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898A - 라면 이송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라면 이송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898A
KR20090005898A KR1020070069315A KR20070069315A KR20090005898A KR 20090005898 A KR20090005898 A KR 20090005898A KR 1020070069315 A KR1020070069315 A KR 1020070069315A KR 20070069315 A KR20070069315 A KR 20070069315A KR 20090005898 A KR20090005898 A KR 20090005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tray
pouch
conveyor li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6748B1 (ko
Inventor
김영호
김남원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농심
Priority to KR1020070069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7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65B35/243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using cooperating conveyors engaging the articles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 B65B2220/18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the primary packaging being bags the subsequent secondary packaging being rigid containers, e.g. cardboard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47/31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by varying the relative speeds of the conveyors forming the s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면 파우치를 트레이에 안정적이며 정확하게 투입할 수 있는 라면 이송 포장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장치는 트레이를 이송하기 위한 메인컨베이어라인과, 메인컨베이어라인의 상측에 나란히 마련되어 트레이에 수용되는 면 파우치를 이송하기 위한 서브컨베이어라인과, 트레이와 면 파우치 간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해 서브컨베이어라인의 상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센서부를 구비하여, 이송 중인 트레이에 면 파우치의 이송 속도를 동기화함과 동시에 트레이와 면 파우치의 유격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때문에, 면 파우치의 낙하 시 면 파우치가 트레이에 안정적이며 정확하게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면 이송 포장장치{FEEDING AND PACKING DEVICE FOR NOODLES}
본 발명은 라면 이송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트레이에 다른 컨베이어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면 파우치를 낙하시켜 라면을 이송 포장하는 라면 이송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단한 식사나 간식용으로 보편화되어 있는 라면은 트레이(박스포장재) 내에 면, 양념스프, 분말스프 등이 함께 포장되고 있으며, 이러한 라면의 포장작업은 생산성의 향상 등을 위하여 트레이를 이송시키면서 그 위에 면, 양념스프, 분말스프 등을 순차적으로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종래의 라면 이송 포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52)의 하측에서 구동되는 체인콘베이어(50)에 밀대(51)를 등간격으로 설치하여 가이드레일(52) 위의 면(53)을 체인콘베이어(50)에 의해 밀대(51)가 밀면서 이송시키면, 그 이송되는 면(53) 위에 스프공급부에서 포장스프(54)가 낙하되어 면(53)과 포장스프(54)를 밀대(51)가 동시에 이송시켜 포장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라면 이송 포장장치는 면(53) 위로 낙하되는 포장스프(54)가 면(53)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기 때문에, 포장스프(54)가 면(53) 위에 떨어지더라도 그 충격 등으로 인하여 면(53)이 이송 위치를 이탈하는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제품의 고급화를 지향하여 면을 튀기지 않고 진공상태로 파우치 포장한 라면 제품도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면 파우치는 소프트한 합성수지 재질의 트레이에 수용 포장되고 있다. 따라서, 면 파우치를 상술한 바와 같이 가벼운 트레이에 낙하시키게 되면 상대적으로 무거운 면 파우치에 의해 자칫 트레이가 이송부재를 이탈하게 되며, 또한 잘못 투입될 경우 면 파우치가 트레이의 가장자리에 걸려 후공정에서 트레이가 제대로 밀봉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면 파우치를 트레이에 안정적이며 정확하게 투입할 수 있는 라면 이송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장치는 트레이를 이송하기 위한 메인컨베이어라인과, 메인컨베이어라인의 상측에 나란히 마련되어 트레이에 수용되는 면 파우치를 이송하기 위한 서브컨베이어라인과, 트레이와 면 파우치 간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해 서브컨베이어라인의 상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센서부를 구비하여, 이송 중인 트레이에 면 파우치가 일정한 유격으로 낙하되도록 한 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장치의 상기 메인컨베이어라인은 이송컨베이어와, 간격조절컨베이어와, 아다치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컨베이어라인은 이동컨베이어와, 이격컨베이어와, 고정컨베이어와, 제1,2동기컨베이어와, 투입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장치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서브컨베이어라인의 고정컨베이어와, 제1,2동기컨베이어 상에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장치의 제 1,2동기컨베이어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면 파우치의 위치가 적정 유격 범위를 초과하고 있으면, 이송 속도를 가감하여 유격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장치는 이송 중인 트레이에 면 파우치의 이송 속도를 동기화함과 동시에 트레이와 면 파우치의 유격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때문에, 면 파우치의 낙하 시 면 파우치가 트레이에 안정적이며 정확하게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장치는 트레이(1)가 이송되는 메 인컨베이어라인(10)과, 트레이에 수용되는 면 파우치(2)가 이송되는 서브컨베이어라인(20)과, 이송되는 트레이(1)의 소정 위치에 면 파우치(2)가 정확히 위치하도록 하는 복수의 센서부(30)를 구비한다.
컨베이어라인(10, 20)은 상하 병렬로 나란히 배치되어 복수의 트레이(1)와 면 파우치(2)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으며, 공급된 각 트레이와 면 파우치는 컨베이어라인(10, 20)을 통과하면서 각각 개별 분리된 후 트레이(1)의 이송 속도 및 간격에 맞추어 면 파우치(2)가 트레이에 자동 투입된다.
트레이가 이송되는 메인컨베이어라인(10)은 이송컨베이어(11)와, 간격조절컨베이어(12)와, 아다치컨베이어(13)로 이루어진다.
이송컨베이어(11)는 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복수의 트레이(1)를 공급 받아 일렬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무한궤도형 벨트이다.
간격조절컨베이어(12)는 일렬로 이송되는 트레이(1)를 소정 간격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샤프트가 채용될 수 있다. 스파이럴 샤프트에는 윙(12a)이 나선 형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된 트레이(1)는 회전하는 샤프트의 윙(12a) 사이사이에 위치하게 되면서 의해 소정 간격씩 일정하게 벌어지게 된다.
아다치컨베이어(13)는 체인벨트에 소정 간격으로 걸림돌기(13a)가 형성되어 있는 컨베이어로서, 간격조절컨베이어(12)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트레이(1)가 각 걸림돌기(13a)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파우치(2)의 공급 시 트레이(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면 파우치가 이송되는 서브컨베이어라인(20)은 이동컨베이어(21)와, 이격컨베이어(22)와, 제1,2동기컨베이어(23,25)와, 고정컨베이어(24)와, 투입컨베이어(26)로 이루어진다.
이송컨베이어(11)는 상술한 트레이(1)의 이송컨베이어(11)와 마찬가지로 외부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면 파우치(2)를 일렬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무한궤도형 벨트이다.
이격컨베이어(22)는 일렬로 붙어서 이송되는 복수의 파우치(2)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컨베이어(21)보다 저속으로 회전하는 통상의 무한궤도형 벨트이다. 이 이격컨베이어(22)와 상술한 간격조절컨베이어(12)는 동일한 이송 속도를 갖는다.
제1동기컨베이어(23)는 나란하게 이송되고 있는 하측의 트레이(1)와 파우치(2)의 위치를 1차적으로 맞추기 위한 것으로서, 그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의 중심선에 대해 파우치(2)의 선단과 제1동기컨베이어(23) 끝단 사이의 유격(A)을 말한다. 유격(A)의 조절은 컨베이어의 이송 속도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하여 행해진다.
고정컨베이어(24)는 서브컨베이어라인(20) 하측을 이동하는 트레이(1)와 제1차동기컨베이어(23)에 의해 유격(A)을 1차 조절한 면 파우치(2)를 그대로 이송하는 것이다.
제2동기컨베이어(25)는 나란하게 이송되고 있는 하측의 트레이(1)와 파우치(2)의 유격(A)을 2차적으로 보다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유격 조절은 컨베이어의 이송 속도를 빠르게 하여 행해진다.
투입컨베이어(26)는 하측의 아다치컨베이어(13)를 향해 소정간격으로 경사져 있는 것으로서, 트레이(1)에 대한 면 파우치(1)의 유격(A)이 일정해진 상측의 면 파우치(2)를 하측의 트레이(1)에 투입한다.
한편, 서브컨베이어라인(20)의 상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센서부(30)는 바람직하게는 이격컨베이어(22)의 말단에 마련되는 제1센서부(31)와, 제1동기컨베이어(23) 상에 마련되는 제2센서부(32)와, 고정컨베이어(24) 상에 마련되는 제3센서부(33)와 제2동기컨베이어(25) 상에 마련되는 제4센서부(34)를 구비한다. 제1,3센서부(31,33)는 이격컨베이어(22)를 통과하는 면 파우치의 유무를 판단하며, 제2,4센서부(32,34)는 트레이(1)와 면 파우치(2) 간의 유격(A)을 판단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메인컨베이어라인(10)을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1)는 이송컨베이어(11)를 통해 일렬로 이송된 후 간격조절컨베이어(12)를 통과하면서 일정 간격으로 개별 분리된다. 그리고, 일정 간격으로 개별 분리된 트레이(1)는 아다치컨베이어(13)를 통과하면서 후방이 지지된 채로 이송된다. 이러한 트레이(1)의 위치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지속적으로 측정된다.
한편, 서브컨베이어라인(20)을 따라 이송되는 면 파우치(2)는 이동컨베이어(21)를 통과하면서 일렬로 배치되고, 이격컨베이어(22)를 통과하면서 소정 간격으로 개별 분리된다. 그리고, 면 파우치(2)가 이격컨베이어(22)를 통과하여 제1동 기컨베이어(23)에 유입되면 제2센서부(32)는 우선 1차적으로 하측의 트레이(1)와 면 파우치(2) 사이의 유격(A)을 조절하며, 면 파우치(2)가 제1동기컨베이어(23)를 통과하면 고정컨베이어(24)는 그 유격을 유지시킨 채 면 파우치(2)를 통과시킨다. 면 파우치(2)가 제2동기컨베이어(25)로 유입되면, 제2동기컨베이어(25)는 트레이(1)와 면 파우치(2) 사이의 유격을 보다 정확하게 재조절한다.
상기 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트레이(1)와 면 파우치(2) 사이의 유격(A)이 정상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의 중심선이 아다치컨베이어(13)의 특정 위치를 통과할 때 제2센서부(32)에 의해 면 파우치(2) 선단이 제1동기컨베이어(23)의 끝단으로부터 약 80mm 정도 유격(A)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검측되면, 이는 제어부에 의해 유격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어 속도의 변동 없이 면 파우치(2)를 이송 중인 트레이(1)에 낙하하더라도 안정적으로 투입이 완료된다.
한편, 도 3은 트레이(1)와 면 파우치(2) 사이의 유격(A)이 비정상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의 중심선이 아다치컨베이어(13)의 특정 위치를 통과할 때 제2센서부(32)에 의해 면 파우치(2) 선단이 제1동기컨베이어(23)의 끝단으로부터 약 160mm(정상 80mm) 정도 유격(A)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검측되고 이를 제어부가 유격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는 제1동기컨베이어(23)를 가속시켜 1차적으로 유격(A) 오차를 40mm 정도 줄이며, 이어서 제2동기컨베이어(25)를 가속시켜 2차적으로 유격(A) 오차를 해소하게 되면서, 면 파우치(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중인 트레이(1)에 정확하게 투입 완료된다.
도 1은 종래의 라면 이송 포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장치의 유격이 정상일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장치의 유격이 비정상일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 장치에 의해 면 파우치가 트레이에 투입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트레이 2..면 파우치
10..메인컨베이어라인 11..이송컨베이어
12..간격조절컨베이어 13..아다치컨베이어
20..서브컨베이어라인 21..이동컨베이어
22..이격컨베이어 23,25..제1,2동기컨베이어
24..고정컨베이어 26..투입컨베이어
30..센서부

Claims (4)

  1. 트레이를 이송하기 위한 메인컨베이어라인과,
    상기 메인컨베이어라인의 상측에 나란히 마련되어 상기 트레이에 수용되는 면 파우치를 이송하기 위한 서브컨베이어라인과,
    상기 트레이와 면 파우치 간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서브컨베이어라인의 상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센서부를 구비하여,
    이송 중인 트레이에 면 파우치가 일정한 유격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이송 포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베이어라인은 이송컨베이어와, 간격조절컨베이어와, 아다치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컨베이어라인은 이동컨베이어와, 이격컨베이어와, 고정컨베이어와, 제1,2동기컨베이어와, 투입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이송 포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서브컨베이어라인의 고정컨베이어와, 제1,2동기컨베이어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이송 포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제 1,2동기컨베이어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면 파우치의 위치가 적정 유격 범위를 초과하고 있으면, 이송 속도를 가감하여 유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이송 포장장치.
KR1020070069315A 2007-07-10 2007-07-10 라면 이송 포장장치 KR100916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315A KR100916748B1 (ko) 2007-07-10 2007-07-10 라면 이송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315A KR100916748B1 (ko) 2007-07-10 2007-07-10 라면 이송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98A true KR20090005898A (ko) 2009-01-14
KR100916748B1 KR100916748B1 (ko) 2009-09-14

Family

ID=4048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315A KR100916748B1 (ko) 2007-07-10 2007-07-10 라면 이송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7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021A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농심 버어제거수단을 포함하는 유탕면 이송시스템
CN112660467A (zh) * 2020-12-28 2021-04-16 昆山博一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袋装方便面包装生产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891B1 (ko) 2010-04-30 2012-04-2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라면 제조 자동화 라인의 초임계 처리 자동화 라인
KR101722154B1 (ko) 2016-06-30 2017-04-03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회전형 다시마 정렬장치가 포함된 다시마 공급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133Y1 (ko) * 2005-11-18 2006-02-07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치 포장기의 배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021A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농심 버어제거수단을 포함하는 유탕면 이송시스템
CN112660467A (zh) * 2020-12-28 2021-04-16 昆山博一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袋装方便面包装生产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748B1 (ko) 2009-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37578B2 (en) Singulator conveyor system for rigid parcels and large bags of small parcels
JP6625436B2 (ja) 袋異常検知装置及び袋異常検知方法
KR100916748B1 (ko) 라면 이송 포장장치
JP2003237926A (ja) 搬送間隔可変式搬送機
WO2012064277A1 (en) Transition device
JP4960267B2 (ja) 物品供給装置
JP2011063287A (ja) 物品供給装置
JP6038624B2 (ja) 重量選別装置
US7475769B2 (en) Device for handling packets
KR20100117934A (ko) 단위지함 정렬 장치
JP2017001685A (ja) 箱詰め装置および箱詰め方法
US6964330B2 (en) Elevated grade station drive system
JP2008155962A (ja) 被搬送物の移載装置及び被搬送物の移載システム
CN106660711B (zh) 用于输送块式产品的方法和装置
JP4887401B2 (ja) 多列分配装置
JP6774069B1 (ja) 物品積み重ね装置、物品積み重ね方法、および、物品包装システム
JP3968299B2 (ja) 振り分け供給装置及び振り分け供給方法
CN101746602A (zh) 用于物品分组的装置和方法
JP2010180020A (ja) 物品合流装置
JP4685395B2 (ja) バケット式物品分離供給装置
JP2020062150A (ja) 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被搬送体処理装置
JPH0824793A (ja) 物品の厚み選別方法
JP2017043483A (ja) 整列システム
KR200162611Y1 (ko) 라면 이송 포장장치
JP2006347671A (ja) 棒状物品段積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