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940U -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 Google Patents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940U
KR20090007940U KR2020080001513U KR20080001513U KR20090007940U KR 20090007940 U KR20090007940 U KR 20090007940U KR 2020080001513 U KR2020080001513 U KR 2020080001513U KR 20080001513 U KR20080001513 U KR 20080001513U KR 20090007940 U KR20090007940 U KR 200900079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able
connector
sp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0374Y1 (ko
Inventor
이용순
안진섭
조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일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일,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to KR2020080001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37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9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9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3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스프링의 압축력의 조정에 의하여 플러그인 커넥터를 에폭시 부싱과 확실하게 접속시킴으로써 확실한 케이블 결속을 유도할 수 있고, 케이블 접속 시공의 편이 및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어 경제성이 보장되는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에폭시 부싱의 전단 접속소켓에 접속하는 멀티램이 케이블의 도체 전단에 조립된 상태로 결합한 플러그인 커넥터를 길이방향으로 배설된 다수의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압착수단에 의해 접속하도록 구성하되, 이 압착수단의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발력 조정에 의해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를 에폭시 부싱의 접속소켓에 접속시키도록 구성한 것과, 플러그인 커넥터의 후방에서 케이블 결합부분을 기밀하면서 적용되는 케이블의 외경 사이즈에 따라서 어댑터만의 교체 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호하우징의 후방에 기밀수단을 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플러그인 방식, 케이블 접속재, 압착수단, 압축스프링, 어댑터, 기밀수단

Description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PLUG IN TYPE CABLE CONNECTOR BY CONTROLLING THE ELASTICITY OF SPRING}
본 고안은 가스절연개폐기의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축스프링의 압축력의 조정에 의하여 플러그인 커넥터를 에폭시 부싱과 확실하게 접속시킴으로써 확실한 케이블 결속을 유도할 수 있고, 케이블 접속 시공의 편이 및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어 경제성이 보장되는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 개폐기(Gas Insulated Switchgear : GIS)는 변전소의 주요기기인 차단기, 단로기, 접지개폐기, 계기용 변압기, 변류기, 주 모선, 피뢰기 등을 접지된 금속 외함에 내장하여 절연 및 소호특성이 우수한 SF6 가스를 충전하여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변전소의 핵심기기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가스절연 개폐기는 송전, 변전 선로의 정상상태의 개폐뿐만 아니라 지락, 단락 등의 가혹한 조건의 이상상태에서도 선로를 개폐하여 전력계통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기로서 변전소의 소형화, 안전 및 신뢰성의 향상, 용이한 운전 및 보수점검, 환경과의 조화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가스절연 개폐기의 내부에는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케이블 접속재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는 가스절연 개폐기의 하우징(G/H)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조립되는 에폭시 부싱(10)과, 이 부싱에 접속되며 케이블(C.B)의 단말부 절연 확보를 위해 스트레스 콘(21)으로 구성된 플러그인 커넥터(20)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이 제시하는 기술은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20)의 기술 범주에 속한다.
종래의 플러그인 커넥터(20)는 전단에서 케이블(C.B)의 도체와 결속되어 상기 에폭시 부싱(10)의 절연하우징(11)의 전단에 결속 성형 된 접속소켓(12)에 접속하는 멀티램(30)과,
케이블(C.B)의 후단 기밀을 위해 결합하고 상기 가스절연 개폐기(G/H)에 볼트(B/T)로 체결되어 결합상태를 지지하는 보호하우징(40)과,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의 후단에서 상기 보호하우징(40)과의 사이에 탄력 설치된 압축스프링(51)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어 상기 멀티램(30)을 상기 에폭시 부싱(10)은 동합금재의 접속소켓(12)에 탄력적인 접속하는 압착수단(50)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플러그인 커넥터(20)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플러그인 커넥터(20)가 압축스프링(51)에 의해 탄력 지지된 가압관(55)에 의해 단순히 탄력 지지가 됨으로써 적정압력에 의한 접속을 제공하지 못하여 효과적인 결속이 제공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둘째, 케이블의 외주면에 결합하여 전단에 결속된 플러그인 커넥터를 기밀하는 보호하우징(40)이 다수개의 조립체로 되어 경제성이 떨어지고,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서 그에 필요한 보호하우징(40)이 필요함으로써 호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셋째, 케이블의 외주면과 효과적인 기밀작업이 제공되지 못하여 시공 후에 반드시 케이블과 보호하우징(40)의 단부를 테이핑 처리로 기밀작업을 제공함으로써 작업공수의 추가는 물론 시공의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결속수단을 다수의 압축스프링을 구성된 스프링조립체로 형성하여 탄발 지지력을 강화에 의한 압축력을 강화하고 이러한 압축력을 조정너트의 조임 조절에 의해 적정압력의 조절이 가능하여 확실한 케이블의 결속을 유도할 수 있어 장치 신뢰성을 극대화한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케이블 접속 시공이 용이하고 작업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조립되는 케이블의 외경에 맞는 어댑터 만의 교체로 케이블 결합부분의 기밀성 및 호환성을 극대화한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는,
에폭시 부싱의 전단 접속소켓에 접속하는 멀티램이 케이블의 도체 전단에 조립된 상태로 결합한 플러그인 커넥터와, 이 플러그인 커넥터의 후단에서 케이블 결합 부분을 기밀하고 가스절연 개폐기에 볼트로 체결되어 결합상태를 지지하는 보호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의 스트레스 콘의 후단에서 상기 보호하우징과의 사이에 구성되는 압축스프링에 의해 탄력 설치된 압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압착수단은 길이방향으로 배설된 다수의 압축스프링을 포함하고 이들 압축스프링의 탄발력 조정에 의해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를 에폭시 부싱의 접속소켓에 접속시키도록 구성한 것과,
플러그인 커넥터의 후방에서 케이블 결합부분을 기밀하는 상기 보호하우징은 적용되는 케이블의 외경 사이즈에 따라서 어댑터만의 교체 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호하우징의 후방에 기밀수단을 구성하되, 이러한 기밀수단은 상기 보호하우징의 후방에 일체 돌출 성형 된 나사관과, 이 나사관에 나사 결합하면서 상기 케이블의 외경 사이즈에 맞는 결합공을 관통한 어댑터와, 이 어댑터 내에 삽입되는 패킹과, 상기 나사관의 외주면에 결합하여 어댑터의 전단에서 배설된 기밀링으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접속에 따른 가장 최적의 적정압력으로 조정하여 확실한 케이블의 결속 접속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는 효과,
케이블의 접속 시공의 편리성 및 작업공정의 신속성에 의한 경제성이 보장되는 효과,
결속되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서 어댑터의 교체에 의한 기밀작업이 가능하 여 호환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는,
에폭시 부싱(100)의 절연하우징(110)의 전단에 결속된 접속소켓(120)에 접속하는 멀티램(300)이 케이블(C.B)의 도체 전단에 조립된 상태로 결합한 플러그인 커넥터(200)와, 이 플러그인 커넥터의 후단에서 케이블 결합부분을 기밀하고 가스절연 개폐기(G/H)에 볼트(B/T)로 체결되어 결합상태를 지지하는 보호하우징(400)과,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200)의 스트레스 콘(210)의 후단에서 상기 보호하우징(400)과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다수의 압축스프링(510)을 구비한 압착수단(500)을 포함한다.
상기 압착수단(500)은 다수의 압축스프링(510)을 포함하고 이들 압축스프링의 탄발력 조정에 의해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200)의 스트레스 콘(210)를 에폭시 부싱(100)의 접속소켓(120)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압착수단(500)은 상기 다수의 스프링이 길이방향으로 압축가능한 스프링 조립체로 구축된다.
이러한 압착수단(500)은 상기 에폭시 부싱(100)의 후단에 볼트(B/T) 체결로 조립되는 결합플레이트(520)와,
이 결합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200)의 스트레스 콘(210)의 후단과 결합하는 가압플레이트(530)와,
상기 결합플레이트(520)과 가압플레이트(53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지지플레이트(540)와,
상기 결합플레이트(520)와 후방지지플레이트(540)를 일정간격 이격상태로 배치 연결하면서 후측이 상기 후방플레이트(540)를 관통 배치되어 전, 후진 가능케 지지하는 다수의 육각조절바(550)와,
이들 다수의 육각조절바의 내측에서 상기 가압플레이트(520)와 후방지지플레이트(540)에 배설되어 일측이 상기 후방플레이트(540)에 관통 안내하는 다수의 스프링 지지봉(560)과,
이들 스프링 지지봉의 각각 외주면에 끼움 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520)의 후면과 후방지지플레이트(540)의 전면에 탄력설치된 상기 다수의 압축스프링(510)과,
상기 후방지지플레이트(540)에 관통 돌출된 육각조절바(550)의 나사부(551)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후방지지플레이트(540)의 이탈 차단과 전, 후진에 의해 상기 스프링(510) 압축력을 조절하는 다수의 조절너트(57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플레이트(520)의 전면에는 오링홈(521)을 구성하고 오링(522)을 결합하여 상기 에폭시부싱(100)의 절연하우징(110) 후단면을 기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압착수단(500)은 10개 구성된 상기 압축스프링(510)의 압축력의 조정에 의해 플러그인 커넥터(200)를 가스절연 개폐기의 하우징(G/H)에 조립된 에폭시 부싱(100)의 절연하우징(110) 내부를 통해 전단의 접속소켓(120)에 멀티램(300)을 확실하게 접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력의 조정에 따른 상기 압축스프링(510)의 압축력 변위는 0~40mm정도의 변위가 가능하게 상기 육각조절바(550)의 나사부(551)의 거리를 설정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110kgf/EA×10개소=1,100kgf의 크기를 조정하여 확실한 케이블의 결속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하우징(400)은 적용되는 케이블(C.B)의 외경 사이즈에 따라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보호하우징(400)은 상기 케이블(C.B)의 외주면을 수용하여 기밀 결합하는 기밀수단이 후방에 구성되고, 전방에는 플랜지(410)를 구성하여 상기 압착수단(500)의 결합플레이트(540)에 볼트(B/T) 체결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결합플레이트(540)을 제외한 나머지 부재를 감싸 결합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410) 전면에는 오링홈(411)을 형성하고 이에 오링(412)을 끼우고 조립되어 상기 보호하우징(400)의 전면은 결합플레이트(540)와 기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하우징(400)의 후방에 구성되는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보호 하우징(400)의 후방에 일체 돌출 성형 된 나사관(420)과, 이 나사관에 나사 결합하면서 상기 케이블(C.B)의 외경 사이즈에 맞는 결합공(431)을 관통한 어댑터(430)와, 이 어댑터 내에 삽입되는 패킹(440)과, 상기 나사관(420)의 외주면에 결합하여 상기 어댑터(430)의 전단에서 배설된 기밀링(450)으로 구성된다.
도 1은 가스절연 개폐기용 플러그인 커넥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결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일부 발췌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압착수단의 발췌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보호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사용에 따른 케이블과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접속에 따른 작동순서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에폭시 부싱 110: 절연하우징
120: 접속 소켓 200: 플러그인 커넥터
210: 스트레스 콘 300: 멀티램
400: 보호하우징 430: 어댑터
500: 압착수단 510: 압축스프링

Claims (8)

  1. 에폭시 부싱의 전단 접속소켓에 접속하는 멀티램이 케이블의 도체 전단에 조립된 상태로 결합한 플러그인 커넥터와, 이 플러그인 커넥터의 후단에서 케이블 결합 부분을 기밀하고 가스절연 개폐기에 볼트로 체결되어 결합상태를 지지하는 보호하우징과,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의 스트레스 콘의 후단에서 상기 보호하우징과의 사이에 구성되는 압축스프링에 의해 탄력 설치된 압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압착수단은 길이방향으로 배설된 다수의 압축스프링을 포함하고 이들 압축스프링의 탄발력 조정에 의해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를 에폭시 부싱의 접속소켓에 접속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은 스프링 조립체로서 상기 에폭시 부싱의 후단에 볼트 체결로 조립되는 결합플레이트와,
    이 결합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의 스트레스 콘의 후단과 결합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결합플레이트과 가압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후방지지플레이트를 일정간격 이격상태로 배치 연결하면서 일측이 상기 후방플레이트를 관통 배치되어 전, 후진 가능케 지지하는 다수의 육각조절바와,
    이들 다수의 육각조절바의 내측에서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후방지지플레이트에 배설되어 일측이 상기 후방플레이트에 관통 안내하는 다수의 스프링 지지봉과,
    이들 스프링 지지봉의 각각 외주면에 끼움 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후면과 후방지지플레이트의 전면에 탄력설치된 다수의 압축스프링과,
    상기 후방지지플레이트에 관통 돌출된 육각조절바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후방지지플레이트의 이탈 차단과 전, 후진에 의해 상기 스프링 압축력을 조절하는 다수의 조절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오링홈을 구성하고 오링을 결합하여 상기 에폭시 부싱의 하우징 후단면을 기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의 압축력은 상기 육각조절바의 나사부 40mm 범위 내에서 조절너트의 나사회전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단면상 "ㄱ"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의 후면 내주면에 전단 돌출부분이 끼움 되는 상태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하우징은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을 수용하여 기밀 결합하는 기밀수단이 후방에 구성되고, 전방에는 플랜지를 구성하여 상기 압착수단의 결합플레이트에 볼트 체결로 결합하여 상기 압착수단의 나머지 부재를 감싸 결합하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하우징은 플랜지 전면에는 오링홈을 형성하고 이에 오링을 결합하고 볼트체결로 조립되어 기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보호하우징의 후방에 돌출 성형 된 나사관과, 이 나사관에 나사 결합하면서 상기 케이블의 외경 사이즈에 맞는 결합공을 관통한 어댑터와, 이 어댑터 내에 삽입되는 패킹과, 상기 나사관의 외주면에 결합하여 어댑터의 전단에서 배설된 기밀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KR2020080001513U 2008-01-31 2008-01-31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KR200450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513U KR200450374Y1 (ko) 2008-01-31 2008-01-31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513U KR200450374Y1 (ko) 2008-01-31 2008-01-31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940U true KR20090007940U (ko) 2009-08-05
KR200450374Y1 KR200450374Y1 (ko) 2010-09-29

Family

ID=4130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513U KR200450374Y1 (ko) 2008-01-31 2008-01-31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3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703A (ko) * 2021-12-07 2023-06-14 한국전력공사 지상개폐기용 스터드볼트의 접속 기능을 가진 절연플러그 구조체
KR102631783B1 (ko) * 2023-08-14 2024-01-31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초고압 케이블 접속부 풀림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120B1 (ko) 2015-09-21 2016-01-28 (주)동조전력 Gis용 플러그인 커넥터의 스트레스콘 삽입지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3278B2 (ja) * 2002-05-09 2008-02-06 株式会社エンプラス 表示パネル検査用ソケットおよびこれに用いる調整機構
DE10242074B3 (de) * 2002-09-11 2004-05-19 Fci Steckverbinder mit mit Federkraft beaufschlagter Sekundärverriegelung
DE10346360B3 (de) * 2003-09-30 2005-06-23 Siemens Ag Elektrooptisches Bauelement für die Montage auf einem Trägerbauteil
KR100854509B1 (ko) 2006-07-19 2008-08-27 주식회사 평일 지상 변압기의 저압 케이블 분리용 클립형 접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703A (ko) * 2021-12-07 2023-06-14 한국전력공사 지상개폐기용 스터드볼트의 접속 기능을 가진 절연플러그 구조체
KR102631783B1 (ko) * 2023-08-14 2024-01-31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초고압 케이블 접속부 풀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374Y1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992B1 (ko) 부싱 래치용 어댑터
AU2008213928B2 (en) Down hole electrical connector for combating rapid decompression
US7862356B1 (en) Busway water resistant joint pack or plug-in unit joint
CN202111407U (zh) 一种干燥空气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
US8629367B2 (en) Plug-in primary power connections of two modules of a gas-insulated high-voltage switchgear assembly
KR200450374Y1 (ko) 스프링 압축력 조정에 의한 플러그인 방식의 케이블 접속재
CN201781216U (zh) 负荷开关柜
CN203932787U (zh) 组合式固体绝缘真空环网柜
CN101507069A (zh) 带有封装壳体的连接模块
WO2006062168A1 (ja) アレスタおよびアレスタの漏れ電流の測定方法
KR200448391Y1 (ko) 전압검출부용 gis용 케이블 커넥터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CN200979979Y (zh) 一种用在中压电缆分支系统中的l型可扩展分支接头
JP2014033562A (ja) ケーブル接続装置
CN206575073U (zh) 电力机车用气体绝缘高压开关设备箱
JP4550750B2 (ja) アレスタ
CN101728701B (zh) 矿用隔爆型高压电缆连接器
CN104124103A (zh) 一种真空灭弧室动触杆连接传动装置
KR100960075B1 (ko) 지중 배전 선로용 폴리머 절연 다회로 개폐기
CN201623396U (zh) 气体绝缘高压开关设备
CN105071058A (zh) 一种野外高压设备用快速接地装置
CN100524552C (zh) 电插接高压互感器
CN202957518U (zh) 固体绝缘电压互感器柜
CN210430696U (zh) 波纹管组件、气箱以及气体绝缘全封闭开关柜
JP2007158041A (ja) アレ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