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944U -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 Google Patents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944U
KR20090003944U KR2020070017205U KR20070017205U KR20090003944U KR 20090003944 U KR20090003944 U KR 20090003944U KR 2020070017205 U KR2020070017205 U KR 2020070017205U KR 20070017205 U KR20070017205 U KR 20070017205U KR 20090003944 U KR20090003944 U KR 200900039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base member
clip device
pressing
slid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순이
Original Assignee
전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이 filed Critical 전순이
Priority to KR2020070017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944U/ko
Priority to PCT/KR2008/001787 priority patent/WO2009054578A1/en
Publication of KR200900039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9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58Elements for flattening or folding the mouth portion
    • B65D33/1666Slitted tubes with or without a core; U-shaped clips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물 등이 내장되는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밀봉시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비닐봉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를 결합시키는 록킹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립장치, 비닐봉투, 상하 슬라이딩,

Description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 UP AND DOWN SLIDING TYPE CLIP DEVICE FOR VINYL BAG }
본 고안은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물 등이 내장되는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밀봉시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비닐봉투용 클립장치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미국특허제3,141,221호 참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봉투용 클립장치는 긴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봉(12)과, 상기 내측봉(12)을 감싸는 홀더(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13)에는 상기 내측봉(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13)는 단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클립장치를 이용하여 비닐봉투(B)를 밀봉하는 방법은, 먼저 상기 내측봉(12)을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에 가까이 배치한 후, 상기 내측봉(12)을 감 싸도록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를 접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3)가 상기 내측봉(12) 및 비닐봉투(B)를 감싸도록 끼운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내측봉(12)이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13)에 고정시키고, 상기 내측봉(12)과 홀더(13) 사이의 공간에 상기 비닐봉투(B)가 배치되도록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내측봉(12)과 홀더(13)를 상기 비닐봉투(B)에 밀어서 끼우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홀더(13)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비닐봉투(B)는 상기 끼움공을 통해 상기 내측봉(12)과 홀더(13) 사이에 배치되고, 개구부는 홀더(13)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에 인접한 부위가 상기 홀더(13)와 내측봉(12) 사이에 가압되면서 끼워져 있는바,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는 밀봉되게 된다.
이때, 상기 홀더(13) 또는 내측봉(12)에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비닐봉투(B)를 더욱 가압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클립장치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클립장치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비닐봉투(B)를 잡을 상태에서 끼워야 하기 때문에, 클립장치에 비닐봉투(B)를 끼우거나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비닐봉투(b)의 밀봉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음식물 등을 장시간 보관할 경우 비닐봉투(B) 내부에 있는 공기에 의해 음식물 등이 상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비닐봉투를 용이하게 밀봉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비닐봉투의 밀봉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비닐봉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를 결합시키는 록킹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의 양측에 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지지대와;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 중 나머지 하나의 양측에 상기 승강지지대가 삽입되는 승강홈과; 상기 승강지지대와 승강홈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방향으로 하부가압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하부가압대와 접하는 상부가압대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가압대와 상부가압대는 접촉면이 곡선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 부가압대와 상부가압대의 접촉면은 중심부가 하방향으로 볼록한 호(弧)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가압대의 곡률은 하부가압대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한다.
또는, 상기 록킹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가압대와 상부가압대의 접촉면의 중심부가 상방향으로 볼록한 호(弧)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가압대의 곡률은 하부가압대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가압대와 상부가압대 중 어느 하나에는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압돌기가 삽입되는 가압홈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클립장치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비닐봉투를 클립장치에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부가압대와 하부가압대에 의해 비닐봉투의 밀봉이 잘 이루어지고, 특히, 상부가압대와 하부가압대의 접촉면이 곡선을 이룸으로써 비닐봉투의 밀봉이 더욱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가압대와 하부가압대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는, 베이스부재(120)와, 커버부재(110)와, 승강부와, 록킹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20)는 좌우방향으로 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하부가압대(1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가압대(122)는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중심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가압대(122)는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중심부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재(110)는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부재(120)를 덮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재(120)와 커버부재(110) 사이에는 비닐봉투의 개구부가 삽입된다.
상기 커버부재(110)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가압대(122)와 접하는 상부가압대(112)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가압대(112)는 상기 커버부재(110)의 중심부에서 상기 커버부재(110)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가압대(112)는 상기 커버부재(110)의 중심부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는 그 수가 동일하여 각각 상호 접촉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가 다수개인 경우,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의 각각의 접촉면은 그 높이가 상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가 각각 3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베이스부재(120)와 커버부재(11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의 접촉면의 높이는, 상기 베이스부재(120)와 커버부재(11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의 접촉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 사이에 배치되는 비닐봉투가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의 접촉면의 높이 차에 의해 휘어지게 되어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통한 공기의 유출입을 더욱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의 접촉면에는 고무패드와 같은 탄성체 장착하여 비닐봉투를 강하게 밀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가압대(122)와 상부가압대(112)는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보았을 경우, 접촉면이 직선을 이룰 수도 있으나, 곡선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의 길이방향의 접촉면이 곡선을 이루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가압대(122)와 상부가압대(112)의 접촉면은 중심부가 양측에 비하여 하방향으로 볼록한 호(弧)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가압대(112)의 곡률은 하부가압대(122)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한다.
즉, 상기 상부가압대(112)의 곡선면을 연결하여 그려지는 가상원이, 상기 하부가압대(122)의 곡선면을 연결하여 그려지는 가상원보다 작도록 형성한다.
이와 달리, 상기 하부가압대(122)와 상부가압대(112)의 접촉면의 중심부가 양측에 비하여 상방향으로 볼록한 호(弧)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가압대(112)의 곡률은 하부가압대(122)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한다.
즉, 상기 상부가압대(112)의 곡선면을 연결하여 그려지는 가상원이, 상기 하부가압대(122)의 곡선면을 연결하여 그려지는 가상원보다 크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상기 커버부재(110) 및 베이스부재(12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록킹부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110)와 베이스부재(120)를 결합할 경우,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 사이의 밀착력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가압대(122)와 상부가압대(112) 중 어느 하나에는 가압돌기(115)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압돌기(115)가 삽입되는 가압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가압대(11)에 가압돌기(115)를 형성하였고, 상기 하부가압대(122)에 가압홈(125)을 형성하였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부재(120)와 커버부재(110) 사이에 비닐봉투가 배 치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11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부는, 승강지지대(121)와, 승강홈(111)과, 승강스프링(1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지지대(121)는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양측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홈(111)은 상기 승강지지대(1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1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스프링(114)은 상기 승강지지대(121)와 승강홈(11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재(110)를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위와 달리, 상기 베이스부재(120)에 승강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재(110)에 승강지지대(12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베이스부재(120)와 커버부재(11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록킹수단을 이용하면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재(110)의 하부 양측에 제1후크(113)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재(120)에 상기 제1후크(113)와 접하여 결합되는 제2후크(123)를 형성하며, 상기 제2후크(123)를 록킹스프링(124)에 의해 상기 제1후크(113)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2후크(123)는 상기 베이스부재(120)에 상기 록킹스프링(124)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110)가 베이스방향으로 하강하면, 상기 제1후크(113) 는 상기 승강스프링(114)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제2후크(123)에 체결된다.
이때, 압축된 상기 록킹스프링(12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후크(123)는 상기 제1후크(113) 방향으로 밀착되어 상기 커버부재(110)가 상기 베이스부재(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스프링(11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110)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커버부재(110) 사이에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비닐봉투의 개구부는 상기 상부가압대(112) 및 하부가압대(122)를 가로질러서 배치하도록 한다.
그 후, 사용자는 상기 커버부재(110)를 하방향으로 눌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재(110)는 상기 승강스프링(114)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고, 상기 커버부재(11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제1후크(113)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제2후크(123)에 접하여 체결된다.
이때, 상기 록킹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후크(113)는 상기 제2후크(123)와 밀착 결합되고, 이로 인해 상기 커버부재(110)는 상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부재(120)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110)가 베이스부재(120)에 결합되면,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는 그 사이에 비닐봉투를 두고 상호 밀착된다.
이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가압대(122)와 상부가압대(112)의 접촉면의 중심부가 양측에 비하여 하방향으로 볼록한 호(弧)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가압대(112)의 곡률이 하부가압대(122)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록킹부가 상기 커버부재(110) 및 베이스부재(12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록킹부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110) 및 베이스부재(120)의 양측을 결합하면,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의 중심부는 양측보다 밀착되게 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가압대(122)와 상부가압대(112)의 접촉면의 중심부가 양측에 비하여 상방향으로 볼록한 호(弧)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가압대(112)의 곡률이 하부가압대(122)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록킹부가 상기 커버부재(110) 및 베이스부재(12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록킹부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110) 및 베이스부재(120)의 양측을 결합하면,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의 중심부는 양측보다 밀착되게 된다.
즉,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의 중심부의 접촉면이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의 양측의 접촉면보다 먼저 접촉하기 때문에, 양측을 접촉시킬 경우 중심부는 더욱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가압대(112)와 하부가압대(122)에 형성된 가압돌기(115)와 가압홈(125)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의 개구부는 더욱 밀봉되게 된다.
그 후, 상기 비닐봉투를 클립장치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2후크(123)를 누르면, 상기 제2후크(123)와 후크결합되어 있던 상기 제1후크(113)는 결합이 해제되고, 압축되어 있던 상기 승강스프링(1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110)는 상승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20)와 커버부재(110)는 사이에 공간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비닐봉투를 상기 클립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인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닐봉투용 클립장치,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가압대와 하부가압대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조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커버부재, 111 : 승강홈, 112 : 상부가압대, 113 : 제1후크, 114 : 승강스프링, 115 : 가압돌기, 120 : 베이스부재, 121 : 승강지지대, 122 : 하부가압대, 123 : 제2후크, 124 : 록킹스프링, 125 : 가압홈,

Claims (7)

  1.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비닐봉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를 결합시키는 록킹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의 양측에 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지지대와;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 중 나머지 하나의 양측에 상기 승강지지대가 삽입되는 승강홈과;
    상기 승강지지대와 승강홈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방향으로 하부가압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하부가압대와 접하는 상부가압대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압대와 상부가압대는 접촉면이 곡선을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가압대와 상부가압대의 접촉면은 중심부가 하방향으로 볼록한 호(弧)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가압대의 곡률은 하부가압대의 곡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가압대와 상부가압대의 접촉면의 중심부가 상방향으로 볼록한 호(弧)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가압대의 곡률은 하부가압대의 곡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압대와 상부가압대 중 어느 하나에는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압돌기가 삽입되는 가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KR2020070017205U 2007-10-24 2007-10-24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KR20090003944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205U KR20090003944U (ko) 2007-10-24 2007-10-24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PCT/KR2008/001787 WO2009054578A1 (en) 2007-10-24 2008-03-31 Up and down sliding type clip device for vinyl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205U KR20090003944U (ko) 2007-10-24 2007-10-24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944U true KR20090003944U (ko) 2009-04-29

Family

ID=4057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205U KR20090003944U (ko) 2007-10-24 2007-10-24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03944U (ko)
WO (1) WO2009054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9281B (zh) * 2018-09-18 2019-08-30 苍南县华联软包装有限公司 一种物流用气泡包装袋
CN109549800B (zh) * 2018-11-23 2020-11-20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护理床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98Y2 (ko) * 1987-09-30 1993-03-05
SE469717B (sv) * 1992-02-20 1993-08-30 Ingemar Naeslund Klaemma, speciellt foer tillslutning av paasar
JP2003072778A (ja) * 2001-08-28 2003-03-12 Sanyoo Chemical:Kk 袋封止用クリップ
CA2462123C (en) * 2001-09-28 2009-03-31 Jms Co., Ltd. Clip
JP4228624B2 (ja) * 2002-08-23 2009-02-25 味の素株式会社 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4578A1 (en)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364B1 (ko) 공기 펌프식 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활용품용 용기
KR101335570B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CN204829184U (zh) 夹持底座及具有该夹持底座的电子产品支架
CN101524242B (zh) 一种具有自动合盖功能的电压力锅锅盖
KR20090003944U (ko)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JP2019510546A (ja) サイドボタンを具備したポンピング式化粧品容器
CN202816750U (zh) 汽车玻璃升降器的开关结构
KR200412918Y1 (ko) 버튼의 탄성리브를 이용한 디스펜서
CN205692738U (zh) 键盘开关的发声结构
CN205349951U (zh) 升降杆滑座的升降结构
KR20130019614A (ko) 양방향 진공포장기
JP2007161337A (ja) 圧縮袋の排気バルブ
KR101307657B1 (ko) 압착홀더
CN215899428U (zh) 气泡水机的双连杆打气机构
KR101117557B1 (ko) 벤딩형 체크밸브가 장착된 비닐봉투
CN201375425Y (zh) 一种具有自动合盖功能的电压力锅锅盖
JP5925707B2 (ja) スライドロック装置
KR101034316B1 (ko) 비닐봉투용 벤딩형 흡입장치
KR100758543B1 (ko) 끈 결속장치
KR20100089117A (ko)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KR20100092093A (ko) 진공포장지용 스티커형 체크밸브 및 이를 이용한 진공포장지 밀봉세트
CN208868000U (zh) 汽车遥控器
KR20100081718A (ko)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봉투 진공밀봉세트
CN215272138U (zh) 吸盘装置及手持式料理机
KR20090113157A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