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562A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562A
KR20090006562A KR1020070070020A KR20070070020A KR20090006562A KR 20090006562 A KR20090006562 A KR 20090006562A KR 1020070070020 A KR1020070070020 A KR 1020070070020A KR 20070070020 A KR20070070020 A KR 20070070020A KR 20090006562 A KR20090006562 A KR 20090006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image
counterpart
part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933B1 (ko
Inventor
안효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0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933B1/ko
Priority to EP08159817.9A priority patent/EP2015572B1/en
Priority to CN200810131547XA priority patent/CN101345951B/zh
Priority to US12/172,732 priority patent/US8301174B2/en
Publication of KR20090006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키 신호 입력을 위한 조작부; 화상 통화를 위한 상대방 영상 및 화상 통화 상대방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수신된 상대방 영상 및 상기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대방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상대방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POSITION INFORMA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시, 화상 통화를 위한 영상 및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들어,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노력들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통화를 수행할 때, 위치 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과 함께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통화 시, 자신의 영상과 함께 위치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시 상대방 영상 및 상대방의 위치 정보도 함께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휴대 단말기는 키 신호 입력을 위한 조작부; 화상 통화를 위한 상대방 영상 및 화상 통화 상대방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수신된 상대방 영상 및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대방의 위치 정보 및 수신된 상대방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시, 자신의 영상 및 자신의 위치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키 신호 입력을 위한 조작부; 화상 통화를 위한 사용자 의 영상 및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영상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지피에스(GPS) 모듈; 및 사용자의 영상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피에스(GPS)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 통화를 위한 영상 및 화상 통화 상대방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영상 및 상기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은 화상 통화 시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과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제3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 시 사용자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A/V(Audio/Video)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 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A/V(Audio/Video)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진동 출력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 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0A)와, 상기 제1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2-1), 제1 카메라모듈(121-1) 또는 제1 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음향출력모듈(152-1)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카메라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130-1)는 본 발명에 관련된 뮤직 비디오 생성에 관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30-3),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30-1, 130-2, 130-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30-3)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100B)의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모듈(121-2)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제1 카메라모듈(121-1, 도 1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모듈(121-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모듈(121-2)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게 구성할 수 있다.
제2 카메라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2 카메라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는 사용자가 제2 카메라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모듈 (152-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모듈(152-2)는 제1 음향출력모듈(152-1, 도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2바디(100B)(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0A)의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바디(100A)와 제2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모듈(121-2)) 등이 제2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모듈(121-2)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0A),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모듈(121-2)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모듈(121-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100)에서 위치 정보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화상 콜의 발신 또는 수신을 통해 상대방과 영상을 주고 받으면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S10). 이 경우, 상대방은 자신의 실시간 위치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된 상대방의 위치 정보는 상대방 영상과 함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S20).
상기 상대방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 측에서 위치 정보를 전송한 경우,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서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가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OK" 또는 "아니오"를 선택하여 상대방의 위치 정보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된 상대방 영상 및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S30). 상기 표시되는 상대방의 위치 정보는 지도를 포함한 이미지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텍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표시된 상 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대방 영상이 왼쪽 상단에 크게 표시되고, 자신의 영상은 상대방 영상의 하단에 작게 표시된다. 그리고 상대방의 위치 정보인 지도를 포함한 이미지(501)와 텍스트(502)는 상대방 영상 우측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지도를 포함한 이미지(501) 및 텍스트(502)를 확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지도를 포함한 이미지(501)에는 상대방의 이동궤적이 표시되어 있다(도 6a). 이를 토대로 사용자는 상대방의 이동 경로를 알 수 있다. 상기 표시되는 지도는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지만, 휴대 단말기 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전송받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망을 통해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된 텍스트(502)에는 국가, 도시, 경도, 위도, 시간, 거리가 표시되어 있다(도 6b). 물론 이외도 다양한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이 위치한 장소와의 시간차가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대방의 위치 정보는 상대방 영상 위에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즉, 상대방으로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상대방 영상과 상대방 위치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상대방 영상 및 상대방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상대방 영상 위에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 영상 위에 오버랩(overlap)되게 상대방의 위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와 같이 표현된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대방의 위치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상대방 영상 위에 오버랩되게 표시된다. 물론 위치 정보는 텍스트 형태 이외에 지도를 포함한 이미지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방법에 의해 표시되는 상대방의 위치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대방 영상 및 상대방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대방 영상 및 상대방 위치 정보가 포함된 특정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그 특정 데이터 파일이 저장부(160)에 자동으로 저장되게 할 수 있다(S40, S50). 특정 데이터 파일 생성 및 자동 저장은 조작부(130)의 특정 키 신호 입력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특정 키 신호 입력은 조작의 간편함을 위해 단축키(또는 전용키)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데이터 파일의 초기 명칭을 위치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데이터의 초기 명칭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저장되는 특정 데이터 파일의 초기 명칭을 "이름(또는 전화번호)+위치+날짜+시간"가 포함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 파리에 있는 상대방과 2007년 1월 1일에 화상 통화를 수행한 경우, 특정 데이터의 초기 파일명이 "홍길동파리200701011530"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초기 파일명만을 보고도 화상 통화의 내용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방법에 의해 표시되는 상대방의 위치 정보는 제3자에 전송될 수 있다(S60, S70). 이는 상대방이 긴급 상황일 경우, 이를 제3자에게 알려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방안이다. 상기 제3자는 긴급구조를 할 수 있는 대상으로 예를 들어, "119", "911" 등이 있다. 제어부(180)는 위치 정보 전송을 위한 단축키를 통해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제3자에게 전송한다. 사전에 등록된 제3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위치 정보 전송 시 제3자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위치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를 SMS 메시지나 MMS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특정 단축키를 통해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3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자신의 영상과 함께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은 상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 가능하다.
먼저, 사용자는 화상 콜의 발신 또는 수신을 통해 상대방과 영상을 주고 받으면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S110).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실시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자신의 영상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영상과 함께 사용자 자신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20). 사용자 위치 정보 표시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그 일례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화상 통화 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사용자 자신의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위치 정보가 사용자 영상의 오른쪽에 텍스트 형태로 표시된다. 하지만 위치 정보는 지도를 포함한 이미지 형태로도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지도를 포함한 이미지 및 텍스트 모두가 표시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특정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의 영상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특정 키 신호는 단축 키 조작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기는 GPS 모듈(115)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GPS 모듈(115)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수신된 상대방의 위치 정보 둘 다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자신의 위치 정보 전송을 위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면서, 수신된 상대방의 위치 정보 확인을 위해 상대방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대방 영상 오른쪽에는 상대방의 위치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표시되고, 사용자 자신의 영상 오른쪽에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표시된다. 물론 상기 상대방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는 이미지 형태로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위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위치 정보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휴대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조작부
140: 센싱부 150: A/V 출력부
160: 저장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17)

  1. 키 신호 입력을 위한 조작부;
    화상 통화를 위한 상대방 영상 및 화상 통화 상대방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수신된 상대방 영상 및 상기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상대방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상대방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표시되는 상대방 영상과 오버랩되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지도를 포함한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는
    상기 화상 통화 상대방이 위치하고 있는 곳의 위도, 경도, 지명, 시간 정보, 상기 상대방의 이동궤적, 상기 상대방과의 거리 정보 및 상기 상대방과의 시간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를 포함한 이미지에는
    상대방의 이동 궤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상대방 영상 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대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상대방 영상 위에 표시하되,
    상기 이미지 정보는 상기 상대방 영상 및 상기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는
    상기 휴대 단말기 내에 내장되어 있거나 인터넷을 통해 전송받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상대방 영상 및 상기 상대방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특정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수신된 영상과 상기 상대방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파일을 상기 저장부에 자동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파일의 초기 명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 신호 입력은
    조작부의 구비된 단축 키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작부의 단축키를 통해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다른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위치 정보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키 신호 입력을 위한 조작부;
    화상 통화를 위한 사용자의 영상 및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화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영상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사용자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지피에스(GPS)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영상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지피에스(GPS)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화상 통화를 위한 상대방 영상 및 화상 통화 상대방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대방 영상 및 상기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지도를 포함한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
KR1020070070020A 2007-07-12 2007-07-12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 KR101405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020A KR101405933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
EP08159817.9A EP2015572B1 (en) 2007-07-12 2008-07-0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therein
CN200810131547XA CN101345951B (zh) 2007-07-12 2008-07-11 移动终端以及用于在其中显示位置信息的方法
US12/172,732 US8301174B2 (en) 2007-07-12 2008-07-14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020A KR101405933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62A true KR20090006562A (ko) 2009-01-15
KR101405933B1 KR101405933B1 (ko) 2014-06-12

Family

ID=39831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020A KR101405933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01174B2 (ko)
EP (1) EP2015572B1 (ko)
KR (1) KR101405933B1 (ko)
CN (1) CN10134595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339B1 (ko) * 2010-05-31 2016-03-11 (주)에스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다중 위치 정보 및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05030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커뮤니케이션 지원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0668B2 (en) * 2007-01-10 2013-12-03 Tomtom International B.V.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 of position in text readible form
GB0820447D0 (en) * 2008-11-07 2008-12-17 Skype Ltd Location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1562841B1 (ko) * 2008-11-27 2015-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피에스를 이용한 약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08761B1 (ko) * 2009-05-28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223706A (zh) * 2010-04-15 2011-10-19 上海启电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定位服务系统
CN101883317A (zh) * 2010-05-18 2010-11-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用户位置通知方法
US20110293082A1 (en) * 2010-06-01 2011-12-01 Rajinder Gauri Method for Enabling and Blocking Distance and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Callers
CN101909325B (zh) * 2010-06-08 2014-01-2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US9882330B2 (en) 2010-07-29 2018-01-30 Andrew E. Kalman Solar panel array
US8838087B1 (en) 2010-09-06 2014-09-1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ovisioning system and methods for interfaceless phone
US8583091B1 (en) 2010-09-06 2013-11-1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ynamic loading, unloading, and caching of alternate complete interfaces
US8374628B1 (en) * 2010-11-10 2013-02-12 Google Inc. Providing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on a telephone device
CN102025969B (zh) * 2010-12-13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会议电视系统及其定位方法
CN102098379A (zh) * 2010-12-17 2011-06-1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及其实时视频图像获取方法和装置
US8559933B1 (en) 2011-02-08 2013-10-1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ID platform
US8244277B1 (en) 2011-02-16 2012-08-1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evice experience adaptation based on schedules and events
US9123062B1 (en) 2011-02-18 2015-09-0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Ad sponsored interface pack
US9043446B1 (en) 2011-03-10 2015-05-2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irroring device interface components for content sharing
CN102684759A (zh) * 2011-03-15 2012-09-19 昆明泛在物联网工程技术有限公司 物联网节点天线增强技术
US8972592B1 (en) 2011-05-27 2015-03-0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xtending an interface pack to a computer system
US8577334B1 (en) 2011-06-16 2013-11-0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Restricted testing access for electronic device
NO333686B1 (no) * 2011-06-28 2013-08-12 Cisco Systems Int Sarl Apparat og fremgangsmate for a skape situasjonsbevissthet ved palnlegging av konferansesamtaler
US9619810B1 (en) 2011-10-11 2017-04-1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Zone architecture for dynamic targeted content creation
CN103378199B (zh) * 2012-04-26 2018-11-16 常州亚玛顿股份有限公司 太阳能光热系统
US8843122B1 (en) 2012-06-29 2014-09-2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obile phone controls preprocessor
US9413839B2 (en) 2012-07-31 2016-08-0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Traffic management of third party applications
US9183412B2 (en) 2012-08-10 2015-11-1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and using multiple trusted security zones on an electronic device
KR101901919B1 (ko) * 2012-08-27 2018-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메신저 영상 서비스 운용 방법
US9047244B1 (en) * 2012-09-11 2015-06-02 Google Inc. Multi-screen computing device applications
US9442709B1 (en) 2012-10-24 2016-09-1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Transition experience during loading and updating an interface and applications pack
CN103064604B (zh) * 2012-11-16 2015-09-30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光学绘图方法及其绘图系统
US20140364151A1 (en) * 2013-06-10 2014-12-11 Michael Aron Schiff Location based mobile device linking system using short link codes
US10038781B2 (en) 2013-10-22 2018-07-3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terminal location during call request
GB201319333D0 (en) * 2013-11-01 2013-12-18 Microsoft Corp Controlling display of video data
WO2015065929A1 (en) * 2013-11-01 2015-05-07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display of video data
CN104751868B (zh) * 2013-12-31 2018-12-11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语音录制方法、通话录音回放方法以及相关装置和系统
US9513888B1 (en) 2014-01-30 2016-12-0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Virtual preloads
KR20150098741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메시지 통신 방법
CN103813449B (zh) * 2014-03-03 2017-12-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无线通讯快速接入的方法及相关设备
KR20160021607A (ko) * 2014-08-18 2016-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847523A (zh) * 2015-01-14 2016-08-10 白云杰 添加联系人的方法和系统
US9483253B1 (en) 2015-04-30 2016-11-0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ethods for customization of default applications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6352894B2 (ja) * 2015-12-24 2018-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07295473A (zh) * 2016-04-12 2017-10-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通讯方法、系统和装置
CN106254808A (zh) * 2016-08-01 2016-12-21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应用于智能终端的紧急视频通话方法及装置
KR102651793B1 (ko) * 2017-01-10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323797B1 (ko) * 2017-05-22 2021-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공유 방법
US10928895B2 (en) * 2017-09-21 2021-02-23 Tobii Ab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 computing device using gaze information
DE102019100767B4 (de) * 2019-01-14 2020-08-13 Rahmi Bajar Verfahren und System zur Erstellung einer personalisierten E-Mail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5711A (en) * 1991-10-23 1998-04-28 Hitachi, Ltd.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conference
US8290034B2 (en) * 1998-12-21 2012-10-16 Zin Stai Pte. In, Llc Video transmission and display including bit-wise sub-sampling video compression
US7266834B1 (en) * 2000-06-20 2007-09-04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haring functions between a television-based information appliance and remote control devices
JP3451317B2 (ja) * 2000-09-05 2003-09-29 独立行政法人通信総合研究所 自己表情の確認が可能な遠隔地対面通信装置
JP2003125457A (ja) * 2001-10-16 2003-04-25 Toshiba Corp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6784916B2 (en) * 2002-02-11 2004-08-31 Telbotics Inc. Video conferencing apparatus
JP2004048644A (ja) * 2002-05-21 2004-02-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対話者表示方法
JP4141205B2 (ja) * 2002-08-26 2008-08-2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通信ナビゲーション装置
GB2395853A (en) * 2002-11-29 2004-06-02 Sony Uk Ltd Association of metadata derived from facial images
JP4168837B2 (ja) * 2003-06-03 2008-10-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生成装置、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再生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571553A (zh) * 2003-07-16 2005-01-26 吴坚 移动终端组群的定位跟踪报警方法及系统
US7149533B2 (en) * 2003-10-01 2006-12-12 Laird Mark D Wireless virtual campus escort system
US20050099492A1 (en) * 2003-10-30 2005-05-12 Ati Technologies Inc. Activity controlled multimedia conferencing
US20050151836A1 (en) * 2004-01-09 2005-07-14 Ni Hong T. Video conferencing system
JP2005295329A (ja) * 2004-04-01 2005-10-20 Konica Minolta Opto Inc 携帯情報端末装置
JP4331049B2 (ja) * 2004-04-30 2009-09-16 株式会社東芝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JP2005333226A (ja) * 2004-05-18 2005-12-02 Denso Corp 車両用テレビ会議システム
US7865834B1 (en) * 2004-06-25 2011-01-04 Apple Inc. Multi-way video conferencing user interface
US7269413B2 (en) * 2004-08-10 2007-09-11 Oro Grande Technology Llc Telephone location caller ID
US8126441B2 (en) * 2004-09-21 2012-02-28 Advanced Ground Information Systems, Inc. Method of establishing a cell phone network of participants with a common interest
US7630724B2 (en) * 2004-09-21 2009-12-08 Advanced Ground Information Systems, Inc. Method of providing a cellular phone/PDA communication system
JP4615953B2 (ja) 2004-10-04 2011-01-1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07013694A (ja) * 2005-06-30 2007-01-18 Sony Corp 双方向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及び接続方法
US20070039025A1 (en) * 2005-08-09 2007-02-15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application sharing
US20070285501A1 (en) * 2006-06-09 2007-12-13 Wai Yim Videoconference System Clustering
US20080129816A1 (en) * 2006-11-30 2008-06-05 Quickwolf Technology, Inc. Childcare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method
US20080181132A1 (en) * 2007-01-26 2008-07-31 Large Screen Display Rentals, Llc. Command Anywhere Mobile Mesh System
US20080307324A1 (en) * 2007-06-08 2008-12-11 Apple Inc. Sharing content in a videoconference sess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339B1 (ko) * 2010-05-31 2016-03-11 (주)에스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다중 위치 정보 및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05030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커뮤니케이션 지원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01174B2 (en) 2012-10-30
CN101345951A (zh) 2009-01-14
EP2015572A3 (en) 2014-04-09
US20090017870A1 (en) 2009-01-15
CN101345951B (zh) 2013-07-10
EP2015572A2 (en) 2009-01-14
EP2015572B1 (en) 2016-10-05
KR101405933B1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933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
KR101341504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방법
KR101396974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호 신호 처리방법
KR20090019141A (ko)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10145759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포인터 제어방법
KR2010005620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32582A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화상통신 음량 조절 방법
KR1014047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영상 녹화 방법
KR1014157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공지 방법
KR1014902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방법
KR101451653B1 (ko) 휴대단말기 및 그 키패드 제어방법
KR10162630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468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72590B1 (ko) 통합 심 카드 및 통합 심 카드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
KR20100020174A (ko)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KR10161728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059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지 표시 방법
KR101381934B1 (ko) 모드 설정키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024416A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실행 방법
KR101366266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KR101448620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에러 알림 방법
KR10160913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8839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146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화번호 관리방법
KR101437970B1 (ko) 휴대단말기 및 그 그룹 통합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