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096U - 선박의 수직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수직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096U
KR20090008096U KR2020080001694U KR20080001694U KR20090008096U KR 20090008096 U KR20090008096 U KR 20090008096U KR 2020080001694 U KR2020080001694 U KR 2020080001694U KR 20080001694 U KR20080001694 U KR 20080001694U KR 20090008096 U KR20090008096 U KR 200900080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ship
block
height
la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9449Y1 (ko
Inventor
임창호
곽태옥
조기조
김진웅
윤영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1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44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4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Landscapes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엔진룸 블록(Block)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관의 선행설치에 필요한 정도(精度) 계측용 레이져(Laser)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선박의 블록간 탑재작업 전 선박의 엔진룸 블록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관의 선행(先行)설치에 따른 배관의 끝단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360°로 레이저(Laser)를 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 모듈(Laser Module)로 구성되며, 레이저에 공급되는 전원을 컨트롤하는 레이저헤드부와, 레이저헤드부의 수직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볼헤드부와, 볼헤드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레이저헤드부의 수직 높이를 미세저정하기 위한 수평레벨정준반과, 수평레벨정준반을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지지부와, 지지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선박의 철판에 탈부착하기 위한 마그네틱장치로 구성되어 선박의 수평면에 설치되는 레이저장치와; 상기 레이저장치와 대향하는 위치의 수평 구조물 상단에 설치되며, 지지블록과, 지지블록의 상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타깃사각판으로 구성된 레이저타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박, 엔진룸 블록, 수직배관, 레이저(Laser)

Description

선박의 수직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LASER EQUIPMENT FOR PERPENDICULARITY PIPING HEIGHT MEASUREMENT OF VESSEL}
본 고안은 선박의 엔진룸 블록(Block)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관의 선행설치에 필요한 정도(精度) 계측용 레이져(Laser)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선박의 블록간 탑재작업 전 선박의 엔진룸 블록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관의 선행(先行)설치에 따른 배관의 끝단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선박의 수직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엔진룸 블록(Engine Room Block) 내부에는 대략 40~60 Piece 정도의 수직배관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배관은 선박의 설계단계에서 설계된 공정에 맞게 선박의 엔진룸 블록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배관에 대한 일반적인 설치과정 및 블록간의 탑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통 선박의 제작공정 중 탑재단계에서는, 선박 블록 내부에 의장공사를 병행하여 진행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블록(A)의 상측에 제 2블록(B) 이 탑재하는 과정이라면, 각각의 제 1블록(A)과 제 2블록(B)에 배관(D1,D2)을 선행설치한 뒤 상기 제 1블록(A)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블록(B)을 탑재한다.
다음 상기 제 2블록(B)이 제 1블록(A)에 탑재된 후 제 1블록(A)에 설치된 수직배관(D1)과 제 2블록(B)에 설치된 수직배관(D2)을 연결하여 제 1블록(A)과 제 2블록(B)에 대한 탑재단계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제 1블록(A)과 제 2블록(B)에 설치된 수직배관(D1,D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상에 맞게 서로 플랜지끼리 정확하게 맞닿아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 2블록(B)이 이동하여 기존에 거치된 제 1블록(A)에 탑재되면, 상기 제 1블록(A)에 선행설치된 수직배관(D1)과 연결되는 제 2블록(B)의 수직배관(D2)도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며, 서로 맞닿아 있는 수직배관(D1,D2)의 플랜지에 볼트만 삽입하여 잠그어 주면 탑재단계에 따른 수직배관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이러한 기설계된 설치상에 따른 선박의 블록 저면(底面)으로부터 수직배관 상부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Flange)까지의 높이를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배관(D1)의 높이는 상기 수직배관(D1)과 가장 인접한 선각 내부재인 스트링거(Stringer)(S) 등의 하면 기준에서 450㎜ 정도 돌출되어 설치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기계장치에 직접 연결되는 부분인 선박블록에 대한 가장 하부의 배관작업이 끝나고 나면 블록 상부의 상기 수직배관(D1)들은 특별한 정도 확인절차 없이 하부 배관에 맞추어 순서대로 연결하고 대략적인 정도검사 실시 후 탑재단계로 이동된다.
이처럼 설계상으로는 두 블록에 설치된 배관의 높이가 서로 간섭이 없도록 정확히 설치되어야 하지만, 현장에서 설치작업시 잘못 설치하거나 약간의 오차가 생긴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블록(A)과 제 2블록(B)을 조립하기 위한 탑재작업시 각각의 수직배관(D1,D2) 끝단끼리 서로 부딪치거나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블록의 수평레벨(Level)(L)과 수평을 이루는 내부재(S)와, 상기 내부재(S)와 근접하여 설치되는 일부 배관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의 내부재 측정기준점에서 수평레벨(L)을 연장하여 내부재(S)의 레벨을 측정하고, 측정한 값을 기준으로 줄자를 이용하여 수직배관(D1)의 높이를 측정한다.
이렇게 상기의 측정된 높이에 따라서 상기 수직배관(D1)과 연결되는 다른 블록의 수직배관(도시생략)에 대한 선행설치 높이를 가늠할 수 있으며, 오차없이 배관의 의장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런데,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를 가진 내부재(S1,S2)에 고정된 수직배관(D1)의 경우에는 측정기준을 설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정도계측을 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측정방법에 따른 문제점에 대해 배관 설치 진행중과 배관 설치완료 후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엔진룸 블록 내부의 수직배관 설치진행 중의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의 기준이 되는 내부재와 블록에 설치되는 일부 수직배관과의 거리가 멀고 고소(高所)부위인 경우가 많아 높이 측정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측정기준점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정확한 정도검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후공정으로 탑재할 블록을 이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엔진룸 블록 내부에 수직배관을 설치완료하였을 경우에는 설치진행 중에 진행했던 난해한 측정 조건 때문에 정확한 정도관리가 이루어 지지 못하고 이동된 블록을 후공정에서 탑재하고자 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수직배관(D3)과의 간섭이 발생하여 체결된 유볼트(U-Blot)(U)를 해제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배관(D4)과의 연결위치를 맞추고자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고 있는 상태에서 유볼트(U-Bolt)(U) 체결을 해제하여 조정하거나 플랜지의 볼트(Bolt)를 풀어 고정단관을 해제하는 등 탑재지연이 발생한다.
또한, 비록 많은 경우는 아니지만 간섭이 발생한 수직배관(D1,D2,D3,D4)이나 유볼트(U)를 절단해야 할 때도 있어 재제작 및 설치까지의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측정기준을 설정하기가 어려운 수직배관과 측정기준점이 되는 내부재와 거리가 먼 수직배관과 상관없이, 수직배관의 정도를 측정하여 오차없이 설치할 수 있는 선박의 수직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관설치기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정도관리를 위한 치수측정이 간편하며 탑재공정에 따른 공기를 지연시킬 수 있는 선박의 수직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360°로 레이저(Laser)를 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 모듈(Laser Module)로 구성되며, 레이저에 공급되는 전원을 컨트롤하는 레이저헤드부와, 상기 레이저헤드부의 수직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볼헤드부와, 상기 볼헤드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헤드부의 수직 높이를 미세조정하기 위한 수평레벨정준반과, 상기 수평레벨정준반을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선박의 철판에 탈부착하기 위한 마그네틱장치로 구성된 레이저장치와; 선박의 수평면에 설치한 상기 레이저장치와 대향하는 위치의 수평 구조물 상단에 설치되며,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타깃사각판으로 구성된 레이저타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져헤드부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며, 상기 레이저헤드부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벨정준반은, 상기 볼헤드부를 지탱하며 복수개의 조절공이 형성된 상측플레이트와; 상기 상측플레이트의 조절공과 체결되며, 상기 상측플레이트의 수평높이를 미세조정하는 조정나사과; 상기 조정나사를 지지하는 하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레이저장치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육안 또는 소리로 확인하도록 표시해주는 레이저 수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수직 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수직배관 높이 측정용 레이저장치는, 엔진룸 블록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배관에 대해 신속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배관 설치시간의 단축으로 크레인(Crane)등 장비가동율이 향상되고 정도검사를 위한 수직배관의 높이 측정이 간편하며, 수직배관설치의 연결 불량율에 따른 배관 해체, 절단 등의 재작업이 감소되어 재작업 시수절감을 통한 후공정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배관 높이 측정용 레이져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져타킷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레벨 정준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a 와 13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배관 높이 측정용 레이져장치에 대한 사용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수직배관 높이 측정용 레이져장치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360°레이저를 발사(發射)하는 반도체 레이져 모듈(Laser Module)로 구성되며, 레이저에 공급되는 전원을 컨트롤하는 레이져헤드부(100)와, 상기 레이져헤드부(100)의 수직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볼헤드부(200)와, 상기 볼헤드부(20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져헤드부(100)의 수직높이를 미세조정하기 위한 수평레벨정준반(300)과, 상기 수평레벨정준반(300)을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지지부(400)와, 지지부(4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선박의 철판에 탈부착하기 위한 마그네틱장치(500)로 구성된 레이져장치(10)를 구비한다.
상기 레이져장치(10)에 형성된 상기 레이져헤드부(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파장과 위상을 가진 빛을 모아 발사하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되 360°로 일시에 발사되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상기 레이져헤드부(100)는 기존에 공지된 기술을 이용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레이져헤드부(10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레이져헤드부(10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레버(120)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레버(120)는 상기 레이져헤드부(100)의 전원을 간적접으로 리모트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여 무선으로도 상기 레이져헤드부(100)에 대해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볼헤드부(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져헤드고정레버(220)에 의해 상기 레이져헤드부(100)를 지지하는 이동축(240)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레이져헤드고정레버(220)는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축(240)을 가압하여 고정 및 상기 볼헤드부(200)가 돌아갈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수평레벨정준반(3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플레이트(340)와, 상기 상측플레이트(340)를 지지하는 3개의 조정나사(320)와, 각각의 상기 조정나사(320)를 지지하는 하측플레이트(3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플레이트(340)는 삼방향으로 조절공(260)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조절공(260)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정나사(32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조정나사(320)는 상기 상측플레이트(340)와 나사체결되며 상기 조정나사(3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측플레이트(340)가 상하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수평레벨정준반(300)은 상기 레이져헤드부(100)의 수평도에 따른 높이에 대해 미세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정나사(320)의 하측에 형성된 하측플레이트(360)는 각각의 상기 조정나사(32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지지부(400)는 상기 레이져장치(10)를 지탱하는 지지대(420)와, 상기 지지대(420)와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수직이동블록(440)과, 상기 수직이동 블록(440)을 고정하는 고정나사(46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420)는, 상기 레이져 헤드부(100)와 수평레벨 정준반(300)이 결합된 몸체를 지탱 및 레이져 헤드부(100)의 대략적인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420)로부터 수직이동블록(440)은 나사체결을 통해 고정시킨다.
또한, 다른 고정방법으로도 지지대(420)에 수직이동블록(44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의 하단에 설치된 마그네틱장치(500)는, 선박의 수직배관에 대한 높이를 측정하는 특성상 철판으로 형성된 선박에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서 탈부착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수직배관 높이 측정용 레이져 장치는 선박의 기설계된 수직배관 수평도에 따라 위치시킨 뒤, 상기 레이져장치(10)로부터 발사하는 레이져를 조정하여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레이져타킷(Laser Target)(600)을 구비한다.
상기 레이져타킷(6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블록에 설치된 레이져장치(10)와 절대수평을 맞추기 위해 블록의 4개의 기준점에 설치하며, 선박에 고정하기 위한 자석형태의 지지블록(620)과, 상기 지지블록(620)의 상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더(640)와, 상기 슬라이더(640)와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타킷사각판(660)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640)는, 선박에 설치되는 수직배관의 끝단 높이를 수용하는 거리만큼 형성되며 높이를 표시하는 치수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높이설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타킷사각판(660)의 일측에는 십자형태로 표식이 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원하고자 하는 높이만큼 상기 타킷사각판(660)을 위치시켜, 위치한 상기 타킷사각판(660)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상기 레이져장치(10)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져 라인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수직배관높이 측정용 레이져장치는, 상기 레이져장치(10)에 발사되는 레이져 라인이 옥외나 원거리에 의해 레이져라인이 흐려져 잘 보이지 않을 경우에 사용하는 레이져 수광기(700)를 구비한다.
상기 레이져 수광기(700)는 야외 또는 밝은 곳에서 작업시 보이지 않는 레이져 라인을 찾아 이를 소리와 디지털 라인 표시로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레이져장치(10)로부터 레이져 라인을 상기 레이져타킷(600)으로 발사하였을 때, 상기 타킷사각판(660)의 십자형태 표식과 일치되었는지 여부를 레이져 라인의 높이 위치를 소리와 상기 레이져 수광기(700)에 형성된 LCD패널(도시생략)에 디지털 라인표시로 알려준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수직배관 높이 측정용 레이져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 13a과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레이져장치(10)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이 설치되는 선박의 엔진룸 블록의 중간지점 정도에 위치하여, 상기 블록 내부의 론지(Longi) 또는 스트링거(Stringer)의 상면중 프레임(Frame) 등 내부재가 용접되어 있는 변형 이 적은 곳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이져타킷(600)은 상기 레이져장치(10)에서 500㎜이내 정도의 가장 인접한 기준점 한 곳과 전방 또는 후방 기준점에 한 곳, 좌우방향 각각의 기준점 한 곳 등 4개의 기준점에 레이져타킷(600)을 부착하는데 부착하기 전 상기 레이져타킷(600)의 높이가 같도록 상기 레이져타킷(600)에 부착된 슬라이더(Slider)(640)의 십자형태표식이 모두 같은 높이로 일치하도록 4개를 똑같이 조정한 후 부착한다.
이때, 일반적인 수직배관의 플랜지 상부 끝단이 블록의 내부재기준점에서 450㎜상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슬라이더(640)의 십자형태표식이 상기 레이져타킷(600)에 부착된 줄자의 450㎜지점에 일치하도록 높이를 조정하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레이져장치(10)에 부착된 조작레버(120)를 이용하여 전원을 켜서 레이져라인이 레이져타킷(600)으로 발사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레이져장치(10)의 볼헤드부(200)의 레이져헤드고정레버(220)를 조작하여 4개의 상기 레이져타킷(600)에 형성된 타킷사각판(660)의 중심을 동시에 레이져 라인이 통과하도록 조정한다.
다음 상기 수평레벨정준반(300)의 3개의 조정나사(320)를 조작하여 4개의 레이져타킷(600)의 십자표식 중심에 상기 레이져헤드부(100)에서 발사된 레이져 라인이 정확히 일치하도록 수평을 정밀조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레이져장치(10)에 대한 조정이 완료되면 블록이 놓여진 공장바닥의 기울기와는 관계없이 블록과 절대수평을 이루는 레이져 라인의 설정에 맞게 수직배관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레이져장치(10)에 대한 기준선 설정이 완료되면, 수직배관 설치작업을 시작하는데 배관 상부의 플랜지(Flange) 끝단이 레이져 라인에 터치(Touch)되도록 들어올린 후 유볼트(U-Blot)를 체결하는 순서로 블록에 설치되는 수직배관을 모두 설치하여 작업을 완료한다.
장애물의 간섭이 많을 때는 레이져 라인의 높이를 낮추거나 높여 주변의 간섭을 피하고 그 값을 옵셋(Offset)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상기 레이져장치(10)를 배관작업시 사용할 경우에는 설치 높이를 블록의 내부재기준점에서 450㎜(배관끝단 까지의 설계기준)에 맞추어 설치한 후 각각의 플랜지 상면이 레이져 라인과 일치하도록 조정하면 작업이 쉽고 정확한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 블록의 수직배관간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수직배관의 설치기준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수직배관의 불량설치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수직배관에 대한 정도검사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측정하기 어려운 수직배관에 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수직배관의 연결에 따른 간섭 및 어긋나는 현상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수직배관의 간섭 현상에 따른 재작업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배관 높이 측정용 레이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져타킷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레벨 정준반을 나타낸 도면,
도 13a 와 13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배관 높이 측정용 레이져장치에 대한 사용방법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레이져(Laser)장치 100 : 레이져(Laser)헤드부
120 : 조작레버 200 : 볼헤드부
220 : 레이져헤드고정레버 240 : 이동축
260 : 조절공 300 : 수평레벨정준반
320 : 조정나사 340 : 상측플레이트(Plate)
360 : 하측플레이트(Plate) 400 : 지지부
420 : 지지대 440 : 수직이동블록
460 : 고정나사 500 : 마그네틱장치
600 : 레이져타킷(Laser Target) 620 : 지지블록
640 : 슬라이더(Slider) 660 : 타킷(Target)사각판
700 : 레이져 수광기

Claims (4)

  1.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360°로 레이저(Laser)를 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 모듈(Laser Module)로 구성되며, 레이저에 공급되는 전원을 컨트롤하는 레이저헤드부(100)와, 상기 레이저헤드부(100)의 수직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볼헤드부(200)와, 상기 볼헤드부(20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헤드부(100)의 수직 높이를 미세저정하기 위한 수평레벨정준반(300)과, 상기 수평레벨정준반(300)을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지지부(400)와, 상기 지지부(4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선박의 철판에 탈부착하기 위한 마그네틱장치(500)로 구성되어 선박의 수평면에 설치되는 레이저장치(10)와;
    상기 레이저장치(10)와 대향하는 위치의 수평 구조물 상단에 설치되며, 지지블록(620)과, 상기 지지블록(620)의 상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더(640)와, 상기 슬라이더(640)와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타깃사각판(660)으로 구성된 레이저타킷(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수직 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져헤드부(100)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며, 상기 레이저헤드부(100)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레버(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수직 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벨정준반(300)은,
    상기 볼헤드부(200)를 지탱하며 복수개의 조절공(260)이 형성된 상측플레이트(340)와;
    상기 상측플레이트(340)의 조절공(260)과 체결되며, 상기 상측플레이트(340)의 수평높이를 미세조정하는 조정나사(320)과;
    상기 조정나사(320)를 지지하는 하측플레이트(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수직 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레이저장치(10)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육안 또는 소리로 확인하도록표시해주는 레이저 수광기(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수직 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
KR2020080001694U 2008-02-05 2008-02-05 선박의 수직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 KR200449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694U KR200449449Y1 (ko) 2008-02-05 2008-02-05 선박의 수직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694U KR200449449Y1 (ko) 2008-02-05 2008-02-05 선박의 수직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96U true KR20090008096U (ko) 2009-08-10
KR200449449Y1 KR200449449Y1 (ko) 2010-07-12

Family

ID=4130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694U KR200449449Y1 (ko) 2008-02-05 2008-02-05 선박의 수직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44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683B1 (ko) * 2009-10-12 2011-08-04 (주)대한정공 액화 가스 운반선에서 샤프트 정밀 정렬 방법 및 그의 장치
KR101160145B1 (ko) * 2010-02-12 2012-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블록 배관 연결 방법
CN103192953A (zh) * 2013-03-08 2013-07-10 青岛扬帆船舶制造有限公司 一种造船平面分段流水线拼板作业的板材对平方法
KR20140043529A (ko) * 2012-09-24 2014-04-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밸러스트 펌프 및 모터 설치위치 정렬장치 및 그 방법
KR200472666Y1 (ko) * 2009-08-21 2014-05-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콘 설치위치 측정장치
CN107697227A (zh) * 2017-11-09 2018-02-16 福建省福船海洋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船舶大型设备铰链组的定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13A (ja) * 1993-06-14 1995-01-06 Koito Ind Ltd ヘルメットおよび入出門管理装置
KR100335215B1 (ko) 2000-06-12 2002-05-04 김형벽ㅂ 흘수 측정 장치
JP2004212058A (ja) 2002-12-26 2004-07-29 Topcon Corp 作業位置測定装置
KR20040085397A (ko) * 2003-03-31 2004-10-08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레이저 트랙커 검교정용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66Y1 (ko) * 2009-08-21 2014-05-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콘 설치위치 측정장치
KR101053683B1 (ko) * 2009-10-12 2011-08-04 (주)대한정공 액화 가스 운반선에서 샤프트 정밀 정렬 방법 및 그의 장치
KR101160145B1 (ko) * 2010-02-12 2012-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블록 배관 연결 방법
KR20140043529A (ko) * 2012-09-24 2014-04-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밸러스트 펌프 및 모터 설치위치 정렬장치 및 그 방법
CN103192953A (zh) * 2013-03-08 2013-07-10 青岛扬帆船舶制造有限公司 一种造船平面分段流水线拼板作业的板材对平方法
CN107697227A (zh) * 2017-11-09 2018-02-16 福建省福船海洋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船舶大型设备铰链组的定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449Y1 (ko) 2010-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449Y1 (ko) 선박의 수직배관 끝단 정렬용 레이저장치
KR102081915B1 (ko) 표척의 정밀 측정을 위한 측지측량방법
KR102081917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CN112376606A (zh) 一种设备基础地脚螺栓安装模具及其施工方法
CN211954152U (zh) 一种无砟轨道承轨台测量工装的检测装置
CN111521168A (zh) 标高件、整平机标高设备及整平机定标高方法
CN202074938U (zh) 飞机发动机叶片的三坐标快速测量装置
CN214412914U (zh) 一种摄像头仿真测试标定设备
CN111486831A (zh) 一种无砟轨道承轨台测量工装的检测装置及方法
CN203371513U (zh) 激光跟踪仪专用安装平台
CN112503331A (zh) 一种激光对中仪及应用该对中仪找正联轴器的方法
CN116253245A (zh) 桥梁转体用高精度吊装定位装置及定位方法
KR200472666Y1 (ko) 컨테이너선 콘 설치위치 측정장치
CN209954332U (zh) 重型风机底座毛坯的余量检验和划线工装
KR200394634Y1 (ko) 차량 내외장검사구용 프론트 범퍼 더미 로딩장치와 리어범퍼 더미 로딩장치
KR200394636Y1 (ko) 차량 내외장검사구용 리어 임팩트 범퍼 더미 로딩장치와래디에이터 그릴 더미 로딩장치
CN217845123U (zh) 一种用于客车通道引道测量装置校准的设备
KR200250399Y1 (ko) 건축용 레벨 체크기
CN105387788A (zh) 一种转向架管路定位检测装置及定位、检测方法
KR100970938B1 (ko) 중성자 유도관 지지대의 위치 설정을 위한 피측정장치
CN219495154U (zh) 一种平面度检测装置
CN211866564U (zh) 一种测量辅助工具
JP7360806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の校正用基準具の位置決め具及び位置決め装置
CN217541720U (zh) 一种冲压件孔位置度检具
CN213568434U (zh) 一种治具、电机安装架及玻璃基板输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