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907U - 애완견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애완견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907U
KR20090005907U KR2020070019933U KR20070019933U KR20090005907U KR 20090005907 U KR20090005907 U KR 20090005907U KR 2020070019933 U KR2020070019933 U KR 2020070019933U KR 20070019933 U KR20070019933 U KR 20070019933U KR 20090005907 U KR20090005907 U KR 200900059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dog
sides
opening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애숙
Original Assignee
우애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애숙 filed Critical 우애숙
Priority to KR2020070019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907U/ko
Publication of KR200900059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9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견이 착용하여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애완견용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애완견의 둔부를 감싼 후 몸통에 둘러 착용할 수 있도록 기저귀 형태로 형성하되, 그 중앙에는 꼬리와 항문과 생식기가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착용부재; 중앙에 채변봉투가 결합된 배설구를 형성한 상태에서 그 양측 면이 상기 개방부의 양측 면에 접착 고정된 수거부재로 구성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간단한 구성을 통해 착용이 편리하고 긴밀하며 생산단가가 저렴하도록 함으로써, 1회용으로 생산 및 사용 가능하도록 한 애완견용 기저귀를 제공하게 된다.
기저귀, 대소변수거장치, 대소변회수장치, 대소변수거부재

Description

애완견용 기저귀{diaper for pet dog}
본 고안은 애완견이 착용하여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애완견용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착용이 편리하고 긴밀하며 생산단가가 저렴한 애완견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견의 배설물을 안전하게 수거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 형태의 기저귀가 제공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애완견용 기저귀는 착용이 불편하거나 무거울 경우 착용을 거부하기 때문에 가능한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뿐만 아니라, 각 구성에 대하여 생산단가가 비싸면 사용이 제한되기 때문에 저렴한 소재를 사용하여 간단한 구성으로서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애완견 중 암컷의 경우에는 일정한 주기로 생리 혈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청결을 유지하는 것 또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본 고안의 애완견용 기저귀는 종래 애완견용 기저귀의 착용이 불편하고 생산단가가 비싼 문제점은 물론이고, 그로 인해 1회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의 애완견용 기저귀는 종래 애완견용 기저귀가 사실상 애완견의 대변을 수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크게 개선되면서 애완견의 생리 혈을 수거하기 위한 구성이나 기능이 개선되지 않았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애완견이 착용하여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애완견용 기저귀에 있어서, 애완견의 둔부를 감싼 후 몸통에 둘러 착용할 수 있도록 기저귀 형태로 형성하되, 그 중앙에는 꼬리와 항문과 생식기가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착용부재; 중앙에 채변봉투가 결합된 배설구를 형성한 상태에서 그 양측 면이 상기 개방부의 양측 면에 접착 고정된 수거부재;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용부재에는 중앙에 일정량의 소변을 흡수할 수 있도록 패드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측 면이 상기 개방부의 양측 면에 접착 고정되는 흡수부재를 더포함한다.
이때, 상기 개방부가 위치되는 착용부재의 양측 선단에는 긴밀한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신축성 밴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착용부재의 착용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등허리를 감싸는 상측 선단을 따라 벨크로 테이프의 일면이 형성되고, 배를 감싸는 하측 선단의 양 끝에 벨크로 테이프의 다른 일면이 형성되어 상호 착탈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거부재 및 흡수부재의 양측 면에는 양면 테이프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의 양측면에 접착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거부재는 중앙에 배설구가 천공된 앞판과 뒤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채변봉투의 입구를 뒤판의 배설구 주변에 접착시킨 상태로 앞판의 배설구 사이에 밀어넣어 그 끝단이 앞판의 배설구 내측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애완견용 기저귀에 의하면 착용이 간편하고 긴밀하며 생산단가가 저렴해지는 효과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한 번 사용 후 버릴 수 있는 1회용 제품으로써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고안의 애완견용 기저귀에 의하면 한 번의 착용으로 대변은 물론이고, 암컷의 경우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생리 혈을 수거하여 더욱 청결하게 할 수 있는 매누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고안은 애완견의 몸에 착용한 상태로 배설물을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애완견의 몸에 착용되는 기저귀 형태의 착용부재(100)와 상기 착용부재(100)에 부착 고정하여 대변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부재(200) 및 상기 착용부재(100)에 부착 고정하여 소변을 수거하기 위한 흡수부 재(300)로 구성한다.
상기 착용부재(100)는 애완견의 둔부를 감싼 후 몸통에 둘러 착용할 수 있도록 기저귀 형태로 형성하되, 그 중앙에는 꼬리와 항문과 생식기가 노출되도록 개방부(1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착용부재(100)는 저렴한 부직포 재질을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1회 사용 후 부담없이 버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개방부(120)는 꼬리와 항문이 노출되는 부분과 생식기가 노출되는 부분을 따로 형성하거나,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개방부(120)가 위치되는 착용부재(100)의 양측 선단에는 긴밀한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신축성 밴드(140)를 형성한다. 즉, 상기 신축성 밴드(140)는 착용부재(100)의 양측 선단에 쉽게 늘어나거나 접히도록 주름을 형성한 상태에서 그 내부에 고무줄을 넣은 것으로서, 애완견의 여러 체형에 대해서 긴밀한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착용부재(100)의 착용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등허리를 감싸는 상측 선단을 따라 벨크로 테이프(160a)의 일면을 형성하고, 배를 감싸는 하측 선단의 양 끝에 벨크로 테이프(160b)의 다른 일면을 형성하여 상호 착탈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착용부재(100)로 애완견의 둔부를 감싸도록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벨크로 테이프(160a, 160b)를 이용하여 애완견의 여러 체형에 대하여 간편하고 긴밀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벨크로 테이프(160a, 160b)는 종이 재질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거부재(200)는 중앙에 채변봉투(240)가 결합된 배설구를 형성한 상태 에서 그 양측 면이 상기 개방부(120)의 양측 면에 일체로 부착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즉,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배설구가 천공된 앞/뒤판(220a, 220b) 사이에 채변봉투(240)를 결합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채변봉투(240)의 입구는 뒤판(220b)의 배설구 주변에 접착시킨 상태로 밀어넣어 그 끝단이 앞판(220a)의 배설구 내측에 수용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거부재(200)의 앞/뒤판(220a, 220b)은 종이, 부직포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얇고 유연하며 부드럽게 형성하고, 채변봉투(240)는 쉽게 접어지거나 늘어나도록 원통형의 얇고 유연한 비닐재질로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수거부재(200)의 양측 면을 개방부(120)의 양측 면에 일체로 부착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봉제를 통해 완전히 접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탈부착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거부재(200)는 앞서 설명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을 부가하여 여러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뒤판(220b)의 배설구에는 상기 채변봉투(240)의 구부가 부착된 상태에서 앞으로 젖혀지면서 벌어지도록 하는 다수개의 젖힘편을 등 간격에 형성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젖힘편은 별도로 구성하여 뒤판(220b)의 배설구에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앞판(220a)과 뒤판(220b) 사이의 배설구 주변에는 탄성에 의해 형상이 복원되는 탄성판을 접착하거나, 상기 앞판(210a)과 뒤판(210b)의 표면에 탄 성 코팅을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앞판(210a)의 배설구에는 상기 채변봉투(240)가 출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개폐수단으로서 채변봉투(240)의 끝단에 접착된 상태로 상기 앞판(220a)의 배설구 내측 테두리에 걸리도록 큰 직경으로 형성된 스티커, 중앙에 출입구가 관통된 신축성 소재의 망지, 앞판(220a)의 배설구 주변에 접착한 상태로 체변봉투(24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돌출된 환형의 덮개 등을 부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폐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앞판의 배설구 주변에 걸림홈이 형성된 홀더를 부착하고 상기 배설구를 전후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판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흡수부재(30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일정량의 소변을 흡수할 수 있도록 패드(320)를 형성한 상태에서 그 양측 면이 상기 개방부(120)의 양측 면에 부착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패드(320)는 아기들이 착용하는 기저귀 내부의 흡수재로 형성하거나, 여성용 생리대 내부의 흡수재로 형성하여 애완견의 소변은 물론이고, 생리혈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흡수부재(300)의 양측 면은 상기 착용부재(100)의 개방부(120) 양측면에 접착제나 봉제를 통해 일체로 접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양면 테이프(340)를 사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즉, 최초 흡수부재(300)를 착용부재(100)에 접착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흡수부재(300)의 양측 면에 형성된 양면 테이프(340)를 뜯어내서 간편하게 접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흡수부재(300)를 착용부재(100)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양면 테이프(340)를 비롯하여 벨크로 테이프, 수납 주머니, 홀더 등 여러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 형태의 착용부재(100)의 내측 개방부(120)에 각각 수거부재(200)와 흡수부재(300)를 간편하게 접착 고정한 상태로 애완견의 둔부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착용시킴으로써 더욱 편리하고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견용 기저귀를 도시한 분해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견용 기저귀를 도시한 결합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견용 기저귀를 도시한 착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견용 기저귀를 도시한 일 요부의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견용 기저귀를 도시한 다른 요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견용 기저귀를 도시한 착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착용부재 120: 개방부
140: 신축성 밴드 160a, 160b: 벨크로테이프
200: 수거부재 220a, 220b: 앞/뒤판
240: 채변봉투
300: 흡수부재 320: 패드
340: 양면테이프

Claims (6)

  1. 애완견이 착용하여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애완견용 기저귀에 있어서,
    애완견의 둔부를 감싼 후 몸통에 둘러 착용할 수 있도록 기저귀 형태로 형성하되, 그 중앙에는 꼬리와 항문과 생식기가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착용부재;
    중앙에 채변봉투가 결합된 배설구를 형성한 상태에서 그 양측 면이 상기 개방부의 양측 면에 접착 고정된 수거부재; 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가 위치되는 착용부재의 양측 선단에는 긴밀한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신축성 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기저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재의 착용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등허리를 감싸는 상측 선단을 따라 벨크로 테이프의 일면이 형성되고, 배를 감싸는 하측 선단의 양 끝에 벨크로 테이프의 다른 일면이 형성되어 상호 착탈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기저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재에는 중앙에 일정량의 소변을 흡수할 수 있 도록 패드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측 면이 상기 개방부의 양측 면에 접착 고정된 흡수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기저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재 및 흡수부재의 양측 면에는 양면 테이프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의 양측면에 접착 고정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기저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재는 중앙에 배설구가 천공된 앞판과 뒤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채변봉투의 입구를 뒤판의 배설구 주변에 접착시킨 상태로 앞판의 배설구 사이에 밀어넣어 그 끝단이 앞판의 배설구 내측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기저귀.
KR2020070019933U 2007-12-12 2007-12-12 애완견용 기저귀 KR200900059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933U KR20090005907U (ko) 2007-12-12 2007-12-12 애완견용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933U KR20090005907U (ko) 2007-12-12 2007-12-12 애완견용 기저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907U true KR20090005907U (ko) 2009-06-17

Family

ID=4129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933U KR20090005907U (ko) 2007-12-12 2007-12-12 애완견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90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2554A (zh) * 2011-03-30 2013-12-11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宠物用吸收性物品
KR200484061Y1 (ko) * 2016-11-03 2017-07-26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애완동물 수컷전용 기저귀
WO2017209346A1 (ko) * 2016-05-30 2017-12-07 양기대 대변백을 구비한 분뇨 처리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2554A (zh) * 2011-03-30 2013-12-11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宠物用吸收性物品
WO2017209346A1 (ko) * 2016-05-30 2017-12-07 양기대 대변백을 구비한 분뇨 처리구
KR200484061Y1 (ko) * 2016-11-03 2017-07-26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애완동물 수컷전용 기저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3017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4481899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H11513926A (ja) 観察用のぞき窓を備えた使い捨て衣類
JP3971229B2 (ja) 使い捨てパンツ
JP2009056285A (ja) 排泄物回収具
KR20000048382A (ko) 일회용 기저귀
JP3764393B2 (ja) ペット用使い捨ておむつ
JP2004159592A (ja) ペット用尿捕捉用品
JP2010017385A (ja) おむつ
JP6232688B1 (ja) ペット用オムツ
JP3146049U (ja) 男性用尿パッド及び男性用尿パッドの取付構造
KR102324122B1 (ko) 일회용 반려동물 배변기저귀
KR20090005907U (ko) 애완견용 기저귀
JP2003102313A (ja) ペット用オムツ
JP2002186638A (ja) 吸収性パッド
JPWO2007034774A1 (ja) オムツカバー体
KR200465001Y1 (ko) 남성 소변전용 기저귀
KR102219537B1 (ko) 패드용 오물유도 좌대가 구비된 패드커버
JP3220650U (ja) 小便吸収用パック
KR20120007689U (ko) 용변주머니 교체형 기저귀
JP2020062397A (ja) 使い捨て排尿具及び排尿具セット
JP7325136B2 (ja) 排便誘導座台付きおむつセット
JPH0539523U (ja) 使い捨て尿取りパツド
JP3073452U (ja) 生理用ナプキン
JP3219462U (ja) 使捨て用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