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423Y1 -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 Google Patents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423Y1
KR200441423Y1 KR2020070008262U KR20070008262U KR200441423Y1 KR 200441423 Y1 KR200441423 Y1 KR 200441423Y1 KR 2020070008262 U KR2020070008262 U KR 2020070008262U KR 20070008262 U KR20070008262 U KR 20070008262U KR 200441423 Y1 KR200441423 Y1 KR 200441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intermediate plate
base
nozzle
nozz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순이
Original Assignee
전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이 filed Critical 전순이
Priority to KR2020070008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423Y1/ko
Priority to PCT/KR2008/002242 priority patent/WO200813017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4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 being arranged for insertion into, and withdrawal from, the mouth of a filled container and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means for sealing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포장지의 개구부를 밀봉하고 진공포장지 내부를 진공으로 하여 보관할 수 있는 진공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진공클립장치는, 베이스와 중간판이 힌지결합하여 이루어진 진공클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중간판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되 포장지 내부로 삽입되도록 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노즐부가 배치되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노즐부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진공포장지는, 베이스와 중간판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노즐부가 장착되되, 상기 노즐부는 전방으로 절곡된 진공클립장치에 사용되도록 일방향으로 개방구가 형성된 진공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진공포장지에는 상기 노즐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공클립장치, 노즐부, 삽입구,

Description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 VACUUM CLIP APPARATUS AND VACUUM PACK USING THE SAME }
도 1은 종래의 경사진 진공포장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닫힌 상태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일방향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열린 상태에서 진공포장지를 삽입한 상태의 일방향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지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열린 상태의 타방향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열린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닫힌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작동전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작동후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열린 상태에서 진공포장 지를 삽입한 상태의 일방향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110 : 힌지지지판, 120 : 고무패드,
130 : 걸림턱, 170 : 제1스프링, 175 : 제2스프링,
190 : 탄성돌기, 200 : 중간판, 210 : 제1힌지돌기,
220 : 제2힌지돌기, 250 : 제2기어,
270 : 배출공, 300 : 커버, 320 : 제1기어,
330 : 걸림돌기, 350 : 잠금돌기, 411 : 누름버튼부,
413 : 가이드홈, 414 : 가스켓, 420 : 가압부,
425 : 흡입공, 430 : 받침부, 431 : 스프링,
432 : 고무패드, 440 : 고무패드, 445 : 가이드돌기,
450 : 스프링, 470 : 노즐부, 471 : 유로형성부,
472 : 지지부, 473 : 엠보싱, 460 : 가스켓,
500 : 잠금부, 600 : 진공포장지, 610 : 개구부,
620 : 삽입구, 700 : 흡입관.
본 고안은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포장지의 개구부를 밀봉하고 진공포장지 내부를 진공으로 하여 보관할 수 있는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진공포장기는 일반적으로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가 힌지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진공포장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케이스를 닫아 진공포장을 하는 방식을 취한다.
도 1은 종래의 경사진 진공포장기의 사시도이다(출원번호 제20-2005-18805호 참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사진 진공포장기는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전방에는 진공포장지를 열봉합하기 위한 가열부(16)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진공펌프(미도시)가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후방에서 힌지결합되고, 전방에는 상기 가열부(16)에 대응되는 가압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20)의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판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삼각형 형상을 취하고 있다.
상기 커버부재(20)에는 하부로 개방된 상부챔버(22)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에는 상기 상부챔버(22)에 대응되고 상부로 개방된 하부챔버(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챔버(12)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배출공(14)가 형성되어 있 으며, 이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장착된 진공펌프(미도시)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상부챔버(22)의 상부와 하부챔버(12)의 하부에는 각각 패킹부재(13,23)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챔버(22) 내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하향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0)와 베이스부재(10)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80444호, 제20-0375528호, 제20-0365095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록킹장치(미도시)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5095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스위치(17,18) 및 스위치누름부(27,28) 등을 설치하여 자동으로 진공 및 봉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진공포장기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이 많아 고가이며, 무게가 무겁고, 열봉합을 하기 때문에 후에 진공포장지를 쉽게 개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열봉합이 잘 안되는 부위가 발생하여 진공포장지를 밀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진공포장지의 개구부를 완전하게 밀봉할 수 있는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진공클립장치는, 베이스와 중간판이 힌지결합하여 이루어진 진공클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중간판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되 포장지 내부로 삽입되도록 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노즐부가 배치되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노즐부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 받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노즐부의 상부에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노즐부와 상기 배출공을 상호 연통시키는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 또는 가압부에는 상기 노즐부 방향으로 고무패드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와 중간판 사이에는 상기 포장지의 개구부를 가압하는 고무패드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노즐부는, 포장지 내부로 삽입되는 유로형성부와, 상기 유로형성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의 지름은 상기 받침부의 지름보다 작도록 한다.
상기 노즐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와 노즐부 사이에는 상기 노즐부가 상하로 유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에는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누름버튼부가 장착되고, 상기 가압부와 누름버튼부 사이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며, 상기 누름버튼부의 외주면에는 가스켓이 감싸면서 장착되되, 상기 가스켓은 상부 외주면이 상향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에는 상기 가스켓에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의 후방과 상기 중간판의 후방은 제1힌지부에서 힌지결합되되, 전방이 상기 중간판의 전방과 제2힌지부에서 힌지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베이스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진공포장지는, 베이스와 중간판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노즐부가 장착되되, 상기 노즐부는 전방으로 절곡된 진공클립장치에 사용되도록 일방향으로 개방구가 형성된 진공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진공포장지에는 상기 노즐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는 진공포장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구는 일방이 상기 개방구와 연결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닫힌 상태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일방향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열린 상태에서 진공포장지를 삽입한 상태의 일방 향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열린 상태의 타방향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열린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닫힌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작동전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작동후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진공클립장치는, 베이스(100)와, 중간판(200)과, 커버(300)와, 노즐부(470)와, 잠금부(5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0)는 클립장치의 가장 아래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후방에는 힌지지지판(110)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에는 상기 잠금부(50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중간판(200)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후방의 양측에 제1힌지돌기(21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100)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지지판(110)에 삽입되어 제1힌지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중간판(200)의 전방의 양측에는 제2힌지돌기(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300)는 상기 중간판(2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전방 양측은 상기 제2힌지돌기(22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2힌지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중간판(200)의 전방은 상기 커버(300)와 제2힌지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간판(200)의 후방은 상기 베이스(100)와 제1힌지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00), 중간판(200) 및 커버(300)는 전개되었을 때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베이스(100)와 중간판(200) 사이에는 진공포장지(600)의 개구부(610)가 배치되는데,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와 중간판(200)에는 고무패드(120)가 장착되어 진공포장지(600)의 개구부(610)를 압착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중간판(200) 사이에는 제1스프링(170)이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상기 중간판(200)을 탄성지지하고, 상기 중간판(200)과 커버(300) 사이에는 제2스프링(175)이 장착되어 상기 중간판(200)에 대하여 상기 커버(300)를 탄성지지한다.
상기 제1스프링(170)은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측면에서 상기 제1힌지부 자세하게는 상기 제1힌지돌기(210)를 감싸면서 장착되고, 상기 제2스프링(175)은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측면에서 상기 제2힌지부 자세하게는 상기 제2힌지돌기(220)를 감싸면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판(200)은 상기 제1스프링(170)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기 커버(300)는 상기 제2스프링(175)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자유상태에서 상기 커버(300), 중간판(200) 및 베이스(100)는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스프링(170)과 제2스프링(175)은 각각 별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의 후방에는 상기 커버(300)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상기 잠금부(500)가 장착되는데, 상기 잠금부(500)는 상기 베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100)의 후방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500)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돌기(1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300)의 후방에는 상기 잠금부(500)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300)를 베이스(100)에 결합시키는 잠금돌기(35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300)를 아래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잠금돌기(350)가 상기 잠금부(500)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300)를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시키고, 상기 잠금부(500)를 누르면 상기 커버(300)가 해제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프링(170)과 제2스프링(17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커버(300)는 상방향으로 전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돌기(350)는 그 하부에서 지지하는 탄성돌기(190)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커버(300)의 전방 하부에는 걸림돌기(330)가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돌기(330)는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0)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돌기(330)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턱(13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300)를 상기 베이스(100)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커버(300)가 상기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330)가 상기 걸림턱(130)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부(500)와 더불어 상기 커버(300)를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시킨다.
즉, 상기 잠금부(500)와 잠금돌기(350)는 상기 커버(300)와 베이스(100)의 후방을 결합시키는 것이고, 상기 걸림돌기(330)와 걸림턱(130)은 상기 커버(300)와 베이스(100)의 전방을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걸림돌기(330)가 걸림턱(130)에 삽입되면서 상기 커버(300)가 베이스(100)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300), 중간판(200) 및 베이스(10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립장치의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100)와 중간판(200)에 배치되는 진공포장지(600)의 개구부(610)를 더욱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300)의 측면에는 상기 제2힌지부를 감싸면서 제1기어(3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판(200)의 측면에는 상기 제1기어(320)에 맞물리는 제2기어(25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300)가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중간판(200)도 상기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중간판(200)과 베이스(100) 사이를 더욱 밀착시킬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커버(300)가 회전될 때 상기 중간판(200)도 상기 제1기어(320) 및 제2기어(250)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눌려지기 때문에 상기 중간판(200)과 베이스(100) 사이를 더욱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100)에는 받침부(4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판(200)에는 상기 받침부(43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430)의 상부 및/또는 상기 가압부(420)의 하부에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패드(432,44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420)에의 중앙에는 흡입공(4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판(200)에는 상기 흡입공(425)과 연통되는 배출공(2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0)와 중간판(200) 사이에는 상기 노즐부(470)가 장착되는데, 자세하게는 상기 노즐부(470)는 상기 받침부(43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어, 상기 노즐부(470)의 하부에 상기 받침부(430)가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가압부(420)가 배치되게 된다.
상기 노즐부(470)는 진공포장지(600)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유로형성부(471)와 지지부(47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유로형성부(471)는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평행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472)는 상기 유로형성부(471)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00)의 받침부(43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472)는 상기 유로형성부(47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간판(2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472)는 상기 유로형성부(471)의 끝단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로형성부(471)의 끝단이 아닌 약간 안쪽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유로형성부(471)의 크기는 그 길이가 상기 가압부(420) 및/또는 받침부(43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하고, 그 너비는 도면에서 상기 가압부(420) 및/또는 받침부(430)의 크기보다 크게 하였으나 작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지지부(472)의 지름은 상기 받침부(43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한다.
상기 유로형성부(471)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엠보싱(473)이 형성되어 있 어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472)와 상기 받침부(430) 사이에는 스프링(431)이 장착되어 상기 노즐부(470)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270)과 가압부(420) 사이에는 상기 배출공(270)을 개폐하는 누름버튼부(411)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부(420)와 누름버튼부(411) 사이에는 스프링(450)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누름버튼부(411)가 상기 스프링(450)의 탄성력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올려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270)을 폐쇄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커버(300)에는 상기 배출공(270)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부(411)의 외주면에는 가스켓(414)이 감싸면서 장착되는데, 상기 가스켓(414)은 상부 외주면이 상향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270)에는 상기 가스켓(414)에 대응되는 형상 즉 외주면이 상향 돌출된 상기 가스켓의 형상에 대응되게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420)와 중간판(200) 사이에는 밀폐를 위하여 가스켓(46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420)의 저면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고무패드(44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420)에는 가이드돌기(445)가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누름버튼부(411)에는 가이드홈(41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압부(420)가 하강할 때 상기 가이드홈(413)이 상기 가이드돌기(445)에 안내되어 올바르게 상하로 왕복하도록 한다.
이러한 진공클립장치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상기 진공포장지(600)는 일방향으로 개구부(6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부(470)가 삽입되는 삽입구(6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620)는 진공포장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이루어지고, 상면에 형성된 형성된 상기 삽입구(620)는 유로형성부(471)의 상면에 놓이고, 하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구(620)는 상기 노즐부(470)의 지지부(472)에 걸리게 되는바, 상기 삽입구(620)의 크기는 상기 지지부(472)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구(6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이 상기 개구부(610)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610)와 연결됨이 없이 상기 진공포장지(600)의 안쪽에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폐곡선을 그리면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삽입구(620)의 크기가 상기 받침부(430) 및 가압부(420)의 크기보다 작도록 하고, 상기 유로형성부(471)의 너비를 같거나 약간 작게 하여 상기 삽입구(620)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구(620)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절개가 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곡선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노즐부(470)의 유로형성부(471)는 위 실시예와 같이 판형상 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유로형성부가 중공 빨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진공포장지(600)의 개구부(610)와 연결되지 않은 삽입구(620) 즉 폐곡선을 그리는 삽입구(620)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유로형성부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형성부의 길이는 받침부(430) 및 가압부(420) 보다 커야하고, 그 너비는 받침부(430) 및 가압부(420)의 크기보다 작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진공클립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진공클립장치가 닫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잠금부(500)를 누르면 상기 커버(300)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1스프링(170) 및 제2스프링(175)의 탄성력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0)와 중간판(200)은 상방향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삽입구(620)가 형성된 상기 진공포장지(600)의 개구부(610)를 상기 노즐부(470)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때,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470)는 상기 삽입구(620)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개구부(610)는 상기 베이스(100)의 고무패드(120)의 상면에 놓이도록 한다.
상기 노즐부(470)는 상기 받침부(430)와의 사이에 스프링(431) 장착되어 상기 받침부(430)로부터 올려져 있는바, 사용자가 상기 삽입구(620)를 상기 노즐부(470)의 유로형성부(471)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가 있다.
상기 진공포장지(600)는 하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구(620)가 상기 지지부(472)와 접하여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위치까지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노즐부(470) 자세하게는 유로형성부(471)의 상면에는 상기 진공포장지(60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구(620)가 배치되어, 상기 유로형성부(471)의 엠보싱(473)이 상기 삽입구(6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 후, 상기 커버(300)의 전방을 누르면 상기 중간판(200)은 제1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100)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300)에 형성된 걸림돌기(330)는 상기 베이스(100)에 형성된 걸림턱(130)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300)의 후방을 누르면 상기 커버(300)는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걸림돌기(330)가 상기 걸림턱(130)에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중간판(200) 및 베이스(120)에 형성된 고무패드(12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진공포장지(600)의 개구부(610) 눌리면서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300)의 측면에 제1기어(3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판(200)의 측면에 상기 제1기어(320)에 대응되는 제2기어(250)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커버(300)가 상기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아래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중간판(200)도 아래방향으로 회전하여 중간판(200) 및 베이스(100)의 고무패드(120)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포장지(600)의 개구부(610)를 더욱 압착하여 공기의 유출입이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300)의 후방은 잠금돌기(350)가 상기 베이스(100)에 장착된 잠금부(500)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상기 커버(300)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420)는 상기 진공포장지(600)의 상면과 노즐부(470) 및 스프링(431)을 누르면서 상기 받침부(430) 방향으로 이동하여 압착되게 되며, 상기 가압부(420) 및/또는 받침부(430)에는 고무패드(440,432)가 장착되어 있는바, 상기 진공포장지(600)를 더욱 압착하여 외부의 공기 즉 상기 삽입구(620)와 가압부(420) 및 받침부(430) 사이의 공간을 통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20)에 형성된 흡입공(425)은 상기 노즐부(470)의 유로형성부(471)위 상면과 접하여 연통되는데, 이때 상기 유로형성부(471)의 상면에는 상기 진공포장지의 삽입구(620)가 배치되는바, 상기 흡입공(425)은 상기 진공포장지의 삽입구(620) 및 유로형성부(471)를 통하여 진공포장지(600) 내부와 연통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누름버튼부(411)는 상기 중간판(200)에 형성된 배출공(270)와 상기 커버(30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별도로 이루어진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는 흡입관(700)을 이용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부(411)를 누르면, 상기 누름버튼부(411)의 하강에 의해 상기 배출공(270)은 개방되게 되어, 결국 상기 배출공(270)은 상기 흡입공(425)과 삽입구(620)를 통하여 상기 진공포장지(600)의 내부와 연통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공펌프를 작동시키면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진공포장지(60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유로형성부(471)에 형성된 엠보싱(473)의 사이공간을 통해 삽입구(620)로 이동하고, 이는 다시 흡입공(425)과 배출공(2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물론, 상기 흡입관(700)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진공포장지(600) 내부가 진공이 완료되어 상기 흡입관(700)을 배출공(270)에서 제거하면, 상기 가압부(420)와 누름버튼부(411)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4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누름버튼부(411)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누름버튼부(411)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가스켓(414)이 상기 배출공(270)에 밀착되면서 공기의 유출입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부(411)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가스켓(414)의 외주면이 상향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270)도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가스켓(414)과 배출공(270)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바 공기의 유출입을 더욱 차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진공이 완료된 진공포장지(600)는 클립장치에 밀봉되어 보관되게 된다.
본 고안인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구조가 단순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진공포장지의 개구부를 완전하게 밀봉할 수 있다.
둘째, 베이스, 중간판, 및 커버의 3단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하기 편하고 진공포장지를 더욱 밀착시켜 보관할 수 있다.
셋째, 베이스, 중간판, 및 커버가 스프링에 의해 상호 지지되고 있어, 클립장치가 자동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커버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베이스에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커버를 베이스 밀착 결합시킬 수 있어 중간판과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포장지의 개구부를 밀봉시킬 수 있다.
다섯째, 커버와 중간판에 기어를 형성하여 상호 맞물리도록 함으로서, 클립장치의 밀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여섯째, 노즐부를 형성하여 진공포장지 내부의 공기를 보다 쉽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곱째, 진공포장지에 삽입구를 형성함으로서, 노즐부가 용이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진공포장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2)

  1. 베이스와 중간판이 힌지결합하여 이루어진 진공클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중간판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되 포장지 내부로 삽입되도록 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노즐부가 배치되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노즐부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 받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노즐부의 상부에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노즐부와 상기 배출공을 상호 연통시키는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노즐부는,
    포장지 내부로 삽입되는 유로형성부와, 상기 유로형성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의 지름은 상기 받침부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또는 가압부에는 상기 노즐부 방향으로 고무패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중간판 사이에는 상기 포장지의 개구부를 가압하는 고무패드 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노즐부 사이에는 상기 노즐부가 상하로 유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8. 제 1항, 제 3항, 제4항, 제 6항,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에는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누름버튼부가 장착되고,
    상기 가압부와 누름버튼부 사이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며,
    상기 누름버튼부의 외주면에는 가스켓이 감싸면서 장착되되,
    상기 가스켓은 상부 외주면이 상향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에는 상기 가스켓에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9. 제 1항, 제 3항, 제4항, 제 6항,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후방과 상기 중간판의 후방은 제1힌지부에서 힌지결합되되,
    전방이 상기 중간판의 전방과 제2힌지부에서 힌지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베이스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10. 베이스와 중간판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노즐부가 장착되되, 상기 노즐부는 전방으로 절곡된 진공클립장치에 사용되도록 일방향으로 개방구가 형성된 진공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진공포장지에는 상기 노즐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진공포장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진공포장지.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일방이 상기 개방구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지.
KR2020070008262U 2007-04-23 2007-05-18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KR200441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262U KR200441423Y1 (ko) 2007-05-18 2007-05-18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PCT/KR2008/002242 WO2008130171A1 (en) 2007-04-23 2008-04-21 Vacuum clip apparatus and vacuum pack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262U KR200441423Y1 (ko) 2007-05-18 2007-05-18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423Y1 true KR200441423Y1 (ko) 2008-08-18

Family

ID=4164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262U KR200441423Y1 (ko) 2007-04-23 2007-05-18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4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414B1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0441423Y1 (ko)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KR100502153B1 (ko) 진공포장기
KR200441422Y1 (ko) 진공클립장치
KR100500961B1 (ko) 잠금기능과 진공해제작업이 동시 수행이 가능한 진공포장기
KR200442692Y1 (ko) 진공클립장치
KR100852635B1 (ko)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JP2007161337A (ja) 圧縮袋の排気バルブ
KR200389424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CN209650639U (zh) 一种具有上密封结构的真空封口机
KR100956438B1 (ko)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KR200438382Y1 (ko) 진공클립장치
KR100648598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KR200425464Y1 (ko) 상하 슬라이딩식 진공포장기
KR20100092093A (ko) 진공포장지용 스티커형 체크밸브 및 이를 이용한 진공포장지 밀봉세트
KR200441425Y1 (ko) 진공클립장치
KR101623850B1 (ko) 회전 승강형 진공포장기
KR20090113157A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0432418Y1 (ko) 진공포장기
KR20100089117A (ko) 비닐봉투용 진공밀봉장치
KR20100116501A (ko) 상하 슬라이드형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0446241Y1 (ko)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080001472U (ko) 클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형 진공보관장치
KR20100119355A (ko) 스티커형 체크밸브가 장착된 비닐봉투
KR20100004379A (ko) 펌프부재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클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