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065U -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 - Google Patents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065U
KR20090004065U KR2020070017414U KR20070017414U KR20090004065U KR 20090004065 U KR20090004065 U KR 20090004065U KR 2020070017414 U KR2020070017414 U KR 2020070017414U KR 20070017414 U KR20070017414 U KR 20070017414U KR 20090004065 U KR20090004065 U KR 200900040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abin
scaffold
hang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6533Y1 (ko
Inventor
박주성
이종섭
박영일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7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53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0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0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5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 건조시 선실과 같은 고소에서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체 외부에 발판을 설치함에 있어서 발판을 선실의 창문에 걸어서 고정시키는 걸이후크가 선실 창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부가한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선실과 같은 고소에서의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안전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발판을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선실, 걸이작업대

Description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DECK HOUSE HANGER TYPE WORK BENCH}
본 고안은 선박 건조시 선실과 같은 고소에서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체 외부에 발판을 설치함에 있어서 발판을 선실의 창문에 걸어서 고정시키는 걸이후크가 선실 창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부가한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선박 건조시 선실과 같은 고소에서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체 외부에는 발판을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도 1 참조)에는, 이러한 발판을 걸이후크를 이용하여 선실의 창문에 그냥 걸어둠으로써 설치를 완료하게 되는 바, 이렇게 불안전한 걸이 공법에 의해 설치된 발판에서 작업(선각/도장)을 수행하는 자는 발판 흔들림 현상으로 인하여 작업 중 추락할 위험에 항상 노출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발판을 설치하거나 해체함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여러 개의 발판을 선실의 창문에 걸어서 일렬로 설치함에 있어서 될 수 있는 한 발판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들 발판들을 줄이나 철사로 서로 묶어서 고정시킬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당한 정도의 시수가 과잉 투입될 필요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선박 건조시 선실과 같은 고소에서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체 외부에 발판을 설치함에 있어서 발판을 선실의 창문에 걸어서 고정시키는 걸이 후크가 창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부가한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뻗은 박스 형상의 구조물로서 작업자가 위를 지나다니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발판(110); 상기 발판(110)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발판(110)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작업자가 이를 잡고서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레일(120); 상기 발판(110)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발판(110)의 전후 끝단부에 2개가 설치되며 상 방향으로 길게 뻗은 판 형상의 구조물로서 하부에 결합된 상기 발판(110)이 선실의 창문에 걸린 상태에서 아래로 추락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발판걸이(130); 및 상기 발판걸이(130)의 상부 끝단과 결합하는 판상의 구조물 로서 판의 가운데 부분에는 입구가 아래 방향으로 열린 고정홈(141)이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고정홈(141)의 내부로 선실 외판이 아래에서 위로 끼워지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발판걸이(130)가 선실 창문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하는 걸이후크(140)를 포함하는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를 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선박 건조시 선실과 같은 고소에서의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안전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발판을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발판(11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뻗은 박스 형상의 구조물로서 작업자가 위를 지나다니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도 2 참조).
이때, 발판(110)의 몸체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러한 공간 속으로 길이연장판(111)이 삽입된다. 길이연장판(11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뻗은 박스 형상의 구조물로서 발판(110)의 내부 공간을 슬라이딩하여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해야 할 공간에 비해 발판(11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길이연장판(111)을 발판(110)으로부터 필요한 만큼 빼냄으로써 전체적인 발판(110)의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길이연장판(111)이 발판(110)의 내부 공간을 슬라이딩하여 움직이는 원리는 책상 서랍의 구동 원리와 동일하다.
핸드레일(120)은 발판(110)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발판(110)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작업자가 이를 잡고서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도 2 참조).
발판걸이(130)는 발판(110)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발판(110)의 전후 끝단부에 2개가 설치되며 상 방향으로 길게 뻗은 판 형상의 구조물로서 하부에 결합된 발판(110)이 선실의 창문에 걸린 상태에서 아래로 추락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도 2 참조).
걸이후크(140)는 발판걸이(130)의 상부 끝단과 결합하는 판상의 구조물로서 판의 가운데 부분에는 입구가 아래 방향으로 열린 고정홈(141)이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이러한 고정홈(141)의 내부로 선실 외판이 아래에서 위로 끼워지게 되는데, 이로써 발판걸이(130)는 선실 창문에 걸린 상태로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즉, 선실 외판은 고정홈(141)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이후크(140)가 선실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지지하고, 걸이후크(140)는 발판걸이(130)를 지지하며, 발판걸이(130)는 하부에 결합된 발판(110)이 아래로 추락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연속지지 상태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걸이후크(140)는 발판걸이(130)와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걸이후크(140)와 발판걸이(130)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걸이후크(140)의 좌측(선실 외판의 선내 방향)에는 L자 형상을 갖는 판상의 구조물인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이러한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는 걸이후크(140)의 좌측에 L자의 형태가 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걸이후크(140)의 하단 및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의 상단 사이에 홈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홈 내부로 선실 외판의 내부 벽면에 설치된 구조물인 프레임이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걸이후크(140)가 선실 외판의 내부 프레임에 한 번 더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는 선실 외판 및 선실 외판의 내부 벽면에 설치된 프레임에 의하여 이중으로 지지됨으로써 거의 흔들리지 아니하고 더욱 안정적으로 선실 외판에 걸려서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는 걸이후크(140)의 전후 양면에 2개가 쌍으로 설치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는 걸이후크(140)와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와 걸이후크(140)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걸이후크(140), 발판걸이(130), 및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는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므로, 작업자는 선실 창문의 크기나 위치가 바뀌어도 걸이후크(140), 발판걸이(130), 및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 상호간의 결합 위치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를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도 3에는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를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먼저 걸이후크(140)에 형성된 고정홈(141) 속으로 선실 외판을 끼워 넣은 후(즉, 걸이후크(140)를 선실 창문에 건 후)에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를 걸이후크(140)에 체결하는 것이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여 좋다.
본 고안에 따른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는 여러 개를 선실의 창문에 걸어서 일렬로 배치함으로써 작업자는 그 위에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종래처럼 이들을 줄이나 철사로 서로 묶어서 고정시킬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는 그 자체로써 상당한 정도의 안 정성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를 이용하면 종래에 발생하던 과잉 시수의 투입을 없앨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걸이 방식 발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를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10 : 발판
111 : 길이연장판
120 : 핸드레일
130 : 발판걸이
140 : 걸이후크
141 : 고정홈
142 :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

Claims (6)

  1. 전후 방향으로 길게 뻗은 박스 형상의 구조물로서 작업자가 위를 지나다니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발판(110);
    상기 발판(110)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발판(110)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작업자가 이를 잡고서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레일(120);
    상기 발판(110)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발판(110)의 전후 끝단부에 2개가 설치되며 상 방향으로 길게 뻗은 판 형상의 구조물로서 하부에 결합된 상기 발판(110)이 선실의 창문에 걸린 상태에서 아래로 추락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발판걸이(130); 및
    상기 발판걸이(130)의 상부 끝단과 결합하는 판상의 구조물로서 판의 가운데 부분에는 입구가 아래 방향으로 열린 고정홈(141)이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고정홈(141)의 내부로 선실 외판이 아래에서 위로 끼워지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발판걸이(130)가 선실 창문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하는 걸이후크(140)
    를 포함하는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140)의 좌측에는 L자 형상을 갖는 판상의 구조물인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가 추가로 설치되는 바,
    상기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는 상기 걸이후크(140)의 좌측에 L자의 형태가 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후크(140)의 하단과 상기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의 상단 사이에 홈을 형성하며 이러한 홈 내부로 선실 외판의 내부 벽면에 설치된 구조물인 프레임이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걸이후크(140)가 선실 외판의 내부 프레임에 한 번 더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는,
    상기 걸이후크(140)의 전후 양면에 2개가 쌍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 이탈방지용 안전장치(142)는,
    상기 걸이후크(140)와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바 상기 걸이후크(140)와의 결합 및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140)는,
    상기 발판걸이(130)와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바 상기 발판걸이(130)와의 결 합 및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10)은,
    몸체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을 슬라이딩하여 움직이는 길이연장판(111)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
KR2020070017414U 2007-10-26 2007-10-26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 KR200446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414U KR200446533Y1 (ko) 2007-10-26 2007-10-26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414U KR200446533Y1 (ko) 2007-10-26 2007-10-26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065U true KR20090004065U (ko) 2009-04-30
KR200446533Y1 KR200446533Y1 (ko) 2009-11-05

Family

ID=4128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414U KR200446533Y1 (ko) 2007-10-26 2007-10-26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53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0630A (zh) * 2015-06-29 2015-10-07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舷侧设备平台
CN105035284A (zh) * 2015-08-03 2015-11-11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舱口围作业平台
CN105035285A (zh) * 2015-08-27 2015-11-11 江苏扬子鑫福造船有限公司 一种l型悬挂脚手支架
KR102035342B1 (ko) 2018-04-30 2019-10-22 동안동농업협동조합 조각과일 포장체
CN115303440A (zh) * 2022-09-14 2022-11-0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船用高空作业吊篮及其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373B1 (ko) * 2009-10-08 2012-01-30 윤용암 탱크형 구조물 내 고소작업을 위한 작업대용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189U (ja) * 1992-10-27 1994-05-27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母屋取り付け作業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0630A (zh) * 2015-06-29 2015-10-07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舷侧设备平台
CN105035284A (zh) * 2015-08-03 2015-11-11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舱口围作业平台
CN105035285A (zh) * 2015-08-27 2015-11-11 江苏扬子鑫福造船有限公司 一种l型悬挂脚手支架
KR102035342B1 (ko) 2018-04-30 2019-10-22 동안동농업협동조합 조각과일 포장체
CN115303440A (zh) * 2022-09-14 2022-11-0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船用高空作业吊篮及其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533Y1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533Y1 (ko) 선실 전용 걸이타입 작업대
JP5174405B2 (ja) 補助作業床
JP6227153B2 (ja) 天井ユニットおよび天井ユニット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のかご
KR101768092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부 설치용 안전장치
JP2015217990A (ja) エレベータ用乗りかご
KR20130005864A (ko) 휴대용 접철식 작업대
CN105692405A (zh) 电梯轿厢
JP2007204158A (ja) ピットはしご付きエレベータかご
CN201300972Y (zh) 船用脚手架结构
KR100559118B1 (ko) 고소 작업대
JPH03120183A (ja) エレベータの据付用作業台
KR101820954B1 (ko)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CN217022842U (zh) 一种散货船舱口围栏杆脚手搭设工装
KR20140004211U (ko) 선박용 줄사다리 홀딩장치
JP2009067495A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用支持装置
JP4886292B2 (ja) エレベータ据え付け工事における親綱の保持構造
CN209481075U (zh) 施工升降机附墙安拆平台
KR20120007330U (ko) 경사용 곤돌라
CN110709345A (zh) 相对于作业平台的附加平台
JP6084936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及びこの据付装置の組立方法
KR102437370B1 (ko) 추락방지용 탈부착식 승탑장치
JP2018167952A (ja) 乗客コンベア
WO2022264397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828342B2 (ja) 手摺
JP5689273B2 (ja) 仮設足場、及び建物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