벌레 발생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환풍기능을 갖는 한약장(실용신안등록 제0415139호)을 제안한 바 있다. 즉,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한약장(1)은 한약재가 보관 및/또는 수용되는 복수의 보관함(14)이 입출 가능하게 구비되는는 수용부(12)가 서로 연락 가능하도록 환풍유로(13)를 구비하는 한약장 본체(10)에 환풍기(20)가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환풍기(20)는 한약장 본체(10)에 형성되는 배출구(10a)를 통해 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환풍기(20)는 제어부(30)에 의해 환풍기(20)의 구동 속도,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한약장(10)은 환풍을 위하여 구비되는 환풍기(20)가 수용부(12)의 내부 위치에 배치되어 한약장 본체(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중 환풍기의 고장 등이 발생할 경우, 환풍기의 수리 또는 교환을 위하여 환풍기를 분리하거나 다시 장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한약장을 리폼(개조)하여 환풍기를 장착하는 경우, 작업공간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환풍기를 한약장 본체의 내부에 장착하는 데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이 기존 한약장을 개조하여 환풍 기능을 부가한 경우에도, 사용중 환풍기의 수리 또는 교환을 위하여 환풍기를 분리하거나 다시 장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한약장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목적은 한약장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을 위하여 장착되는 환풍기의 설치 및/또는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한 경우, 환풍기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목적은 기존의 한약장을 개조하여 한약장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을 위하여 환풍기를 한약장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또는 장착 후 교체나 수리가 필요하여 환풍기를 분리 및 재장착하는 경우 환풍기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한약장의 내부에 환풍기를 장착 또는 재장착하는 경우, 결합위치의 안내가 가능하도록 하여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한약장 내부에 설치되는 환풍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을 위하여 장착되는 환풍기를 통해 한약장 외부로부터 벌레 또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한약장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을 위하여 구비되는 환풍기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한약장은 한약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보관함이 구비되며, 각 보관함이 구비되는 수용부 중 하나 이상의 수용부에 공기의 환풍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한약장 본체와; 한약장 본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한약장 본체에 형성된 배출부와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장착베이스와; 장착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부재에 끼워지는 결합구멍이 구비되는 환풍기와; 환풍기가 장착베이스에 고정되도록 결합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장착베이스 몸체는 한약장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장착베이스에 형성되는 유로로 벌레 또는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충망은 한약장 본체와 장착베이스 몸체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장착베이스의 유로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장착베이스 몸체는 적어도 어느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환풍기의 탈착시 결합이 용이하도록 장착위치를 안내하는 위치고정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장착베이스는 결합부재의 머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부재는 장착베이스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부재에 의해 장착베이스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장착베이스는 고정부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장착베이스 몸체와 환풍기 사이에는 방진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장착베이스 몸체는 한약장 본체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되거나, 또는 한약장 본체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한약장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을 위한 환풍기의 장착 및/또는 장착된 환풍기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한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한약장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을 위하여 기존의 한약장을 개조하여 한약장 내부에 환풍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환풍기의 장착이 용이하며, 장착된 환풍기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한 분리 및 재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환풍기가 결합되는 위치의 안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한약장의 내부에 환풍기를 장착 또는 재장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한약장 내부에 설치되는 환풍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을 위하여 장착되 는 환풍기를 통해 한약장 외부로부터 벌레 또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와 관련된 탈부착이 용이한 환풍장치가 구비된 한약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고안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고안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한약장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을 위하여 구비되는 환풍기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2a 및 도 2b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장(1000)에 구비되는 환풍장치(100)의 구성에 관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환풍장치(100)는 한약장(1000)의 내부에 고정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장착베이 스(110)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베이스(110)에 환풍기(12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약장 본체(1100)에 고정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상기 장착베이스(110)는 환풍기(120)의 탈부착 가능한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의 구성에 관한 일 예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장착베이스(110)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12a)와 상기 결합부재(112a)의 일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11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재(112a)는 볼트 또는 나사 등과 같은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베이스(110)에 형성되는 구멍(111b)에 삽입되어 결합부재(112a)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머리가 상기 구멍(111b)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재(112a)의 머리가 결합되는 장착베이스(110)의 외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고 결합부재(112a)의 머리가 위치되는 장착베이스(110)의 구멍(111b) 주위에는 삽입홈(111c)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112a)의 머리가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112a)는 볼트 또는 나사 등과 같이 일 단부에 머리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별도의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결합부재(112a)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머리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12a)가 볼트 또는 나사 등과 같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체결부재(112b)는 너트(나비 너트를 포함) 등과 같은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112a)가 구비되는 장착베이스(110)는 한약장 본체(1100)에 형성되는 배출구(1100a)와 연결되는 유로(111a)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유로(111a)는 단순한 구멍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장착베이스(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환풍기(120)는 중앙에 유로(121a)가 형성되는 환풍기 몸체(121)가 구비되고, 상기 환풍기 몸체(121)의 유로(121a)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23b)와 회전 간으하게 구비되는 날개(123a)로 구성되는 환풍팬(123)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풍기 몸체(121)에는 상기 장착베이스(110)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12a)가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구멍(12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환풍기(120)는 상기 장착베이스(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후, 즉, 상기 결합구멍(121b)이 상기 결합부재(112a)에 끼워지는 상태로 장착된 후 체결부재(112b)가 상기 결합부재(112a)에 결합되어 상기 환풍기(120)가 장착베이스(110)에 결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베이스(110)에는 상기 환풍기(120)가 결합위치로 안내가 용이하도록 위치고정부(111d)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111d)는 환풍기(120)의 장착시 환풍기 몸체(121)에 형성되는 결합구멍(121b)이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111)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12a)의 위치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풍기(120)가 상기 장착베이스(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도록 체결부재(112b)가 결합되는 동안 환풍기(120)가 위치고정부(111d)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환풍기(12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111)의 일 측면에는 방충망(13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방충망(130)은 한약장(1000)의 외부로부터 쥐나 벌레 또는 해충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먼지의 유입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충망(13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충망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충망(13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장착베이스 몸체(111)의 일 측면과 상응하는 면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111)에 형성되는 유로(111a)에 상응하는 면적과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환풍기(120)는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위치에 안전망(15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안전망(150)은 상기 결합부재(112a) 및 체결부재(112b)에 의해 장착되는 위치가 고정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에는 상기 황풍장치(100)의 다른 구성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환풍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장착베이스 몸체(111)에 구비되는 위치고정부(111d)가 상기 환풍기 몸체(121)의 하부면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위치뿐만 아니라 상기 환풍기 몸체(121)의 측면 및/또는 상부면이 안내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에는 장착베이스(110)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12a)가 구멍(111b)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112a)가 구멍(111b)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부재(112c)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112c)는 너트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클램핑 부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12c)가 상기 결합부재(112a)를 고정하기 위하여 결합 된 상태에서 장착베이스 몸체(111)의 외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재(112c)가 위치되는 장착베이스(110)의 구멍(111b) 주위에는 또 다른 삽입홈(111e)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4b의 도시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2c)는 결합부재(112a)가 장착베이스 몸체(111)에 고정되게 결합될 때, 상기 삽입홈(111e)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환풍기(120)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111)와 환풍기 몸체(121) 사이에는 방진부재(14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진부재(140)는 중앙에 유로(140a)가 형성되는 단일 패드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111)와 환풍기 몸체(121)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방진부재(140)는 장착베이스 몸체(111)와 환풍기 몸체(121) 사이의 부분적인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진부재(140)가 상기 결합부재(112a)에 끼워지는 상태로 국부적인 영역에 배치되어 환풍기(120)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진부재(140)는 위치고정부(111d)와 환풍기 몸체(121)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환풍장치(100)는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약장 본체(1100)의 내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약장(1000)은 보관함이 입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수용부(1120)가 층간 구획부(1110)에 의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층간 구획부(1110)는 각 층간 수용부(11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환풍유로(1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황풍장치(100)가 작동되면, 상기 환풍장치(100)가 구비되는 수용부(1120)의 내부 공기를 환풍장치(10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고, 다른 층을 이루는 수용부(1120)의 내부 공기는 상기 환풍유로(1130)를 통해 환풍장치(100)가 구비되는 수용부(1120)로 유입되어 환풍장치(10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환풍장치(100)의 장착은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111)의 일면이 상기 수용부(1120)의 내부면을 이루는 한약장 본체(1100)의 내부면에 접하는 상태로 접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합부재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접합부재를 이용하여 접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순간 접착이 가능한 "글루건(상표명"을 이용한 접합, "실리콘 접합제"를 이용한 접합, 아교 또는 본드 등과 같은 접합제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환풍장치(100)의 장착은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111)의 일면이 상기 수용부(1120)의 내부면을 이루는 한약장 본체(1100)의 내부면에 접하는 상태에서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로는 나사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결합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환풍장치(100)는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111)의 둘레 면에서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111)의 둘레 면에 장착되는 날개(111f)가 더 구비되어 결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날개(111f)는 일 단부가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111)의 둘레 면에 결합 또는 연장되고, 다른 일 단부가 수용부(1120)를 이루는 내부면(예를 들어 층간 구획부 등)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환풍장치(100)의 장착위치가 안내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충분한 결합면을 이루게 되어 결합력이 보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환풍장치(100)는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약장 본체(1100)에 형성되는 배출구(1100a)에 상기 장착베이스(110)가 삽입되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환풍장치(100)의 장착은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111)의 둘레면이 배출구(1100a)의 내측 테두리면에 접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접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장착베이스(110)는 외부 둘레면에 수용부(1120)의 내부 높이 및/또는 폭과 상응하는 크기로 연장되는 날개부(미도시)가 연장되어 수용부(1120)의 상,하부면 및/또는 좌,우측 면에 밀착되어 환풍장치(100)의 장착시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환풍장치(100)는 한약장(1000)에 장착할 경우, 상기 환풍기(120)가 장착베이스(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환풍장치(100)를 상기 한약장 본체(1100)에 구비되는 배출구(1100a)를 통해 내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환풍기(120)가 장착베이스(110)와 분리된 상태에서 장착베이스(110)를 상기 한약장 본체(1100)에 구비되는 배출구(1100a)와 장착베이스(110)의 유로(111a)가 연결되도록 한약장 본체(1100)에 결합한 후, 상기 장착베이스(110)에 상기 환풍기(120)를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환풍장치(100)가 한약장(1000)에 장착된 후에는 환풍장치(100) 전체를 한약장(100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상기 환풍기(120)만 별도로 분리 및 재장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환풍기(120)의 수리 등을 위한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설명된 탈부착이 용이한 환풍장치가 구비된 한약장에 관한 실시예로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a는 환풍기능이 부가된 종래의 개선된 한약장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한약장의 내부 고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환풍기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환풍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 에 도시된 환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환풍기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환풍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환풍기의 탈부착을 위한 결합부재가 장착베이스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부재에 의해 체결되기 전과 체결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장착베이스와 환풍기 사이에 방진부재가 더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풍장치가 한약장 본체에 장착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풍장치가 한약장 본체에 장착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0 ... 한약장 1100 ... 한약장 본체
1100a ... 배출구 1110 ... 층간 구획부
1120 ... 수용부 1130 ... 환풍유로
100 ... 환풍장치 110 ... 장착베이스
111 ... 장착베이스 몸체 111a,121a,140a ... 유로
111b ... 구멍 111c,111e ... 삽입홈
111d ... 위치고정부 112a ... 결합부재
112b ... 체결부재 112c ... 고정부재
120 ... 환풍기 121 ... 환풍기 몸체
123 ... 환풍팬 123a ... 날개
123b ... 모터 130 ... 방충망
140 ... 방진부재

Claims (9)

  1. 한약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보관함이 구비되며, 각 보관함이 구비되는 수용부 중 하나 이상의 수용부에 공기의 환풍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한약장 본체와;
    상기 한약장 본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한약장 본체에 형성된 배출부와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장착베이스와;
    상기 장착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끼워지는 결합구멍이 구비되는 환풍기와;
    상기 환풍기가 장착베이스에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는 한약장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장착베이스에 형성되는 유로로 벌레 또는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은 한약장 본체와 장착베이스 몸체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장착베이스의 유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와 환풍기 사이에는 방진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는 적어도 어느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환풍기의 탈착시 결합이 용이하도록 장착위치를 안내하는 위치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베이스는 결합부재의 머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장착베이스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부재에 의해 장착베이스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베이스는 고정부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베이스 몸체는 한약장 본체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되거나, 또는 한약장 본체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KR2020080003122U 2008-03-10 2008-03-10 탈부착이 용이한 환풍장치가 구비된 한약장 KR200900091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22U KR20090009189U (ko) 2008-03-10 2008-03-10 탈부착이 용이한 환풍장치가 구비된 한약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22U KR20090009189U (ko) 2008-03-10 2008-03-10 탈부착이 용이한 환풍장치가 구비된 한약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189U true KR20090009189U (ko) 2009-09-15

Family

ID=4153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122U KR20090009189U (ko) 2008-03-10 2008-03-10 탈부착이 용이한 환풍장치가 구비된 한약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18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247B1 (ko) 가습청정장치
ES2741436T3 (es) Trampa para insectos que tiene un amortiguador accionado por aire
US8480359B2 (en) Blower
JPH05193376A (ja)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の冷却構造
JPH10230743A (ja) 保管チャンバ
US11466876B2 (en) Humidifier
BRPI0718236A2 (pt) Instalação de ar condicionado e/ou calefação com caixa montada
KR102560978B1 (ko)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JP5832214B2 (ja) 加湿装置
CN108278756A (zh) 净化模组及空调器
JP2008157576A (ja) 加湿機
KR20090009189U (ko) 탈부착이 용이한 환풍장치가 구비된 한약장
CN208637868U (zh) 具有防潮功能的配电箱
WO2016031782A1 (ja) 空気清浄機
US6858054B2 (en) Fan assembly and storage chamber utilizing a fan assembly
CN207881130U (zh) 博物馆中央空调出风装置
CN210258802U (zh) 一种船舶船舱的通风装置
KR20090008762U (ko)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
KR101201514B1 (ko) 공기청정가습기의 디스크 조립체
US5220881A (en) Fish tank ventilation apparatus
CN218278288U (zh) 一种用于蜜蜂授粉的纸箱蜂箱结构
CN208456902U (zh) 一种风扇模组
JP2002204824A (ja) 消臭装置及び消臭装置付き下駄箱
CN205385364U (zh) 一种发电机护罩以及具有该护罩的交流发电机
CN108736350A (zh) 具有强散热结构的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