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001A -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및 슬라이드 파스너 - Google Patents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및 슬라이드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001A
KR20090006001A KR1020080066288A KR20080066288A KR20090006001A KR 20090006001 A KR20090006001 A KR 20090006001A KR 1020080066288 A KR1020080066288 A KR 1020080066288A KR 20080066288 A KR20080066288 A KR 20080066288A KR 20090006001 A KR20090006001 A KR 20090006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trunk
engagement convex
portions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787B1 (ko
Inventor
하지메 하세가와
마나미 오오노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02Slide fasteners with a series of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secured to each stringer tape
    • A44B19/04Stringers arranged edge-to-edge when fastened, e.g. abutting stringers
    • A44B19/06Stringers arranged edge-to-edge when fastened, e.g. abutting stringers with substantially rectangular members having interlocking projections and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32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having interlocking surface with continuous cross section
    • Y10T24/2534Opposed interlocking surface having dissimilar cross 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39Interlocking surface constructed from plural elements in series
    • Y10T24/255Interlocking surface constructed from plural elements in series having interlocking portion with specific shape
    • Y10T24/2552Interlocking surface constructed from plural elements in series having interlocking portion with specific shape including symmetrical formations on opposite walls for engaging mating element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파스너가 옆으로 당기는 힘 등을 받아도 맞물림 헤드부에 형성한 맞물림 볼록부가 변형되기 어려워 우수한 맞물림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파스너 테이프에 체결 부착할 때에 맞물림 헤드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양면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면 엘리먼트(1)는 맞물림 헤드부(10)와, 몸통부(20)와, 좌우 한 쌍의 다리부(30a, 30b)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 헤드부(10)는 박육의 평판부(11)와, 상기 평판부(11)의 좌우 중앙부에서 돌출한 맞물림 볼록부(12)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12)의 좌우에 배치된 상기 평판부(11)로부터 융기하고 상기 몸통부(20)와 일체화한 좌우 융기부(13, 43)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12), 좌우의 상기 융기부(13, 43) 및 상기 몸통부(20)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14)를 갖고, 좌우의 상기 융기부(13, 43)는 그 전단 모서리(13c, 43c)로부터 상기 몸통부(20)를 향해 오름 경사진 경사부(13a, 43a)를 갖고, 좌우의 상기 경사부(13a, 43a)의 각 내측면의 일부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12)의 좌우 측면의 일부는 서로 면 접합 상태로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을 갖고 있다.
양면 엘리먼트, 헤드부, 몸통부, 다리부, 경사부, 볼록부, 오목부

Description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및 슬라이드 파스너{METALLIC DOUBLE-SIDED ELEMENT AND SLIDE FASTENER}
본 발명은 표리 양면에 맞물림 볼록부 및 맞물림 오목부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용의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에 관한 것이다.
가방 등의 개구부에는 그 개폐를 행하기 위해 슬라이드 파스너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1개로서, 파스너 체인에 2개의 슬라이더를 헤드 맞춤 또는 둔부 맞춤에 대향하여 배치함으로써, 슬라이더를 엘리먼트 열(列)을 따라 전후 어느 쪽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켜도 파스너 체인의 개폐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가 알려져 있다.
이 2개의 슬라이더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엘리먼트 열에 대해 슬라이더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에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의 슬라이더의 조작감에 차이를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엘리먼트의 맞물림 헤드부를 표리(미끄럼 이동 방향의 전후)에서 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한 양면 엘리먼트가 이용된다. 특히, 강한 천을 이용하는 의복이나 가방 등의 개구부에는 강도나 미관, 내구성, 굴곡성 등이 우수한 금속제의 양면 엘리먼트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양면 엘리먼트의 일례가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1-80012호 공보(특허 문헌 1)나 중국 실용 신안 공고 제2170665Y호 공보(특허 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양면 엘리먼트(51)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헤드부(52)와, 맞물림 헤드부(52)의 후단측에 배치된 몸통부(53)와, 몸통부(53)의 후단측에 연장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다리부(54a, 54b)를 표리 대칭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맞물림 헤드부(52)는 판 두께가 몸통부(53)보다도 얇은 평판부(52a)와, 상기 평판부(52a)의 표리면에 돌출 형성한 맞물림 볼록부(52b)와, 엘리먼트(51)의 좌우 양 측모서리에 배치되고, 상기 몸통부(53)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한 좌우 돌출 모서리부(52c)와, 맞물림 볼록부(52b)와 몸통부(53) 사이에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52d)를 갖고 있다. 이 특허 문헌 1의 양면 엘리먼트(51)에서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엘리먼트(51)의 성형을 행할 때에, 맞물림 볼록부(52b)를 평판부(52a)로부터 높게 형성함으로써 맞물림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 경우 맞물림 볼록부(52b)를 소정의 형상으로 높게 돌출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맞물림 볼록부(52b)의 주위의 두께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맞물림 헤드부(52)에 배치되는 좌우 돌출 모서리부(52c)는 몸통부(53)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제한되어 형성되어 있고, 맞물림 볼록부(52b)와 좌우 돌출 모서리부(52c)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맞물림 오목부(52d)의 저면의 높이가 평판부(52a)의 표리면과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맞물림 볼록부(52b)의 전단측에도 평판부(5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1에서는, 평판부(52a)의 전단면(52e)이 좌우 방향으로 폭넓고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양면 엘리먼트(51)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함으로써, 엘리먼트 맞물림시의 체인 폭을 작게 할 수 있어 스타일이 좋은 슬라이드 파스너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양면 엘리먼트(61)는,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헤드부(62)와, 몸통부(63)와, 좌우 한 쌍의 다리부(64a, 64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맞물림 헤드부(62)는 판 두께가 얇게 형성된 평판부(62a)와, 평판부(62a)와 몸통부(63) 사이에 배치된 경사면부(62b)와, 평판부(62a)의 표리면에 돌출 형성된 중앙 볼록부(62c) 및 좌우 볼록부(62d)를 갖고 있다.
상기 중앙 볼록부(62c)는 평판부(62a)의 전단측의 좌우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전후 좌우의 각 측면은 저부측이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볼록부(62d)는 엘리먼트(61)의 좌우 측단 모서리보다도 내측의 위치에 중앙 볼록부(62c)와 경사면부(62b) 사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고, 그 둘레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이 좌우 볼록부(62d)는 그 전단측의 단부 모서리를 중앙 볼록부(62c)의 단부 모서리에 선 접촉시키는 동시에, 그 후단부를 경사면부(62b) 내로 진입시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양면 엘리먼트(61)에서는 중앙 볼록부(62c), 좌우 볼록부(62d) 및 경사면부(62b) 사이에 맞물림 오목부(62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볼록부(62d)의 표리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는 몸통부(63)보다도 높게 설정되고, 중앙 볼록부(62c)의 표리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는 좌우 볼록부(62d)보다도 더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허 문헌 2의 양면 엘리먼트(61)를 이용하여 구성된 슬라이드 파스너는 중앙 볼록부(62c) 및 좌우 볼록부(62d)의 높이가 몸통부(63)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엘리먼트(61)를 확실하게 맞물림시킬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1-80012호 공보
[특허 문헌 2] 중국 실용 신안 공고 제2170665Y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양면 엘리먼트(51)(도10을 참조)는 맞물림 볼록부(52b)가 몸통부(53) 및 좌우 돌출 모서리부(52c)로부터 독립하여 평판부(52a)의 표리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의 양면 엘리먼트(51)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한 경우, 예를 들어 엘리먼트(51)가 맞물림 상태에 있을 때에 옆으로 당기는 힘 등의 외력을 받으면 독립한 맞물림 볼록부(52b)가 그 응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결손되기 쉽고, 또한 맞물림 볼록부(52b)와 돌출 모서리부(52c) 사이에 맞물림 상대방의 맞물림 볼록부(52b)가 걸리기 쉽기 때문에 맞물림 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이 특허 문헌 1의 양면 엘리먼트(51)는 파스너 테이프에 장착하는 경우, 좌우 다리부(54a, 54b)가 소정의 각도로 다리 개방한 상태에서, 이 좌우 다리부(54a, 54b) 사이에 파스너 테이프가 삽입되고, 그 후 상기 다리부(54a, 54b)를 내측을 향해 체결함으로써 파스너 테이프의 엘리먼트 장착부에 소정의 피치를 갖고 차례로 이식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엘리먼트(51)의 좌우 다리부(54a, 54b)가 체결될 때에, 좌우 다리부(54a, 54b)가 파스너 테이프를 끼움 지지하도록 소성 변형되는 동시에 엘리먼트(51)의 맞물림 헤드부(52), 특히 좌우 돌출 모서리부(52c)가 외측을 향해 넓어지도록 변형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했을 때에 엘리먼트(51)의 맞물림 상태나 맞물림 강도 등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양면 엘리먼트(51)는 맞물림 볼록부(52b)의 전단측에 평판부(52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파스너를 개폐할 때에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이 크고, 슬라이더의 조작감이 무거워진다. 또한, 맞물림 볼록부(52b)의 전단측에 평판부(52a)가 형성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엘리먼트 열을 접촉했을 때에, 그 평판부(52a)가 맞물림 헤드부(52)로부터 돌출하는 감촉을 받기 쉽고, 엘리먼트 열의 감촉감 등에 대해서는 가일층의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한편,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양면 엘리먼트(61)는 중앙 볼록부(62c)와 좌우 볼록부(62d)가 서로의 단부 모서리끼리 선 접촉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맞물림 오목부(62e)의 주위벽은 중앙 볼록부(62c)와 좌우 볼록부(62d) 사이에서 도중에 끊어져 있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중앙 볼록부(62c)와 좌우 볼록부(62d)는 서로 지지하도록 형성되지 않고, 중앙 볼록부(62c) 및 좌우 볼록부(62d)는 실질적으로 각각이 독립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특허 문헌 2의 엘리먼트(61)는 상기 특허 문헌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한 경우, 예를 들어 엘리먼트(61)의 맞물림시에 옆으로 당기는 힘 등을 받았을 때에 중앙 볼록부(62c)가 변형되거나 결손되기 쉬워 맞물림 강도의 저하를 초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양면 엘리먼트(61)는 파스너 테이프에 장착하기 위해 그 좌우 다리부(64a, 64b)를 체결했을 때에, 상기 특허 문헌 1과 마찬가지로, 좌우 볼록부(62d)나 그 외측에 배치된 평판부(62a)가 외측을 향해 넓어지도록 변형되기 쉽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양면 엘리먼트(61)는 중앙 볼록부(62c)의 전단측에도 평판부(62a)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양면 엘리먼트(61)를 이용하여 구성된 슬라이드 파스너를 개폐할 때에, 슬라이더에 큰 미끄럼 이동 저항이 작용하여 슬라이더의 조작감이 무거워지고, 또한 엘리먼트 열의 감촉도 나빠진다는 결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구체적인 목적은 슬라이드 파스너가 옆으로 당기는 힘 등을 받아도 맞물림 헤드부에 형성한 맞물림 볼록부에 변형이나 결손이 발생하기 어려워 우수한 맞물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파스너 테이프에 체결 부착할 때에 맞물림 헤드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작게 하여 슬라이더의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금속제의 양면 엘리먼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는 맞물림 헤드부와, 상기 맞물림 헤드부의 후단측에 배치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후단측에 연장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 헤드는 표리면 사이의 판 두께가 상기 몸통부보다도 얇게 형성된 박육 평판부와, 상기 박육 평판부의 좌우 중앙부에서 표리 방향으로 돌출한 맞물림 볼록부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의 좌우에 배치된 상기 박육 평판부로부터 표리 방향으로 융기하고 상기 몸통부를 향해 연장 설치되고 몸통부와 일체화한 좌우 융기부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 좌우의 상기 융기부, 및 상기 몸통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를 갖고, 좌우의 상기 융기부는 상기 융기부의 맞물림 볼록부측의 전단 모서리로부터 상기 몸통부를 향해 상기 박육 평판부의 표리면에 대해 오름 경사진 경사부를 갖고, 좌우의 상기 경사부의 각 내측면의 일부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의 좌우 측면의 일부는 서로 면 접합 상태로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융기부는 상기 경사부의 후단부로부터 몸통부를 향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연장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의 표리면은 상기 몸통부의 표리면과 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부의 맞물림 볼록부측의 상기 전단 모서리는 상기 맞물림 볼록부의 정상부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융기부는 상기 맞물림 볼록부 및 상기 맞물림 오목부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엘리먼트의 좌우 양 측모서리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맞물림 볼록부의 정상부로부터 상기 맞물림 오목부의 저면까지의 높이가 상기 정상부로부터 상기 박육 평판부의 표리면까지의 높이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맞물림 볼록부의 전단 모서리가 상기 박육 평판부의 전단 모서리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융기부의 상기 전단 모서리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의 면적이 상기 엘리먼트의 좌우 양 측모서리로부터 상기 맞물림 볼록부를 향해 점차 증가하도 록 경사 또는 만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또한 제공되는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는 맞물림 헤드부와, 상기 맞물림 헤드부의 후단측에 배치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후단측에 연장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 헤드는 표리면 사이의 판 두께가 상기 몸통부보다도 얇게 형성된 박육 평판부와, 상기 박육 평판부의 좌우 중앙부에서 표리 방향으로 돌출한 맞물림 볼록부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의 좌우에 배치된 상기 박육 평판부로부터 표리 방향으로 융기하고 상기 몸통부를 향해 연장 설치되고 몸통부와 일체화한 좌우 융기부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 좌우의 상기 융기부, 및 상기 몸통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를 갖고, 좌우의 상기 융기부는 상기 융기부의 맞물림 볼록부측의 전단 모서리로부터 상기 몸통부를 향해 상기 박육 평판부의 표리면에 대해 오름 경사진 경사부를 갖고, 좌우의 상기 경사부의 일부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의 일부는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의 상기 전단 모서리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의 면적이 상기 엘리먼트의 좌우 양 측모서리로부터 상기 맞물림 볼록부를 향해 점차 증가하도록 경사 또는 만곡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가 좌우 한 쌍의 파스너 테이프의 상대하는 측모서리에 소정의 간격으로 나열 설치된 파스너 스트링거를 구비한 슬라이드 파스너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는 맞물림 헤드부, 몸통부, 및 좌우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 헤드부는, 박육 평판부와, 박육 평판부로부터 돌출한 맞물림 볼록부와, 맞물림 볼록부의 좌우에 배치된 박육 평판부에서 융기하고 몸통부를 향해 연장 설치되고 몸통부와 일체화한 좌우 융기부와, 맞물림 오목부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맞물림 오목부는 맞물림 볼록부, 좌우 융기부 및 몸통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그 주위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융기부는 상기 융기부의 맞물림 볼록부측의 전단 모서리로부터 몸통부를 향해 오름 경사진 경사부를 갖고, 좌우 경사부의 각 내측면의 일부와 맞물림 볼록부의 좌우 측면의 일부는 서로 면 접합 상태로 일체화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는 맞물림 볼록부가 좌우 융기부와 면 접합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맞물림 볼록부와 융기부는 서로 지지하여, 각각이 변형되기 어렵도록 견고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양면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한 경우,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가 좌우 엘리먼트를 맞물림한 상태에서 옆으로 당기는 힘 등을 받아도 맞물림 헤드부에 형성한 맞물림 볼록부 및 좌우 융기부에 변형이나 결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맞물림 오목부는 맞물림 볼록부, 좌우 융기부 및 몸통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그 주위벽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양면 엘리먼트가 맞물렸을 때에 맞물림 오목부에 상대방의 맞물림 볼록부가 적절하게 끼워 넣어져, 그 맞물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양면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파스너가 구성되면, 우수한 맞물림 강도를 안정적으로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융기부는 맞물림 볼록부의 좌우 측면에 면 접합한 상태에서 박육 평판부 상에 융기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양면 엘리먼트를 파스너 테이프에 체결 부착할 때에 좌우 다리부를 소성 변형시켜도 좌우 융기부의 외측으로 넓어지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양면 엘리먼트를 파스너 테이프로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체결에 의한 맞물림 헤드부의 변형이 없는 양면 엘리먼트가 소정의 피치로 확실하게 장착된 고품질의 슬라이드 파스너를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엘리먼트에서는 좌우 융기부가 경사부의 후단부로부터 몸통부를 향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연장부를 갖고, 연장부의 표리면은 몸통부의 표리면과 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양면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한 경우, 양면 엘리먼트의 맞물림 오목부에 상대방의 양면 엘리먼트의 맞물림 볼록부를 끼워 넣었을 때에 좌우 융기부에서 상대방의 맞물림 볼록부를 더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어 좌우 양면 엘리먼트의 맞물림 상태를 더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엘리먼트는, 경사부에 있어서의 맞물림 볼록부측의 전단 모서리가 맞물림 볼록부의 정상부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맞물림 볼록부와 좌우 융기부가 면 접합 상태로 일체화하는 면적을 더 넓게 확보하고, 서로를 강하게 지지하여 서로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맞물림 볼록부 및 좌우 융기부를 한층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의 경사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양면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한 경우, 좌우 엘리먼트를 맞물렸을 때에, 맞물림 헤드부에 형성한 좌우 융기부가 상대방의 맞물림 헤드부에 형성한 좌우 융기부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여 슬라이드 파스너의 개폐를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엘리먼트는 좌우 융기부가 맞물림 볼록부 및 맞물림 오목부를 사이에 끼우고, 엘리먼트의 좌우 양 측모서리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우 융기부가 좌우 양 측모서리까지 형성되어 있으면, 융기부의 좌우 측면과 평판부의 측면 및 몸통부의 측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엘리먼트 측면을 평활면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이 좋고 감촉감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맞물림 볼록부의 정상부로부터 맞물림 오목부의 저부까지의 높이가 상기 정상부로부터 박육 평판부의 표리면까지의 높이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표면 및 이면의 맞물림 오목부의 저부 사이에 있어서의 판 두께가 박육 평판부의 표리면 사이에 있어서의 판 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맞물림 볼록부 및 좌우 융기부가 맞물림 오목부의 저부 부분에 의해 지지되어 더 견고하게 형성되어 맞물림 볼록부 및 좌우 융기부의 변형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맞물림 볼록부의 정상부로부터 박육 평판부의 표리면까지의 높이를 높게 함으로써, 파스너 체인을 구성했을 때에 그 파스너 체인에 적절한 유연성(굽힘 용이함)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맞물림 볼록부의 전단 모서리가 박육 평판부의 전단 모서리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맞물림 볼록부의 전단측에 박육 평판부가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양면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구성된 슬라이드 파스너는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이 작아 슬라이더의 조작감이 우수한 것으로 되고, 좌우 엘리먼트의 맞물림 및 분리를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맞물림 헤드부의 전단면과 표리의 맞물림 볼록부의 전방측의 경사면이 박육 평판부를 통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엘리먼트 열을 접촉했을 때의 감촉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융기부의 전단 모서리는 경사부의 경사면의 면적이 엘리먼트의 좌우 양 측모서리로부터 맞물림 볼록부를 향해 점차 증가하도록 경사 또는 만곡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융기부의 전단 모서리는 상기 전단 모서리의 엘리먼트 좌우 양 측모서리측의 단부가 상기 전단 모서리의 상기 맞물림 볼록부와의 접속부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도록 경사 또는 만곡하고 있다. 이에 의해, 맞물림 헤드부에 있어서의 박육 평판부의 좌우 양 측모서리측의 영역을 널리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양면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파스너 체인을 구성한 경우, 좌우 엘리먼트 열이 맞물림 상태에 있을 때에, 각 엘리먼트가 융기부에 방해되지 않고 맞물림 헤드부를 중심으로 테이프 표리 방향으로 회전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파스너 체인의 유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는 맞물림 헤드부, 몸통부 및 좌우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 헤드부는 박육 평판부와, 박육 평판부로부터 돌출한 맞물림 볼록부와, 맞물림 볼록부의 좌우에 배치된 박육 평판부로부 터 융기하고 몸통부를 향해 연장 설치되고 몸통부와 일체화한 좌우 융기부와, 맞물림 오목부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맞물림 오목부는 맞물림 볼록부, 좌우 융기부 및 몸통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그 주위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융기부는, 상기 융기부의 맞물림 볼록부측의 전단 모서리로부터 몸통부를 향해 오름 경사진 경사부를 갖고, 좌우 경사부의 일부와 맞물림 볼록부의 일부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융기부의 전단 모서리는 경사부의 경사면의 면적이 엘리먼트의 좌우 양 측모서리로부터 맞물림 볼록부를 향해 점차 증가하도록 경사 또는 만곡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 좌우 경사부의 일부와 맞물림 볼록부의 일부가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고 함은, 경사부의 각 내벽면의 일부와 맞물림 볼록부의 좌우 측면의 일부가 면 접합하고 있는 것 등을 말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는 맞물림 볼록부가 좌우 융기부와 면 접합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맞물림 볼록부와 융기부는 서로 지지하여 각각이 변형되기 어렵도록 견고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양면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한 경우,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가 좌우 엘리먼트를 맞물림한 상태에서 옆으로 당기는 힘 등을 받아도 맞물림 헤드부에 형성한 맞물림 볼록부 및 좌우 융기부에 변형이나 결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는, 우수한 맞물림 강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융기부의 전단 모서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 또는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양면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파스너 체인을 구성한 경우, 상기 파스너 체인은 유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가 좌우 한 쌍의 파스너 테이프의 상대하는 측모서리에 소정의 간격으로 나열 설치된 파스너 스트링거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파스너는 좌우 양면 엘리먼트가 서로 적절하게 맞물려, 그 맞물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맞물림 상태에서 옆으로 당기는 힘을 받아도 맞물림 볼록부 및 좌우 융기부에 변형이나 결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좌우 양면 엘리먼트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일이 없는 우수한 맞물림 강도를 갖는 고품질의 슬라이드 파스너로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 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또한 마찬가지인 작용 효과를 발휘하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제1 실시예에 관한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의 체결된 상태의 형상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2는 상기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의 측면도이고, 도3은 도2에 나타낸 Ⅲ-Ⅲ선에 있어서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발명에 있어서, 양면 엘리먼트의 전후 방향이라 함은, 상기 엘리먼트를 파스너 테이프에 장착했을 때의 테이프 폭 방향으로 되는 방향을 말하고, 또한 양면 엘리먼트의 좌우 방향 및 표리 방향(상하 방향)이라 함은, 각각 파스너 테이프에 장착했을 때의 테이프 표리 방향 및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되는 방향을 말한다.
도1에 도시한 본 제1 실시예에 관한 양면 엘리먼트(1)는 금속제 부재에 복수회의 프레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엘리먼트 전방부에 배치된 맞물림 헤드부(10)와, 맞물림 헤드부(10)의 후단측에 소정의 판 두께로 형성된 몸통부(20)와, 몸통부(20)의 후단측에 연장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다리부(30a, 30b)를 구비하고, 표리 방향에 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 헤드부(10)는 표리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 박육의 평판부(11)와, 평판부(11)로부터 표리 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맞물림 볼록부(12)와, 맞물림 볼록부(12)의 좌우에 배치된 평판부(11)로부터 표리 방향으로 융기하고 몸통부(20)를 향해 연장 설치된 좌우 융기부(13)와, 맞물림 볼록부(12)와 몸통부(20) 사이에 오목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14)를 갖고 있다.
맞물림 헤드부(10)에 있어서의 상기 평판부(11)는 몸통부(20)보다도 얇은 소정의 판 두께를 갖고 있다. 이 박육의 평판부(11)의 좌우 측모서리는 그 좌우 폭 방향의 치수가 몸통부(20)측으로부터 전단을 향해 서서히 작아지도록 엘리먼트 전후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또한 평판부(11)의 전단면(11a)은 엘리먼트 전후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 볼록부(12)는 평판부(11)의 전방부 좌우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산형으로 솟아오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정상부(12a)와, 정상부(12a)의 전후에 배치된 전방 경사면부(12b) 및 후방 경사면부(12c)와, 이들 좌우 측방에 배치된 좌우 측면부(12d)를 갖고 있다.
이 맞물림 볼록부(12)의 상기 정상부(12a)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부(20)의 표리면과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고, 엘리먼트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맞물림 볼록부(12)의 좌우 측면부(12d)는 정상부(12a)를 향해 맞물림 볼록부(12)의 좌우 폭 치수가 점차 감소하도록 작아지고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맞물림 볼록부(12)에 있어서의 정상부(12a)의 후방측은, 상술한 바와 같은 후방 경사면부(12c)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몸통부 표리면에 대해 수직인 수직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서는, 맞물림 볼록부(12)의 전단 모서리[전방 경사면부(12b)의 하단 모서리]의 위치가 평판부(11)의 전단 모서리의 위치에 맞추어져 있다. 또한, 평판부(11)의 전단면(11a)과, 맞물림 볼록부(12)의 표리면측의 전방 경사면부(12b)의 경계 부분(15)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판부(11)의 전단면(11a)으로부터 맞물림 볼록부(12)의 전방 경사면에 걸쳐 요철이 없는 일련의 평활한 외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때, 경계 부분(15)에 형성되는 곡면의 곡률 반경은 0.1 ㎜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맞물림 헤드부(10)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융기부(13)는 평판부(11)로부터 표리 방향으로 융기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맞물림 볼록부(12)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몸통부(20)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이 융기부(13)의 전단 모서리(13c)는 맞물림 볼록부(12)의 정상부(12a)보다도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 융기부(13)는 전단 모서리(13c)로부터 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오름 경사지는 경사부(13a)와, 경사부(13a)의 후단측으로부터 몸통부(20)를 향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연장부(13b)를 갖고, 상기 연장부(13b)의 후단부는 몸통부(20)와 일체화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경사부(13a)의 경사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좌우 융기부(13)가, 맞물림 볼록부(12) 및 맞물림 오목부(14)를 사이에 끼우고, 엘리먼트(1)의 좌우 양 측모서리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융기부(13)의 좌우 외측면과, 평판부(11)의 좌우 측면 및 몸통부(20)의 좌우 측면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맞물림 헤드부(10)의 측면으로부터 좌우 다리부(30a, 30b)의 외측면에 걸친 엘리먼트 전체의 측면이 평활면으로 된다. 따라서, 이 양면 엘리먼트(1)는 외관이 좋고 감촉감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한, 좌우 융기부(13)에 있어서의 경사부(13a)의 내측면의 일부는 맞물림 볼록부(12)의 좌우 측면의 일부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18)[양면 엘리먼트(1)를 측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경사부(13a)의 경사면과, 맞물림 볼록부(12)의 후방 경사부(12c)의 연장선과, 평판부(11)의 표리면의 연장선에 의해 둘러싸이는 범위]을 갖고 서로 면 접합한 상태에서 일체화하고 있다. 이에 의해, 맞물림 볼록부(12)와 좌우 융기부(13)는 서로 지지하여 각각이 외력을 받아도 변형되기 어렵도록 견고하게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헤드부(10)에 있어서의 상기 맞물림 오목부(14)는 맞물림 볼록부(12) 와 몸통부(20) 사이에 몸통부 표리면으로부터 오목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 저면(14a)과, 이 오목부 저면(14a)의 주위에 세워 설치한 주위벽(14b)을 갖고 있다. 이 맞물림 오목부(14)의 오목부 저면(14a)은 표리 방향에 있어서 평판부(11)의 표리면과 몸통부(20)의 표리면 사이의 높이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평판부(11)의 표리면 및 몸통부(20)의 표리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제1 실시예에서는, 맞물림 볼록부(12)의 정상부(12a)로부터 맞물림 오목부(14)의 오목부 저면(14a)까지의 높이(H1)가, 정상부(12a)로부터 평판부(11)의 표리면까지의 높이(H2)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도2를 참조). 이에 의해, 엘리먼트(1)의 표리에 배치한 오목부 저면(14a) 사이의 두께가 평판부(11)의 표리면 사이의 두께보다도 두꺼워지기 때문에, 맞물림 볼록부(12)의 후방 경사면부(12c)측과 좌우 융기부(13)의 각 내측면측이 각각 보강되어 맞물림 볼록부(12)나 좌우 융기부(13)가 한층 견고한 것으로 된다.
또한, 맞물림 오목부(14)의 주위벽(14b)은 맞물림 볼록부(12)의 후방 경사면부(12c)와, 좌우 융기부(13)의 내측면(13d)과, 몸통부(20)의 전단면(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맞물림 볼록부(12)의 후방 경사면부(12c)와 좌우 융기부(13)의 경사부(13a)의 연결 부분에는, 2개의 경사에 의한 곡부(谷部)(16)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 곡부(16)와 오목부 저면(14a) 사이에도 맞물림 오목부(14)의 주위벽(14b)이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맞물림 오목부(14)의 주위벽(14b)은 오목부 저면(14a)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도3을 참조).
이 경우 정상부(12a)와 맞물림 오목부 저면(14a) 사이의 간격[높이(H1)]에 대한 곡부(16)와 맞물림 오목부 저면(14a) 사이의 간격[높이(H3)]의 비율은, 0 %보다도 크면 좋으나, 20 % 이상 50 %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0 % 이상 50 %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도2를 참조). 예를 들어, 상기한 높이(H1)에 대한 높이(H3)의 비율을 50 % 이하로 함으로써,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했을 때에 좌우 엘리먼트 열의 맞물림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율을 20 % 이상으로 함으로써 맞물림 볼록부(12)의 강도 높이는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고, 상기 비율을 4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엘리먼트(1)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몸통부(20)는 맞물림 헤드부(10)와 좌우 다리부(30a, 30b)를 연결하고 있고, 몸통부(20)의 표리면 및 좌우 측면은 맞물림 헤드부(10)에 있어서의 연장부(13b)와 좌우 다리부(30a, 30b)의 각 표리면 및 각 좌우 측면과 각각 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맞물림 오목부(14)의 주위벽(14b)의 일부를 구성하는 몸통부(20)의 전단면(21)은 오목부 저면(14a)으로부터 몸통부 표리면을 향해 오름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상기 다리부(30a, 30b)는 몸통부(20)의 후단부로부터 두 갈래로 분기되어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좌우 다리부(30a, 30b)는 엘리먼트(1)의 프레스 가공 종료 시점에서, 몸통부(20)측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다리 개방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양면 엘리먼트(1) 전체를 상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대략 Y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도4의 이점 쇄선을 참조). 또한, 좌우 다리부(30a, 30b)는 엘리먼트 상면에서 보았을 때 내측면측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코어 끈 끼움 지지부(31a, 31b)와, 그 후단부에 배치된 테이프 끼움 지지부(32a, 32b)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코어 끈 끼움 지지부(31a, 31b)의 내측면에는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기부(33a, 33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제1 실시예의 양면 엘리먼트(1)를, 예를 들어 코어 끈부(2a)가 측모서리를 따라 설치된 파스너 테이프(2)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 엘리먼트(1)의 다리 개방한 좌우 다리부(30a, 30b) 사이에 파스너 테이프(2)의 코어 끈부(2a)를 몸통부(20)의 후단부면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하고, 그 후 체결 펀치 등을 이용하여, 좌우 다리부(30a, 30b)를 그 외측면측으로부터 압박하여 다리 개방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체결한다. 이에 의해, 좌우 다리부(30a, 30b) 사이에 파스너 테이프(2)가 끼워 넣어져 끼움 지지되고, 양면 엘리먼트(1)를 파스너 테이프(2)에 이식할 수 있다.
이때, 좌우 다리부(30a, 30b)의 코어 끈 끼움 지지부(31a, 31b)에는 돌기부(33a, 33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다리부(30a, 30b)를 체결했을 때에, 돌기부(33a, 33b)가 파스너 테이프(2)의 코어 끈부(2a)에 물려 들어가고, 양면 엘리먼트(1)를 파스너 테이프(2)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의 양면 엘리먼트(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맞물림 헤드부(10)의 좌우 융기부(13)가, 맞물림 볼록부(12)와 면 접합 상태로 일체화하여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맞물림 오목부(14)의 저면 부분에서 보강되어 있다. 또한, 이 좌우 융기부(13)는 엘리먼트(1)의 좌우 양 측모서리 사이에 걸쳐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양면 엘리먼트(1)를 장착할 때에 좌우 다리부(30a, 30b) 를 체결해도, 종래와 같이 좌우 융기부(13)가 외측을 향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맞물림 헤드부(10)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복수의 본 제1 실시예의 양면 엘리먼트(1)를, 좌우 한 쌍의 파스너 테이프(2)의 테이프 측모서리부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이식함으로써 좌우 파스너 스트링거(3)가 제작된다. 또한, 얻어진 파스너 스트링거(3)의 엘리먼트 열에 슬라이더(4)를 삽입 관통하고, 상기 엘리먼트 열의 미끄럼 이동 방향의 전후 양단부에 상부 멈춤부(5) 및 하부 멈춤부(6)를 장착함으로써 도5에 도시한 슬라이드 파스너(7)가 제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슬라이드 파스너(7)는 슬라이더(4)를 맞물림 방향[상부 멈춤부(5)를 향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엘리먼트(1)의 맞물림 볼록부(12)를, 주위벽(14b)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대방의 맞물림 오목부(14)에 적절하게 끼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좌우 파스너 테이프(2)에 나열 설치한 양면 엘리먼트(1)를 확실하게 맞물리게 하여, 그 맞물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제1 실시예의 양면 엘리먼트(1)는, 맞물림 헤드부(10)에 형성된 좌우 융기부(13)의 전단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13a)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경사부(13a)의 경사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양면 엘리먼트(1)가 맞물림할 때에 좌우 양면 엘리먼트(1)에 배치한 각 융기부(13)가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어 슬라이드 파스너(7)의 폐쇄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의 양면 엘리먼트(1)는 맞물림 볼록부(12)가 좌우 융기부(13)와 면 접합 상태로 일체화하여 견고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맞물림 오목부(14)의 저면 부분에서 보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좌우 엘리먼트(1)가 맞물림 상태에 있을 때에 옆으로 당기는 힘 등의 외력을 받아도 맞물림 볼록부(12)가나 좌우 융기부(13)의 변형이나 결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제1 실시예의 양면 엘리먼트(1)를 이용하여 구성된 슬라이드 파스너(7)는 우수한 맞물림 강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1 실시예의 양면 엘리먼트(1)를 이용하여 구성된 슬라이드 파스너(7)는, 맞물림 헤드부(10)에 있어서의 맞물림 볼록부(12)의 정상부(12a)와 평판부(11)의 표리면 사이의 간격[높이(H2)]이 정상부(12a)와 맞물림 오목부 저면(14a) 사이의 간격[높이(H1)]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파스너(7)를 폐쇄한 상태라도 적절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7)는 다양한 용도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양면 엘리먼트(1)의 맞물림 헤드부(10)는, 평판부(11)의 전단면(11a)으로부터 맞물림 볼록부(12) 전방 경사부(12b)에 걸쳐 요철이 없는 연속적인 외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파스너(7)에 있어서의 좌우 엘리먼트 열의 감촉이 양호해진다. 또한, 이와 같은 양면 엘리먼트(1)에 의해 좌우 엘리먼트 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엘리먼트 열을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더(4)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슬라이더(4)의 조작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양면 엘리먼트(1)의 맞물림 헤드부(10)에 있어서의 평판부(11)의 전 단면(11a)과 맞물림 볼록부(12) 전방 경사부(12b)와의 경계 부분(15)에 형성되는 곡면의 곡률 반경이, 전술한 바와 같이 0.1 ㎜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엘리먼트 열의 감촉이나 슬라이더(4)의 조작감이 대폭 향상된 고품질의 슬라이드 파스너(7)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7은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8은 상기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를 파스너 테이프에 체결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의 설명 및 그 참조 도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의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있고, 그것에 의해 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양면 엘리먼트(41)는 엘리먼트 전방부에 배치된 맞물림 헤드부(42)와, 맞물림 헤드부(42)의 후단측에 소정의 판 두께로 형성된 몸통부(20)와, 몸통부(20)의 후단측에 연장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다리부(30a, 30b)를 구비하고, 표리 방향에 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 헤드부(42)는 표리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 박육의 평판부(11)와, 평판부(11)로부터 표리 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맞물림 볼록부(12)와, 평판부(11)로부터 표리 방향으로 융기한 좌우 융기부(43)와, 맞물림 볼록부(12)와 몸통부(20) 사이에 오목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14)를 갖고 있다. 좌우의 상기 융기부(43)는 평판부(11)로부터 표리 방향으로 융기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맞물림 볼록부(12)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몸통부(20)를 향해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융기부(43)는 맞물림 볼록부(12) 및 맞물림 오목부(14)를 사이에 끼우고, 엘리먼트(41)의 좌우 양 측모서리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융기부(43)는 그 전단 모서리(43c)로부터 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오름 경사지는 경사부(43a)와, 경사부(43a)의 후단측으로부터 몸통부(20)를 향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연장부(43b)를 갖고, 상기 경사부(43a)의 경사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융기부(43)는 맞물림 볼록부(12)와 일부에서 면 접합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융기부(43)와 맞물림 볼록부(12)가 일체화하고 있다. 이에 의해, 맞물림 볼록부(12)와 좌우 융기부(13)는 서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의 양면 엘리먼트(41)에 있어서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단 모서리(43c)의 좌우 양 측모서리측의 단부(45)가 상기 전단 모서리(43c)의 맞물림 볼록부(12)의 접속부(44)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좌우 융기부(43)의 전단 모서리(43c) 자체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좌우 융기부(43)의 전단 모서리(43c)는, 경사부(43a)의 경사면의 면적이 엘리먼트(41)의 좌우 양 측모서리로부터 맞물림 볼록부(12)를 향해 점차 증가하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좌우 융기부의 전단 모서리가 경사부의 경사면의 면적이 맞물림 볼록부를 향해 점차 증가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제2 실시예의 양면 엘리먼트(41)를, 예를 들어 코 어 끈부(2a)가 설치된 파스너 테이프(2)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양면 엘리먼트(1)와 마찬가지로 좌우 다리부(30a, 30b) 사이에 파스너 테이프(2)의 코어 끈부(2a)를 삽입하고, 그 후 체결 펀치 등을 이용하여 좌우 다리부(30a, 30b)를 체결한다. 이에 의해, 좌우 다리부(30a, 30b) 사이에 파스너 테이프(2)가 끼워 넣어져 끼움 지지되고, 양면 엘리먼트(1)를 파스너 테이프(2)에 이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 다리부(30a, 30b)가 체결되면, 경사부(43a) 및 연장부(43b)의 좌우 양 측모서리측의 부분이 좌우 다리부(30a, 30b)의 소성 변형에 수반하여 다리부(20)측(후방측)으로 만곡한다. 이것은 경사부(43a)의 엘리먼트 좌우 양 측모서리측의 부분이 내측[접속부(44)측]의 부분보다도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고, 또한 경사부(43a)의 내측이 맞물림 볼록부(12)와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경사부(43a)의 내측이 맞물림 볼록부(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면, 좌우 다리부(30a, 30b)의 체결시에 경사부(43a)의 엘리먼트 좌우 양 측모서리측의 부분에 큰 힘이 가해짐으로써, 경사부(43a)의 엘리먼트 좌우 양 측모서리측의 부분이 좌우 다리부(30a, 30b)에 끌어 당겨지도록 하여 만곡하기 쉬워진다. 또한, 그것에 수반하여, 연장부(43b)의 엘리먼트 좌우 양 측모서리측의 부분도 만곡하기 쉬워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부(43a)의 엘리먼트 좌우 양 측모서리측의 부분이 만곡해도, 상기 경사부(43a)의 내측[접속부(44)측]의 부분과 맞물림 볼록부(12)는 서로 면 접합하여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맞물림 헤드부(10)의 변형을 방지하 고, 맞물림 헤드부(10)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2 실시예의 양면 엘리먼트(41)를 파스너 테이프(2)에 이식하여 제작된 슬라이드 파스너는, 슬라이더(4)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좌우 파스너 테이프(2)에 나열 설치한 양면 엘리먼트(1)를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게 맞물리게 하여, 그 맞물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의 양면 엘리먼트(41)는, 맞물림 볼록부(12)가 좌우 경사부(43a)와 면 접합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맞물림 오목부(14)의 저면 부분에서 보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좌우 엘리먼트(1)가 맞물림 상태에 있을 때에 옆으로 당기는 힘 등의 외력을 받아도 맞물림 볼록부(12)의 변형이나 결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의 양면 엘리먼트(1)를 이용하여 구성된 슬라이드 파스너(7)는, 각 양면 엘리먼트(41)에 있어서의 좌우 융기부(43)의 전단 모서리(43c)가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져, 전단 모서리(43c)의 엘리먼트 좌우 양 측모서리측의 단부(45)가, 상기 전단 모서리(43c)와 맞물림 볼록부(12)의 접속부(44)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엘리먼트 열이 맞물림한 상태에 있어서, 각 엘리먼트는 좌우 융기부에 방해되지 않고, 맞물림 헤드부를 중심으로 엘리먼트 좌우 방향(테이프 표리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는 우수한 유연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그 용도를 크게 넓힐 수 있다. 이 경우 좌우 융기부(43)의 전단 모서리(43c)의 경사를 크게 함으로써 각 엘리먼트의 회전 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양면 엘리먼트를, 파스너 체인에 1개의 슬라이더가 배치된 통상 타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이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면 엘리먼트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파스너 체인에 2개의 슬라이더가 헤드 맞춤 또는 둔부 맞춤에 대향하여 배치된 슬라이더 2개가 부착된 타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방이나 의류 등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의 엘리먼트로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의 체결된 상태의 형상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2는 도1의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의 측면도.
도3은 도2에 나타낸 Ⅲ-Ⅲ선에 있어서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4는 도1의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를 파스너 테이프에 체결했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5는 도1의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구성된 슬라이드 파스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6은 도1의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면 엘리먼트가 맞물려 있는 상태를, 그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어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8은 도1의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를 파스너 테이프에 체결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9는 도1의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구성된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좌우 엘리먼트가 맞물려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10은 종래 양면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11은 종래 다른 양면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12는 도1의 양면 엘리먼트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면 엘리먼트
2 : 파스너 테이프
2a : 코어 끈부
3 : 파스너 스트링거
4 : 슬라이더
5 : 상부 멈춤부
6 : 하부 멈춤부
7 : 슬라이드 파스너
10, 42 : 맞물림 헤드부
11 : 평판부
11a : 전단면
12 : 맞물림 볼록부
12a : 정상부
12b : 전방 경사면부
12c : 후방 경사면부
12d : 측면부
13, 43 : 융기부
13a, 43a : 경사부
13b : 연장부
13c, 43c : 전단 모서리
13d : 내측면
14 : 맞물림 오목부
14a : 오목부 저면
14b : 주위벽
15 : 경계 부분
16 : 곡부
20 : 몸통부
21 : 전단면
30a, 30b : 좌우 다리부
31a, 31b : 코어 끈 끼움 지지부
32a, 32b : 테이프 끼움 지지부
33a, 33b : 돌기부
41 : 양면 엘리먼트
43b : 연장부
44 : 접속부
45 : 좌우 양 측모서리측의 단부
H1 : 맞물림 볼록부의 정상부로부터 맞물림 오목부의 오목부 저면까지의 높이
H2 : 맞물림 볼록부의 정상부로부터 평판부의 표리면까지의 높이

Claims (10)

  1. 맞물림 헤드부(10)와, 상기 맞물림 헤드부(10)의 후단측에 배치된 몸통부(20)와, 상기 몸통부(20)의 후단측에 연장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다리부(30a, 30b)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 헤드부(10)는 표리면 사이의 판 두께가 상기 몸통부(20)보다도 얇게 형성된 박육 평판부(11)와, 상기 박육 평판부(11)의 좌우 중앙부에서 표리 방향으로 돌출한 맞물림 볼록부(12)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12)의 좌우에 배치된 상기 박육 평판부(11)로부터 표리 방향으로 융기하고, 상기 몸통부(20)를 향해 연장 설치되고, 몸통부(20)와 일체화한 좌우 융기부(13, 43)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12), 좌우의 상기 융기부(13, 43) 및 상기 몸통부(20)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14)를 갖고,
    좌우의 상기 융기부(13, 43)는 상기 융기부(13, 43)의 맞물림 볼록부(12)측의 전단 모서리(13c, 43c)로부터 상기 몸통부(20)를 향해 상기 박육 평판부(11)의 표리면에 대해 오름 경사진 경사부(13a, 43a)를 갖고,
    좌우의 상기 경사부(13a, 43a)의 각 내측면의 일부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12)의 좌우 측면의 일부는 서로 면 접합 상태로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융기부(13, 43)는 상기 경사부(13a, 43a)의 후 단으로부터 몸통부(20)를 향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연장부(13b, 43b)를 갖고,
    상기 연장부(13b, 43b)의 표리면은 상기 몸통부(20)의 표리면과 한 면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13a)의 맞물림 볼록부(12)측의 상기 전단 모서리(13c)는 상기 맞물림 볼록부(12)의 정상부(12a)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13a, 43a)의 경사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융기부(13, 43)는 상기 맞물림 볼록부(12) 및 상기 맞물림 오목부(14)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엘리먼트(1)의 좌우 양 측모서리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볼록부(12)의 정상부(12a)로부터 상기 맞물림 오목부(14)의 저면(14a)까지의 높이가 상기 정상부(12a)로부터 상기 박육 평판부(11)의 표리면까지의 높이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볼록부(12)의 전단 모서리가, 상기 박육 평판부(11)의 전단 모서리의 위치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43)의 상기 전단 모서리(43c)는 상기 경사부(13a, 43a)의 경사면의 면적이 상기 엘리먼트(1)의 좌우 양 측모서리로부터 상기 맞물림 볼록부(12)를 향해 점차 증가하도록 경사 또는 만곡하여 이루어지는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9. 맞물림 헤드부(10)와, 상기 맞물림 헤드부(10)의 후단측에 배치된 몸통부(20)와, 상기 몸통부(20)의 후단측에 연장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다리부(30a, 30b)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 헤드부(10)는 표리면 사이의 판 두께가 상기 몸통부(20)보다도 얇게 형성된 박육 평판부(11)와, 상기 박육 평판부(11)의 좌우 중앙부에서 표리 방향으로 돌출한 맞물림 볼록부(12)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12)의 좌우에 배치된 상기 박육 평판부(11)로부터 표리 방향으로 융기하고, 상기 몸통부(20)를 향해 연장 설치되고, 몸통부(20)와 일체화한 좌우 융기부(43)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12), 좌우의 상기 융기부(43), 및 상기 몸통부(20)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14)를 갖고,
    좌우의 상기 융기부(43)는 상기 융기부(43)의 맞물림 볼록부(12)측의 전단 모서리(43c)로부터 상기 몸통부(20)를 향해 상기 박육 평판부(11)의 표리면에 대해 오름 경사진 경사부(43a)를 갖고,
    좌우의 상기 경사부(43a)의 일부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12)의 일부는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43)의 상기 전단 모서리(43c)는 상기 경사부(13a, 43a)의 경사면의 면적이 상기 엘리먼트(1)의 좌우 양 측모서리로부터 상기 맞물림 볼록부(12)를 향해 점차 증가하도록 경사 또는 만곡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10. 제1항, 제2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1)가 좌우 한 쌍의 파스너 테이프(2)의 상대하는 측모서리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나열 설치된 파스너 스트링거(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KR1020080066288A 2007-07-10 2008-07-09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및 슬라이드 파스너 KR101146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81184 2007-07-10
JPJP-P-2007-00181184 2007-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001A true KR20090006001A (ko) 2009-01-14
KR101146787B1 KR101146787B1 (ko) 2012-05-21

Family

ID=3979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288A KR101146787B1 (ko) 2007-07-10 2008-07-09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및 슬라이드 파스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65193B2 (ko)
EP (1) EP2014188B1 (ko)
JP (1) JP5154317B2 (ko)
KR (1) KR101146787B1 (ko)
CN (1) CN101342026B (ko)
DE (1) DE602008005212D1 (ko)
ES (1) ES2359533T3 (ko)
HK (1) HK1124740A1 (ko)
TW (1) TWI36572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409B1 (ko) * 2011-08-24 2014-10-06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파스너 엘리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8136A1 (ja) * 2008-04-14 2009-10-22 Ykk株式会社 金属製片面務歯及び両開き式スライドファスナー
EP2564720B1 (en) * 2010-04-28 2017-09-20 YKK Corporation Metal double-sided tooth and slide fastener
US8484764B2 (en) 2010-08-18 2013-07-16 Under Armour, Inc. Zipper arrangement
US8528115B2 (en) 2010-11-16 2013-09-10 Under Armour, Inc. Zipper arrangement with foldable pull
US8484811B2 (en) 2010-11-16 2013-07-16 Under Armour, Inc. Zipper arrangement with wheeled slider
US8341809B2 (en) 2010-11-16 2013-01-01 Under Armour, Inc. Zipper arrangement with funnel grip
CN102204737A (zh) * 2011-05-13 2011-10-05 江苏博豪拉链制造有限公司 一种金属链齿及其金属拉链
WO2013080302A1 (ja) * 2011-11-29 2013-06-06 Ykk株式会社 金属製ファスナーエレメント
WO2013091712A1 (en) * 2011-12-22 2013-06-27 Ykk Corporation Fastener element for a slide fastener,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ITTO20130094A1 (it) * 2013-02-05 2014-08-06 Ykk Corp Cerniera lampo ed elementi di accoppiamento per una cerniera lampo
USD732424S1 (en) * 2013-11-08 2015-06-23 Wang Lap Ronny Ng Slide fastener
DE112014006983B4 (de) 2014-09-24 2022-01-27 Ykk Corporation Kuppelglied, Reißverschlusskette und Reißverschluss
US10575601B2 (en) 2015-10-02 2020-03-03 Under Armour, Inc. Stop for zipper arrangement
CN106388142B (zh) * 2016-12-02 2023-06-27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拉链及日用品
WO2018109923A1 (ja) * 2016-12-16 2018-06-21 Ykk株式会社 ファスナーエレメント及び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
US11406165B2 (en) 2017-02-02 2022-08-09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attached product
CN112543602B (zh) * 2018-08-06 2023-05-09 Ykk株式会社 链牙以及拉链
MX2022004222A (es) * 2019-10-10 2022-05-03 Ykk Corp Elemento metalico y cierre de cremallera.
JP7274044B2 (ja) * 2020-03-30 2023-05-15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及びその設計方法
IT202100001706A1 (it) * 2021-01-28 2022-07-28 Ykk Corp Dente di cerniera lampo
WO2023176067A1 (ja) * 2022-03-17 2023-09-21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ファスナーエレメント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2295A (en) * 1949-02-05 1952-12-23 Conmar Prod Corp Slide fastener
JPS387944Y1 (ko) * 1960-07-01 1963-04-30
US3634915A (en) * 1970-04-14 1972-01-18 Herbert Alberts Zipper tooth
JPS5910859B2 (ja) * 1978-12-05 1984-03-12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用務歯のプレス加工方法
JPS6480012A (en) 1987-09-21 1989-03-24 Nitsuko Ltd Manufacture of chip-shaped film capacitor
JPH0180012U (ko) * 1987-11-20 1989-05-29
CN2170665Y (zh) * 1993-12-08 1994-07-06 叶克晓 双点双向咪型拉链
CN2669667Y (zh) * 2003-12-31 2005-01-12 陈德宁 一种密封性能好的拉链
JP4215660B2 (ja) * 2004-02-25 2009-01-28 Ykk株式会社 金属製の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エレメント
US7140082B2 (en) * 2005-01-12 2006-11-28 Button International Co., Ltd. Side release buckle allowing locking from an angular position
US7100252B2 (en) * 2005-01-31 2006-09-05 Joseph Anscher Dual locking buck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409B1 (ko) * 2011-08-24 2014-10-06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파스너 엘리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34495A (ja) 2009-02-19
TWI365726B (en) 2012-06-11
US20090013505A1 (en) 2009-01-15
ES2359533T3 (es) 2011-05-24
EP2014188B1 (en) 2011-03-02
US7665193B2 (en) 2010-02-23
TW200934405A (en) 2009-08-16
EP2014188A2 (en) 2009-01-14
KR101146787B1 (ko) 2012-05-21
JP5154317B2 (ja) 2013-02-27
CN101342026B (zh) 2010-06-02
DE602008005212D1 (de) 2011-04-14
HK1124740A1 (en) 2009-07-24
CN101342026A (zh) 2009-01-14
EP2014188A3 (en)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787B1 (ko) 금속제 양면 엘리먼트 및 슬라이드 파스너
US8418326B2 (en) Metallic one-side teeth and two-way slide fastener
KR101265032B1 (ko) 슬라이드 파스너
KR100983398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양면 엘리멘트
EP2705768B1 (en) Slide fastener
JP5460862B2 (ja) 金属製両面務歯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EP1236413A2 (en) Top end stop for slide fastener
JP6161708B2 (ja) ファスナーチェーン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並びにファスナー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JP5628433B2 (ja) ファスナーエレメント
JP2007054176A5 (ko)
TWI532446B (zh) Zipper chain and chain
CN210130444U (zh) 拉链牙链带
CN216220443U (zh) 一种拉链齿及拉链
WO2022077544A1 (zh) 链牙、拉链、应用该拉链的物品及链牙成型模具
JPWO2011040167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