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587A - 수액팩용 밀봉캡 - Google Patents

수액팩용 밀봉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587A
KR20090003587A KR1020070066339A KR20070066339A KR20090003587A KR 20090003587 A KR20090003587 A KR 20090003587A KR 1020070066339 A KR1020070066339 A KR 1020070066339A KR 20070066339 A KR20070066339 A KR 20070066339A KR 20090003587 A KR20090003587 A KR 20090003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ealing
cover member
sealing cap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2238B1 (ko
Inventor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이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연 filed Critical 이수연
Priority to KR1020070066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238B1/ko
Publication of KR2009000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수액팩용 밀봉캡이 개시된다. 본 수액팩용 밀봉캡은 수액 팩으로 인입 고정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 1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제 2 고정부가 형성되는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을 복개하여 밀봉하도록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에 끼워지는 밀봉 부재와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본체에 가압 고정되도록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본체를 고정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와 커버 부재의 접촉면의 틈새를 통하여 수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 부재가 사출 성형되어 상기 접촉면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액팩용 밀봉캡에 의하면, 기밀성이 향상되어 수액이 외부로 누출되지않게 되므로 제품의 신뢰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수액팩, 밀봉캡,

Description

수액팩용 밀봉캡{SEALING CAP OF AN INFUSION SOLUTION PAC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액팩용 밀봉캡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액팩용 밀봉캡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액팩용 밀봉캡의 각 구성품들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액팩용 밀봉캡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본체 26b : 충진부
28 : 걸림턱 30 : 밀봉 부재
40 : 커버 부재 42 : 끼움부
44 : 걸림돌기
본 발명은 수액팩용 밀봉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봉 부재와 커버부재의 접촉되는 면이 접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커버 부재가 밀봉 부재와 동일한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기밀성 및 견고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수액팩용 밀봉캡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액용 비닐팩에는 식염수, 영양제, 포도당 및 증류수와 같은 수액을 넣어 외부와 차단된 채로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그 수액용 비닐팩의 일측에 돌출된 주입구에는 수액용 밀봉캡이 설치된다. 그 밀봉캡에는 주사 바늘을 꽂아 수액을 비닐팩 내부로 주입시키고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수액팩의 밀봉캡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액팩용 밀봉캡의 결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캡(100)은 본체(120), 밀봉부재(130) 및 커버부재(140)가 구비된다.
본체(120)의 상면에는 제 1 고정홈(112)이 형성된다. 제 1 고정홈(112)의 인접된 위치의 본체(120)의 외측면 둘레에는 걸림환부(114)가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다.
밀봉 부재(130)는 본체(120)의 상면에 얹혀진다. 밀봉 부재(130)의 저면에는 본체(120)의 상단부가 소정 깊이로 끼워지기 위한 제 2 고정홈(132)이 형성된다.
중공의 커버 부재(140)의 내측에는 밀봉 부재(130)의 제 2 고정홈(132)에 끼우기 위한 상부 끼움부(142)와 제 1 고정홈(112)에 끼우기 위한 하부 끼움부(142a)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커버 부재(140)의 하부 끼움부(142a)가 형성된 하부에는 제 3 고정홈(144)이 형성된다. 커버 부재(140)의 하부에는 제 3 고정홈(144)과 연이어 본체(120)의 걸림환부(114)의 걸림홈부(148)가 형성된다. 커버 부재(140)의 중공 내벽 상부에는 상부 끼움부(142)와 인접 위치에 밀봉 부재(130)의 제 4 고정홈(146) 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밀봉캡(100)은 커버 부재(140)의 사출시 본체(120)의 제 1 고정홈(112)의 깊이가 깊게 형성되어 제 1 고정홈(112)에 사출충진되는 커버부재(140)가 덜 충진되어 기밀이 유지되지 않는 불량품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밀봉캡(100)은 120°C 온도로 30분간 멸균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밀봉 부재(130)의 부피 팽창으로 인하여 밀봉부재(130)와 커버 부재(140)의 접촉하는 면에 간극이 발생하여 기밀이 유지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수액이 외부로 누출되지않도록 밀폐하는 수액팩용 밀봉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액 팩으로 인입 고정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 1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제 2 고정부가 형성되는 중공의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을 복개하여 밀봉하도록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 정부에 끼워지는 밀봉 부재;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본체에 가압 고정되도록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본체를 고정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와 커버 부재의 접촉면의 틈새를 통하여 수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 부재가 사출 성형되어 상기 접촉면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팩용 밀봉캡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액팩용 밀봉캡에 의하면 수액이 외부로 누출되지않으므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액팩용 밀봉캡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수액팩용 밀봉캡의 결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수액팩용 밀봉캡의 각 구성품들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액팩용 밀봉캡은 본체(20), 밀봉 부재(30) 및 커버 부재(40)로 구성된다.
본체(20)의 일측 끝단에는 수액팩의 일측에 인입 고정되어 수액팩의 내부와 연통되는 인입구(22)가 형성된다. 인입구(22)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 1 고정부(24)가 형성된다. 제 1 고정부(24)는 본체(20)의 상부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1 고정부(24)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제 2 고정부(26)가 형성된다. 제 2 고정부(26)는 제 1 고정부(24)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고정부(26)의 내주면에는 밀봉 부재(30)가 내설되어 안착되는 안착홈(26a)과 커버 부재(40)의 사출시 밀봉 부재(30)와 커버 부재(40)의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충진부(26b)가 형성된다. 즉, 제 2 고정부(26)의 내주면을 따라 단차지게 안착홈(26a)과 충진부(26b)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체(20)의 재질은 PC, PP를 포함하여 고분자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밀봉 부재(30)는 본체(20)의 상면을 복개하여 밀봉하는 것으로, 그 재질은 PE 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저면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홈(32)이 형성되어 본체(20)의 제 1 고정부(24) 끝단에 끼워진다. 가장자리영역은 제 2 고정부(26)에 내설되어 안착홈(26a)에 안착된다.
커버 부재(40)는 밀봉 부재(30)의 상면 일부와 본체(20) 외주면 상부영역을 감싸서 밀봉 부재(30)와 본체(20)를 고정하는 것으로, 밀봉 부재(30)와 커버 부재(40)의 접촉면이 접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사출성형되어 내측하향으로 끼움부(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부재(40)는 밀봉 부재(30)와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밀봉 부재(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PE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20)의 외주면과 접하는 커버 부재(40)의 내주면에는 커버 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8)과 걸림돌기(44)가 형성된다. 걸림턱(28)은 본체(20)의 외주면에서 내측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요입되어 형성된다. 걸림돌기(44)는 걸림턱(28)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커버 부재(40)의 내주면 형성된다.
한편, 본체(20)와 밀봉 부재(30)의 접촉 면에는 밀봉효과를 높이도록 PE, PP, ETFE 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수지가 라미네이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액팩용 밀봉캡의 제작 과정 및 그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액팩용 밀봉캡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캡의 본체(20)는 하부금형(미도시)에 설치된다. 본체(20)의 상면에는 밀봉 부재(30)가 얹혀져 설치된다. 본체(20)와 밀봉 부재(30)의 접촉면에는 밀봉효과를 높이도록 PE, PP, ETFE 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수지가 라미네이팅된다. 이후, 하부금형의 상부에 도시되지 않은 상부금형을 설치한다. 이어서 상부금형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플라스틱을 가열하여 용융상태로 만든 후 피스톤으로 투입구를 통해서 상부금형 속으로 사출하여 성형한다.
이때, 밀봉 부재(30)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접합되어 커버 부재(40)와 밀봉 부재(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용융상태의 수지가 충진부(26b)에 충진되어 형성된 끼움부(42)가 충진부(26b)에 안착되어 커버 부재(40)와 밀봉 부재(30)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더욱 견고하게 접합된다.
이와 같이, 밀봉 부재(30)와 커버 부재(40)의 접촉면이 접합되고, 본체(20)와 밀봉 부재(30)의 접촉면이 라미네이팅(L)되어 밀봉 캡의 밀봉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본체(20)의 걸림턱(28)에 커버 부재(40)의 내주면 하단영역에 걸림돌 기(44)가 경사지게 성형되어 커버 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액팩용 밀봉캡은 밀봉 부재와 커버 부재의 접촉면이 접합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수액이 외부로 누출되지않게 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수액 팩으로 인입 고정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 1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제 2 고정부가 형성되는 중공의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을 복개하여 밀봉하도록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에 끼워지는 밀봉 부재;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본체에 가압 고정되도록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본체를 고정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와 커버 부재의 접촉면의 틈새를 통하여 수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 부재가 사출 성형되어 상기 접촉면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팩용 밀봉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의 접촉면이 넓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제 2 고정부의 상단영역에 충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팩용 밀봉캡.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상부내면에 하향의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팩용 밀봉캡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PP(polypropylene)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는 PE(polyethylene)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팩용 밀봉캡.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둘레의 외측면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에는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팩용 밀봉캡.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팩용 밀봉캡.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밀봉 부재의 접촉면에는 PE, PP, ETFE 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수지가 라미네이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팩용 밀봉캡.
KR1020070066339A 2007-07-03 2007-07-03 수액팩용 밀봉캡 KR100892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339A KR100892238B1 (ko) 2007-07-03 2007-07-03 수액팩용 밀봉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339A KR100892238B1 (ko) 2007-07-03 2007-07-03 수액팩용 밀봉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587A true KR20090003587A (ko) 2009-01-12
KR100892238B1 KR100892238B1 (ko) 2009-04-09

Family

ID=4048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339A KR100892238B1 (ko) 2007-07-03 2007-07-03 수액팩용 밀봉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886A (ko) 2018-12-15 2020-06-24 박철수 Np복합사의 구조를 이용한 해수 발전기 및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3037B2 (ja) * 2000-06-20 2010-06-16 味の素株式会社 医療用液体を封入する樹脂製容器及びポート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886A (ko) 2018-12-15 2020-06-24 박철수 Np복합사의 구조를 이용한 해수 발전기 및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238B1 (ko)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0084B2 (ja) 容器の追加混合閉鎖装置
KR102111177B1 (ko) 음료를 만들기 위한 시스템
KR100457603B1 (ko) 수액용기용마개체및그제조법
US20160362247A1 (en) Capsule For Beverages
BRPI0908827B1 (pt) tampa de fechamento, método para produção de uma tampa de fechamento, e, recipiente termoplástico
US20120118894A1 (en) Plastic cap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080262466A1 (en) Storage container
CN102686139A (zh) 真空清洁器过滤袋用的保持板
KR200479685Y1 (ko) 플립형 스포츠 병뚜껑 및 해당 병뚜껑을 포함하는 물저장 용기
JP5832042B2 (ja) 薬液容器
KR100892238B1 (ko) 수액팩용 밀봉캡
KR200308933Y1 (ko) 수액팩용 밀봉캡
JP5310831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200424083Y1 (ko) 수액팩용 밀봉 캡 및 그것을 제조하는 금형
KR20180077155A (ko) 강화 장치를 가진 용기
CN102627176B (zh) 用于制备饮料的分份盒
JP6960332B2 (ja) 医療用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TWI637741B (zh) 蓋體
KR100746773B1 (ko) 주사제용 수액용기의 제조방법
KR200419772Y1 (ko) 수액용 팩의 주입구 밀봉 캡
KR200347050Y1 (ko) 수액팩용 밀봉캡
KR100501458B1 (ko) 수액팩용 주입구 밀봉캡 및 그 제조방법
JP2005073839A (ja) 医療用キャップ
JPH09290437A (ja) 中空樹脂製品
JP6950146B2 (ja) 口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