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182A - 드럼식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182A
KR20090009182A KR1020080136992A KR20080136992A KR20090009182A KR 20090009182 A KR20090009182 A KR 20090009182A KR 1020080136992 A KR1020080136992 A KR 1020080136992A KR 20080136992 A KR20080136992 A KR 20080136992A KR 20090009182 A KR20090009182 A KR 20090009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rum
outer box
height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기따무라
다께오 노구찌
도오루 미야찌
가즈또시 나끼리
마사루 안도오
마사노리 고모리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외부 상자(1)는 도어(2)로 개폐되는 외부 상자 개구부(11)를 갖고 있다. 외부 상자(1) 내에는 수조(3)를 배치하고 있다. 수조(3)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4)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수조(3)에는 수조 개구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수조 개구부(18)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이다.
외부 상자, 도어, 수조, 개구부, 드럼

Description

드럼식 세탁기{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드럼식 세탁기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42880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드럼식 세탁기는 외부 상자와, 이 외부 상자 내에 배치된 수조와, 이 수조 내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의 중앙부에는 세탁물을 출납하기 위한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외부 상자의 개구부는 외부 상자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도어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드럼의 전방면부에는 외부 상자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의 전방면부는 연직면에 대해 5 °내지 20 °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상기 구성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드럼의 전방면부가 연직면에 대해 5 °내지 20 °범위 내의 각도로 경사져 있으므로, 드럼의 개구부가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드럼 내의 세탁물은 외부로부터 보기 쉽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개구부를 통해 세탁물의 출납을 행하기 위해 사용자는 크게 구부리지 않으면 세탁물을 출납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세탁물의 출납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에의 부하가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의 중앙부에 개구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외부 상자의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와의 사이에 있는 영역의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를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내려다 본 경우, 그 큰 면적의 영역을 사용자가 실제로 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심리적인 압박감을 부여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세탁기의 출납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 있는 드럼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기의 출납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 있는 드럼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갖는 외부 상자와,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외부 상자 내에 있어서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측이 위가 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수조 또는 상기 드럼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세탁물 투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탁물 투입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722.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이고,
상기 외부 상자의 천정면의 후방 단부에는 바로 앞보다도 상면의 높이를 낮게 하는 단차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설치면」이라 함은 드럼식 세탁기를 설치하는 면을 가리킨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전체 높이」라 함은 드럼식 세탁기를 설치하는 설치면으로부터 외부 상자의 가장 높은 면까지의 높이를 가리킨다.
상기 구성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상기 세탁물 투입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722.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함으로써 외부 상자 개구부의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크게 구부리지 않아도 세탁물을 출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세탁물을 출납할 때 에 작게 구부리기만 해도 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출납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의 위치를 높게 함으로써 외부 상자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와 외부 상자의 상부 모서리 사이의 영역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를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내려다보아도 사용자는 큰 심리적인 압박감을 받는 일이 적다. 즉,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의 위치를 높게 함으로써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임의로 선택한 사용자 50명에 대해 심리적인 압박감 및 조작성 테스트를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임의로 선택한 사용자 50명이 세탁물 투입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한 경우와, 세탁물 투입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미만의 높이로 한 경우를 심리적인 압박감 및 조작성에 관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30명 이상은 세탁물 투입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한 쪽이 심리적인 압박감이 없다고 느꼈다. 또한, 40명 이상은 세탁물 투입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한 쪽이 조작성이 쾌적하다고 느꼈다.
또한, 세탁물 투입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 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95 %를 넘는 높이로 하면, 외부 상자의 상부에 예를 들어 조작부를 설치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외부 상자의 진동이 커져 버린다. 따라서, 세탁물 투입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95 %를 넘는 높이로 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곤란하다.
또한,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의 위치를 높게 함으로써 드럼 내의 세탁물이 보기 쉬워진다.
또한, 세탁물의 출납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출납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물 투입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722.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거의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도의 수도 꼭지가 설치된 벽 근방에 설치한 경우, 상기 외부 상자의 천정면의 후방 단부에는 바로 앞보다도 상면의 높이를 낮게 하는 단차부가 마련됨으로써, 외부 상자의 높이를 높게 해도 외부 상자의 천정면이 수도의 수도 꼭지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식 세탁기의 설치 가능 장소가 증가한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세탁물 투입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807.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이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세탁물 투입부의 개구 면적은 상 기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직면에 투영한 면적의 5 % 내지 50 %이다.
상기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상기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직면에 투영한 면적의 5 % 내지 50 %를 세탁물 투입부의 개구 면적으로 함으로써 조작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세탁물 투입부의 개구 면적은 상기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직면에 투영한 면적의 10 % 내지 50 %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탁물 투입부의 개구 면적은 상기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직면에 투영한 면적의 15 % 내지 50 %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갖는 외부 상자와,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외부 상자 내에 있어서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측이 위가 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를 갖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조 개구부에 대향하는 드럼 개구부를 갖는 드럼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722.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이고,
상기 외부 상자의 천정면의 후방 단부에는 바로 앞보다도 상면의 높이가 낮아진 단차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722.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함으로써 외부 상자 개구부의 위치가 높아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크게 구부리지 않아도 세탁물을 출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세탁물을 출납할 때에 작게 구부리기만 해도 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출납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의 위치가 높아지므로, 외부 상자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와 외부 상자의 상부 모서리 사이의 영역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를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내려다 보아도 사용자는 큰 심리적인 압박감을 받는 일이 적다. 즉,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의 위치가 높아지므로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95 %를 넘는 높이로 하면, 외부 상자의 상부에 예를 들어 조작부를 설치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외부 상자의 진동이 커져 버린다. 따라서,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95 %를 넘는 높이로 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곤란하다.
또한,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의 위치가 높아지므로 드럼 내의 세탁물이 보기 쉬워진다.
또한, 세탁물의 출납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출납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도의 수도 꼭지가 설치된 벽 근방에 설치한 경우, 상기 외부 상자의 천정면의 후방 단부에는 바로 앞보다도 상면의 높이를 낮게 한 단차부가 마련됨으로써, 외부 상자의 높이를 높게 해도 외부 상자의 천정면이 수도의 수도 꼭지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식 세탁기의 설치 가능한 장소가 증가한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807.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이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수조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722.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이다.
상기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상기 수조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722.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함으로써, 세탁물의 출납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에의 부하를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임의로 선택한 사용자 50명에 대해 심리적인 압박감 및 조작성 테스트를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임의로 선택한 사용자 50명이 수조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한 경우와, 수조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 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미만의 높이로 한 경우를 심리적인 압박감 및 조작성에 관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30명 이상은 수조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한 쪽이 심리적인 압박감이 없다고 느꼈다. 또한, 40명 이상은 수조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한 쪽이 조작성이 쾌적하다고 느꼈다.
또한, 상기 수조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95 %를 넘는 높이로 하면, 외부 상자의 상부에 예를 들어 조작부를 설치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외부 상자의 진동이 커져 버린다. 따라서, 상기 수조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95 %를 넘는 높이로 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곤란하다.
또한, 상기 수조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76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거의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807.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이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드럼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722.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 이다.
상기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상기 드럼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722.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함으로써, 세탁물의 출납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에의 부하를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임의로 선택한 사용자 50명에 대해 심리적인 압박감 및 조작성 테스트를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임의로 선택한 사용자 50명이 드럼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한 경우와, 드럼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대해 85 % 미만의 높이로 한 경우를 심리적인 압박감 및 조작성에 관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30명 이상은 드럼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한 쪽이 심리적인 압박감이 없다고 느꼈다. 또한, 40명 이상은 드럼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한 쪽이 조작성이 쾌적하다고 느꼈다.
또한, 상기 드럼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대해 95 %를 넘는 높이로 하면, 외부 상자의 상부에 예를 들어 조작부를 설치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외부 상자의 진동이 커져 버린다. 따라서, 상기 드럼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대해 95 %를 넘는 높이로 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곤란하다.
또한, 상기 드럼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76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거의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드럼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807.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이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수조 개구부의 개구 면적은 상기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직면에 투영한 면적의 5 % 내지 50 %이다.
상기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상기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직면에 투영한 면적의 5 % 내지 50 %를 수조 개구부의 개구 면적으로 함으로써 조작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수조 개구부의 개구 면적은 상기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직면에 투영한 면적의 10 % 내지 50 %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조 개구부의 개구 면적은 상기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직면에 투영한 면적의 15 % 내지 50 %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수조 개구부의 중심은 상기 드럼 개구부의 중심에 대해 상기 외부 상자의 천정면측으로 편심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상기 수조 개구부의 중심을 드럼 개구부의 중심에 대해 외부 상자의 천정면측으로 편심시킴으로써 드럼 개구부를 크 게 하는 일 없이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의 드럼 내부의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수평면에 대해 경사시킴으로써 드럼의 전방면부가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므로 세탁물의 출납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드럼의 전방면부가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므로 드럼 내의 세탁물이 보다 보기 쉬워진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수조에는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가 상기 세탁물 투입부로서 설치되고, 상기 드럼에는 상기 수조 개구부에 대향하는 드럼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조 개구부의 중심은 상기 드럼 개구부의 중심에 대해 상기 외부 상자의 천정면측으로 편심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상기 수조 개구부의 중심을 드럼 개구부의 중심에 대해 외부 상자의 천정면측으로 편심시킴으로써 외부 상자 개구부의 위치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수조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와 상기 드럼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 사이에 상기 드럼 내를 향해 바람을 취출하는 송풍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상기 송풍구를 수조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와 드럼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송풍구로부터 취출하는 바람이 드럼 내의 하부에 있는 세탁물에 직접 닿는다. 그 결과, 상기 바람이 세탁물에 효율적으로 닿으므로 세탁물이 단시간에 건조한다. 즉, 상기 세탁물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수조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는 상기 드럼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상기 수조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는 상기 드럼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보다도 상방에 위치함으로써 수조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와 상기 드럼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 사이에 상기 드럼 내를 향해 바람을 취출하는 송풍구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 시스템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조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 시스템은 수조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이고, 또한 수조의 내측 또는 외측 또는 양방에 걸쳐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상기 수조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그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건조 시스템 중 적어도 일부를 설치함으로써 수조의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드럼의 중심축은 상기 수조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외부 상자의 천정면측으로 편심되고, 상기 건조 시스템의 일부는 상기 수조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상기 드럼의 중심축을 수조의 중심축에 대해 외부 상자의 천정면측으로 편심시킴으로써, 수조 내의 하부에 간극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극에 건조 시스템의 일부를 배치함으로써 드럼식 세탁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수조의 급수계의 접속부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상기 단차부에 수조의 급수계의 접속부를 하나 이상 설치함으로써, 외부 상자의 전방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수조의 급수계의 접속부를 보기 어려워지므로, 외부 상자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세탁기를 도시한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를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도를 도시한다.
상기 드럼식 세탁기는 외부 상자 개구부(11)를 갖는 외부 상자(1)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상자(1)의 전방면부의 대부분은 전방 패널(12)로 이루어지고, 외부 상자(1)의 바닥부는 바닥대(13)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상자 개구부(11)는 외부 상자(1)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도어(2)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부 상자(1)의 상부에는 세제, 표백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세제 케이스(14)와, 조작 키이나 표시부를 갖는 조작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15)의 이면측[외부 상자(1)의 내부측]에는 드럼식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17)(도2 참조)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외부 상자(1)의 천정면의 후방부에는 그 천정면의 전방부보다도 낮은 단차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도2에 상기 드럼식 세탁기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드럼식 세탁기는 설치면(G)에 설치된다. 외부 상자(1)의 가장 높은 부분을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를 세탁기 전체 높이라 하면, 외부 상자 개구부(11)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이다. 또한,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는 일반적으로 850 mm 내지 1050 mm이므로, 외부 상자 개구부(11)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는 722.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가 된다.
또한, 상기 드럼식 세탁기는 외부 상자(1) 내에 배치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수조(3)와, 이 수조(3)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드럼(4)과, 수조(3)의 후방부에 부착되어 드럼(4)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5)와,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시스템(6)과, 수조(3)의 후방부를 탄성 지지하는 2개의 댐퍼(7)를 구비하고 있다. 이 댐퍼(7)는 후방 댐퍼의 일예이다.
수조(3)의 전방면부에는 세탁물 투입부의 일예로서의 수조 개구부(18)가 설 치되어 있다. 이 수조 개구부(18)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이고,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가 일반적으로 850 ㎜ 내지 1050 ㎜이므로, 722.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가 된다. 또한, 수조 개구부(18)의 개구 면적은 외부 상자(1)의 전방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직면에 투영한 면적의 5 % 내지 50 %이다. 그리고, 수조 개구부(18)의 개구 모서리에는 고무나 연질 수지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패킹(19)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어(2)를 폐쇄하면 도어(2)가 패킹(19)에 밀착되므로 수조(3) 내의 액체가 수조(3)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조(3)는 수조 개구부(18)가 외부 상자 개구부(11)에 대향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3)의 중심축(L1)은 수평 방향에 대해 5 °내지 30 °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져 있다. 이 중심축(L1)은 수조(3)의 원통 형상이 신장되는 방향축으로 수직인 면에서의 수조(3)의 단면에 있어서의 무게 중심 위치(P1)를 통과하는 축이다(도3 참조). 즉, 중심축(L1)은 드럼(4)의 회전축으로 수직인 면에서 수조(3)를 자른 단면에 있어서의 무게 중심 위치(P1)를 통과하는 축이다. 또한, 중심축(L1)은 드럼(4)의 회전축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수조(3)의 상부에는 수조(3) 내에 물이나 세탁액 등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 덕트(2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조(3)의 하부에는 수조(3) 내의 물이나 세탁액 등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 덕트(2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배수 덕트(21)는 필터(22)를 거쳐서 배수 호스(23)에 접속되어 있다. 이 필터(22)는 수조(3) 내로부터 흘러온 액체 중의 실보무라지를 제 거한다. 또한, 배수 호스(23)에는 배수 모터(24)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드럼(4)은 그 회전축과 동일한 축이 되는 중심축(L2)을 갖고 있다. 즉, 드럼(4)의 회전축은 드럼(4)의 중심축(L2)과 일치한다. 이 중심축(L2)은 드럼(4)의 원통 형상이 신장되는 방향축으로 수직인 면에서의 드럼(4)의 단면에 있어서의 무게 중심 위치(P2)를 통과하는 축이다(도3 참조). 즉, 드럼(4)의 중심축(L2)은 드럼(4)의 회전축으로 수직인 면에서 드럼(4)을 자른 단면에 있어서의 무게 중심 위치(P2)를 통과하는 축이다. 또한, 드럼(4)은 드럼(4)의 중심축(L2)이 수조(3)의 무게 중심에 대해 외부 상자(1)의 천정면측으로 편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드럼(4)의 중심축(L2)은 수조(3)의 중심축(L1)보다도 수조(4)의 상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드럼(4)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연직면 내에 있어서 드럼(4)의 하부와 수조(3)의 하부와의 거리는, 드럼(4)의 상부와 수조(3)의 상부와의 거리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요컨대, 드럼(4)은 수조(4)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드럼(4)의 회전축은 수평 방향에 대해 5 °내지 30 °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져 있다. 드럼(4)의 전방면부에는 외부 상자 개구부(11) 및 수조 개구부(18)에 대향하는 드럼 개구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드럼 개구부(26)는 수조 개구부(18)보다도 큰 직경을 갖고 있다. 또한, 드럼(4)의 주위벽 전역에는 복수의 작은 구멍(27)이 마련되어 있다. 이 작은 구멍(27)은 수조(3)와 드럼(4) 사이의 공간과, 드럼(4) 내의 공간 사이에서 세탁수나 건조 공기 등을 유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드럼(4)의 내벽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배 플(28)을 설치하고 있다. 이 배플(28)은 주위 방향으로 예를 들어 120 °간격으로 3 군데에 배치되어 있다. 배플(28)은 드럼(4)의 회전에 수반하여 세탁물의 들어 올림과 낙하를 반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드럼(4)의 드럼 개구부(26)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액체 밸런서(29)를 설치하여, 드럼(4)의 회전시에 세탁물 및 세탁액 등의 치우침에 의해 발생하려고 하는 언밸런스를 액체 밸런서(29)의 내부에 있어서의 봉입 액체의 이동에 의해 없애도록 하고 있다.
드럼 개구부(26)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이고,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가 일반적으로 850 ㎜ 내지 1050 ㎜이므로, 722.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가 된다.
댐퍼(7)의 수조(3)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댐퍼 지지 부재(8)의 댐퍼 부착면(30)에 부착되어 있다. 이 댐퍼 부착면(30)의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의 10 % 내지 20 %의 범위 내의 높이이다.
도3에 수조(3)의 개략 정면도[수조(3)의 통 형상이 신장되는 방향축으로부터 본 개략도]를 도시한다.
수조 개구부(18)의 중심(C1)은 드럼 개구부(26)의 중심(C2)보다도 외부 상자(1)의 천정면측으로 있다. 즉, 수조 개구부(18)는 드럼 개구부(26)에 대해 외부 상자(1)의 천정면측에 편심되어 있다.
건조 시스템(6)은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3)의 중심축(L1)을 포함하고, 또한 이 중심축(L1)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설 치되어 있다. 또한, 건조 시스템(6)은 송풍기(31), 가열 장치(32), 제습용 열교환기(33) 및 송풍 덕트(39)를 갖고 있다.
송풍기(31)는 수조(3)의 후방면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송풍기(31)는 팬 케이스(34)와 팬 케이스(34) 내에 수용된 블레이드(35)와, 블레이드(35)를 회전 구동하는 팬 모터(36)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팬 모터(36)는 블레이드(35)와 직결하여, 다이렉트 드라이브 구조에 의해 블레이드(35)를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가열 장치(32)는 수조(3) 내의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 장치(32)는 수조(3)의 내주면과 드럼(4)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열 장치(32)는 히터 케이스(37)와 히터 케이스(37)에 대부분이 수용된 시즈 히터(38)로 구성되어 있다. 히터 케이스(37)는 송풍 덕트(39)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송풍 덕트(39)의 전방 패널(12)측의 단부는 수조 개구부(18)의 하부 모서리와 드럼 개구부(26)의 하부 모서리 사이에 위치하는 송풍구(40)를 구성하고 있다. 이 송풍구(40)는 드럼(4) 내의 공간의 하부를 향해 온풍을 취출한다.
제습용 열교환기(33)는 수조(3) 내의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습용 열교환기(33)는 수조(3)의 내주면과 드럼(4)의 외주면 사이의 세탁액에 침수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도4에 외부 상자(1)의 개략 상면도를 도시한다.
외부 상자(1)의 천정면의 단차부(16)의 수평면(16a)에는 수조(3)에 수도의 물을 급수하기 위한 수돗물 급수구(41)와 수조(3)에 목욕물을 급수하기 위한 목욕물 급수구(42)가 설치되어 있다. 수돗물 급수구(41)로부터 세제 케이스(14)까지의 급수로는 급수 밸브(43)를 갖고 있다. 한편, 목욕물 급수구(42)로부터 세제 케이스(14)까지의 급수로는 목욕물 펌프(44)를 갖고 있다. 수돗물 급수구(41) 및 목욕물 급수구(42)는 각각 수조(3)의 급수계의 접속부의 일예이다.
상기 구성의 드럼식 세탁기에 따르면, 수조 개구부(18)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가 722.5 ㎜ 내지 997.5 ㎜의 범위 내의 높이이므로, 외부 상자 개구부(11)의 위치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외부 상자 개구부(11)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를 722.5 ㎜ 내지 997.5 ㎜ 범위 내의 높이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크게 구부리지 않아도 세탁물을 출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작게 구부리면 세탁물을 출납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의 출납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상자 개구부(11)의 위치가 높기 때문에 외부 상자 개구부(11)의 상부 모서리와 외부 상자(1)의 상부 모서리 사이의 영역의 면적이 작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 상자(1)의 전방면부를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내려다 보아도 사용자는 큰 심리적인 압박감을 받는 일이 적다. 즉,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상자 개구부(11)의 위치를 높게 함으로써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임의로 선택한 사용자 50명에 대해 심리적인 압박감을 및 조작성 테스트를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임의로 선택한 사용자 50명이 수조 개구부(18)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한 경우와, 수조 개구부(18)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미만의 높이로 한 경우를 심리적인 압박감 및 조작성에 관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30명 이상은 수조 개구부(18)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한 쪽이 심리적인 압박감이 없다고 느꼈다. 또한, 40명 이상은 수조 개구부(18)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를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한 쪽이 조작성이 쾌적하다고 느꼈다.
또한, 수조 개구부(18)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를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에 대해 95 %를 넘는 높이로 하면 세제 케이스(14) 및 조작부(15)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외부 상자(1)의 상부에 확보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외부 상자(1)의 진동이 커져 버린다. 따라서, 수조 개구부(18)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를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에 대해 95 %를 넘는 높이로 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곤란하다.
수조 개구부(18)와 마찬가지로 외부 상자 개구부(11)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를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에 대해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곤란하다.
또한, 외부 상자 개구부(11)의 위치가 높으므로, 상기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보다도 드럼(4) 내의 세탁물의 관찰 용이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세탁물의 출납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출납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조 개구부(18)의 개구 면적이 외부 상자(1)의 전방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직면에 투영한 면적의 5 % 내지 50 %이므로 조작성이 보다 양호하다.
또한, 드럼(4)의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해 5 °내지 30 °의 범위의 각도로 경사져 있으므로, 드럼(4)의 전방면부가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물의 출납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드럼(4)의 전방면부가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므로, 드럼(4) 내의 세탁물이 보다 보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드럼식 세탁기를 수도의 수도 꼭지가 설치된 벽 근방에 설치한 경우, 외부 상자(1)의 천정면의 후방부에 단차부(16)를 설치함으로써 외부 상자(1)의 높이를 높게 해도 외부 상자(1)의 천정면이 수도의 수도 꼭지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식 세탁기가 설치 가능한 장소가 증가한다.
또한, 수돗물 급수구(41) 및 목욕물 급수구(42)를 단차부(16)의 수평면(16a)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외부 상자(1)의 전방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수조(3)의 급수계의 접속부가 보이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외부 상자(1)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조 개구부(18)를 드럼 개구부(26)에 대해 외부 상자(1)의 천정면측으로 편심시킴으로써 외부 상자 개구부(11)의 위치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송풍구(40)를 수조 개구부(18)의 하부 모서리와 드럼 개구부(26)의 하 부 모서리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송풍구(40)로부터 취출된 바람은 드럼(4) 내의 하부에 있는 세탁물에 직접 닿는다. 그 결과, 상기 바람이 세탁물에 효율적으로 닿기 때문에 세탁물이 단시간에 건조된다. 즉, 세탁물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 장치(32)는 수조(3) 내의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열 장치(32)의 열은 수조(3) 및 드럼(4)을 거쳐서 외부 상자(1)의 상부에 전달된다. 따라서, 외부 상자(1)의 상부가 가열 장치(32)의 열에 의해 뜨거워지지 않으므로 안전하다. 또한, 외부 상자(1)의 상부와 가열 장치(32)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드럼(4)식 세탁기의 제조 비용을 단열재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드럼(4)의 중심축(L2)이 수조(3)의 중심축(L1)에 대해 외부 상자(1)의 천정면측으로 편심되어 있으므로 가열 장치(32)를 설치하기 위한 간극이 수조(3) 내의 하부에 얻어져 있다. 따라서, 수조(3)의 쓸모없는 대형화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가열 장치(32)가 수조(3) 내에 있으므로, 가열 장치(32)의 열이 드럼(4) 내의 세탁물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가열 장치(32)에 의해 세탁물을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조 개구부(18)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85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하고 있었지만, 수조 개구부(18)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를 상기 세탁기 전체 높이에 대해 90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 로 해도 좋다. 수조 개구부(18)의 상부 모서리를 연직면에 투영한 설치면(G)으로부터의 높이를 전체 높이에 대해 90 % 내지 95 %의 범위 내의 높이로 한 경우, 사용자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거의 받는 일이 없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조 개구부(18)의 개구 면적은 외부 상자(1)의 전방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직면에 투영한 면적의 5 % 내지 50 %이지만 외부 상자(1)의 전방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직면에 투영한 면적의 10 % 내지 50 %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고, 외부 상자(1)의 전방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직면에 투영한 면적의 15 % 내지 50 %로 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부(16)는 외부 상자(1)의 한 쪽 측면으로부터 외부 상자(1)의 다른 쪽 측면까지 연장되어 있었지만, 단차부(16)는 외부 상자(1)의 한 쪽 측면으로부터 외부 상자(1)의 다른 쪽 측면까지 연장되지 않아도 된다. 즉, 외부 상자(1)의 천정면의 후방부의 일부에 외부 상자(1)의 천정면의 전방부보다 낮은 단차부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조(3)의 후방부만을 2개의 댐퍼(7)로 탄성 지지하고 있었지만, 수조(3)의 전방부도 댐퍼로 탄성 지지해도 좋다. 즉, 외부 상자(1) 내에 수조(3)의 전방부를 탄성 지지하는 전방 댐퍼를 설치해도 된다. 제조 비용을 삭감하는 관점상, 전방 댐퍼의 외형은 댐퍼(7)의 외형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댐퍼(7)의 외형과 동일한 외형의 전방 댐퍼를 이용하는 경우, 전방 댐퍼는 댐퍼 지지 부재(8)와 동일한 댐퍼 지지 부재로 지지하면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 장치(32)를 수조(3) 내에 배치하고 있었지만, 가 열 장치(32)를 수조(3) 밖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수조(3) 밖에서 개방되어 있는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조(3)의 중심축(L1)을 포함하고, 또한 이 중심축(L1)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건조 시스템(6)의 전부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수조(3)의 중심축(L1)을 통과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건조 시스템(6)의 일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조(3)의 중심축(L1)을 포함하고, 또한 이 중심축(L1)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상측에 송풍기(31)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면보다도 하측에 가열 장치(32), 제습용 열교환기(33) 및 송풍 덕트(39)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히터 케이스(37)를 수조(3) 내의 공간의 하부에 배치하고 있었지만, 히터 케이스(37)를 수조(3) 내의 공간의 상부 또는 측부에 배치해도 된다. 요컨대, 히터 케이스(37)는 수조(37) 내의 공간이면 어디에 배치해도 좋다. 히터 케이스(37)는 수조(37) 내의 공간에 배치하면, 수조(3) 밖으로의 방열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히터 케이스(37)를 수조(3) 내에 배치하고 있었지만, 히터 케이스(37)를 수조(3) 밖 또는 수조(3)의 하부 측방 또는 하부 하측에 배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16)의 수평면(16a)에 수돗물 급수구(41) 및 목욕물 급수구(42)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단차부(16)의 수평면(16a)에 수돗물 급수구(41) 및 목욕물 급수구(42) 중 한 쪽만을 설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부(16)의 수평면(16a)에 수돗물 급수구(41) 및 목욕물 급수구(42)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단차부(16)의 연직면(16b)에 수돗물 급수구(41) 및 목욕물 급수구(42) 중 적어도 한 쪽을 설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부(16)의 수평면(16a)과 외부 상자(1)의 천정면의 전방부를 연직면(16b)으로 접속하고 있었지만, 단차부(16)의 수평면(16a)과 외부 상자(1)의 천정면의 전방부를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접속해도 된다. 즉, 단차부(16)의 연직면(16b) 대신에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이용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부(16)의 연직면(16b)의 하단부에 단차부(16)의 수평면(16a)을 접속하고 있었지만, 단부(16)의 연직면(16b)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접속해도 된다. 즉, 단차부(16)의 수평면(16a) 대신에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이용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목욕물 펌프(44)를 외부 상자(1) 내에 넣고 있었지만, 목욕물 펌프(44)를 외부 상자(1) 밖에 배치해도 된다. 목욕물 펌프(44)를 외부 상자(1) 밖에 배치하고 있는 경우, 목욕물 펌프(44)와 목욕물 급수구(42)를 목욕물 호스로 접속하면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상자 개구부(11), 수조 개구부(18) 및 드럼 개구부(26)의 형상은 대략 원 형상이었지만, 외부 상자 개구부(11), 수조 개구부(18) 및 드럼 개구부(26)의 형상은 대략 사각 형상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 을 갖는 것이라도 좋고, 혹은 세탁 기능만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기의 개략 사시도.
도2는 상기 드럼식 세탁기의 개략 단면도.
도3은 상기 드럼식 세탁기의 수조의 개략 정면도.
도4는 상기 드럼식 세탁기의 외부 상자의 개략 상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상자
2 : 도어
3 : 수조
4 : 드럼
5 : 모터
6 : 건조 시스템
11 : 외부 상자 개구부
12 : 전방 패널
14 : 세제 케이스
15 : 조작부
16 : 단차부
17 : 제어 회로
18 : 수조 개구부
19 : 패킹
20 : 급수 덕트
21 : 배수 덕트
22 : 필터
23 : 배수 호스
24 : 배수 모터
28 : 배플
31 : 송풍기
32 : 가열 장치
33 : 제습용 열교환기
34 : 팬 케이스
35 : 블레이드
36 : 팬 모터
39 : 송풍 덕트
40 : 송풍구
41 : 수돗물 급수구
42 : 목욕물 급수구
43 : 급수 밸브
44 : 목욕물 펌프

Claims (16)

  1. 전방면에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갖는 외부 상자와,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외부 상자 내에 있어서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측이 위쪽으로 경사져 배치된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세탁물 투입부를 구비하고,
    설치면(G)으로부터 상기 세탁물 투입부의 상부 모서리까지의 높이는 722.5 mm 내지 997.5 mm의 범위 내의 높이이고,
    상기 외부 상자의 천정면의 후단부에는 바로 앞보다도 상면의 높이를 낮게 한 단차부가 설치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외부 상자의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설치면(G)으로부터 상기 세탁물 투입부의 상부 모서리까지의 높이는 807.5 mm 내지 997.5 mm의 범위 내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3. 전방면에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갖는 외부 상자와,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외부 상자 내에 있어서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측이 위쪽으로 경사져 배치되고,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를 갖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조 개구부에 대향하는 드럼 개구부를 갖는 드럼을 구비하고,
    설치면(G)으로부터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까지의 높이는 722.5 mm 내지 997.5 mm의 범위 내의 높이이고,
    상기 외부 상자의 천정면의 후단부에는, 바로 앞보다도 상면의 높이가 낮아진 단차부가 설치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외부 상자의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설치면(G)으로부터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까지의 높이는 807.5 mm 내지 997.5 mm의 범위 내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5. 제3항에 있어서, 설치면(G)으로부터 상기 수조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까지의 높이는 722.5 mm 내지 997.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6. 제4항에 있어서, 설치면(G)으로부터 상기 수조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까지의 높이는 807.5 mm 내지 997.5 mm의 범위 내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설치면(G)으로부터 상기 드럼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까지의 높이는 722.5 mm 내지 997.5 mm의 범위 내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8.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설치면(G)으로부터 상기 드럼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까지의 높이는 807.5 mm 내지 997.5 mm의 범위 내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개구부의 중심은 상기 드럼 개구부의 중심에 대해 상기 외부 상자의 천정면측으로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는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드럼에는 상기 수조 개구부에 대향하는 드럼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조 개구부의 중심은 상기 드럼 개구부의 중심에 대해 상기 외부 상자의 천정면측으로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와 상기 드럼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 사이에, 상기 드럼 내를 향해 바람을 취출하여 드럼 내의 세탁물을 건조하는 송풍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는 상기 드럼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조의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모두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중심축은 상기 수조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외부 상자의 천정면측으로 편심되고,
    상기 건조 시스템의 일부는 상기 수조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드럼식 세탁기.
  16. 제1항 내지 제6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수조의 급수계의 접속부가 적어도 1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KR1020080136992A 2004-08-26 2008-12-30 드럼식 세탁기 KR200900091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246612 2004-08-26
JP2004246612 2004-08-26
JP2005140060A JP2006087906A (ja) 2004-08-26 2005-05-12 ドラム式洗濯機
JPJP-P-2005-140060 2005-05-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936A Division KR20070078104A (ko) 2004-08-26 2007-07-16 드럼식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182A true KR20090009182A (ko) 2009-01-22

Family

ID=3622940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072A KR20060050628A (ko) 2004-08-26 2005-08-25 드럼식 세탁기
KR1020070070936A KR20070078104A (ko) 2004-08-26 2007-07-16 드럼식 세탁기
KR1020080136992A KR20090009182A (ko) 2004-08-26 2008-12-30 드럼식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072A KR20060050628A (ko) 2004-08-26 2005-08-25 드럼식 세탁기
KR1020070070936A KR20070078104A (ko) 2004-08-26 2007-07-16 드럼식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087906A (ko)
KR (3) KR20060050628A (ko)
IT (1) ITMI200515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2505B2 (ja) * 2007-09-25 2012-01-1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CN110168159B (zh) * 2017-01-19 2021-06-29 夏普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87906A (ja) 2006-04-06
ITMI20051596A1 (it) 2006-02-27
KR20070078104A (ko) 2007-07-30
KR20060050628A (ko) 200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9500B1 (en) Washer-dryer
CA2788503C (en) Drain hole for a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130123655A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3847318B2 (ja) 洗濯乾燥機
KR20070093826A (ko) 드럼식 세탁기
US20140123712A1 (en) Washing device
KR20080002475A (ko) 세탁기의 떨림 방지 장치
KR20090009182A (ko) 드럼식 세탁기
KR101282948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컨트롤 장치
JP2007098185A (ja) ドラム式洗濯機
JP6609442B2 (ja) 自動洗濯機
KR100634934B1 (ko) 세탁 건조기
JP2009232973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1498081B1 (ko) 세탁장치
JP2006061352A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0494550C (zh) 洗涤干燥机
KR20070059424A (ko)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JP2009090145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21029680A (ja) 洗濯乾燥機
KR101476215B1 (ko) 세탁장치
KR20110086419A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00279680A (ja) 洗濯乾燥機
KR20110009930A (ko) 세탁물 처리기기
TH42323A (th) เครื่องซักผ้าแบบดรัมที่มีถังที่หมุนอย่างเอียง
JPH03112592A (ja) 洗濯脱水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