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431A - 커버 개폐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와 커버 제거 및장착방법 - Google Patents

커버 개폐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와 커버 제거 및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431A
KR20090004431A KR1020080019018A KR20080019018A KR20090004431A KR 20090004431 A KR20090004431 A KR 20090004431A KR 1020080019018 A KR1020080019018 A KR 1020080019018A KR 20080019018 A KR20080019018 A KR 20080019018A KR 20090004431 A KR20090004431 A KR 20090004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ste developer
developer contain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0629B1 (ko
Inventor
양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111,225 priority Critical patent/US7831190B2/en
Priority to CN200810109130.3A priority patent/CN101339380B/zh
Priority to EP08158461.7A priority patent/EP2012195B1/en
Publication of KR2009000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는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장치, 전사장치 및 폐현상제 수거통이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하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이 제거된 상태에서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형성장치, 커버, 커버장착유닛, 폐현상제수거통, 록킹장치

Description

커버 개폐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와 커버 제거 및 장착방법{Cover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over removing and setting method}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장치 및 전사장치의 메인터넌스를 위해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개폐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와 커버 제거 및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 카트리지나, 감광매체를 포함하는 현상장치 및 전사장치와 같은 일정 수명을 가지는 부품을 포함하며, 이들 각 부품들은 수명이 도과하면, 신품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마련된다.
현상제 카트리지와 같이 빈번하게 교체되는 부품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교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대한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이성을 고려하여 마련되지만, 현상장치나, 전사장치와 같은 부품의 경우에는 기기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서비스 기사를 통한 부품의 교체가 필요하다. 만일, 현상장치나 전사장치 역시 사용자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마련될 경우, 사용자의 조작 실수 또는, 분해/결합시의 오류 등으로 인해, 화상형성장치가 오작동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상장치나 전사장치와 같은 부품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별도의 커버유닛을 통해 보호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각 색상별로, 별도의 현상제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있으며, 고속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각 색상별로 별도의 현상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색상별 현상장치들에는 폐현상제를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이 마련되는데, 배출된 폐현상제는 상기 현상장치들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폐현상제 수거통에 수납된다.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은 상기 현상장치나 전사장치의 수리 및 교체와 같은 메인터넌스 작업 전에 먼저 제거되고, 현상장치와 전사장치가 모두 장착된 후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사용자가 실수로 이 순서를 지키지 못하거나, 폐현상제 수거통을 장착하는 것을 잊고, 메인터넌스를 마칠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과정 중에 발생되는 폐현상제의 누출로 인해, 화상형성장치 내부가 오염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커버유닛은 단순히 현상장치와 전사장치를 덮어주는 역할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폐현상제 수거통의 설치 여부와는 상관없이 상기 현상장치와 전사장치를 덮은 상태로 록킹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메인터넌스 과정 중의 실수를 인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현상장치의 폐현상제가 배출되는 드레인과, 폐현상제 수거통의 폐현상제 주입구의 연결구조는, 폐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일정 두께가 중첩되는 실링부재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폐현상제 수거통과 현상장치의 연결 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재에 누적된 폐현상제가 비산되면서, 화상형성장치 내부를 오염시킬 수도 있다는 문제점 또한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인터넌스를 위한 커버분해 및 조립 순서를 준수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커버 개폐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와 커버 제거 및 장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장치와 폐현상제 수거통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커버 개폐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와 커버 제거 및 장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는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장치, 전사장치 및 폐현상제 수거통이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하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이 제거된 상태에서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현상장치와 전사장치를 덮을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 좋은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및 폐토너 회수통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손잡이; 상기 회전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 상기 회전 손잡이의 회전에 연동되 어 회전하여, 상기 록킹부재를 출몰시키는 캠 부재; 상기 캠 유닛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캠 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제 2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구속유닛; 및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장착 여부에 따라 위치 변동되어,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이 제거되었을 경우 상기 구속유닛을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감지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캠 유닛과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것이 좋다.
상기 캠 부재는, 상기 록킹부재를 돌출 및 함몰시키는 제 1 캠 프로파일 및 걸림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감지레버의 위치 변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구속레버; 및 상기 구속레버의 캠 부재와 근접한 일단에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갬 부재에 형성된 걸림 홈에 삽입되는 구속핀;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감지레버는, 일단에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상단부와 간섭되는 감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장착 및 이탈 방향 모두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레버와 구속레버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구속레버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감지레버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는, 상기 감지레버의 상승 및 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구속레버를 좌우 왕복이동시키는 매개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감지레버의 타단에 형성된 제 1 래크(rack), 상기 구속레버의 타단에 형성된 제 2 래크 및 상기 제 1 및 제 2 래크와 각각과 치합되는 피니언(pinion)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커버 개폐장치는, 상기 구속레버를 상기 제 2 위치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 상기 구속핀을 상기 구속레버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3 탄성부재; 및 상기 감지레버를 상기 커버에 대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4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은, 상기 감지레버와 마주보는 위치에 안내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현상장치로부터 폐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 드레인과 맞물리는 폐현상제 주입구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폐현상제 주입구는,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배출방향측 단부의 높이가,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장착방향측 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는,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장치, 전사장치 및 폐현상제 수거통이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상기 현상장치와 전사장치를 덮을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하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이 제거된 상태에서 록킹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록킹위치와 록킹 해제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 된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 상기 제 1 회전 손잡이와 연동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캠 부재와, 상기 제 2 회전 손잡이와 연동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제 2 캠 부재; 상기 제 1 캠 부재에 의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 1 록킹부재와, 상기 제 2 캠 부재에 의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 2 록킹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록킹부재를 각각 탄력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캠 유닛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캠 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제 2 위치 사이를 왕복이동 하는 제 1 및 제 2 구속유닛; 및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장착 여부에 따라 위치 변동되어,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이 제거되었을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유닛을 함께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감지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캠 부재는, 상기 제 1 록킹부재를 돌출 및 함몰시키는 제 1 캠 프로파일; 및 상기 전사장치의 초기 위치 조정을 위해 설치된 리셋부재와 치합되는 제 1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셋부재는, 상기 제 1 기어부와 치합되는 제 2 기어부; 상기 제 1 구속유닛과 간섭되는 제 2 캠 프로파일; 및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1 구속유닛이 간섭되는 제 1 걸림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캠 부재는, 상기 제 2 록킹부재를 돌출 및 함몰시키는 제 3 캠 프로파일; 상기 제 2 구속유닛과 간섭되는 제 4 캠 프로파일; 및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구속유닛이 간섭되는 제 2 걸림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유닛은, 상기 감지레버의 위치 변동에 연동하여, 상 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제 1 및 제 2 구속레버; 및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의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 캠 부재와 근접한 일단에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걸림 홈에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구속핀;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감지레버는, 일단에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상단부와 간섭되며,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장착 및 이탈 방향 모두에 경사면이 형성된 감지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감지레버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는 상기 감지레버의 상승 및 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를 좌우 왕복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매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매개부재는, 상기 감지레버의 타단 양 측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래크(rack)와,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의 타단에 형성된 제 3 및 제 4 래크와, 상기 제 1 및 제 3 래크와 치합되는 제 1 피니언 및 상기 제 2 및 제 4 래크와 치합되는 제 2 피니언(pinio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 및 감지레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슬롯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에 상기 슬라이딩 슬롯을 관통하는 고정핀 및 와셔(washer)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 버를 상기 제 2 위치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3 및 제 4 탄성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핀을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5 및 제 6 탄성부재; 및 상기 감지레버를 상기 커버에 대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7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장치, 전사장치 및 폐현상제 수거통이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및 상기 현상장치 및 전사장치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버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제거방법은, 폐현상제 수거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과 간섭하고 있던 감지레버가 하강하는 단계; 상기 감지레버의 하강에 의해 제 1 및 제 2 구속레버가 이동하여, 제 1 및 제 2 구속 캠 부재와 이격되는 단계; 및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를 돌려 커버의 록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장착방법은, 현상장치와 전사장치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단계; 폐현상제 수거통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감지레버의 상승에 의해 제 1 및 제 2 구속레버가 이동하여, 제 1 및 제 2 캠 부재의 회전 간섭을 해제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를 돌려 커버를 록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의 끝단에 마련된 구속 핀이 돌출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캠 부재의 회전을 구속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가 록킹 해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 장착방법은, 현상장치와 전사장치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현상장치와 전사장치를 가리도록 커버를 장착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를 돌려 커버를 록킹하는 단계; 및 폐현상제 수거통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는, 복수 개의 록킹부재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전사유닛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복수 개의 록킹부재의 돌출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록킹 및 릴리스하는 복수 개의 회전 손잡이;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이 장착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회전 손잡이의 회전동작을 규제하는 감지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 개의 회전 손잡이와 연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출몰시키는 복수 개의 캠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캠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캠 부재를 구속하지 않는 제 2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복수 개의 규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폐현상제 수거통을 먼저 제거하지 않으면 탈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폐현상제 수거통이 제거된 후에만 커버가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현상장치의 폐현상제 드레인과 폐현상제 수거통의 폐현상제 주입구의 연결구조를 단순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현상장치 교체 과정 중 에 발생할 수 있는 현상제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순서에 의해서만 커버의 제거 및 장착이 가능하므로, 메인터넌스 를 위한 분해 및 조립 순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준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는 현상제 카트리지(2), 전사장치(3), 현상장치(4) 및 폐현상제 수거통(1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본체(1) 하측에는 다수 매의 용지가 수납되는 급지유닛(1a)이 설치되며, 수납된 용지는 픽업되어 상기 전사장치(3) 및 현상장치(4)를 통해 인쇄화상이 형성되며, 배지부(1b)를 통해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2), 전사장치(3) 및 현상장치(4)는 일정 수명을 가진 부품이다. 특히 현상제 카트리지(2)는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모두 사용할 경우, 보충을 위해 교체될 필요가 있으며, 현상장치(4) 또한 감광매체의 노광면이 감광성능을 유지하지 못하면 교체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사장치(3) 및 현상장치(4)는 현상제 카트리지(2) 및 폐현상제 수거통(10)과 비교하여 수명이 길기 때문에,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전사장치(3)와 현상장치(4)가 맞물리는 지점은 용지가 통과하면서 인쇄화상이 형성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먼지나 오물에 의해 인쇄화상이 오염되지 않도록 외부와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2)와 폐현상제 수거통(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버 수단 없이 장착되지만, 전사장치(3) 및 현상장치(4)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는, 전사장치(3)와 현상장치(4)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가 상기 전사장치(3)와 현상장치(4)에 손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 부주의에 따른 부품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는 커버(100), 및 록킹장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장치(200)는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이 제거된 상태에서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록킹장치(200)는 상기 커버(10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210)(220), 제 1 및 제 2 캠 부재(211)(221), 제 1 및 제 2 록킹부재(212)(222),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13)(223), 제 1 및 제 2 구속유닛(230)(240) 및 감지레버(25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210)(220)는, 록킹장치(200)의 록킹위치와 록킹 해제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210)(22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부(210a)(220a)가 마련된다.
제 1 캠 부재(211)는, 상기 제 1 회전 손잡이(210)와 연동 회전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1 캠 부재(211)는, 상기 제 1 록킹부재(212)를 돌출 및 함몰시키는 제 1 캠 프로파일(211a) 및 상기 전사장치(3)의 초기 위치 조정을 위해 설치된 리셋부재(217)와 치합되는 제 1 기어부(211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록킹부재(212)는, 제 1 탄성부재(213)에 의해 상기 커버(100) 내측으로 함몰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상기 제 1 캠 프로파일(211a)과 간섭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커버(100) 내측에 위치하다가, 상기 제 1 캠 프로파일(211a)과 접촉될 경우, 상기 커버(1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의 상기 제 1 록킹부재(212)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제 1 록킹부재(212)가 삽입될 수 있는 록킹 홈(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커버(100)를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리셋부재(217)는 상기 제 1 기어부(211b)와 치합되는 제 2 기어부(214)와 상기 제 1 구속유닛(230)과 접촉되는 제 2 캠 프로파일(215) 및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이 제거되었을 경우, 상기 제 1 구속유닛(230)이 후킹되는 제 1 걸림 홈(21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셋부재(217)는 전사장치(3)에 마련된 중간전사벨트의 초기 위치를 리셋하기 위한 것으로, 그 동작은 본 발명의 요지와는 관련성이 낮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캠 부재(221)는, 상기 제 2 록킹부재(222)를 돌출 및 함몰시키는 제 3 캠 프로파일(221a)과, 상기 제 2 구속유닛(240)과 접촉되는 제 4 캠 프로파일(221b)과, 상기 제 2 구속유닛(240)이 후킹되는 제 2 걸림 홈(221c)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록킹부재(222)는, 상기 제 2 탄성부재(223)에 의해 상기 커 버(100) 내측으로 함몰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상기 제 3 캠 프로파일(221a)과 간섭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커버(100) 내측에 위치하다가, 상기 제 3 캠 프로파일(221a)과 접촉될 경우, 상기 커버(1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의 상기 제 2 록킹부재(222)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제 1 록킹부재(222)가 삽입될 수 있는 록킹 홈(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커버(100)를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유닛(230)(2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레버(250)의 상하 위치 변동에 연동하여, 좌우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구속유닛(230)(240)의 구성은 이후, 도 5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감지레버(250)는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의 장착 여부에 따라 위치 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00)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감지레버(250)는,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이 장착되면,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의 상단부와 간섭되면서 상승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유닛(230)(240)은, 상기 감지레버(250)의 상승동작에 연동하여, 제 1 및 제 2 캠 부재(211)(221)의 회전을 간섭하는 제 1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유닛(230)(230)은 상기 제 1 및 제 2 캠 부재(211)(221)를 간섭하여,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210)(220)가 록킹 해제위치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폐현상제 수거통(10)을 이탈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100)를 개방할 수 없다.
상기 감지레버(250)의 일단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현상제 수 거통(10)의 상단부와 간섭되는 감지돌기(251)가 형성되는데, 상기 감지돌기(251)는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의 진입 및 이탈 방향 모두에 대하여 경사면을 가지도록 라운드 처리되거나, 모따기 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감지돌기(251)의 타단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유닛(230)(240)을 이송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래크(252a)(252b)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의 상기 감지돌기(251)와 마주보는 곳에는, 상기 감지돌기(251)가 부드럽게 상승할 수 있도록 안내 경사면(11)이 형성된다. 또한, 현상장치(4)로부터 폐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 드레인(4a) 및 밀봉부재(4b)와 맞물리는 폐현상제 주입구(12)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은데, 상기 폐현상제 주입구(12)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의 배출방향측 단부의 높이가,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장착방향측 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 드레인(4a)과 밀봉부재(4b)는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폐현상제 수거통(10)이 제거된 후에만 커버(100)가 개방되어 전사장치(3)와 현상장치(4)의 메인터넌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현상장치(4)의 폐현상제 배출 드레인(4a)과 폐현상제 주입구(12)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밀봉부재(4b)의 손상에 따른 폐현상제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배출 드레인(4a)과 폐현상제 주입구(12) 사이에 개재되어, 폐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부재(4b)가, 상기 폐현상제 주입구(12)와 폐현상제 수거통(10)의 장착 및 탈착동작시에 중첩되는 과정에서 접히거나 손상될 우려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의 상기 감지돌기(251)와 마주보는 곳에는, 이동손잡이(15)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손잡이(15)는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의 대략 중앙 부근에 힌지부(16)로 연결되어 회동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이동손잡이(15)는 폐현상제 수거통(10)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감지돌기(251)와 간섭되어, 상기 감지레버(25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폐현상제 수거통(10)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제거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폐현상제 수거통(10)을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지레버(25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슬롯(251a)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슬롯(251a)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핀(251b) 및 와셔(251c)에 의해 상기 커버(10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이 제거되면, 상기 감지레버(250)는,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유닛(230)(24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도 6a의 화살표 A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유닛(230)(240)을 화살표 B1 및 B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하, 제 1 및 제 2 구속유닛(230)(240)의 구성을, 도 5a 및 도 5b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구속유닛(230)은 제 1 구속레버(231) 및 제 1 구속핀(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속레버(23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캠 부 재(211)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캠 부재(211)와 분리되는 제 2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00)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구속레버(231)에는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제 1 슬라이딩 슬롯(231a)이 마련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딩 슬롯(231a)을 관통하는 제 1 고정핀(231b) 및 제 1 와셔(231c)에 의해 상기 커버(1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0)와 제 1 구속레버(231) 사이에는 제 3 탄성부재(235)가 개재되어, 상기 제 1 구속레버(231)를 상기 제 2 위치 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속레버(231)에는 제 3 래크(231d)가 형성되어, 상기 감지레버(250)의 승강동작에 따라 연동 회전하는 제 1 피니언(233)과 치합된다.
상기 제 1 구속핀(232)은 상기 제 1 구속레버(231)의 일측 끝단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셋부재(217)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구속레버(231)가 제 1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걸림 홈(216)에 후킹되고, 상기 제 1 구속레버(231)가 제 2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걸림 홈(216)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제 1 구속핀(232)은 제 5 탄성부재(234)에 의해 상기 제 1 구속레버(231)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구속유닛(240)은 제 2 구속레버(241) 및 제 2 구속핀(2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구속레버(24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캠 부재(221)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캠 부재(221)와 분리되는 제 2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00)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2 구속레버(241)에는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제 2 슬라이딩 슬롯(241a)이 마련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딩 슬롯(241a)을 관통하는 제 2 고정핀(241b) 및 제 2 와셔(241c)에 의해 상기 커버(1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0)와 제 2 구속레버(241) 사이에는 제 4 탄성부재(245)가 개재되어, 상기 제 2 구속레버(241)를 상기 제 2 위치 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속레버(241)에는 제 4 래크(241d)가 형성되어, 상기 감지레버(250)의 승강동작에 따라 연동 회전하는 제 2 피니언(243)과 치합된다.
상기 제 2 구속핀(242)은 상기 제 2 구속레버(241)의 일측 끝단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캠 부재(221)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구속레버(241)가 제 1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 2 걸림 홈(221c)에 후킹되고, 상기 제 2 구속레버(241)가 제 2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 2 걸림 홈(221c)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제 2 구속핀(242)은 제 6 탄성부재(244)에 의해 상기 제 2 구속레버(241)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의 동작을 도 5a 내지 도 8b와 함께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10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는 현상제 카트리지(2), 전사장치(3), 현상장치(4) 및 폐현상제 수거통(10)이 모두 장착된 상태이다.
록킹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핀(232)(242)은 상기 제 1 및 제 2 회 전 손잡이(210)(220)가 록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캠 부재(211)(221)의 회전을 구속하므로, 사용자는 폐현상제 수거통(10)을 제거하기 전에는, 상기 커버(10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없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폐현상제 수거통(10)을 취출하면,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의 상단과 간섭되어 있던 감지레버(250)는 도면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231)(241)는 상기 제 3 및 제 4 탄성부재(235)(2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면의 화살표 B1 및 B2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231)(241)는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이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감지레버(250)의 끝단이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의 상단부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상기 B1 및 B2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다가,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이 제거되면, 이러한 구속이 해제되면서, 상기 감지레버(250)를 A 방향으로 하강시키면서, 도시된 B1 및 B2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러면, 제 1 및 제 2 구속유닛(230)(240)은 상기 제 1 및 제 2 캠 부재(211)(221)의 간섭을 해제하는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핀(232)(242)은 제 1 및 제 2 걸림 홈(216)(221c)으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210)(220)를 회전하여, 커버(10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이처럼 커버(100)의 록킹이 해제되면, 커버(100)에 의해 보호되어 있던 전사장치(3)와 현상장치(4)가 노출되어, 수리 또는 교체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된 커버(100)는 상기한 역순으로 조립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우선 전사장치(3)와 현상장치(4)를 모두 정위치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100)를 장착하면,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유닛(230)(240)은 상기 제 1 및 제 2 캠 부재(211)(221)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210)(220)를 회전하여 상기 커버(100)를 록킹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실수로, 커버(100) 록킹을 잊고 미도시된 화상형성장치 본체(1)의 외장커버를 닫으려 할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210)(220)의 그립부(210a)(220a)(도 1 참조)가 상기 외장커버와 간섭되어, 상기 외장커버가 닫히는 것을 방해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커버(100)를 록킹하지 않고, 상기 외장커버를 닫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전사장치(3)와 현상장치(4)를 장착하고, 커버(100)를 설치하였으나, 커버(100)의 록킹을 잊은 상태에서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을 장착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감지레버(250)는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10)의 안내 경사면(11)을 따라 상승하면서, 제 1 및 제 2 구속레버(231)(241)를 도 8a 및 도 8b의 화살표 C1, C2 방향으로 움직여, 제 1 및 제 2 캠 부재(211)(221)의 회전을 구속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제 1 및 제 2 구속핀(232)(242)은 제 1 및 제 2 캠 부재(211)(221)가 록킹 해제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각각 제 2 및 제 3 캠 프로파일(215)(221b)과 접촉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231)(24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그런데, 제 2 및 제 3 캠 프로파일(215)(221b)은,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210)(220)를 회전시켜, 제 1 및 제 2 캠 부재(211)(221)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핀(232)(242)이 상기 제 1 및 제 2 캠 부재(211)(22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아, 사용자는 아무런 방해없이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210)(220)를 록킹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커버(10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록킹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의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210)(220)를 록킹위치까지 회전시키면, 도 5a 및 도 5b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손잡이(15)를 가지는 폐현상제 수거통(10)을 채용할 경우에도 커버(100)의 장착 및 탈착의 동작은 큰 차이가 없다. 즉, 이동손잡이(15)가 마련된 폐현상게 수거통(10)은 안내 경사면(11)의 역할을 이동손잡이(15)가 대신 수행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전사장치(3), 현상장치(4) 및 폐현상제 수거통(10)이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 및 상기 전사장치(3) 및 현상장치(4)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에 장착된 커버(10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버 개폐장치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개폐장치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4b는 도 4a의 I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개폐장치의 록킹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개폐장치의 록킹 상태에서 폐현상제 수거통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개폐장치의 록킹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개폐장치의 록킹해제 상태에서 폐현상제 수거통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통이 설치된 화상형성장치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커버 개폐장치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통 이 설치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상형성장치 본체 2; 현상제 카트리지
3; 전사장치 4; 현상장치
10; 폐현상제 수거통 100; 커버
200; 록킹장치 210, 220;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
211,221; 제 1 및 제 2 캠 부재 212, 222; 제 1 및 제 2 록킹부재
230,240; 제 1 및 제 2 구속유닛 250; 감지레버

Claims (20)

  1.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장치, 전사장치 및 폐현상제 수거통이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하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이 제거된 상태에서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현상장치와 전사장치를 덮을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및 폐토너 회수통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손잡이;
    상기 회전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캠 유닛과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록킹부재;
    상기 회전 손잡이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여, 상기 록킹부재를 출몰시키며, 상기 록킹부재를 돌출 및 함몰시키는 제 1 캠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캠 부재;
    상기 캠 유닛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캠 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제 2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구속유닛; 및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장착 여부에 따라 위치 변동되어,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이 제거되었을 경우 상기 구속유닛을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감지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감지레버의 위치 변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구속레버; 및
    상기 구속레버의 캠 부재와 근접한 일단에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갬 부재에 형성된 걸림 홈에 삽입되는 구속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레버는, 일단에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상단부와 간섭되는 감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장착 및 이탈 방향 모두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구속레버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감지레버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레버의 상승 및 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구속레버를 좌우 왕복이동시키는 매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감지레버의 타단에 형성된 제 1 래크(rack);
    상기 구속레버의 타단에 형성된 제 2 래크; 및
    상기 제 1 및 제 2 래크와 각각과 치합되는 피니언(pin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레버를 상기 제 2 위치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
    상기 구속핀을 상기 구속레버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3 탄성부재; 및
    상기 감지레버를 상기 커버에 대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4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은,
    상기 감지레버와 마주보는 위치에 안내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은,
    상기 현상장치로부터 폐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 드레인과 맞물리는 폐현상제 주입구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폐현상제 주입구는,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배출방향측 단부의 높이가,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장착방향측 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은,
    상기 감지레버와 마주보는 위치에 회동 접철 가능한 이동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11.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장치, 전사장치 및 폐현상제 수거통이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상기 현상장치와 전사장치를 덮을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하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이 제거된 상태에서 록킹이 해제되도록 구성되고,
    록킹위치와 록킹 해제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1 및 제 2 회 전 손잡이;
    상기 제 1 회전 손잡이와 연동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캠 부재와, 상기 제 2 회전 손잡이와 연동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제 2 캠 부재;
    상기 제 1 캠 부재에 의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 1 록킹부재와, 상기 제 2 캠 부재에 의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 2 록킹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록킹부재를 각각 탄력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캠 유닛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캠 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제 2 위치 사이를 왕복이동 하는 제 1 및 제 2 구속유닛; 및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장착 여부에 따라 위치 변동되어,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이 제거되었을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유닛을 함께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감지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 부재는,
    상기 제 1 록킹부재를 돌출 및 함몰시키는 제 1 캠 프로파일; 및
    상기 전사장치의 초기 위치 조정을 위해 설치된 리셋부재와 치합되는 제 1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재는,
    상기 제 1 기어부와 치합되는 제 2 기어부;
    상기 제 1 구속유닛과 간섭되는 제 2 캠 프로파일; 및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1 구속유닛이 간섭되는 제 1 걸림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캠 부재는,
    상기 제 2 록킹부재를 돌출 및 함몰시키는 제 3 캠 프로파일;
    상기 제 2 구속유닛과 간섭되는 제 4 캠 프로파일; 및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구속유닛이 간섭되는 제 2 걸림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유닛은,
    상기 감지레버의 위치 변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제 1 및 제 2 구속레버; 및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의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 캠 부재와 근접한 일단에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걸림 홈에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구속핀;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레버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일단에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상단부와 간섭되며,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장착 및 이탈 방향 모두에 경사면이 형성된 감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 및 감지레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슬 롯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에 상기 슬라이딩 슬롯을 관통하는 고정핀 및 와셔(washer)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레버의 상승 및 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를 좌우 왕복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매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매개부재는,
    상기 감지레버의 타단 양 측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래크(rack);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의 타단에 형성된 제 3 및 제 4 래크;
    상기 제 1 및 제 3 래크와 치합되는 제 1 피니언(pinion); 및
    상기 제 2 및 제 4 래크와 치합되는 제 2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를 상기 제 2 위치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3 및 제 4 탄성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핀을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레버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5 및 제 6 탄성부재; 및
    상기 감지레버를 상기 커버에 대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제 7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장치.
  18. 현상장치, 전사장치 및 폐현상제 수거통이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및
    상기 현상장치 및 전사장치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개폐장치는,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장치, 전사장치 및 폐현상제 수거통이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상기 현상장치와 전사장치를 덮을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고정하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이 제거된 상태에서 록킹이 해제되도록 구성되고,
    록킹위치와 록킹 해제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
    상기 제 1 회전 손잡이와 연동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캠 부재와, 상기 제 2 회전 손잡이와 연동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제 2 캠 부재;
    상기 제 1 캠 부재에 의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 1 록킹부재와, 상기 제 2 캠 부재에 의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 2 록킹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록킹부재를 각각 탄력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캠 유닛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캠 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제 2 위치 사이를 왕복이동 하는 제 1 및 제 2 구속유닛; 및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의 장착 여부에 따라 위치 변동되어,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이 제거되었을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구속유닛을 함께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감지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폐현상제 수거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폐현상제 수거통과 간섭하고 있던 감지레버가 하강하는 단계;
    상기 감지레버의 하강에 의해 제 1 및 제 2 구속레버가 이동하여, 제 1 및 제 2 구속 캠 부재와 이격되는 단계; 및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를 돌려 커버의 록킹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제거방법.
  20. 현상장치와 전사장치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현상장치와 전사장치를 가리도록 커버를 장착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회전 손잡이를 돌려 커버를 록킹하는 단계; 및
    폐현상제 수거통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장착방법.
KR1020080019018A 2007-07-04 2008-02-29 커버 개폐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와 커버 제거 및장착방법 KR10153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11,225 US7831190B2 (en) 2007-07-04 2008-04-29 Cover opening and clos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removing and mounting cover
CN200810109130.3A CN101339380B (zh) 2007-07-04 2008-05-23 盖打开和关闭单元、成像设备以及拆卸和安装盖的方法
EP08158461.7A EP2012195B1 (en) 2007-07-04 2008-06-18 Cover opening and clos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removing and mounting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7080 2007-07-04
KR1020070067080 2007-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31A true KR20090004431A (ko) 2009-01-12
KR101530629B1 KR101530629B1 (ko) 2015-06-23

Family

ID=40213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018A KR101530629B1 (ko) 2007-07-04 2008-02-29 커버 개폐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와 커버 제거 및장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0629B1 (ko)
CN (1) CN1013393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3942B (zh) * 2017-07-31 2022-02-15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托盘盖延伸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4155B1 (en) * 1999-03-16 2001-06-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Explosive parcel containment and blast mitigation container
KR100354068B1 (ko) * 1999-11-29 2002-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프론트 도어
JP2002304104A (ja) * 2001-04-09 2002-10-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834173B2 (en) * 2001-11-05 2004-12-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apparatus process cartridge having a locking portion to prevent the cartridge from disengaging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ing such a cartridge
JP4509504B2 (ja) * 2002-09-30 2010-07-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0547129B1 (ko) * 2003-07-04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4380309B2 (ja) * 2003-12-03 2009-12-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63083B2 (ja) * 2004-11-19 2010-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20070033848A (ko) * 2005-09-22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JP4779548B2 (ja) * 2005-10-03 2011-09-2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9380A (zh) 2009-01-07
CN101339380B (zh) 2014-01-01
KR101530629B1 (ko)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2195B1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removing and mounting cover
TWI461862B (zh) 處理匣
RU2324965C1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блок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содержащее этот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блок
KR10036239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US8422915B2 (en)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825581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4014072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20358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member configured to clean a transparent member of an optical device
JP5255955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着脱構造
JP2006309147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シャッタ構造
KR0160198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2009080477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着脱構造
KR20090004431A (ko) 커버 개폐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와 커버 제거 및장착방법
KR20030024627A (ko)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장치
JP6292180B2 (ja) 画像形成装置
US11199809B2 (en) Image forming device
US9471007B2 (en) Developer supply cartridge shutter opening projection that moves in two directions
KR100582998B1 (ko)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US2022041342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012188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BRPI1000324A2 (pt) recipiente de armazenamento de agente de formação de imagem, aparelho de formação de imagem, e, métodos para montar um recipiente de armazenamento de agente de formação de imagem e para remover um recipiente de armazenamento de agente de formação de imagem
JP6380677B2 (ja) トナー容器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CN112930500B (zh) 图像形成装置
KR100541959B1 (ko) 현상제 카트리지의 피팅 보호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JP200822536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