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128A -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128A
KR20090007128A KR1020070070791A KR20070070791A KR20090007128A KR 20090007128 A KR20090007128 A KR 20090007128A KR 1020070070791 A KR1020070070791 A KR 1020070070791A KR 20070070791 A KR20070070791 A KR 20070070791A KR 20090007128 A KR20090007128 A KR 20090007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d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 input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709B1 (ko
Inventor
곽용수
이윤철
이창석
이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709B1/ko
Publication of KR2009000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문자 입력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움직임에 따른 방향을 체크하여, 체크된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를 각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원하는 문자 입력 모드를 보다 손쉽게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모드 전환, 문자 입력 모드

Description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WITCHING CHARACTER INPUT MODES}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부가 기능이 점점 다양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단문 메시지 전송(SMS), 메모, 스케줄러 등의 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해당 메뉴에 대응되는 정보들을 입력받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는 문자 입력을 위하여 5가지 문자 입력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가 있다. 여기서 5가지 문자 입력 모드는 보통 한글 입력 모드, 영어 대문자 입력 모드, 영어 소문자 입력 모드, 특수 문자 입력 모드 및 숫자 입력 모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 입력 모드를 선택해가며 한글, 영어의 대소문자, 특수 문자 및 숫자들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는 특정 기능 키만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 모드를 선택해야 하므로, 문자 입력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게 된다. 구 체적으로 말하자면, 사용자는 기본으로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제외한 4개의 문자 입력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특정 기능 키를 원하는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될 때까지 눌러야 한다. 게다가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 전환 후에 다시 기본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또다시 특정 기능 키를 눌러야 하므로 문자 입력에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 문자 입력 모드의 선택을 위한 특정 기능 키만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 입력 모드를 선택할 때 특정 기능 키를 여러 번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그에 따라 문자 입력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모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고, 문자 입력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문자 입력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따른 방향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체크된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 개의 문자 입력 키들과 기능 키들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키 입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들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복수 개의 문자 입력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신호에 대응되는 방향을 체크한 후 상기 체크된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모드의 전환이 간단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문자 입력시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문자 입력 시간을 절약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문자 입력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움직임에 따른 방향을 체크하여, 체크된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를 각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원하는 문자 입력 모드를 보다 손쉽게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보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부(100), 메모리(110), 센서부(120), 키 입력부(130),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무선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10)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키 입력부(130)의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되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영어의 대문자와 소문자 및 특수 문자들을 저장하고 있다.
센서부(1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센서부(120)는 공간상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가속도 센서 및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의 기능이 결합된 6축 센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방향 및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키 입력부(130)는 복수 개의 문자 입력을 위한 키들과 여러 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상하 좌우 방향키 및 그 외의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그리고 표시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키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된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들을 표시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로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구동시키는 데 있어 그 상태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복수 개의 문자 입력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에서 키 입력부(130)로부터 수신된 키 입력 데이터를 표시부(140) 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문자 입력 모드들은 한글 입력 모드, 영어 대문자 입력 모드, 영어 소문자 입력 모드, 숫자 입력 모드 및 특수 문자 입력 모드들 중 2개 이상이 될 수가 있다.
제어부(150)는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센서부(1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판단하여, 그 판단된 신호에 대응되는 방향을 체크한다. 여기서 체크되는 방향은 표시부(140)가 정립된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준으로 전, 후, 좌, 우의 방향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체크된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할 때 원하는 문자 입력 모드를 보다 빠르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복수 개의 문자 입력 모드들 중 어느 하나 의 문자 입력 모드에서 200 단계로 진행하여 홀드가 해제되었는지 판단한다. 즉, 제어부(150)는 현재의 문자 입력 모드를 유지하기 위하여 센서부(12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홀드(Hold) 기능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200 단계에서 홀드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202 단계로 진행하여 센서부(120)를 구동시킨다.
한편, 홀드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키 입력부(130)에 구비된 홀드 키의 눌림 또는 표시부(140)에 표시된 홀드 기능 사용을 위한 메뉴 등이 선택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서부(120)가 구동되면 204 단계로 진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 센서부(1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150)에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센서부(1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토대로 206 단계에서 감지된 움직임에 따른 방향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제어부(150)가 방향 및 각도를 산출하는 이유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울기의 변화없이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위치상의 이동없이 단지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게 될 경우 각각 대응되는 문자 입력 모드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되거나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 선택되는 문자 입력 모드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의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208 단계에서 산출된 각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제 어부(150)는 판단 결과 산출된 각도가 임계값을 초과한다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214 단계에서 해당 방향에 대응되는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즉, 제어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되는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산출된 각도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기울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210 단계에서 해당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212 단계로 진행하여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지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150)는 판단 결과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상의 이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214 단계에서 해당 방향에 대응되는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전환되는 문자 입력 모드는 한글 입력 모드, 영어 대문자 입력 모드, 영어 소문자 입력 모드, 숫자 입력 모드 및 특수 문자 입력 모드 중 기본으로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를 제외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기가 변경되거나 공간상의 위치 변화가 있는 경우, 그 변경된 상태에 대응되는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문자 입력 모드의 선택에 대한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이하 전술한 과정의 구체적인 이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4가지 방향으로 움직일 수가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표시부가 정립된 상태에서 전, 후, 좌, 우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본 문자 입력 모드가 한글 입력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면인 310의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312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영어 소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후면인 320의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322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영어 대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330의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332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340의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342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땐 특수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다시 기본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원래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했던 방향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움직이거나 기울여 기본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문자 입력 모드가 한글 입력 모드에서 특정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홀드 기능을 선택하여 전환된 문자 입력 모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간단한 움직임으로 원하는 문자 입력 모드를 좀 더 쉽게 선택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10)

  1.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문자 입력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따른 방향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체크된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된 방향은
    상기 표시부가 정립된 상태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준으로 전, 후, 좌, 우의 방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문자 입력 모드는
    한글 입력 모드, 영어 대문자 입력 모드, 영어 소문자 입력 모드, 숫자 입력 모드 및 특수 문자 입력 모드 중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에서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따른 방향을 체크하는 과정은
    상기 방향을 체크한 후, 상기 체크된 방향으로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따른 방향을 체크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어진 방향을 체크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6.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 개의 문자 입력 키들과 기능 키들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키 입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들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복수 개의 문자 입력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신호에 대응되는 방향을 체크한 후 상기 체크된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정립된 상태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준으로 전, 후, 좌, 우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크된 방향에 따라 한글 입력 모드, 영어 대문자 입력 모드, 영어 소문자 입력 모드, 숫자 입력 모드 및 특수 문자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신호에 따른 방향을 체크하여 상기 체크된 방향으로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체크된 방향에 대응되는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신호에 따른 방향을 체크할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각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체크된 방향에 대응되는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70791A 2007-07-13 2007-07-13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1396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791A KR101396709B1 (ko) 2007-07-13 2007-07-13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791A KR101396709B1 (ko) 2007-07-13 2007-07-13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128A true KR20090007128A (ko) 2009-01-16
KR101396709B1 KR101396709B1 (ko) 2014-05-19

Family

ID=4048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791A KR101396709B1 (ko) 2007-07-13 2007-07-13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7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0019A (ko) * 2010-12-15 2013-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US8599153B2 (en) 2009-08-24 2013-12-03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hot key function of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329B1 (ko) * 2005-09-07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9153B2 (en) 2009-08-24 2013-12-03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hot key function of mobile terminal
KR20130130019A (ko) * 2010-12-15 2013-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KR101879613B1 (ko) * 2010-12-15 2018-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709B1 (ko)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9824B2 (en) Keypad assembly with supplementary button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6597345B2 (en) Multifunctional keypad on touch screen
US8056016B2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the mode of the terminal
US20100026631A1 (en) Scroll wheel with character input
JPWO2003067417A1 (ja) 入力装置、携帯電話機及び携帯情報機器
US20110209090A1 (en) Display device
JP200733473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5092521A (ja) 文字入力装置
KR101396709B1 (ko)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1520488B1 (ko) 휴대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 제공방법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675089B1 (ko) 이동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20060108162A (ko)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26549A (ko)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 이동 방법
JP2006197159A (ja) 携帯情報処理装置および入力情報入力方法
JP5163302B2 (ja) キー入力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携帯端末装置
KR100612851B1 (ko) 핸드폰의 움직임을 키 입력수단으로 이용하는 핸드폰 및핸드폰 움직임을 이용한 키 입력 방법
JP2005258653A (ja)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文字入力システムと該システムを備えた携帯端末装置
KR100470553B1 (ko)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이동방법
KR100644045B1 (ko) 화면에 표시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664165B1 (ko)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
KR102000876B1 (ko)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기기
KR200435355Y1 (ko)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모드 변경 장치를 가진휴대전화기
KR20060087031A (ko) 조그 다이얼 장치 및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항목 이동 방법
KR10065263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거리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