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117A -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 Google Patents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117A
KR20100089117A KR1020090008206A KR20090008206A KR20100089117A KR 20100089117 A KR20100089117 A KR 20100089117A KR 1020090008206 A KR1020090008206 A KR 1020090008206A KR 20090008206 A KR20090008206 A KR 20090008206A KR 20100089117 A KR20100089117 A KR 20100089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opening
closing
hole
upp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순이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to KR1020090008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9117A/ko
Publication of KR20100089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퍼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닐봉투를 밀봉시켜 보관할 때 비닐봉투 내부를 용이하게 진공시켜 장시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는, 상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밀봉하고 진공흡입하는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에 있어서, 하면이 상기 비닐봉투의 상면에 접하는 상부부재와; 상면이 상기 비닐봉투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상호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록킹부와; 상기 상부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부재의 상하부를 개폐하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개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비닐봉투의 개구부가 형성된 일측이 접힌 상태로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서 배치되어 가압 밀봉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비닐봉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 후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닐봉투, 진공밀봉, 록킹

Description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 VACUUM SEALING DEVICE FOR VINYL BAG }
본 발명은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퍼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닐봉투를 밀봉시켜 보관할 때 비닐봉투 내부를 용이하게 진공시켜 장시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비닐봉투용 밀봉장치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미국특허제3,141,221호 참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봉투용 밀봉장치는 긴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봉(12)과, 상기 내측봉(12)을 감싸는 홀더(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13)에는 상기 내측봉(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13)는 단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밀봉장치를 이용하여 비닐봉투(B)를 밀봉하는 방법은, 먼저 상기 내측봉(12)을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에 가까이 배치한 후, 상기 내측봉(12)을 감싸도록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를 접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3)가 상기 내측봉(12) 및 비닐봉투(B)를 감싸도록 끼운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내측봉(12)이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13)에 고정시키고, 상기 내측봉(12)과 홀더(13) 사이의 공간에 상기 비닐봉투(B)가 배치되도록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내측봉(12)과 홀더(13)를 상기 비닐봉투(B)에 밀어서 끼우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홀더(13)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비닐봉투(B)는 상기 끼움공을 통해 상기 내측봉(12)과 홀더(13) 사이에 배치되고, 개구부는 홀더(13)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에 인접한 부위가 상기 홀더(13)와 내측봉(12) 사이에 가압되면서 끼워져 있는바,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는 밀봉되게 된다.
이때, 상기 홀더(13) 또는 내측봉(12)에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비닐봉투(B)를 더욱 가압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밀봉장치는 비닐봉투(B)를 단순히 밀봉하는 기능만 수행하기 때문에, 비닐봉투(B) 안에 있는 음식물 등을 장시간 보관할 경우 비닐봉투(B) 내부에 있는 공기에 의해 음식물 등이 상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비닐봉투의 개구부에 지퍼부를 형성하여 개구부를 개폐하고 있으나, 이는 비닐봉투의 개구부에 지퍼부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닐봉투의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퍼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비닐봉투를 밀봉시켜 보관할 때 비닐봉투 내부를 용이하게 진공시켜 장시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는, 상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밀봉하고 진공흡입하는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에 있어서, 하면이 상기 비닐봉투의 상면에 접하는 상부부재와; 상면이 상기 비닐봉투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상호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록킹부와; 상기 상부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부재의 상하부를 개폐하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개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비닐봉투의 개구부가 형성된 일측이 접힌 상태로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서 배치되어 가압 밀봉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비닐봉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 후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와; 상기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공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체결돌기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공의 지름보다 크게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돌기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중심부에 탄성변형공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과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비닐봉투의 개구부가 접힌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압부를 중심으로 상기 록킹부와 개폐부는 상호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는 비닐봉투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부는 비닐봉투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상부부재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개폐공과; 상기 개폐공에 삽입 장착되어, 공기가 상기 개폐공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할 경우 상기 개폐공을 개방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할 경우 상기 개폐공을 폐쇄하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개폐부 둘레에 폐곡선 형상의 상부가스켓이 장착된다.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비닐봉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가스켓과 밀착되는 평판형상의 하부가스켓이 장착된다.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또는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 상기 비닐봉투의 개구부가 접힌 일측이 안착되는 오목한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은 상기 개폐부와 록킹부 사이에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에 따르면, 지퍼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일반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밀봉시킨 상태에서, 진공시킬 수 있어, 비닐봉투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등을 장시간 안전하게 보 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밀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밀봉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밀봉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밀봉장치를 이용하여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밀봉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은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외부의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비닐봉투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200)는, 비닐봉투(100)의 개구부(110)를 밀봉하고 진공흡입하는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210)와, 하부부재(220)와, 록킹부(230)와, 개폐부(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닐봉투(100)는 일측에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폐곡선 형상의 관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닐봉투(100)의 내측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엠보싱은 상기 비닐봉투(100)의 타측 즉 상기 개구부(110)의 반대편에서 상기 관통공(120)을 지나, 상기 관통공(120)과 상기 개구부(110) 사이까지 형성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부재(210)와 하부부재(220)는 모두 상기 비닐봉투(100)의 개구부(110)가 형성된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부재(210)는 하면이 상기 비닐봉투(100)의 상면에 접하고, 상기 하부부재(220)는 상면이 상기 비 닐봉투(100)의 하면에 접한다.
즉, 상기 상부부재(210)와 하부부재(220) 사이에 상기 비닐봉투(100)가 배치된다.
상기 록킹부(230)는 상기 상부부재(210)와 상기 하부부재(220)를 상호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상부부재(210) 또는 하부부재(220)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31)와, 상기 상부부재(210) 또는 하부부재(220)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235)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부재(220)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체결돌기(231)를 형성하였고, 상기 상부부재(210)에 상기 체결공(235)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하부부재(220)에 상기 체결공(235)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부재(210)에 상기 체결돌기(23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돌기(231)는 상기 체결공(235)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부재(210)와 상기 하부부재(220)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돌기(231)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공(235)의 지름보다 크게 걸림턱(232)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돌기(231)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중심부에 탄성변형공(23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돌기(231)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고, 중심부에 탄성변형공(23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돌기(231)는 중심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외주면에 상기 걸림턱(232)이 형성되어 있어도, 상기 체결돌기(231)가 상기 체결공(235)에 삽입될 때,상기 체결돌기(231)는 중심방향으로 벤딩 되어 상기 체결공(23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235)을 관통한 상기 체결돌기(231)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변형되고, 이때 상기 걸림턱(232)은 상기 체결공(235)이 형성된 상기 상부부재(210)의 면과 접하여 걸림으로써 상기 체결돌기(231)가 상기 체결공(235)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체결돌기(231)와 체결공(235)은 각각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상부부재(210)와 하부부재(220)의 결합시 상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와 같이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부재(210)의 하면과 상기 하부부재(220)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비닐봉투(100)의 개구부(110)가 접힌 일측을 가압하여 밀봉하는 가압부(211,22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비닐봉투(100)의 개구부(110)가 형성된 일측은 여러 번 접힌 상태로 상기 상부부재(210)와 하부부재(220) 형성된 상기 가압부(211,221)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 밀봉된다.
상기 가압부(211,221)를 중심으로 상기 록킹부(230)와 개폐부(240)는 상호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240)는 비닐봉투(100)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부(230)는 비닐봉투(100)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211,221)에는, 상기 상부부재(210)의 하면 및/또는 상기 하부부재(220)의 상면에 상기 비닐봉투(100)의 개구부(110)가 접힌 일측이 안착되는 오목한 형상의 안착홈(213,2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213,223)은 상기 개폐부(240)와 상기 록킹부(230)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240)는, 상기 상부부재(210)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부재(210)의 상하부를 개폐하고 상기 관통공(120)과 연통되며, 상기 관통공(120)을 통해 상기 비닐봉투(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 후 폐쇄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부(240)는, 상기 상부부재(21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개폐공(241)과, 상기 개폐공(241)에 삽입 장착되는 체크밸브(2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크밸브(242)는 상기 개폐공(241)에 장착되어 공기가 상기 개폐공(241)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할 경우 상기 개폐공(241)을 개방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할 경우 상기 개폐공(241)을 폐쇄한다.
이러한 상기 체크밸브(242)와 개폐공(241)의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구조를 사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재(21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상부부재(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비닐봉투(100)의 관통공(120)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210)의 하면에는 상기 개폐부(240) 둘레에 중공 폐곡선 형상의 상부가스켓(212)이 장착된다.
즉, 상기 상부가스켓(212)은 상기 개폐부(240)를 감싸면서 상기 상부부재(210)의 하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220)의 상면에는 상기 비닐봉투(1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가스켓(212)과 밀착되는 평판형상의 하부가스켓(222)이 장착된다.
상기 하부가스켓(222)은 상기 상부가스켓(212)과 크기가 같거나 크게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가스켓(212)은 상기 상부부재(210)보다 상기 하부부재(220) 방향으로 더 하향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가스켓(222)은 상기 하부부재(220)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봉투(100)의 관통공(120)은 상기 상부가스켓(212)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공(241)과 연통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비닐봉투(100)의 내부에 음식물 등을 넣은 상태에서 상기 비닐봉투(100)의 개구부(110)를 여러 번 접는다.
그 후, 상기 개구부(110)가 접힌 상기 비닐봉투(100)의 일측의 하부에 상기 하부부재(220)를 배치하고, 상부에 상기 상부부재(210)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비닐봉투(100)의 개구부(110)가 접힌 일측은 상기 가압부(211,221)에 위치하면서, 상기 안착홈(213,223)에 삽입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20)은 상기 상부가스켓(212)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부재(220)에 형성된 체결돌기(231)를 상기 상부부재(210)에 형성된 체결공(235)에 삽입한다.
상기 걸림턱(232)의 지름이 상기 체결공(235)의 지름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체결돌기(231)는 상기 탄성변형공(233) 방향 즉 중심방향으로 벤딩된 상태로 상기 체결공(235)에 삽입된다.
상기 체결공(235)을 관통한 상기 체결돌기(231)는 원상태로 변형되고, 이때 상기 걸림턱(232)이 상기 체결공(235)이 형성된 상기 상부부재(210)의 상면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부재(210)와 하부부재(220)는 상기 록킹부(230)에 의해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비닐봉투(100)의 개구부(110)가 접힌 일측은, 상기 상부부재(210)의 가압부(211)와 상기 하부부재(220)의 가압부(221) 사이에서 가압 밀봉된다.
그 후, 별도의 진공펌프(미도시)와 호스 등으로 통해 연결된 소켓(250)을 상기 상부부재(210)의 상면에 접한다.
상기 소켓(250)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공(241)이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를 작동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242)는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개폐공(241)은 개방된다.
상기 개폐공(241)이 개방됨에 따라서 상기 비닐봉투(1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관통공(120)과 개폐공(241)을 통과하여 상기 소켓(250)으로 유입된 후, 상기 진공펌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상부가스켓(212)은 상기 비닐봉투(10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120)을 감싸고 있는바, 외부의 공기가 상기 비닐봉투(100)의 상면과 상기 상부부재(210)의 하면 사이를 통해 상기 관통공(12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비닐봉투(100) 내부가 진공이 되어, 상기 소켓(250)을 상기 상부부재(210)로부터 분리시키면, 진공압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242)는 하강하여 상기 개폐공(241)을 폐쇄되고, 상기 비닐봉투(100)의 상면은 상기 상부가스켓(212)에 더욱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비닐봉투(10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120) 및 개구부(110)는 밀봉되게 된다.
한편, 상기 비닐봉투(100)를 상기 진공밀봉장치(20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체결돌기(231)를 탄성변형공(233) 방향으로 모은 후, 상기 체결공(235)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상기 걸림턱(232)이 상기 체결공(235)의 안쪽에 배치되게 되는바, 사용자는 상기 상부부재(210)와 하부부재(220)를 상호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인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밀봉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밀봉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밀봉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밀봉장치를 이용하여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밀봉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은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외부의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비닐봉투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비닐봉투, 110 : 개구부, 120 : 관통공, 200 : 진공밀봉장치, 210 : 상부부재, 211 : 가압부, 212 : 상부가스켓, 213 : 안착홈, 220 : 하부부재, 221 : 가압부, 222 : 하부가스켓, 223 : 안착홈, 230 : 록킹부, 231 : 체결돌기, 232 : 걸림턱, 233 : 탄성변형공, 235 : 체결공, 240 : 개폐부, 241 : 개폐공, 242 : 체크밸브, 250 : 소켓,

Claims (6)

  1. 상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밀봉하고 진공흡입하는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에 있어서,
    하면이 상기 비닐봉투의 상면에 접하는 상부부재와;
    상면이 상기 비닐봉투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상호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록킹부와;
    상기 상부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부재의 상하부를 개폐하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개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비닐봉투의 개구부가 형성된 일측이 접힌 상태로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서 배치되어 가압 밀봉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비닐봉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 후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와;
    상기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공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체결돌기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공의 지름보다 크게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돌기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중심부에 탄성변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과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비닐봉투의 개구부가 접힌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압부를 중심으로 상기 록킹부와 개폐부는 상호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는 비닐봉투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부는 비닐봉투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상부부재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개폐공과;
    상기 개폐공에 삽입 장착되어, 공기가 상기 개폐공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할 경우 상기 개폐공을 개방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할 경우 상기 개폐공을 폐쇄하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개폐부 둘레에 폐곡선 형상의 상부가스켓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비닐봉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가스켓과 밀착되는 평판형상의 하부가스켓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또는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 상기 비닐봉투의 개구부가 접힌 일측이 안착되는 오목한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은 상기 개폐부와 록킹부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KR1020090008206A 2009-02-03 2009-02-03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KR20100089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206A KR20100089117A (ko) 2009-02-03 2009-02-03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206A KR20100089117A (ko) 2009-02-03 2009-02-03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117A true KR20100089117A (ko) 2010-08-12

Family

ID=4275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206A KR20100089117A (ko) 2009-02-03 2009-02-03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91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1223A1 (zh) * 2019-09-16 2021-03-25 深圳典之成产品开发有限公司 一种封口装置及应用此装置的多功能真空封口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1223A1 (zh) * 2019-09-16 2021-03-25 深圳典之成产品开发有限公司 一种封口装置及应用此装置的多功能真空封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5935U (ja) ボトルキャップ構造
KR100986313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KR100886414B1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150111213A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100089117A (ko)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KR20180000673U (ko) 진공 밀폐용기
KR20100092093A (ko) 진공포장지용 스티커형 체크밸브 및 이를 이용한 진공포장지 밀봉세트
JP2007161337A (ja) 圧縮袋の排気バルブ
KR100956438B1 (ko)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CN111907933A (zh) 一种抽气泵及真空保鲜容器
KR20100081718A (ko)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봉투 진공밀봉세트
KR20090113157A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100116501A (ko) 상하 슬라이드형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101117557B1 (ko) 벤딩형 체크밸브가 장착된 비닐봉투
WO2008131583A1 (fr) Récipient étanche à pompage sous vide
KR101034316B1 (ko) 비닐봉투용 벤딩형 흡입장치
KR200444241Y1 (ko)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CN211870351U (zh) 一种充气自立式垃圾袋
KR200441422Y1 (ko) 진공클립장치
KR20100073896A (ko) 클립부재 일체형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100119355A (ko) 스티커형 체크밸브가 장착된 비닐봉투
KR20090129290A (ko)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090003944U (ko) 상하 슬라이딩식 클립장치
KR200441423Y1 (ko)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KR200446241Y1 (ko)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