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124U -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124U
KR20090006124U KR2020070020239U KR20070020239U KR20090006124U KR 20090006124 U KR20090006124 U KR 20090006124U KR 2020070020239 U KR2020070020239 U KR 2020070020239U KR 20070020239 U KR20070020239 U KR 20070020239U KR 20090006124 U KR20090006124 U KR 200900061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bushing
fixing clip
pie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9761Y1 (ko
Inventor
이종렬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0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76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1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7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3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only on one sid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 및 노면에서 발생하여 차체패널을 통해 와이어 하네스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절단,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의 파손, 차체패널과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을 연결하는 브라켓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차체패널, 와이어 하네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Wire harness fixing clip}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 및 노면에서 발생하여 차체패널을 통해 와이어 하네스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절단,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의 파손, 차체패널과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을 연결하는 브라켓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를 비롯한 많은 전장 부품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 있어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 케이블, 와이어어 하네스 고정판 등의 서포트(support)부재를 사용하여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 부재는 와이어 하네스를 차체에 고정시켜 와이어 하네스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자동차 주행시에는 엔진 및 노면을 통해 많은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서포트 부재는 상기한 진동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엔진 및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상쇄되지 않고 그대로 서포트 부재나 와이어 하네스로 전달되어 서포트 부재가 파손되거나, 와이어 하네스가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엔진 및 노면에서 발생하여 차체패널을 통해 와이어 하네스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절단,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의 파손, 차체패널과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을 연결하는 브라켓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와이어 하네스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차체패널에 고정되기 위한 브라켓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몸체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는 덮개부와,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부의 결합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를 상기 몸체에 결합시켜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는 로킹부와, 상기 몸체 및 상기 덮개부와 상기 와이어 하네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차체패널에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부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로킹부는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끼움후크편과, 상기 끼움후크편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편과, 상기 끼움후크편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편의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싱부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둘레를 감싸는 내측방진재와, 상기 몸체 및 상기 덮개부의 내측 둘레면에 안착되는 외측방진재와, 상기 내측방진재와 상기 외측방진재를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 하네스로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켜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분산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싱부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부는 상기 부싱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 및 상기 덮개부는 내측 둘레면에 상기 부싱부를 가압하여 상기 부싱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요철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은 엔진 및 노면에서 발생하여 차체패널을 통해 와이어 하네스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의 절 단,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의 파손, 차체패널과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을 연결하는 브라켓의 파손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에서 부싱부가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은 몸체(30)와, 덮개부(40)와, 로킹부(50)와, 부싱부(6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30)는 반원통 형상에서 와어어 하네스(20)가 안착되도록 함몰 형성되며, 일측에 차체패널(10)에 고정되기 위한 브라켓(32)을 갖는다.
상기 브라켓(32)은 몸체(30)를 차체패널(10)에 고정시키며, 볼트 또는 후크 등의 기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40)는 몸체(30)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30) 타측에 힌지 연결되며, 몸체(30) 측으로 회동되어 와이어 하네스(20)를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킹부(50)는 몸체(30)와 덮개부(40)의 결합부위에 형성되어 덮개부(40)를 몸체(30)에 결합시켜 와이어 하네스(20)를 고정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와이어 하네스(20)는 몸체(30)와 덮개부(40) 사이에 안착되어 로킹부(50)에 의해 결합되는 몸체(30)와 덮개부(40)에 의해 유동이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로킹부(50)는 끼움후크편(52)과, 체결편(54)과, 지지편(56)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끼움후크편(52)은 덮개부(40)에 탄성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며, 끝단부가 몸체(30)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54)은 덮개부(40) 회동시 끼움후크편(52)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편(54)은 끼움후크편(52)에 대칭되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끼움후크편(52)이 휘면서 삽입된 후 탄성적으로 원상 복원되면서 걸려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편(56)은 끼움후크편(52)이 체결편(54)에 결합된 후 좌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편(54)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싱부(60)는 몸체(30) 및 덮개부(40)와 몸체(30) 및 덮개부(40)에 안착 고정되는 와이어 하네스(20) 사이에 개재되어 차체패널(10)에서 와이어 하네스(20)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싱부(60)는 내측방진재(62)와, 외측방진재(64)와, 분산연결부재(66)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내측방진재(62)는 와이어 하네스(20)에 끼워져 와이어 하네스(2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방진재(64)는 와이어 하네스(20)에 끼워져 와이어 하네스(20)가 몸체(30) 및 덮개부(40)에 고정될 때 몸체(30) 및 덮개부(40)의 내측 둘레면에 안착되도록 내측방진재(62)에 연결 형성된다.
상기 분산연결부재(66)는 내측방진재(62)와 외측방진재(64)를 연결하며, 와이어 하네스(20)로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켜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다수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산연결부재(66)가 다수개로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분산연결부재(66)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큰 충격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부싱부(60)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고무 또는 스폰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싱부(60)는 와이어 하네스(20)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와이어 하네스(2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부(70)를 구비한다.
상기 절개부(70)는 내, 외측방진재(62, 64)를 절개하여 형성됨으로써 양측으 로 벌려 와이어 하네스(20)에 끼울 수 있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몸체(30) 및 덮개부(40)는 안착되는 부싱부(60)가 진동에 의해 이탈되거나 좌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편(80)을 구비한다.
상기 이탈방지편(80)은 몸체(30) 및 덮개부(40)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안착되는 부싱부(60)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몸체(30) 및 덮개부(40)는 안착되는 부싱부(60)가 진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싱부(60)의 외측방진부재(64) 둘레를 가압할 수 있도록 내측 둘레면에 요철편(9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요철편(90)은 몸체(30) 및 덮개부(40)의 축 방향에 평행하게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0)는 자동차의 차체패널(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몸체(30)는 브라켓(32)에 의해 차체패널(10)에 고정되는데, 브라켓(32)의 일측이 몸체(30)에 연결되고, 브라켓(32)의 타측이 차체패널(10)에 연결됨으로써 차체패널(10)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20)에 부싱부(60)를 조립한다.
여기서, 상기 부싱부(60)는 절개부(70)가 형성되어 있어 양측으로 벌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양측으로 벌려 와이어 하네스(20)에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60)를 와이어 하네스(20)에 조립하게 되면, 부싱부(60)의 내측방진재(62)가 와이어 하네스(20) 둘레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싱부(60)의 외측방진재(64)를 몸체(30)에 안착시켜 와이어 하네스(20)가 정렬되도록 한다.
상기 덮개부(40)를 회동시켜 덮개부(40)가 부싱부(60)의 외측방진재(64)를 감쌈과 동시에 부싱부(60)를 가압하면서 몸체(30)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40)는 로킹부(50)에 의해 몸체(3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덮개부(40)의 끼움후크편(62)이 휘면서 몸체(30)의 체결편(64)측으로 끼워진 후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체결편(64)에 걸려 고정된다.
즉, 상기 끼움후크편(62)과 체결편(64)에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후크 형상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끼움후크편(62)은 체결편(64) 양측에 형성된 지지편(66)에 의해 좌우 유동이 방지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덮개부(40)가 결합되면서 몸체(30)와 덮개부(40) 내측 둘레면이 부싱부(60)의 외측방진재(64)를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몸체(30)와 덮개부(40)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요철편(90)이 외측방진재(64)를 가압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부싱부(6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싱부(60)는 몸체(30)와 덮개부(40)의 양측에 형성된 이탈방지 편(80) 사이에 안착되므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좌우 유동이 차단되어 몸체(30) 및 덮개부(40)에서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자동차의 엔진이 작동하게 되고, 자동차가 주행하게 되면 엔진 및 노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차체패널(10)을 통해 몸체(30) 및 덮개부(40)로 전달된다.
상기 몸체(30) 및 덮개부(40)로 전달된 진동은 부싱부(60)의 외측방진재(64)에서 일차적으로 흡수된 후 분산연결부재(66)를 통해 이차적으로 흡수됨과 동시에 내측방진재(62)로 분산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방진재(62)는 전해지는 진동을 재차 흡수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20)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은 엔진 및 노면에서 발생하여 차체패널(10)을 통해 와이어 하네스(20)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20)의 절단, 몸체(30) 및 덮개부(40)의 파손, 차체패널(10)과 몸체(30)를 연결하는 브라켓(32)의 파손 등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에서 부싱부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패널 20 : 와이어 하네스
30 : 몸체 40 : 덮개부
50 : 로킹부 60 : 부싱부
70 : 절개부

Claims (6)

  1. 와이어 하네스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차체패널에 고정되기 위한 브라켓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몸체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는 덮개부와;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부의 결합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를 상기 몸체에 결합시켜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는 로킹부와;
    상기 몸체 및 상기 덮개부와 상기 와이어 하네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차체패널에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부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끼움후크편과;
    상기 끼움후크편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편과;
    상기 끼움후크편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편의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둘레를 감싸는 내측방진재와;
    상기 몸체 및 상기 덮개부의 내측 둘레면에 안착되는 외측방진재와;
    상기 내측방진재와 상기 외측방진재를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 하네스로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켜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분산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부는 상기 부싱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상기 덮개부는 내측 둘레면에 상기 부싱부를 가압하여 상기 부 싱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요철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KR2020070020239U 2007-12-17 2007-12-17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KR200449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39U KR200449761Y1 (ko) 2007-12-17 2007-12-17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39U KR200449761Y1 (ko) 2007-12-17 2007-12-17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124U true KR20090006124U (ko) 2009-06-22
KR200449761Y1 KR200449761Y1 (ko) 2010-08-06

Family

ID=4129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239U KR200449761Y1 (ko) 2007-12-17 2007-12-17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76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196Y1 (ko) * 2017-09-05 2017-12-07 주식회사 알엠케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위치 설정이 가능한 결속 장치
CN108688589A (zh) * 2017-04-12 2018-10-23 矢崎总业株式会社 车辆布线部件
KR20230009236A (ko) * 2021-07-08 2023-01-17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용 클립
KR20230165059A (ko) *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경신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6725U (ko) * 1987-12-18 1989-06-27
US5161759A (en) * 1991-06-17 1992-11-10 Emhart, Inc. Wire bundle retainer
JPH09135520A (ja) * 1995-11-07 1997-05-20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の結束具
KR20020097308A (ko) * 2001-06-20 2002-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고정용 클립 보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8589A (zh) * 2017-04-12 2018-10-23 矢崎总业株式会社 车辆布线部件
CN108688589B (zh) * 2017-04-12 2021-07-02 矢崎总业株式会社 车辆布线部件
KR200485196Y1 (ko) * 2017-09-05 2017-12-07 주식회사 알엠케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위치 설정이 가능한 결속 장치
KR20230009236A (ko) * 2021-07-08 2023-01-17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용 클립
KR20230165059A (ko) *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경신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761Y1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5296B2 (en) Vibration damper
CN102918283B (zh) 车辆隔振附接组件
KR200449761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EP1847755B1 (en) Piping fixing structure
JP2002034314A (ja) 手動式作業機械
US20150283891A1 (en) Powertrain housing assembly
KR101788134B1 (ko) 가혹한 내구평가 만족을 위한 언더커버 마운팅 강성 보완구조
JP5102507B2 (ja) 防振クランプ装置
KR101470799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부시
KR20180125645A (ko) 자동차용 패널에 장착하는 와이어 하네스
KR101899955B1 (ko) 차량용 정션박스
KR101006471B1 (ko) 자동차용 클리어런스 클립
KR20080055148A (ko) 변속기용 마운트 유닛
JP5766752B2 (ja) 補機の取付構造
JP5983934B2 (ja) パワートレインマウントの締結構造
JP2010137736A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構造
KR102338384B1 (ko) 배터리 퓨즈박스
JP4798113B2 (ja) ケーブル保持構造
CN207433271U (zh) 一种气瓶固定装置
JP2007068408A (ja) 刈払機
JP5137523B2 (ja) 防振装置
KR20180063872A (ko) 차량용 정션박스
KR102634973B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20180026434A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JP6203591B2 (ja) フィラーチューブのプロテクタ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