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762U -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 - Google Patents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762U
KR20090008762U KR2020080002569U KR20080002569U KR20090008762U KR 20090008762 U KR20090008762 U KR 20090008762U KR 2020080002569 U KR2020080002569 U KR 2020080002569U KR 20080002569 U KR20080002569 U KR 20080002569U KR 20090008762 U KR20090008762 U KR 200900087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medicine
medicine cabinet
air
main body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중
Original Assignee
윤성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중 filed Critical 윤성중
Priority to KR2020080002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762U/ko
Publication of KR200900087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762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약재가 수용되는 보관함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환풍 기능이 구비되는 한약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장은 한약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보관함이 구비되며, 각 보관함이 구비되는 수용부에 공기의 환풍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본체와; 일 단부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다른 일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한약장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 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한약장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환풍장치가 한약장과 독립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한약장의 재배치와 환풍장치의 수리 및/또는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절기에도 한약재의 변질, 곰팡이 발생 또는 벌레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A HERB MEDICINE STORAGE CLOSET WITH VENTILATION FUNCTION}
본 고안은 한약재가 수용되는 보관함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환풍 기능이 구비되는 한약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장은 한약을 취급하는 판매자 또는 한의사가 생 약재, 약초, 약용식물 등을 포함하는 한약재를 보관 또는 임시 저장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한약장에 보관되는 한약재는 그 저장방법에 따라서 한약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예를 들어, 생 약재는 될 수 있는 한 곤충이나 다른 동물에서 유래하는 물질 또는 동물의 배설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보관되어야 하고, 또한, 곰팡이 또는 그 밖의 변질의 징조가 없어야 한다. 따라서, 한약장에 보관 또는 임시 저장되는 한약재는 습기 및/또는 충해를 피하여 저장하여야 하며, 직사광선을 피한 저온 냉암 소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한약재 저장시 주의하여야 할 사항은 방습, 방충, 곰팡이 방지, 광선의 차단, 일정한 온도 유지이며, 이러한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한약재를 종이봉지에 넣어 천정에 매달아 놓는 방법이 있고, 또한 주로 방습을 목적으로 하는 특수한 나무로 만든 한약 장을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는 보관 방식이다.
요즈음은 과거와 달리 한약재를 한꺼번에 많이 구입해 한의원에 쌓아두는 일이 드물고, 마대자루나 큰 종이 봉투에 넣어두는 것이 아니어서 과거보다는 보관이 한결 쉬워졌다. 예를 들어, 한약 재들은 대부분 500∼600g 단위로 포장되거나, 사용량이 많은 한약재의 경우 3kg 내지 6kg 단위로 포장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량의 단위로 보관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예를 들어 장마 등과 같은 시기에는 한약재의 보관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한약재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인 것으로는 온도와 습도·빛·효소 등과 미생물의 발생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한약재는 보통 저온(低溫),저습(低濕),암소(暗所),방충(防蟲) 등을 염두에 두고 보관·관리해야 하는데, 한약재의 최대 문제점은 고온다습(高溫多濕)한 환경이고, 이와 같이 고온 다습한 하 절기에 가장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곰팡이다. 공기 중에는 다량의 곰팡이가 떠다니고 있으며, 그러다가 온도와 습도가 적당해지면 즉시 균사를 퍼뜨려 효소를 분비한다. 곰팡이의 균사가 한약재에 포착하면 내부조직을 용식(溶蝕) 하고, 유효성분의 변화를 촉진시켜 효능을 떨어뜨린다.
종래에는 한약재의 보관을 위하여 복수의 보관함이 구비되는 한약장을 구비하여, 한약재를 각 종류별로 보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한약장은 각 종류에 따른 한약재의 보관을 위한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한약재의 보관에 어려움이 따르고, 또한, 하 절기에는 일부 한약재의 변질, 곰팡이 발생 또는 벌레 발생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환풍기능을 갖는 한약장(실용신안등록 제0415139호)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약장에 있어서도, 한약장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기의 조절을 위하여 환기를 수행하는 환풍수단이 한약장에 결합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하절기 등과 같은 환경에서 한약장이 한약실 등과 같은 실내에 배치되는 경우, 환풍수단에 의해 한약장의 내부에서 배출된 공기는 다시 한약장의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한약장의 내부 온도 및/또는 습도를 조절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한약장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환풍수단이 한약장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환풍수단의 고장시 교환 및/또는 수선이 용이하지 않고, 환풍수단에 의해 한약장의 내부 공간이 제약을 받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환풍수단의 작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한약장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목적은 한약장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 효율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일 목적은 한약장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킴으로써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하 절기에도 한약재의 변질, 곰팡이 발생 또는 벌레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한약장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환풍장치가 한약장과 독립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한약장의 재배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환풍장치의 고장시 수리 및/또는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한약재가 보관 및/또는 임시 저장되는 한약장과 한약장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환풍장치가 독립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은 한약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보관함이 구비되며, 각 보관함이 구비되는 수용부에 공기의 환풍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한약장 본체와; 일 단부가 한약장 본체에 연결되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관과; 연결관의 다른 일 단부에 연결되어 한약장 본체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환풍장치는 연결관이 결합되며, 연결관을 따라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한 유속 증가부가 구비되는 환풍장치 본체와; 유속 증가부와 대향하는 본체의 내부 위치에 장착되는 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팬은 수리 또는 교환이 용이하도록 환풍장치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한약장 본체는 각 수용부 사이에 환풍유로가 형성되어 수용부 사이에 공기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연결관은 한약장 본체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출구에는 연결관의 결합되는 영역에 흡입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한약장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조절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한약장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환풍장치가 한약장과 독립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한약장의 재배치가 용이하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환풍장치의 고장시 수리 및/또는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한약장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킴으로써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하절기에도 한약재의 변질, 곰팡이 발생 또는 벌레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의 구성을 개략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의 구성을 개략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한약장의 본체와 연결관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한약장의 본체와 연결관의 연결 구조의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한약장 본체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분기구조를 이루는 연결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환풍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한약장 100a,100b,100c ... 본체
110 ... 수용부 110a ... 개구부
110b ... 배출구 110c ... 환풍유로
120 ... 보관함 130 ... 환풍장치
131 ... 본체 132 ... 팬
133 ... 연결관 134 ... 밀봉부
135 ... 어댑터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와 관련된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고안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고안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한약재가 보관 및/또는 임시 저장되는 한약장과 한약장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환풍장치가 독립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1a 및 도 1b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100)의 구성에 관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한약장(100)은 하나 이상의 본체(100a,100b,100b)에 한약재를 보관 및/또는 임시 저장하기 위하여 복수의 보관함(120)이 구비된다. 상기 보관함(120)은 상기 본체(100a,100b,100b)에 구비되는 수용부(110)에 입출 가능한 서랍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0a,100b,100b)는 한약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보관함(120)이 서랍식으로 구성되는 통상적인 목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0a,100b,100b)에 구비되는 수용부(110)는 상기 보관함(120)이 출입 가능하도록 일 측 위치에 개구부(110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0a)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수용부(110)의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10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110)는 각 보관함(120)마다 구획된 영역으로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구(110b)는 독립된 각 수용부(110) 마다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수용부(110)는 전체 보관함(120)이 배치되는 영역에 대하여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구(110b)는 상기 개구부(110a)와 대향하는 본체(100a,100b,100c)의 어느 일 또는 그 이상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보관함(120)의 일부가 단위 영역을 이루도록 부분적인 개방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구(110b)는 단위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용부(110b) 마다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한약장(10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한약장(100)은 하나 이상의 본체(100a,100b,100b)에 한약재를 보관 및/또는 임시 저장하기 위하여 복수의 보관함(1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a,100b,100b)에 구비되는 상기 보관함(120)은 수용부(110)에 형성되는 개구부(110a)를 통해 입출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또한 상기 수용부(110)에는 상기 개구부(110a)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수용부(110)의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1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110)는 복수의 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층간 수용부(110)는 서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풍유로(110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10)는 전체 보관함(120)이 배치되는 영역에 대하여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환풍유로(110c)가 구비되는 경우, 층간 수용부(110) 간의 유로가 확보되어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배출구(110b)는 상기 개구부(110a)와 대향하는 본체(100a,100b,100c)의 어느 일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구(110b)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구(110b)에는 상기 한약재를 수용 및/또는 임시 저장하는 보관함(120)이 구비되는 수용부(110)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연결관(133)이 결합된다.
상기 수용부(110)가 각각의 보관함(120)마다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보관함(120)의 일부가 단위 영역을 이루도록 부분적인 개방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연결관(133)은 도시된 것과 같이, 일 단부가 복수의 관으로 분기되어 상기 배출구(110b)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일 단부는 하나의 관으로 이루어져 이하 설명되는 환풍장치(1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수용부(110)가 각 보관함(120)이 배치되는 영역에 대하여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110)에 단일 배출구(110b)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관(133)은 분기되지 않고 양단부가 단일관의 구조로 이루어져 각각 상기 배출구(110b)와 환풍장치(1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상기 연결관(133)은 상기 한약장(100)의 설치 및/또는 배치변경이 용이하도록, 상기 배출구(11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배출부(110b)에는 밀봉부(134)가 결합되고, 상기 밀봉부(134)에 연결관(133)이 직접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도시된 것과 같이, 어댑터(135)를 통해 연결관(133)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밀봉부(134)는 환풍장치(130)에 의해 상기 수용부(110) 내의 공기가 흡입될 때, 즉, 상기 수용부(110)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연결관(133)과 배출부(110b)의 연결부위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134)는 도시된 것과 같이, 테두리 영역이 플랜지 구조로 이루어져 본체(100a)의 배출구(110b)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관(133)이 결합될 때, 배출구(110b)와 연결관(133) 사이에 배치되어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밀봉부(134)의 다른 구성에 대한 예로,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는 암,수 밀봉부(134a,134b)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암 밀봉부(134a)는 일 단부가 플랜지 구조로 이루어지고, 다른 일 단부에 나사구조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a)의 배출구(110b)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숫 밀봉부(134b)와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상기 배출구(110b)에 연결관(133)이 결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출구(110b)는 마개(미 도시)를 결합하여 외부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a,100b,100c)에 복수의 배출구(110b)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상기 연결관(133)은 일 단부가 분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어댑터(135)를 이용하여 분기된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댑터(135)는 일 단부가 복수의 분기관(134a,135b,135c)이 구비되는 분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어댑터(135)의 일 단부에는 환풍장치(130) 또는 다른 어댑터(135)의 분기관(134a,135b,135c)에 연결되는 연결관(133)이 결합되고, 다른 일 단부인 분기관(134a,135b,135c)에는 배출구(110b)에 결합되는 연결관(133)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나의 환풍장치(130)로 복수의 배출구(110b)를 통해 상기 수용부(11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10)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환풍장치(133)의 일 예에 대한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측에 상기 연결관(133)이 결합되고, 다른 일 측은 개구된 환풍장치(130)의 본체(131)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31)의 개부구에는 모터(132b)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날개(132c)가 구비되는 팬(132)이 장착되어 상기 연결관(133)을 통해 수용부(110)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팬(132)은 프레임 또는 케이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132a)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31)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환풍장치(130)는 연결관(133)이 연결되는 본체(131)의 영역에 유속증가부(131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유속증가부(131a)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팬(132)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층적으로 확대되되도록 구성하고, 팬(132)이 배치되는 영역이 최대 단면적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수요부(110)로부터 공기의 흡입력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풍장치(130)는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31)에 바퀴(131b)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환풍장치(130)는 시간 조절, 팬(132)의 회전속도 조절 및 구동의 온-오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환풍장치(130)는 설정된 시간에 따라 환풍을 위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회전 속도를 높여서 단기간 내에 제습 및/또는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한약장(100)에는 그 내부에 온도 및/또는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더 구비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서는 설정된 습도 및/또는 온도 값에 따라 상기 환풍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와 센서 등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제어장치의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환풍장치(130)는 한약장(100)의 수용부(110) 내부의 공기를 연결관(133)을 통해 흡입하게 되고, 이와 같이 흡입된 공기를 한약장과 독립된 공간(예를 들어, 외부)으로 배출하게 되므로 한약장(10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습도 및/또는 온도에 의해 한약장 내부 환경이 다시 영향을 받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의 실시예로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Claims (6)

  1. 한약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보관함이 구비되며, 각 보관함이 구비되는 수용부에 공기의 환풍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한약장 본체와;
    일 단부가 상기 한약장 본체에 연결되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다른 일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한약장 본체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장치는 상기 연결관이 결합되며, 연결관을 따라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한 유속 증가부가 구비되는 환풍기 본체와;
    상기 유속 증가부와 대향하는 본체의 내부 위치에 장착되는 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수리 또는 교환이 용이하도록 상기 환풍장치의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장 본체는 각 수용부 사이에 환풍유로가 형성되어 수용부 사이에 공기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한약장 본체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연결관의 결합되는 영역에 흡입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장.
KR2020080002569U 2008-02-27 2008-02-27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 KR200900087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569U KR20090008762U (ko) 2008-02-27 2008-02-27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569U KR20090008762U (ko) 2008-02-27 2008-02-27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62U true KR20090008762U (ko) 2009-09-01

Family

ID=4130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569U KR20090008762U (ko) 2008-02-27 2008-02-27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76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3387A (zh) * 2018-05-02 2018-08-24 天津商业大学 一种新型中草药分类储藏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3387A (zh) * 2018-05-02 2018-08-24 天津商业大学 一种新型中草药分类储藏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379550Y (zh) 风运自循环通风仓
CN207162843U (zh) 换气装置
CN104335690B (zh) 用于冷却开关柜的冷却设备
KR20100103215A (ko) 무창돈사용 환기 시스템
CN106882485A (zh) 一种家用动物饲料存储装置
KR20090008762U (ko)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장
CN207247452U (zh) 一种应用于直墙拱顶管廊的风道通风系统
CN105135538B (zh) 一种除湿机
GB2572830A (en) Air conditioning unit
CN109259464B (zh) 一种药学用品防潮储存柜装置
CN202043503U (zh) 一种温室换气装置
CN213347050U (zh) 一种养殖场进风口消毒过滤装置
CN110265897A (zh) 一种户外环网箱
EP3514824A1 (en) Drying box for storing solar cell chips
CN209006173U (zh) 一种农业用种子去灰烘干装置
CN210094013U (zh) 一种马铃薯贮藏调控监测系统
CN207815818U (zh) 一种加湿装置
CN207039012U (zh) 低压智能配电柜
KR20090010716U (ko) 진공 한약장
CN206861770U (zh) 一种带uv杀毒功能的水冷空调
CN209473203U (zh) 一种菌种培育用保湿装置
CN217722989U (zh) 除湿药柜
CN206078166U (zh) 一种具有杀虫种子储存用筒体结构
CN210298621U (zh) 一种通风粮仓
CN214902295U (zh) 一种用于粮食储存的风干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