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999A - 감시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999A
KR20090007999A KR1020070071271A KR20070071271A KR20090007999A KR 20090007999 A KR20090007999 A KR 20090007999A KR 1020070071271 A KR1020070071271 A KR 1020070071271A KR 20070071271 A KR20070071271 A KR 20070071271A KR 20090007999 A KR20090007999 A KR 20090007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nitor
image input
input unit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300B1 (ko
Inventor
정동렬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1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3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07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의 감시 영상을 모니터에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들; 상기 영상 입력부들을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으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영상 입력부들 중에서 선택된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표시되는 모니터; 및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지능형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 시스템{Surveillance camera system}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영상을 모니터에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특정 장소 또는 이동식으로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대상을 인식하여 특정 지역을 감시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지능형 감시 경계 로봇, GOP(Gerenal OutPost) 과학화 시스템, 사회안전 로봇 시스템과 같이 영상을 이용한 시큐러티 시스템(security system)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장/단 거리 및 주/야간 원격 제어에 의하여 침입자를 탐지 및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위험 영역의 감시 및 추적 또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감시 대 상 영역의 서로 다른 영상을 하나의 모니터에 표시하면서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의 모니터에 복수개의 입력 단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 중에서 필요한 영상을 선택적으로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운용자가 각각의 영상을 직접 변환하면서 각각의 감시 대상 영역을 일일이 모니터링 해야 한다. 또한, 각각의 영상을 직접 보면서 해당 감시 대상 영역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의 감시 영상을 모니터에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들; 상기 영상 입력부들을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으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영상 입력부들 중에서 선택된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표시되는 모니터; 및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지능형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각각의 상기 영상 입력부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이 제어부로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입력 영상부의 영상을 상기 모니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입력부에 대응되는 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센서에 대응되는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입력부가, 줌 가능한 렌즈, 상기 렌즈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통하여 상기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상기 렌즈 및 상기 카메라를 움직이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들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선택된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 (a) 상기 영상 및/또는 감시 신호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영상 입력부인 표시영상 입력부의 영상을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b) 단계가, (b1) 상기 표시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현재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영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표시 영상을 갱신하는 단계, 및 (b3) 상기 표시 영상을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입력부 각각에 인식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b1) 단계가, 상기 표시영상 입력부의 인식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영상 입력부의 인식번호가 상기 모니터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상기 영상 입력부의 인식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b2) 단계에서 상기 인식번호가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에 상기 표시영상 입력부를 변경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가, 상기 표시영상 입력부의 인식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영상 입력부의 영상을 상기 모니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의 감시 영상을 모니터에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시 시스템의 감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의 감시 영상을 모니터에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의 감시 영상을 모니터에 우선적으로 보여주므로, 운영자가 감시 영역의 상황을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시 시스템의 감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들(110a 내지 110n); 영상 분석부(120a 내지 120n); 모니터(150); 및 제어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들(110a 내지 110n)은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다. 영상 분석부(120a 내지 120n)는 영상 입력부들(110a 내지 110n)을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으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한다.
모니터(150)는 영상 입력부들 중에서 선택된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표시된다. 제어부(130)는 이벤트에 따라 모니터(150)에 표시되는 영상이 선택되도록 제어한다.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는 렌즈(111), 카메라(112), 및 구동장치(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는 카메라(112)를 포함하고, 카메라(112)를 통하여 영상을 입력받는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에서의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는 카메라(112) 이외의 다른 영상 입력장치에 의하여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렌즈(111)는 줌 가능한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렌즈(111)는 통상의 렌즈와 상기 렌즈의 영상이 입력되는 전면에 부착되는 줌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111)는 줌 가능하도록 줌-인(zoom in) 및/또는 줌-아웃(zoom out)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가 좁은 지역을 더욱 세밀하게 영상을 입력받거나, 더욱 넓은 지역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112)는 렌즈(111)와 결합되어 렌즈(111)를 통하여 감시 대상 영역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동장치(113)는 제어부(130)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렌즈(111) 및 카메라(113)를 움직일 수 있다. 이때, 구동장치(113)는 패닝(panning)/틸팅(tilting) 시스템을 포함하여 영상이 입력되는 관심 지역의 상하 및 좌우 각도를 변경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렌즈(111) 및 카메라(113)는 프리셋 방식 또는 스캔 방식에 의하여 움직이면서, 감시 대상 영역으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 입력부(110 내지 110n)는 정해진 경로를 이동하는 이동형 순찰 로봇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장치(113)가 팬/틸팅 기능과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모두 가질 수 있다.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는 영상 분석부(120a 내지 120n)는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를 탐지, 추적, 및 인식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영상 분석부(120a 내지 120n)는 각각의 관심 지역의 영상으로부터 화면의 변화 또는 물체의 이동을 감지하고, 이를 추적 및/또는 인식함으로써, 특정 관심 지역에서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는 각각의 관심 지역들에서 발생하여 인식되는 사건이고, 설정변수는 사건의 영상에서 탐지되는 이동 물체의 크기, 이동 속도, 이동 물체가 관심 지역에 머무르는 시간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 분석부(120a 내지 120n)는 제어부(13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에서 위에서 설명한 영상 분석부(120a 내지 120n)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에 대응되는 센서들(140a 내지 140m)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센서들(140a 내지 140m)은 광망, 광케이블, 및 진동 장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센서들(140a 내지 140m)은 영상 입력부(120a 내지 120n) 외에 감시 대상이 되는 지역으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는 다른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각각의 센서들(140a 내지 140m)을 포함하여 센서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가 센서들(140a 내지 140m)로부터 입력되는 감시 신호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벤트가 감지된 센서에 대응되는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의 영상이 모니터(150)에 표시될 수 있다.
모니터(150)는 영상 입력부들 중에서 선택된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표시된다. 이때, 모니터(150)에 표시되도록 영상 입력부들(110a 내지 110n) 중에서 선택된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하나 또는 복수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니터(150)에는 복수개의 입력 단자가 구비되고, 각각의 영상 입력부들(110a 내지 110n)이 각각 모니터(1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의 카메라(112)가 직접 또는 영상 분석부(120a 내지 120n)를 통하여 모니터(15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영상 입력부들(110a 내지 110n)을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들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영상이 하나의 모니터(150)에 표시될 수 있다. 하나의 모니터(150)에 복수개의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에, 복수개의 영상이 PIP(Picture in Picture)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모니터(150)의 전체 화면이 복수 개로 분할되고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 복수개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 하나의 모니터(150)가 구비되고, 각각의 영상 입력부들(110a 내지 110n)이 모두 하나의 모니터(150)에 연결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는 복수개의 모니터(1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영상 입력부들(110a 내지 110n)을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감시 대상 영역의 카메라(112)로부터 입력되는 복수개의 영상이 우선적으로 복수대의 모니터(15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우선 순위가 정해지고, 각각의 모니터(150)에도 우선 순위가 정해져, 각각의 우선 순위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의 카메라(11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이 각각의 모니터(150)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벤트에 따라 모니터(150)에 표시되는 영상이 선택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컴퓨터 등의 중앙처리장치가 될 수 있으며, 영상 분석부(120a 내지 120n) 및/또는 센서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또는 감시 신호를 분석하여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를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 분석부(120a 내지 120n) 및/또는 센서부(140)로부터 제어부(130)로 이벤트가 입력된다. 이벤트는 각각의 관심 지역들에서 발생하여 영상 분석부(120a 내지 120n) 및/또는 센서부(140)에서 인식되는 사건이다.
영상 분석부(120a 내지 120n)에서는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20a 내지 120n)에서 입력되는 영상들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발생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하고, 제어부에서는 이벤트 발생 신호가 입력된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모니터(150)에 표시될 표시 영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30)에서 표시될 표시 영상이 입력되는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에 해당하는 신호를 모니터(150)로 보낸다. 그에 따라, 모니터(150)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한다.
또한, 하나의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모니터(150)에 표시하다가, 다른 이벤트가 발생하면, 모니터(150)에 표시되는 영상의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가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30)에서 각각의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직접 분석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의 감시 영상을 모니터에 선택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의 감시 영상을 모니터에 우선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 중에서 특정 영상을 모니터(150)에 표시하기 위하여 필요할 수 있는 고 가의 매트릭스 장비가 필요 없다.
또한, 영상 입력부(110a 내지 110n)의 개수에 비하여 적은 개수의 모니터(150)로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이 간단해 질 수 있으며, 특히 소규모 감시 시스템의 구축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발생에 따라 감시 대상 영역을 적응적으로 감시할 수 있으므로, 운영자가 감시 영역의 상황을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시 시스템의 감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인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은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210a 내지 210n)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의 감시 영상을 모니터(250)에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의 감시 영상을 모니터(250)에 우선적으로 보여주므로, 운영자가 감시 영역의 상황을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시 시스템(200)의 감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은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들(210a 내지 210n); 영상 분석부(220a 내지 220n); 모니터(250); 및 제어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은 여기서 기술되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도 1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과 동일하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 시스 템(200)에서 도 1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영상 입력부들(210a 내지 210n)은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다. 영상 분석부(220a 내지 220n)는 영상 입력부들(210a 내지 210n)을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으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한다.
모니터(250)는 영상 입력부들 중에서 선택된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표시된다. 제어부(230)는 이벤트에 따라 모니터(250)에 표시되는 영상이 선택되도록 제어한다.
각각의 영상 입력부들(210a 내지 210n)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이 제어부(230)로 입력되고, 제어부(230)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입력 영상부(210a 내지 210n)의 영상을 모니터(25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선택된 입력 영상부(210a 내지 210n)의 영상이 모니터(250)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은 도 1에 도시된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에 대하여 각각의 영상 입력부(210a 내지 210n)가 각각 제어부(230)와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영상 입력부(210a 내지 210n)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이 제어부(230)를 통하여 모니터(250)에 입력된다.
이때, 제어부(130)에서 화면상에 표시될 영상을 선택하고, 각각의 영상 입력부(210a 내지 210n)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입력 영상부의 영상을 모니터(250)로 전송하여, 그 영상을 모니터(250)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모니터(250)에 하나의 입력 단자만 구비되는 경우에도 복수개의 입력 영상들 중에서 감시 대상 영역의 상황에 따라 표시될 영상을 선택하여, 복수개의 영상들 중에서 특정 영상을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 및/또는 도 2에 도시된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 200)은 도 3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S3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S300)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S300)은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들(도 1의 110a 내지 110n)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선택된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모니터(도 1의 150)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벤트 감지단계(S320) 및 영상 표시단계(S330 내지 S3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단계(S320)에는 영상 및/또는 감시 신호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한다. 영상 표시단계(S330 내지 S360)에는 이벤트가 감지된 영상 입력부인 표시영상 입력부의 영상을 모니터에 표시한다.
영상 표시단계(S330 내지 S360)는 표시 영상 판단단계(S330, S340), 표시 영상 갱신단계(S350), 및 모니터 표시단계(S360)를 구비한다. 표시 영상 판단단계(S330, S340)에는 이벤트가 감지된 입력부의 카메라 번호를 수신하고(S330), 표시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현재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영상인지 판단한다(S340).
표시 영상 갱신단계(S350)에는 표시 영상을 갱신한다. 모니터 표시단계(S360)에는 표시 영상을 모니터에 표시한다.
표시 영상 판단단계(S330, S340)는 표시영상 입력부의 인식번호가 입력되는 단계(S330), 및 표시영상 입력부의 인식번호가 모니터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영상 입력부의 인식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를 구비한다. 이 경우, 표시 영상 갱신단계(S350)에 인식번호가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에 표시영상 입력부를 변경하여, 모니터 표시단계(S360)에 이벤트 발생한 새로운 입력부로부터의 영상이 모니터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 표시단계(S330 내지 S360)가 표시영상 입력부의 인식번호가 입력되는 단계(S330), 및 표시영상 입력부의 영상을 모니터로 전송하는 단계(S340 내지 S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이 이벤트를 감지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표시 영상의 입력부의 인식번호를 입력받아, 해당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표시 영상으로 하여, 모니터로 전송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으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이 모니터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에서 더욱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감지단계(S320)에 감지되는 감시 신호들은 광망, 광케이블, 및 진동 장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벤트가 감지된 감시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모니터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S300)에서는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의 감시 영상을 모니터에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의 감시 영상을 모니터에 우선적으로 보여주므로, 운영자가 감시 영역의 상황을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시 시스템의 감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감시 카메라 시스템,
110a 내지 110n, 210a 내지 210n: 영상 입력부,
120a 내지 120n, 220a 내지 220n: 영상 분석부,
130, 230: 제어부,
150, 250: 모니터.

Claims (13)

  1.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들;
    상기 영상 입력부들을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으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영상 입력부들 중에서 선택된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표시되는 모니터; 및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지능형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영상 입력부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이 모두 상기 모니터에 입력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영상 입력부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이 제어부로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입력 영상부의 영상을 상기 모니터로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가 상기 제어부 내부에 포함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에 대응되는 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센서에 대응되는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이 광망, 광케이블, 및 진동 장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감시 카메라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가, 줌 가능한 렌즈, 상기 렌즈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통하여 상기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상기 렌즈 및 상기 카메라를 움직이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감시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입력부들 중에서 선택된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하나 또는 복수개인 감시 카메라 시스템.
  9. 복수개의 영상 입력부들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선택된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
    (a) 상기 영상 및/또는 감시 신호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영상 입력부인 표시영상 입력부의 영상을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가,
    (b1) 상기 표시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현재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 영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표시 영상을 갱신하는 단계, 및
    (b3) 상기 표시 영상을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 각각에 인식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b1) 단계가,
    상기 표시영상 입력부의 인식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영상 입력부의 인식번호가 상기 모니터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상기 영상 입력부의 인식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b2) 단계에서 상기 인식번호가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에 상기 표시영상 입력부를 변경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가,
    상기 표시영상 입력부의 인식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영상 입력부의 영상을 상기 모니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신호들이 광망, 광케이블, 및 진동 장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감지되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된 감시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입력부의 영상이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70071271A 2007-07-16 2007-07-16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247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271A KR101247300B1 (ko) 2007-07-16 2007-07-16 감시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271A KR101247300B1 (ko) 2007-07-16 2007-07-16 감시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999A true KR20090007999A (ko) 2009-01-21
KR101247300B1 KR101247300B1 (ko) 2013-03-25

Family

ID=4048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271A KR101247300B1 (ko) 2007-07-16 2007-07-16 감시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3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004B1 (ko) * 2014-10-14 2014-11-28 (주)진명아이앤씨 지능형 방범, 방재 및 사후처리 통합 트리플렉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958619B2 (en) 2011-07-22 2015-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reconstructing tomograms from polychromatic X-ray transmission image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50077057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비디오 월 시스템
CN109710200A (zh) * 2017-10-25 2019-05-03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记录介质以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069B1 (ko) * 1997-02-01 2000-03-15 고성욱 다채널 감시장치의 카메라 구동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감시장치
KR100301674B1 (ko) * 1999-08-04 2001-11-01 윤용철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KR20070034385A (ko) * 2005-09-24 2007-03-28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무인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33431Y1 (ko) 2006-09-29 2006-12-08 디지 플라워(주) 독립형 감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8619B2 (en) 2011-07-22 2015-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reconstructing tomograms from polychromatic X-ray transmission image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50077057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비디오 월 시스템
KR101466004B1 (ko) * 2014-10-14 2014-11-28 (주)진명아이앤씨 지능형 방범, 방재 및 사후처리 통합 트리플렉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9710200A (zh) * 2017-10-25 2019-05-03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记录介质以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300B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237B1 (ko) 화상감시장치 및 화상감시방법
EP1968321B1 (en) Intruding object monitoring method and intruding object monitoring system
KR100606485B1 (ko) 물체 추미 방법 및 물체 추미 장치
US9041800B2 (en) Confined motion detection for pan-tilt cameras employing motion detection and autonomous motion tracking
KR101187908B1 (ko) 복수의 이벤트 영상을 표시하는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복수의 이벤트 영상 표시 방법
US20110310219A1 (en) Intelligent monitoring camera apparatus and image monitoring system implementing same
JP6016295B2 (ja) 監視システム
JP2006523043A (ja) 監視を行なう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411624B1 (ko)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RU83675U1 (ru) Система видеомониторинга
KR102050424B1 (ko) 주차관리 시스템 및 주차관리 방법
KR20190117947A (ko) 머신 러닝을 기반으로 한 화재 감시 시스템
US20030202102A1 (en) Monitoring system
KR101596896B1 (ko) 이종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 단속을 수행하는 단속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관제 시스템
KR101187901B1 (ko) 지능형 감시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00129125A (ko) 지능형 광역 감시 카메라, 그 제어회로 및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시스템
KR101247300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204870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1245284A (ja) 侵入物体監視方法および侵入物体監視装置
KR101204081B1 (ko) 감시 시스템
JP2015186114A (ja) 映像監視システム
JP2009301175A (ja) 監視方法
KR20130104068A (ko) 광역 감시 시스템 및 이동 물체 촬영 방법
RU83677U1 (ru) Система видеомониторинга
KR101187906B1 (ko) 지능형 감시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