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0019A - 모바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0019A
KR20130130019A KR1020137018291A KR20137018291A KR20130130019A KR 20130130019 A KR20130130019 A KR 20130130019A KR 1020137018291 A KR1020137018291 A KR 1020137018291A KR 20137018291 A KR20137018291 A KR 20137018291A KR 20130130019 A KR20130130019 A KR 20130130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mobile device
change amount
screen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613B1 (ko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3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60Rot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multilanguage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기능별로 변동되는 유저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화면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UI)를 변화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과 연동된다. 따라서, 보다 직관적인 모바일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관적인 유저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는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표적인 예인 휴대폰이 없는 하루는 생각하기도 힘든 실정이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휴대폰의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키패드나 버튼을 이용한 입력, 혹은 조그 키, 휠, 터치패드로 되어있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각각의 휴대폰 디자인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의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폴더나 플립형 휴대폰의 경우, 폴더 또는 플립을 열고 키를 눌러서 휴대폰을 작동시킨다. 슬라이드형일 경우, 슬라이드를 올리거나 혹은 내리고 키를 누른다. 그리고 터치패드 유저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휴대폰의 경우, 휴대폰 화면을 활성화 시킨 후, 화면을 보면서 원하는 명령을 입력해야 한다. 상기한 모든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합한 휴대폰 역시, 위의 열거한 방식을 섞어서 사용하게 된다.
기존 유저인터페이스는 어떤 작업을 하든, 키를 누르거나 혹은 터치를 함으로써,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점차 발전하는 유저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직관적이지 않다. 사용자는 신속한 명령이나 동작 수행을 위해서 보다 적은 수의 입력 작업을 원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직관적인 명령 인터페이스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기능별로 변동되는 유저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화면부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과 연동된다. 이때, 센서부는 가속도센서, 중력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센서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 각도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는데, 회전 각도의 변화량은 정상상태를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고, 이 정상상태는 유저인터페이스가 기능별로 비활성화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회전 각도의 변화량은 상기 정상상태에서의 수평 변화량 및 수직 변화량을 포함하는 이루어 질 수 있고, 이때의 수직 변화량은 95°이하나, 또는 43°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 변화량은 175°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의 수평 변화량 및 수직변화량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 각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이 최대가 되는 시점에서 상기 정상상태로 복귀하는 시간은 0.3 내지 0.5초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변화량에 따라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유저인터페이스는 문자입력 환경일 수 있고, 이러한 문자입력 환경은 복수의 이종 언어간 전환 환경일 수 있다. 이종 언어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불어 또는 독일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저인터페이스는 편집 기능 환경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이때, 편집 기능 환경은 상기 편집에 필요한 명령 수행 메뉴가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는 실행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는 영상 또는 음향 제어 환경일 수 있는데, 상기 영상 또는 음향 제어 환경은 상기 화면부에서 표시되는 콘탠츠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탠츠는 상기 영상 또는 음향 제어 환경의 생성 후 상기 화면부에서 표시되는 크기가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싱기술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방식과 결합하여 보다 직관적인 입력 관련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속한 명령 수행을 위해서 입력 단계를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회전 각도를 센싱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사용 언어를 변경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편집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영상 또는 음향 제어 환경을 활성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화면부(100), 터치패널(200), CPU와 같은 제어부(300), 센서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센싱보정부(500)와 제어부(300)로부터의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거나 대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면부(100)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CRT(cathod ray tub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화면부는 유저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부분으로서, 이때 유저인터페이스는 기능별로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터치패널(200)은 화면부(100) 상에 배치되는데 화면부(100)에 표시된 다양한 메뉴화면을 터치하여 특정 명령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터치패널(200)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광학방식 또는 굽힘파 방식 중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 상기 터치패널(200)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화면부(100)는 상기 터치패널(200)의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화면부(100)에 의해 표시된 유저인터페이스는 상기 투명한 터치패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진다.
제어부(3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는 터치패널(200)의 터치정보에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유저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4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가속도 센서, 중력센서, 충격센서, GPS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센서부(400)에서 센싱된 결과에 따라 유저인터페이스가 변화되도록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저인터페이스 자체가 센서부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이루어진다. 센서부(400)의 더욱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센싱 보정부(500)는 센서부(400)의 센싱 오차를 보정하는데 특히,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각도 측정시 가속도 센서의 병진운동 성분을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각도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적분오차를 가감하여 기울기의 추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면에는 따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보정부(500)는 온도보정을 수행하여 적분오차에 의한 드리프트(drift) 현상을 막는데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싱부가 회전 각도를 센싱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면을 나타낸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면 또는 화면 형태는 대체로 폭보다 길이가 큰 직사각형(그 모서리는 둥글거나 각진 형태를 가짐)이며,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면을 수직하게 보는 방향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폭 방향(즉, 수평 방향)의 좌우 측면들과 길이 방향(즉, 수직 방향)의 상하 측면들을 갖는다. 도 2의 (b)는 안내선 L1, L1’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우측면(1000s)을 나타낸다. 또한, 도 2의 (c)는 모바일 안내선 L2, L2’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하측면(1000b)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1000s’와 1000b’는 각각 회전 후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우측면과 하측면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서부(4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회전 각도의 변화량(θ1, θ2)을 측정한다. 회전각도의 변화량은 수직방향(도면에서 x축 방향) 및 수평방향(도면에서 y축 방향)에 대해 정상 상태(1000s, 1000b)를 기준으로 어느 정도의 각도 변동이 있었는지 측정하게 된다. z축 방향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면의 법선 방향이고, x축 방향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길이 방향이고, y축 방향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폭 방향이다. 또한,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수직하다. 여기서 정상 상태는 새로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유저인터페이스가 미활성화된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도 2에서 참조부호 1000b 및 1000s로 표시되는 정상상태(또는 초기 각위치(angular position))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지면과 수평 또는 수직일 필요가 없으며, 공간적으로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새로운 유저인터페이스가 실행되기 전의 상태가 정상상태가 된다.
여기서 유저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키기 위한 수직변화량(θ1)의 최소값(즉, 일 방향의 최소값)은 95°로 형성된다. 즉, 수직변화량이 95°에 도달되어야 유저인터페이스의 변동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 95°를 벗어나게 되면 실제 모바일 디바이스를 파지하는 경우에 화면 시인성이 없어지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파지하는 손목의 구조상 95°를 넘는 수직회전은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수직변화량(θ1)의 최소값(즉, 반대 방향의 최소값)을 43°(또는 -43°)로 설정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를 파지하면서 수직 회전 시에 일 방향(손목을 뒤로 젖히는 방향)의 최소 회전은 시인성 및 손목 구조를 고려하여 상기한 95°가 임계값이나 반대 방향(손목을 앞으로 구부리는 방향)의 최소 회전은 손목의 구조상 43°를 넘기기 힘들다.
또한, 마찬가지 개념으로 수평변화량의 최소값은 175°로 형성된다. 수평회전의 경우에는 손목 관절 구조상의 회전 복귀 시간이 수직 회전에 비하여 현저히 빠르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뒤집는 180°에서 마진을 고려할 때 최적의 값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직변화량(θ1)과 수평변화량(θ2)은 시간에 따른 각각의 양을 측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특성상 많은 이동이나 회전이 불가피한데, 이동 또는 회전이 감지되고 그 회전이 상술한 수직 또는 수평 변화량의 최소값을 넘는 경우에 다른 메뉴화면이 생성되는, 즉 다른 사용자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다고 하는 경우에는 의외의 명령실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회전 후에 다시 정상 상태로 복귀하는 경우(일 방향으로 회전된 각 위치(H1’, H2’)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 각 위치(H1, H2)로 복귀)에만 새로운 유저인터페이스가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 상태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최초의 제1 정상 상태와 정확하게 복귀하기가 어려우므로 최초 수평, 수직 정상상태에 일정 마진을 설정한 값을 제2 정상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마진은 8° 이내로 설정할 수 있다. 여러 실험 결과로부터 판단했을 때 사람의 관절 구조상 가장 제1 정상상태와 근접했다고 판단하는 제2 정상상태(복귀한 각 위치)의 제1 정상상태(초기 각 위치)와의 각도 차이의 최대값은 8°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수치한정의 하한은 의미 없다.
한편, 상기한 수평변화량 및 수직변화량은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하던 습관 정보를 습득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세팅 화면에서 설정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사용 언어를 변경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종래기술에 따른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화면(P10)을 나타내고, 화면 상단에 메모 윈도우(P11)가 표시되고, 화면 하단에 입력 인터페이스(P12)가 표시된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문자입력 시의 언어 변환을 위해서는 전환 버튼(B)을 별도로 터치하거나 클릭 등의 방법으로 입력한 후 언어를 선택하고 있다.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화면(F10)을 나타내고, 화면 상단에 메모 윈도우(F11)가 표시되고, 화면 하단에 입력 인터페이스(NI1, NI2)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변화량 또는 시간에 따른 수직변화량을 감지하여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입력 인터페이스(NI1)가 생성된다. 도 3의 (b)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상 상태(초기 각 위치)에서 영문 입력 인터페이스(NI2)만이 표시되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하거나, 회전 후 초기 각 위치로 복귀하면 국문 입력 인터페이스(NI1)만이 표시된다. 이러한 입력 인터페이스의 전환은 예시된 바와 같이 각 면에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가상 큐브를 회전하는 큐브 화면 전환 효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예와 다르게, 이러한 입력 인터페이스의 전환은 영문 입력 인터페이스(NI2)가 왼쪽(또는 오른쪽) 또는 위쪽(또는 아래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점차 없어지고, 국문 입력 인터페이스(NI1)가 왼쪽(또는 오른쪽) 또는 위쪽(또는 아래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점차 나타나는 슬라이딩 화면 전환 효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문자입력 환경을 제시하게 된다. 이때의 문자 입력 환경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이종 언어간의 전환 환경이 된다. 또한, 언어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불어, 독일어 등 현존하는 언어는 모두 포함된다.
이와 같이, 단계를 1회 이상 생략하게 되므로 일반 장애인 이나 잦은 텍스트 입력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 된다. 또한, 이로 인한 모바일 기기의 보다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편집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음악의 재생 목록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a)는 종래기술에 따른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화면(P20, P22)을 나타내고, 좌측 화면(P20)은 음악 재생 모드의 화면을 나타내고, 우측 화면(P22)은 음악 편집 모드의 화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재생 목록에 대한 편집 기능(E20)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음악 재생 모드에서 각 목록을 터치하던지 별도의 편집 모드에 별도의 입력을 통해 들어간 후 각 재생 목록을 편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화면(F20, F22)을 나타내고, 좌측 화면(F20)은 음악 편집 모드의 화면을 나타내고, 우측 화면(F22)은 음악 재생 모드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4의 (b)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상 상태(초기 각 위치)에서 음악 재생 모드의 화면(F22)만이 표시되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하거나, 회전 후 초기 각 위치로 복귀하면 음악 편집 모드의 화면 (F20)만이 표시된다. 이러한 입력 인터페이스의 전환은 예시된 바와 같이 각 면에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가상 큐브를 회전하는 큐브 화면 전환 효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수평변화량 또는 시간에 따른 수평변화량을 감지하여 새로운 유저인터페이스인 편집 기능 환경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변화량 또는 시간에 따른 수평변화량을 감지하여 편집에 필요한 명령 수행 메뉴(E20’)가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경우에도 명령 수행을 위한 입력 단계를 1회 이상 생략하게 되므로 일반 장애인 이나 잦은 텍스트 입력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 된다. 또한, 이로 인한 모바일 기기의 보다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영상 또는 음향 제어 환경을 활성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소정 콘탠츠가 포함된 영상을 재생하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는 종래기술에 따른 콘탠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P30)을 나타내고, 화면 상단에 콘탠츠 윈도우(M2)가 표시되고, 화면 하단에 재생 메뉴(M1)가 표시된다. 여기서, 종래의 재생 메뉴 (M1)는 콘탠츠 윈도우(M2) 상에, 더욱 상세하게는 콘탠츠 윈도우(M2)와 겹치도록 생성된다. 또한, 종래의 재생 메뉴(M1)는 특정한 입력(예를 들어, 화면 터치 등)에 의해 생성된다.
도 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탠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F30)을 나타내고, 화면 상단에 콘탠츠 윈도우(M2’)가 표시되고, 화면 하단에 재생 메뉴(M1’)가 표시된다. 도 5의 (b)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상 상태(초기 각 위치)에서 콘탠츠 윈도우(M2’)만이 표시되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하거나, 회전 후 초기 각 위치로 복귀하면 콘탠츠 윈도우(M2’) 및 재생 메뉴(M1’)가 함께 표시된다. 이러한 입력 인터페이스의 생성은 예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면들에 콘탠츠 윈도우(M2’) 및 재생 메뉴(M1’)가 표시된 가상 큐브를 회전하는 큐브 화면 전환 효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수직/수평 변화량 또는 시간에 따른 수직/수평 변화량을 감지하여 새로운 유저인터페이스인 영상 또는 음향 제어 환경을 생성하고, 나아가 재생 중인 콘탠츠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생성되므로(크기나 위치 변경을 통해) 더욱 직관적인 기기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종래의 콘탠츠는 새롭게 생성된 인터페이스의 폭 또는 넓이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감소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윈도우 및 입력 인터페이스는 큐브 화면 전환 효과에 각각 원근감을 가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신속한 명령 수행을 위해서 입력 단계를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저인터페이스에 적용된다.

Claims (15)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기능별로 변동되는 유저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화면부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과 연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센서, 중력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초기 각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 각도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변화량에 따라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각도의 변화량은 상기 초기 각위치를 기준으로 한 수평 변화량 및 수직 변화량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키기 위한 최소 수직 변화량은 95° 또는 43° 이하로 설정되고,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키기 위한 최소 수평 변화량은 175°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키기 위한 최소 변화량 이상 회전한 후 초기 각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로 복귀하는 경우에,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각도의 변화량의 절대값이 최대가 되는 시점에서 상기 정상상태로 복귀하는 시간 제한은 0.3 ∼ 0.5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는 문자입력 환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 환경은 복수의 이종 언어간 전환 환경이고,
    상기 이종 언어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불어 또는 독일어 중 선택된 적어도 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는 편집 기능 환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기능 환경은 상기 편집에 필요한 명령 수행 메뉴가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로 형성되고,
    상기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는 실행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는 영상 또는 음향 제어 환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또는 음향 제어 환경은 상기 화면부에서 표시되는 콘탠츠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 상에 배치되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정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변화는 큐브 화면 전환 효과에 의해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37018291A 2010-12-15 2011-12-15 모바일 디바이스 KR101879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139A KR20120066846A (ko) 2010-12-15 2010-12-15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00128139 2010-12-15
PCT/KR2011/009662 WO2012081914A2 (ko) 2010-12-15 2011-12-15 모바일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019A true KR20130130019A (ko) 2013-11-29
KR101879613B1 KR101879613B1 (ko) 2018-07-19

Family

ID=462452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139A KR20120066846A (ko) 2010-12-15 2010-12-15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37018291A KR101879613B1 (ko) 2010-12-15 2011-12-15 모바일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139A KR20120066846A (ko) 2010-12-15 2010-12-15 모바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71497A1 (ko)
EP (1) EP2654370B1 (ko)
KR (2) KR20120066846A (ko)
CN (1) CN103380656A (ko)
AU (1) AU2011341889B2 (ko)
WO (1) WO20120819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0020B1 (en) * 2013-04-30 2020-11-04 Dassault Systèmes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manipulating three-dimensional modeled objects of an assembly in a three-dimensional scene.
WO2016112316A1 (en) * 2015-01-09 2016-07-14 Nulman Yanir Motion base content sele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128A (ko) * 2007-07-13 2009-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100005440A (ko) * 2008-07-07 2010-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5286A (ko) * 2008-11-17 201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20100138766A1 (en) * 2008-12-03 2010-06-03 Satoshi Nakajima Gravity driven user interface
KR20100083807A (ko) * 2007-10-01 2010-07-22 애플 인크. 개인 미디어 장치의 움직임 기반 인터페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6402A (en) * 1993-12-03 1998-08-1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ligning windows on a computer screen
US5675755A (en) * 1995-06-07 1997-10-07 Sony Corporation Window system preventing overlap of multiple always-visible windows
US6763458B1 (en) * 1999-09-27 2004-07-13 Captari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servicing an operating system in a computer or information appliance
US7337330B2 (en) * 2003-03-10 2008-02-26 Cyberview Technology, Inc. Universal game download system for legacy gaming machines
US20060155429A1 (en) * 2004-06-18 2006-07-13 Applied Digital, Inc. Vehicle entertainment and accessory control system
US7797645B2 (en) * 2005-01-21 2010-09-1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full product functionality using minimal user interface footprint
JP2007201787A (ja) * 2006-01-26 2007-08-09 Nec Access Technica Ltd Lcdバックライト自動発光機能付携帯通信端末
KR20080044677A (ko) * 2006-11-17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 그를 이용한문자입력방법 및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046570B2 (en) * 2007-02-06 2011-10-25 Microsoft Corporation Support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in media devices
KR100876754B1 (ko) * 2007-04-18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작동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
US8081164B2 (en) * 2007-07-02 2011-12-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trolling user input devices based upon detected attitude of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90132915A1 (en) * 2007-11-20 2009-05-21 Microsoft Corporation View selection and switching
US20090153466A1 (en) * 2007-12-14 2009-06-18 Patrick Tilley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Scrolling and Selection Activity
US8423076B2 (en) * 2008-02-01 2013-04-16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KR101530546B1 (ko) * 2008-11-28 201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US8704767B2 (en) * 2009-01-29 2014-04-22 Microsoft Corporation Environmental gesture recognition
KR100981200B1 (ko) * 2009-06-02 201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움직임 센서를 장착한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KR101098088B1 (ko) * 2009-07-10 2011-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036485A1 (en) * 2010-08-09 2012-02-09 XMG Studio Motion Driven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128A (ko) * 2007-07-13 2009-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100083807A (ko) * 2007-10-01 2010-07-22 애플 인크. 개인 미디어 장치의 움직임 기반 인터페이스
KR20100005440A (ko) * 2008-07-07 2010-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5286A (ko) * 2008-11-17 201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20100138766A1 (en) * 2008-12-03 2010-06-03 Satoshi Nakajima Gravity driven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81914A3 (ko) 2012-09-07
EP2654370A2 (en) 2013-10-23
AU2011341889A2 (en) 2013-08-15
US20130271497A1 (en) 2013-10-17
KR20120066846A (ko) 2012-06-25
CN103380656A (zh) 2013-10-30
WO2012081914A2 (ko) 2012-06-21
KR101879613B1 (ko) 2018-07-19
EP2654370A4 (en) 2017-11-08
EP2654370B1 (en) 2021-04-21
AU2011341889B2 (en)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US9383921B2 (en) Touch-sensitiv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EP2508972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948665B1 (ko)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002355A1 (en)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US20140062875A1 (en) Mobile device with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to adjust state of graphical user interface or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nit, and including a hover sensing function
JP6113490B2 (ja) 携帯端末機のタッチ入力方法及び装置
KR101504310B1 (ko)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인터페이싱 방법
US20190235703A1 (en) Operation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WO2014006806A1 (ja) 情報処理装置
KR101879613B1 (ko) 모바일 디바이스
KR20120081422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
KR101678213B1 (ko) 터치 영역 증감 검출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0443B1 (ko) 터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20094728A (ko)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140085900A (ko)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