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425Y1 - 진공클립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클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425Y1
KR200441425Y1 KR2020070009388U KR20070009388U KR200441425Y1 KR 200441425 Y1 KR200441425 Y1 KR 200441425Y1 KR 2020070009388 U KR2020070009388 U KR 2020070009388U KR 20070009388 U KR20070009388 U KR 20070009388U KR 200441425 Y1 KR200441425 Y1 KR 200441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vacuum
nozzle
locking
drip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순이
Original Assignee
전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이 filed Critical 전순이
Priority to KR2020070009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425Y1/ko
Priority to PCT/KR2008/002242 priority patent/WO200813017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4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 B65B31/048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포장지를 장시간 진공보관을 할 수 있고, 진공포장지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진공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진공클립장치는, 제1클립부와; 상기 제1클립부와 결합되어 진공포장지의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밀봉시키는 제2클립부와; 상기 제1클립부와 제2클립부 사이에 배치되어 진공포장지에 삽입되는 노즐과; 상기 제1클립부에 장착되어 상기 노즐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과 개폐수단 사이에는 이물질을 수납하는 물받이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공클립장치, 노즐, 물받이부, 필터

Description

진공클립장치 { VACUUM CLIP APPARATUS }
도 1은 종래의 진공포장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클립장치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클립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클립장치에 진공포장지를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림턱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와 걸림턱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2에서 커버 및 슬라이더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지의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클립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D-D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사시도,
도 1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저면사시도,
도 2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노즐커버의 도면,
도 2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노즐하우징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클립부, 120 : 안착홈, 130 : 삽입공, 140 : 제3가스켓, 155 : 결합공, 180 : 걸림돌기, 190 : 상부가압고무, 200 : 제2클립부, 210 : 제2가스켓, 215 : 하부삽입공, 230 : 체결돌기, 240 : 제4가스켓, 250 : 측면지지판, 255 : 결합공, 260 : 물받이부, 261 : 물받이본체, 262 : 물받이뚜껑, 263 : 제1필터, 264 : 하부고정돌기삽입공, 280 : 걸림턱, 281, 282 : 걸림지지부, 283 : 걸림판, 290 : 가압홈, 300 : 노즐, 310 : 삽입부, 315 : 흡입유로, 320 : 받침부, 322 : 제1유로, 325 : 상부고정돌기, 326 : 제2유로, 327 : 하부고정돌기, 400 : 개폐수단, 410 : 개폐하우징, 420 : 상부가스켓, 425 : 배출공, 430 : 개폐부, 440 : 스프링, 450 : 제1가스켓, 455 : 흡입공, 500 : 록킹부, 510 : 슬라이더, 511 : 체결공, 512 : 관통공, 513 : 걸림공, 516 : 결합돌기, 518 : 손잡이부, 520 : 커버, 525 : 슬라이딩공, 600 : 진공포장지, 610 : 연통공, 620 : 고정공, 700 : 노즐, 710 : 삽입부, 715, 735 : 흡입유로, 720 : 받침부, 722 : 제3유로, 725 : 상부고 정돌기, 727 : 하부고정돌기, 730 : 노즐하우징, 732 : 삽입고정부, 740 : 노즐커버, 750 : 제2필터, 800 : 물받이부,
본 고안은 진공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포장지를 장시간 진공보관을 할 수 있고, 진공포장지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진공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포장기는 일반적으로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가 힌지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진공포장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케이스를 닫아 진공포장을 하는 방식을 취한다.
도 1은 종래의 경사진 진공포장기의 사시도이다(출원번호 제20-2005-18805호 참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사진 진공포장기는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전방에는 진공포장지를 열봉합하기 위한 가열부(16)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진공펌프(미도시)가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후방에서 힌지결합되고, 전방에는 상기 가열부(16)에 대응되는 가압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20)의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판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삼각형 형상을 취하고 있다.
상기 커버부재(20)에는 하부로 개방된 상부챔버(22)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에는 상기 상부챔버(22)에 대응되고 상부로 개방된 하부챔버(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챔버(12)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장착된 진공펌프(미도시)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상부챔버(22)의 상부와 하부챔버(12)의 하부에는 각각 패킹부재(13,23)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챔버(22) 내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하향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0)와 베이스부재(10)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80444호, 제20-0375528호, 제20-0365095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록킹장치(미도시)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5095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스위치(17,18) 및 스위치누름부(27,28) 등을 설치하여 자동으로 진공 및 봉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진공포장기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이 많아 고가이며, 무게가 무겁고, 열봉합을 하기 때문에 후에 진공포장지를 쉽게 개봉할 수 없는 단 점이 있었다.
또한, 진공포장지에 열봉합이 잘 안된 부위가 발생하여 진공포장지를 밀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진공포장기에 의해 봉합된 진공포장지는, 처음에는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장시간 진공보관을 하기 위한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포장을 할 때마다 열봉합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한번 사용한 포장지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열봉합된 부분만큼을 절단하고 사용하여야 하는바, 진공 및 열봉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포장지의 길이도 그만큼 줄어들게 되어 새로운 포장지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진공포장지를 완전하게 밀봉하여 보다 장시간 진공보관을 할 수 있고, 진공포장지를 열봉합하지 않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진공클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진공클립장치는, 제1클립부와; 상기 제1클립부와 결합되어 진공포장지의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밀봉시키는 제2클립부와; 상기 제1클립부와 제2클립부 사이에 배치되어 진공포장지에 삽입되는 노즐과; 상기 제1클립부에 장착되어 상기 노즐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과 개폐수단 사이에는 이물질을 수납하는 물받이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은, 상기 진공포장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클립부의 하면 및 상기 제2클립부의 상면과 접하는 받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노즐의 하부에서 상기 제2클립부에 장착되되,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물받이부를 연통시키는 제1유로와; 상기 물받이부와 상기 개폐수단을 연통시키는 제2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받이부의 내부에는 제1필터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물받이부의 내부에는 제1필터가 장착되되, 상기 제1필터는 상기 제2유로와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은, 상기 진공포장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클립부의 하면 및 상기 제2클립부의 상면과 접하는 받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노즐의 하부에서 상기 제2클립부에 장착되되,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삽입부와 물받이부와 개폐수단을 상호 연통시키는 제3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는 제2필터가 장착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제2필터와 연통되는 흡입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필터는 상기 제3유로와 연통된다.
상기 제2클립부의 후방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클립부의 후방에는 상기 제1클립부가 닫힐 경우 상기 걸림턱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을 상방 향으로 들어올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방향으로 돌출된 걸림지지부와, 상기 걸림지지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2클립부 회전시 상기 걸림판에 걸리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클립장치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클립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클립장치에 진공포장지를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림턱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와 걸림턱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2에서 커버 및 슬라이더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진공클립장치는 제1클립부(100)와, 제2클립부(200)와, 노즐(300), 개폐수단(400), 록킹부(500), 물받이부(260)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클립부(100)와 제2클립부(200)는 후방이 힌지 결합되어 있어, 진공포장지(600)의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밀봉시킨다.
상기 제1클립부(100)의 양측에는 상기 록킹부(500)가 장착되어 있고, 가운데에는 상기 개폐수단(40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클립부(200)의 상부에는 상기 노즐(30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양측에는 상기 제1클립부(100)의 양측면을 감싸는 측면지지판(2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상기 물받이부(26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노즐(300)은 상기 제1클립부(100)와 제2클립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포장지(600)에 삽입된다.
상기 개폐수단(4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클립부(100)에 장착되어 상기 노즐(30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노즐(3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310)와 받침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310)는 진공포장지(60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흡입유로(31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유로(315)를 홈을 파서 형성하였으나, 돌기를 돌 출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부(320)는 상기 삽입부(310)의 후방에서 상기 삽입부(310)의 두께보다 약간 두껍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삽입부(310)에 형성된 흡입유로(315)와 상기 물받이부(260)를 연통시키는 제1유로(322)와, 상기 물받이부(260)와 개폐수단(400)을 연통시키는 제2유로(32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유로(322)는 일단이 측면방향으로 상기 흡입유로(315)와 연통되고 하부는 아래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유로(326)는 상부와 하부가 상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3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클립부(100)의 하면 및 상기 제2클립부(200)의 상면과 접하는 부분이다.
상기 받침부(320)의 상면과 하면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상부고정돌기(325)와 하부고정돌기(32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고정돌기(325)에는 도 4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상기 제2유로(3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고정돌기(327)에는 하방향으로 상기 제1유로(322)와 제2유로(32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310)에 형성된 흡입유로(315)는 상기 제1유로(322)와 제2유로(326)를 거쳐 상기 개폐수단(400)과 연통되게 된다.
상기 물받이부(260)는 상기 노즐(300)과 개폐수단(4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클립부(200)에 장착되어 상기 노즐(300)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진공포장지(600)에 있는 이물질이 상기 노즐(300)을 통해 유입되더라도 상기 물받이부(260)에 수납되기 때문에 상기 개폐수단(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물받이부(260)는, 상부가 개방된 물받이본체(261)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물받이뚜껑(262)과, 상기 물받이본체(261)에 내장되는 제1필터(263)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받이뚜껑(26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가스켓(210)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가스켓(210)에는 상기 하부고정돌기(327)가 삽입되기 위한 하부삽입공(2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물받이뚜껑(262)에도 상기 하부고정돌기(327)가 삽입되기 위한 하부고정돌기삽입공(2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필터(263)는 스폰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유로(322)를 통해 유입된 물질 중 공기만 제2유로(326)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나머지는 물받이본체(261) 내부에 수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필터(263)는 상기 제2유로(326)와 접촉하도록 장착하여 상기 제2유로(326)를 통해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유로(315)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유로(322)를 통해 상기 물받이부(260)로 유입되고, 이는 다시 상기 제2유로(326)를 통해 상기 개폐수단(400)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클립부(100)의 하면에는 상기 받 침부(320)의 상면과 접하는 제1가스켓(450)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물받이뚜껑(262)에는 상기 받침부(320)의 하면과 접하는 제2가스켓(21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가스켓(450)에는 상기 상부고정돌기(325)가 삽입되는 흡입공(4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가스켓(210)에는 상기 하부고정돌기(327)가 삽입되는 하부삽입공(2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320)의 상면과 상기 제1클립부(100)에 장착되는 상기 제1가스켓(450)의 하면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320)의 하면과 상기 제2가스켓(210)의 상면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받침부(320)의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상기 제1가스켓(450)의 하면 및 제2가스켓(210)의 상면도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가스켓(450)과 받침부(320) 및 상기 제2가스켓(210)과 받침부(320)는 각각 상호 면접촉을 하도록 한다.
상기 제1클립부(100)에는 상기 노즐(30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상기 개폐수단(400)이 장착되는데, 상기 개폐수단(4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하우징(410), 개폐부(430), 스프링(440), 상부가스켓(420) 및 제1가스켓(4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하우징(410)의 상부에는 배출공(425)이 형성된 상부가스켓(420)이 장착되고, 하부에는 상기 흡입공(455)이 형성된 제1가스켓(45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430)는 상기 상부가스켓(420)과 접촉하여 상기 배출공(425)을 개폐하고, 상기 스프링(440)은 상기 개폐부(430)와 제1가스켓(450) 사이에 장착되 어 상기 개폐부(430)에 탄성력을 부가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430)가 외력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상기 스프링(440)을 누르면서 이동하면 상기 배출공(425)은 개방되고, 자유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4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430)가 상기 배출공(425)을 폐쇄한다.
상기 노즐(300)과 개폐수단(400)은 상방향으로 제2유로(326)가 형성된 상기 상부고정돌기(325)가 상기 흡입공(455)에 삽입되고, 하방향으로 제1유로(322)와 제2유로(326)가 형성된 상기 하부고정돌기(327)가 상기 하부삽입공(215)에 삽입되어 상호 연통하게 되며, 상기 개폐부(430)의 개폐에 의해 상기 노즐(300)은 외부와 연통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클립부(200)의 상면 양측에는 체결돌기(230)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돌기(230)의 중간부위는 상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체결돌기(230)의 중간부위에 단차부를 형성하였다.
상기 제1클립부(100)의 양측에는 상기 체결돌기(230)가 삽입되는 삽입공(1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클립부(100)의 양측에는 상기 체결돌기(230)를 상기 제1클립부(100)에 고정시키는 상기 록킹부(500)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록킹부(500)는 슬라이더(510)와, 커버(520)로 이루어진다.
도 10에서 상기 제1클립부(100)의 왼쪽은 슬라이더(510)와 커버(520)를 모두 제거한 상태이고, 오른쪽은 커버(520)만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510)에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51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더(51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될 경우 상기 체결공(511)이 상기 체결돌기(2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게 된다.
상기 체결공(511)은, 상기 체결돌기(230)의 상부지름보다 큰 관통공(512)과, 상기 관통공(512)에서 상기 슬라이더(510)가 슬라이딩되는 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길게 연통되어 형성된 걸림공(51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걸림공(513)은 상기 체결돌기(230)의 상부 지름보다 작되 상기 체결돌기(230)의 중간부위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도록 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510)를 이동시켜 상기 체결돌기(230)의 중간부위를 상기 걸림공(513)에 삽입하면, 상기 체결돌기(230)의 상부의 지름이 상기 걸림공(513)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체결돌기(230)의 상부가 상기 걸림공(513)에 걸려 상기 체결돌기(230)가 아래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510)의 상면에는 손잡이부(5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클립부(100)의 양측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더(510)가 안착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한 안착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클립부(100)에 형성되는 삽입공(130)은 상기 안착홈(120)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30)의 하부에는 제3가스켓(140)이 장착되며, 상기 제2클립부(200)에서 상기 체결돌기(230)의 외주면에는 제4가스켓(240)이 장착되어, 상기 제1클립부(100)와 제2클립부(200)가 접촉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 입공(130)과 체결돌기(230)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밀폐시키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510)에는 상기 제2클립부(200)의 측면지지판(250) 방향으로 결합돌기(51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클립부(100)의 양측면 및 상기 측면지지판(250)에는 상기 결합돌기(516)가 삽입되는 결합공(155,25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512)과 걸림공(513) 중 상기 관통공(512)이 상기 결합돌기(516)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510)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결합돌기(516)를 상기 결합공(155,255)에 삽입할 때 동시에 상기 체결돌기(230)는 상기 관통공(512)에서 걸림공(513)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520)는 상기 슬라이더(510)를 덮으면서 상기 안착홈(12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는 상기 손잡이부(518)가 삽입 배치되는 슬라이딩공(525)이 형성되어 있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518)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518)를 잡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클립부(100)의 후방에는 상부가압고무(190)가 장착되고, 상기 제2클립부(200)의 후방에는 상기 상부가압고무(190)가 안착되는 가압홈(29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가압고무(190)와 가압홈(290)은 상기 노즐(3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진공포장지(600)의 개구부를 가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가압고무(190)는 하부가 양측으로 경사지게 분리되어 있어 가압시 변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압홈(290)은 약간 오목하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가압고무(190)가 안착될 때 그 위치를 잡아주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진공클립장치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6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에 인접하게 폐곡선을 그리는 연통공(610)과 고정공(6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공(6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300)의 상부고정돌기(325)와 하부고정돌기(327)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받침부(320)에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 연통공(610)의 크기는 상기 제1가스켓(450) 및 제2가스켓(210)의 크기보다 작도록 한다.
또한, 고정공(620)은 상기 체결돌기(230)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고정공(620)의 크기는 상기 제3가스켓(140) 및 제4가스켓(240)의 크기보다 작도록 하며,
따라서, 상기 제1클립부(100)를 닫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공(610)은 상기 제1가스켓(450)과 받침부(320)의 상면 및 상기 제2가스켓(210)이 받침부(32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어 밀착되고, 상기 고정공(620)은 상기 제3가스켓(140)과 제4가스켓(240) 사이에 배치되어 밀착됨으로서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클립부(200)의 후방에는 걸림턱(28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클립부(100)의 후방에는 걸림돌기(1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80)은 상방향으로 돌출된 걸림지지부(281,282)와, 상기 걸림지지부(281,282)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판(283)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지지부(281,282)를 전후방향으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두 개 형성하였고, 그 사이를 상기 걸림판(283)이 연결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걸림지지부(281,282) 중 전방에 형성된 걸림지지부(282)는 상기 걸림판(283)의 폭보다 작게 형성한다.
상기 걸림돌기(180)는 상기 제1클립부(100)의 후방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클립부(100)와 제2클립부(200)를 결합하면,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80) 사이에 상기 걸림턱(280)이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클립부(100)를 회전하여 닫을 경우, 상기 걸림돌기(180)는 상기 걸림턱(280)의 걸림판(283) 하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1클립부(100)를 더 회전하여 닫으면 상기 걸림돌기(180)는 상기 걸림판(283)의 하부에 접하면서 상기 걸림판(283)을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도록 한다.
이하,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클립부(100)를 회전하여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300)을 제2클립부(200)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노즐(300)을 도 14에 도시된 상기 진공포장지(600)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하고, 상기 노즐(300)의 상부고정돌기(325)와 하부고정돌기(327)를 각각 상기 진 공포장지(60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연통공(61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노즐(300)의 상부고정돌기(325)와 하부고정돌기(327)가 각각 상기 진공포장지(600)의 연통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돌기(327)를 상기 제2가스켓(210)에 형성된 하부삽입공(215)에 삽입 장착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300)과 물받이부(260)는 상호 연통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포장지(600)의 연통공(61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공(620)을 상기 제2클립부(20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체결돌기(230)에 삽입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상기 진공포장지(600)는 상기 상부고정돌기(325), 하부고정돌기(327) 및 체결돌기(230)에 걸리게 되는바, 상기 진공포장지(600)는 회전됨이 없고 상기 진공클립장치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포장지(600)의 개구부는 상기 제1클립부(100)와 제2클립부(200)의 후방에 형성된 상부가압고무(190)와 가압홈(29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클립부(100)를 회전시켜 닫으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제2유로(326)가 형성된 상기 상부고정돌기(325)는 상기 제1가스켓(450)의 흡입공(455)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포장지(600)의 내부는 상기 노즐(300)과 물받이부(260)를 통해 상기 개폐수단(400)과 연통되게 된다.
즉, 상기 노즐(300)의 삽입부(310)에 형성된 흡입유로(315)는 상기 받침부(320)의 내부에 형성된 제1유로(322)를 통해 상기 물받이부(260)와 연통되고, 상기 물받이부(260)는 상기 상부고정돌기(325)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유로(326)를 통해 상기 개폐수단(400)과 연통되는바, 상기 진공포장지(600) 내부는 상기 노즐(300) 및 물받이부(260)를 통해 상기 개폐수단(400)과 연통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연통공(610)은 상기 제1가스켓(450)과 받침부(320)의 상면 사이와, 상기 제2가스켓(210)과 받침부(32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어 압박되는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연통공(6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스켓(450)의 하면, 받침부(320)의 상면 및 하면, 제2가스켓(210)의 상면이 모두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유로(315)가 상기 받침부(320)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가스켓(450), 받침부(320) 및 제2가스켓(210)의 사이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더욱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320)는 경질(硬質)로 이루어져 진공시 상기 받침부(320)의 표면이 내부에 형성된 흡입유로(315)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230)는 상기 삽입공(130) 및 관통공(512)에 삽입되고, 상기 제3가스켓(140)과 제4가스켓(240)은 상호 접하여 내측과 외측의 공기유통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진공포장지(600)의 개구부는 상기 상부가압고무(190)와 가압홈(290)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되는바, 개구부를 통해 공기가 진공포장지(600)의 내 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클립부(100)의 후방에 형성된 걸림돌기(180)는 상기 제1클립부(10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클립부(200)의 후방에 형성된 걸림턱(280)에 삽입되게 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180)는 상기 걸림턱(280)이 걸림판(283) 하부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클립부(100)를 상기 제2클립부(200)와 완전히 닿도록 더 회전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80)는 상기 걸림판(283)을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클립부(100)와 제2클립부(200)의 후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a)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230)가 상기 슬라이더(510)의 관통공(5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3(b)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더(510)의 손잡이부(518)를 잡고 상기 슬라이더(510)를 측방향으로 밀면, 상기 체결공(511)의 이동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230)는 상기 관통공(512)에서 상기 걸림공(513)에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돌기(230)의 상부는 지름이 작은 상기 걸림공(513)에 걸려 상기 제1클립부(100)와 제2클립부(200)가 잠기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510)가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516)는 상기 제1클립부(100) 및 제2클립 부(200)의 측면지지판(250)에 형성된 결합공(155,255)에 삽입하게 되어, 상기 체결돌기(230) 및 걸림공(513)과 더불어 상기 제1클립부(100)와 제2클립부(200)를 한번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종래에 공지된 진공펌프가 장착되고 흡입호스를 갖는 진공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호스를 상기 배출공(425)에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흡입호스의 삽입에 의해 상기 개폐부(430)는 스프링(440)을 아래로 누르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노즐(300)의 흡입유로(315)와 배출공(425)은 상호 연통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펌프를 작동시키면 상기 진공포장지(6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노즐(300)에 형성된 흡입유로(315)를 따라 상기 제1유로(322)를 거쳐 상기 물받이부(260)에 유입되고, 이는 상기 제2유로(326)를 통해 상기 개폐수단(400)으로 유입되며, 이는 다시 상기 배출공(425)을 통해 진공펌프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진공포장지(600)를 진공시키면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유동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물받이부(260)에 의해 수납되게 되어 상기 개폐수단(400)을 거쳐 진공펌프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유로(326)에는 상기 제1필터(263)가 접촉되어 있는바, 상기 물받이부(260)로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제2유로(326)를 통해 개폐수단(400)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물받이부(260)에 수납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후에 상기 물받이부(260)를 제2클립부(200)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하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물받이부(260)는 상기 제2클립부(200)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진공포장지(600)의 진공이 완료되면 상기 진공장치의 흡입호스를 상기 배출공(425)으로부터 빼낸다.
그러면, 상기 스프링(4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430)는 상기 배출공(425)을 폐쇄하게 되어 상기 진공포장지(600) 내부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진공포장지(600)는 상기 진공클립장치가 물린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진공포장지(600) 내부의 음식물 등을 다시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막대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개폐부(430)를 누르면 상기 배출공(425)을 통해 상기 진공포장지(6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진공이 해제되고, 그 후 상기 록킹부(500)를 해제하고 상기 제1클립부(100)를 회전 개방하여 진공포장지(600) 내부의 음식물을 빼내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진공포장지(600)는 열봉합됨이 없이 가압되어 밀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진공포장지(600)를 차후에 다시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1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클립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D-D선을 취하여 본 단면 도이고, 도 1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노즐커버의 도면이고, 도 2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노즐하우징의 도면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노즐(700)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노즐(700)은, 진공포장지에 삽입되는 삽입부(710)와, 상기 삽입부(7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클립부(100)의 하면 및 상기 제2클립부(200)의 상면과 접하는 받침부(7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노즐(700)은 상기 삽입부(710)와 받침부(720)를 상하방향으로 분리하여 노즐커버(740)와 노즐하우징(730)으로 분리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노즐(700)은 노즐커버(740)와 노즐하우징(73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결합한 상태에서 노즐(700)의 전방은 진공포장지(600)에 삽입되는 삽입부(710)가 되고 후방은 받침부(720)가 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부(710)에는 흡입유로(715,735)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 제2필터(750)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720)에는 상기 삽입부(710), 물받이부(800) 및 개폐수단(400)을 상호 연통시키는 제3유로(72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3유로(72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물받이부(800)와 개폐수단(400)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3유로(722)와 상기 흡입유로(715,735)가 연통되어 상기 삽입부(710)와 상기 물받이부(800) 및 개폐수단(400)과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흡입유로(715,735)는 상기 노즐커버(740)의 하부와 노즐하우징(730)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3유로(722)는 상기 노즐커버(740)의 상방향과 하방향에 각각 형성된 상부고정돌기(725)와 하부고정돌기(727)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하우징(730)에는 상기 제2필터(750)가 내장되기 위한 수용공간과 상기 하부고정돌기(727)가 삽입 고정되기 위한 삽입고정부(7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포장지(6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노즐하우징(730)에 형성된 흡입유로(735)를 통해 상기 삽입부(710)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은 상기 삽입부(710)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상기 제2필터(750)에 의해 필터링하게 된다.
이렇게 제2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노즐커버(740)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유로(715)를 거쳐 상기 제3유로(722)로 유입되어 상기 개폐수단(400)으로 이동하고, 이때 상기 제2필터(750)에서 필터링하지 못한 이물질은 상기 제3유로(722)를 통해 상기 받침부(7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물받이부(800)에 수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물받이부(800)는 제1실시예에서 서술한 물받이부(260)와 동일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단순하게 제1실시예에서의 제2가스켓으로 물받이부(8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물받이부(800)는 상면이 상기 받침부(720)의 하부와 면접촉하는 가스켓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그외 다른 구성 및 작동방법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인 진공클립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진공클립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진공포장지를 밀봉하는 진공클립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진공포장지를 완전하게 밀봉하여 보다 장시간 진공보관을 할 수 있다.
또한, 진공포장지를 열봉합하지 않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부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수용하기 때문에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물받이부 및/또는 노즐의 삽입부에 필터를 장착함으로서 이물질을 미연에 필터링할 수 있다.

Claims (8)

  1. 제1클립부와;
    상기 제1클립부와 결합되어 진공포장지의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밀봉시키는 제2클립부와;
    상기 제1클립부와 제2클립부 사이에 배치되어 진공포장지에 삽입되는 노즐과;
    상기 제1클립부에 장착되어 상기 노즐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폐수단과;
    상기 제2클립부에 장착되어 상기 노즐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납하는 물받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은,
    상기 진공포장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클립부의 하면 및 상기 제2클립부의 상면과 접하는 받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의 상면은 상기 제1클립부에 장착되는 상기 개폐수단에 접하고, 상기 받침부의 하면은 상기 제2클립부에 장착되는 상기 물받이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물받이부를 연통시키는 제1유로와; 상기 물받이부와 상기 개폐수단을 연통시키는 제2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의 내부에는 제1필터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의 내부에는 제1필터가 장착되되,
    상기 제1필터는 상기 제2유로와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삽입부와 물받이부와 개폐수단을 상호 연통시키는 제3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는 제2필터가 장착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제2필터와 연통되는 흡입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필터는 상기 제3유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7. 제 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립부의 후방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클립부의 후방에는 상기 제1클립부가 닫힐 경우 상기 걸림턱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방향으로 돌출된 걸림지지부와, 상기 걸림지지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2클립부 회전시 상기 걸림판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클립장치.
KR2020070009388U 2007-04-23 2007-06-08 진공클립장치 KR200441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388U KR200441425Y1 (ko) 2007-06-08 2007-06-08 진공클립장치
PCT/KR2008/002242 WO2008130171A1 (en) 2007-04-23 2008-04-21 Vacuum clip apparatus and vacuum pack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388U KR200441425Y1 (ko) 2007-06-08 2007-06-08 진공클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425Y1 true KR200441425Y1 (ko) 2008-08-18

Family

ID=4164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388U KR200441425Y1 (ko) 2007-04-23 2007-06-08 진공클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4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223B1 (ko) 진공보관용 지퍼백의 체크밸브
US20050223682A1 (en) Vacuum sealer
KR200441425Y1 (ko) 진공클립장치
KR100852635B1 (ko)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KR100500961B1 (ko) 잠금기능과 진공해제작업이 동시 수행이 가능한 진공포장기
KR200425464Y1 (ko) 상하 슬라이딩식 진공포장기
KR200430481Y1 (ko) 클립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200389424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200443269Y1 (ko) 진공클립장치
KR100853751B1 (ko) 진공 포장기
KR100956438B1 (ko)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JP7111409B2 (ja) 両辺押圧型の真空鮮度保持ケース
KR200438382Y1 (ko) 진공클립장치
KR200389425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200432418Y1 (ko) 진공포장기
KR100648598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KR200441502Y1 (ko) 클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형 진공보관장치
KR100519400B1 (ko) 압축수납팩과 그 제조방법
KR200441422Y1 (ko) 진공클립장치
KR200441423Y1 (ko)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KR200393768Y1 (ko) 가스켓부가 착탈가능한 진공포장기
KR100464661B1 (ko)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KR20100004379A (ko) 펌프부재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클립장치
KR20080001232U (ko) 진공개폐밸브 및 수납형 진공보관장치
KR200446241Y1 (ko)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