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556A -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및 이를 채용한 금속판재 양면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및 이를 채용한 금속판재 양면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556A
KR20090003556A KR1020070066290A KR20070066290A KR20090003556A KR 20090003556 A KR20090003556 A KR 20090003556A KR 1020070066290 A KR1020070066290 A KR 1020070066290A KR 20070066290 A KR20070066290 A KR 20070066290A KR 20090003556 A KR20090003556 A KR 20090003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metal sheet
conveyor
cutter
upp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4847B1 (ko
Inventor
이한근
김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Priority to KR1020070066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84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8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3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endless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판재 양면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금속판재를 공급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상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상면 가공기; 상기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가공기; 상기 상면 가공기와 하면 가공기 사이에 금속판재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가공완료된 금속판재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 가공기는,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커터; 상기 하면 커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상면과 접촉하여 금속판재를 이송시키는 상부 컨베이어; 및 상기 상부 컨베이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금속판재를 뒤집지 않고 금속판재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을 연속하여 가공할 수 있게 된다.
금속, 절삭, 밀링, 커터, 양면

Description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및 이를 채용한 금속판재 양면 가공장치{Machine for processing lower side of metal plate and apparatus adopting the same}
본 발명은 금속판재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판재를 뒤집거나 별도로 옮기지 않고도 금속판재의 상,하면을 연속적으로 절삭할 수 있는 금속판재 양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판재는 바이스를 비롯한 고정수단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절삭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 제296088호에서 마그네틱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금속판재를 이송시키면서 평면가공을 하는 밀링머신을 개시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밀링머신은 금속판재의 일면, 즉 상면만을 가공하는 것이므로, 만약 금속판재 양면 즉, 상면과 하면을 모두 가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단 금속 판재를 밀링머신에 투입하여 상면을 먼저 가공한 다음에 금속판재를 뒤집어서 다시 동일한 장치에 투입하고 타측면(하면)을 가공하였다. 이에 따라 금속판재를 일일이 뒤집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투여되는 인력도 증가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금속판재의 하중으로 인해 뒤집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칫 안전사고를 유발할 위험마저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정상적인 상태로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가공할 수 있는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러한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를 채용함으로써 금속판재를 뒤집을 필요없이 상,하 양면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금속판재 양면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는,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커터; 상기 하면 커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상면과 접촉하여 금속판재를 이송시키는 상부 컨베이어; 상기 상부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상부 컨베이어 구동부; 및 상기 상부 컨베이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상부 컨베이어가 결합되는 컨베이어 지지체와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나사부가 형성된 스크류너트부; 상기 스크류너트부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볼스크류; 및 상기 볼스크류를 축회전시키는 볼스크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커터; 상기 하면 커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상면과 접촉하여 금속판재를 이송시키는 상부 컨베이어; 상기 상부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상부 컨베이어 구동부; 및 상기 하면 커터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하면 커터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컨베이어가 결합되는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를 포함하되, 상기 종동풀리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끝단부가 상기 종동풀리에 결합된 실린더로드를 포함하는 실린더이고,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의 폭이 조절됨으로써 상부 컨베이어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판재를 자력에 의해 지지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금속판재를 공급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상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상면 가공기; 상기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가공기; 상기 상면 가공기와 하면 가공기 사이에 금속판재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가공완료된 금속판재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 가공기는,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커터; 상 기 하면 커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상면과 접촉하여 금속판재를 이송시키는 상부 컨베이어; 및 상기 상부 컨베이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금속판재 양면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금속판재를 공급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상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상면 가공기; 상기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가공기; 상기 상면 가공기와 하면 가공기 사이에 금속판재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가공완료된 금속판재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 가공기는,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커터; 상기 하면 커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상면과 접촉하여 금속판재를 이송시키는 상부 컨베이어; 및 상기 하면 커터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하면 커터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금속판재 양면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판재 양면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판재 양면 가공장치에 의하면, 금속판재를 뒤집지 않고 상면과 하면을 가공할 수 있어 인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공정에 의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특히 금속판재의 하면 가공시에는 가공된 칩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칩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칩 제거 공정 없이 가공공정을 신속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재 양면 가공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재 양면 가공장치는, 피가공물인 금속판재(1)를 공급하는 투입부(400), 상기 투입되는 금속판재(1)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평면 절삭하여 가공하는 상면 가공기(200) 및 하면 가공기(100), 상기 상면 가공기(200)와 하면 가공기(100) 사이에 금속판재(1)를 이동시키는 이송부(300), 및 가공된 금속판재(1)가 배출되는 배출부(500)를 포함한다.
가공되는 금속판재(1)는 상기 투입부(400)로부터 상면 가공기(200)로 투입되고, 상면 가공기(200)에 의해 가공된 금속판재(1)는 이송부(300)를 거쳐 하면 가공기(100)로 투입되며, 하면 가공기(100)에서 가공된 금속판재(1)는 최종적으로 배출부(500)로 배출된다.
상기 투입부(400)는 금속판재(1)를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판재(1)를 이송하는 이송롤러(미도시)와 같은 통상적인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가공기(200)는 투입되는 금속판재(1)의 상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것으로서, 금속판재(1)의 상면과 맞닿아 평면 절삭하는 상면 커터(210), 상기 금속판재(1)의 하면과 접촉하여 금속판재(1)를 지지한 채로 이송시키는 하부 컨베이어(220), 상기 하부 컨베이어(220)를 구동시키는 하부 컨베이어 구동부(230), 및 상기 하부 컨베이어(220)를 무한궤도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컨베이어 지지체(2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면 커터(210)는 하부 컨베이어(220)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상면 커터(210)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금속판재(1)의 상면을 평면 절삭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0296088호에 개시된 내용과 동일하며 본 명세서에 인용되는 것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상면 커터의 수직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미도시)와, 상기 상면 커터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면 커터를 상하로 이송하여 금속판재의 절삭두께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컨베이어(220)의 외표면에 브러쉬(250)를 접촉되게 구비하여 금속판재(1)의 절삭시 발생한 칩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상면 가공기는 통상의 밀링머신에 사용되는 기술을 채용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송부(300)는 상면 가공기(200)에서 가공되어 배출되는 금속판재(1)를 하면 가공기(100)로 가이드한다. 이러한 이송부(300)는 이송롤러를 채용하는 통상적인 구성에 의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300)는 그 자체가 구동모터를 채용함으로써 능동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고, 또 다른 대안으로서 단순히 롤러만을 구비하여 금속판재(1)가 미끄러져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금속판재(1)를 이송시키는 구동력은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얻어질 것이다.
상기 배출부(500)는 하면 가공기(100)에서 가공되어 배출되는 금속판재(1)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것으로서 이 역시 이미 알려진 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정상 상면 가공기가 하면 가공기보다 우선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면 가공기가 상면 가공기보다 우선하여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면 가공기(100)는 금속판재(1)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그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면 가공기(100)는, 본체를 이루는 베이스(110), 금속판재(1)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커터(120), 및 상기 금속판재(1)의 상면과 접촉한 채로 금속판재(1)를 이송시키는 상부 컨베이어(131)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으로는 가공되는 금속판재(1)가 공급되며, 공급되는 금속판재(1)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롤러(도 2의 1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면 커터(120)는 복수의 절삭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구동모터(1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금속판재(1)의 하면을 절삭하게 된다.
상기 상부 컨베이어(131)는 상기 하면 커터(120)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구비되며 상부 컨베이어 구동부(132)에 결합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컨베이어 구동부(132)는 상부 컨베이어 지지체(133)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부 컨베이어(131)를 주행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컨베이어(131)는 투입되는 금속판재(1)의 두께에 따라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하로 승강가능하다. 상기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은 도 5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은, 상부 컨베이어 지지체(133)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너트부(141), 상기 스크류너트부(141)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볼스크류(142), 및 상기 볼스크류(142)를 축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볼스크류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너트부(141)는 미도시된 가이드에 의해 베이스(11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볼스크류(142)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볼스크류 구동부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142)가 구동되면, 나사결합에 따라 스 크류너트부(141)가 승강하게 된다.
상기 볼스크류 구동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스크류(142)에 구동벨트(143b)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43a), 볼스크류(142)의 축에 구비되는 피동풀리(143c), 및 구동벨트(143b)를 지지하는 아이들풀리(143d)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류너트부(141)와 볼스크류(142)는 상부 컨베이어 지지체(133)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한 쌍이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각각의 볼스크류(142)의 축에는 피동풀리(143c)가 각각 구비되고, 한 쌍의 피동풀리(143c)는 하나의 구동모터(143a)와 구동벨트(143b)에 의해 동시에 구동하게 된다.
비록 상기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은 본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었으나 이것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상기 상부 컨베이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기존의 다양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부 컨베이어 지지체(133)가 상하이동함에 따라 금속판재(1)의 두께에 맞게 상부 컨베이어(131)를 승강시켜 금속판재(1)의 상면에 적절하게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 대신에, 상기 하면 커터(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하면 커터 자체를 승강시키는 하면 커터 높이조절수단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면 커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하면 커터(120) 뿐만 아니라 하면 커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21)와 금속판재(1)를 지지하는 지지롤러(111)도 함께 승강되어야 한다. 이러한 하면 커터 높이조절수단의 구성은 전술한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과 대동소이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컨베이어 지지체(133)에는 금속판재(1)를 자력에 의해 지지할 수 있도록 자성체(미도시)가 내장되거나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자성체의 구성은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0296088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의 구성으로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100)는 상부 컨베이어 지지체(133)가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승할 때 요구되는 구동력을 보조하기 위한 밸런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런싱수단은 상기 상부 컨베이어 지지체(133)를 상부로 바이어스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단이 상부 컨베이어 지지체(133)에 연결된 체인(151), 상기 체인(151)을 지지하는 도르레 스프라켓(152), 및 상기 체인(151)의 타단에 매달린 채로 결합되어 있는 하중체(153)를 포함한다.
상기 밸런싱수단은 상부 컨베이어 지지체(133)를 도르레의 원리로 지지하여 위쪽으로 당김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컨베이어 지지체(133)가 상승할 때 적은 힘만으로도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밸런싱수단의 채용으로 인해 적은 힘에도 상부 컨베이어 지지체(133)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볼스크류(142)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볼스크류 구동부에 무리한 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볼스크류 구동부의 과도 한 동력이 필요없게 되어 저전력으로 장치를 운전할 수 있다.
상기 밸런싱수단은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상부 컨베이어 지지체(133)의 상승력을 보조하도록 바이어스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이 모두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는 상기 상부 컨베이어(131)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텐션조절수단의 구성은 도 8 내지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상부 컨베이어 지지체(133)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132)의 종동풀리(132a)를 이동시키는 실린더(161)로서, 상기 실린더(161)는 끝단부가 상부 컨베이어 구동부(132)의 종동풀리(132a)에 결합된 실린더로드(16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컨베이어 구동부(132)의 구동풀리(132b)는 그 위치가 고정되는 반면, 종동풀리(132a)는 실린더로드(162)와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를 구동하여 실린더로드(162)를 전진시키면 종동풀리(132a)가 움직이면서 구동풀리(132b)와 종동풀리(132a) 사이의 폭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 컨베이어(131)가 팽팽해짐으로써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컨베이어(131)의 장력을 조절하게 되면 상부 컨베이어(131)의 교체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컨베이어(131)의 외표면 에 브러쉬(170)를 접촉되게 구비하여 금속판재(1)의 절삭시 발생한 칩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를 채용하는 금속판재 양면 가공장치에 의해 금속판재의 양면을 가공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피가공물인 금속판재(1)는 투입부(400)를 통해 먼저 상면 가공기(200)로 투입된다. 그러면, 금속판재(1)는 그 하면이 상면 가공기(200)의 하부 컨베이어(220) 위에 지지된 채로 이송되면서, 상면 커터(210)에 의해 상면이 평면 절삭된다. 이때, 승강수단에 의해 상면 커터를 승강시킴으로써 상면 커터와 하부 컨베이어 사이의 간격을 금속판재(1)의 두께에 상응하도록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상면이 가공된 금속판재(1)는 이송부(300)를 통해 하면 가공기(100)로 가이드되어 운반된다.
상기 하면 가공기(100)에서는 투입된 금속판재(1)의 상면이 상부 컨베이어(131)와 접촉하는 동시에 하면은 지지롤러(도 2의 111)에 의해 지지된 채로 운반되며, 하면 커터(120)에 의해 하면이 평면 절삭된다. 이때, 하면 커터와 상부 컨베이어 사이의 간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하면 가공기(100)에 의해 금속판재(1)를 절삭할 경우 절삭에 의해 발생한 칩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자동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칩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분사수단 등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최종적으로, 하면 가공기(100)에 의해 하면이 가공된 금속판재(1)는 배출부(500)를 통해 배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재 양면 가공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의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의 구동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의 컨베이어 텐션조절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텐션조절수단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높이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면 가공기 110 : 베이스
120 : 하면 커터 131 : 상부 컨베이어
132 : 상부 컨베이어 구동부 133 : 상부 컨베이어 지지체
141 : 스크류너트부 142 : 볼스크류
143a : 구동모터 143b : 구동벨트
143c : 피동풀리 143d : 아이들풀리
151 : 체인 152 : 도르레 스프라켓
153 : 하중체 161 : 실린더몸체
162 : 실린더로드 170 : 브러쉬
200 : 상면 가공기 210 : 상면 커터
220 : 하부 컨베이어 230 : 하부 컨베이어
240 : 하부 컨베이어 지지체 250 : 브러쉬
300 : 이송부 400 : 투입부
500 : 배출부

Claims (8)

  1.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커터;
    상기 하면 커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상면과 접촉하여 금속판재를 이송시키는 상부 컨베이어;
    상기 상부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상부 컨베이어 구동부; 및
    상기 상부 컨베이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상부 컨베이어가 결합되는 컨베이어 지지체와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나사부가 형성된 스크류너트부;
    상기 스크류너트부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볼스크류; 및
    상기 볼스크류를 축회전시키는 볼스크류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3.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커터;
    상기 하면 커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상면과 접촉하여 금속판재를 이송시키는 상부 컨베이어;
    상기 상부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상부 컨베이어 구동부; 및
    상기 하면 커터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하면 커터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가 결합되는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를 포함하되, 상기 종동풀리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끝단부가 상기 종동풀리에 결합된 실린더로드를 포함 하는 실린더이고,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의 폭이 조절됨으로써 상부 컨베이어의 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를 자력에 의해 지지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7. 금속판재를 공급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상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상면 가공기;
    상기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가공기;
    상기 상면 가공기와 하면 가공기 사이에 금속판재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가공완료된 금속판재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 가공기는,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커터;
    상기 하면 커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상면과 접촉하여 금속판 재를 이송시키는 상부 컨베이어; 및
    상기 상부 컨베이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컨베이어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 양면 가공장치.
  8. 금속판재를 공급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상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상면 가공기;
    상기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가공기;
    상기 상면 가공기와 하면 가공기 사이에 금속판재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가공완료된 금속판재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 가공기는,
    투입되는 금속판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하면을 평면 절삭 가공하는 하면 커터;
    상기 하면 커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상면과 접촉하여 금속판재를 이송시키는 상부 컨베이어; 및
    상기 하면 커터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하면 커터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 양면 가공장치.
KR1020070066290A 2007-07-03 2007-07-03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및 이를 채용한 금속판재 양면가공장치 KR100894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290A KR100894847B1 (ko) 2007-07-03 2007-07-03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및 이를 채용한 금속판재 양면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290A KR100894847B1 (ko) 2007-07-03 2007-07-03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및 이를 채용한 금속판재 양면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556A true KR20090003556A (ko) 2009-01-12
KR100894847B1 KR100894847B1 (ko) 2009-04-24

Family

ID=4048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290A KR100894847B1 (ko) 2007-07-03 2007-07-03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및 이를 채용한 금속판재 양면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19B1 (ko) * 2012-03-02 2013-12-09 주식회사 성화에스티 표준금속플레이트 제조용 양면 연속 가공장치
KR101273023B1 (ko) * 2013-02-06 2013-06-10 김은희 원통형 정수 필터 절단기
KR102035452B1 (ko) 2019-04-08 2019-10-22 이기용 제품의 포지션 반전을 위한 플립 콘트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575A (ja) 1981-07-30 1983-02-07 Kenji Naito 履帯再生装置
JPH0392211A (ja) * 1989-09-02 1991-04-17 Shinko Kogyo Co Ltd プラスチック材などの端面加工装置
JPH07108530B2 (ja) * 1993-02-18 1995-11-22 中小企業事業団 製材品インサイジング装置の原料送込み機構
JP4027168B2 (ja) * 2002-07-03 2007-12-26 日清紡績株式会社 ワークの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847B1 (ko) 200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375B1 (ko) 레이저 파이프 절단장치
US20090152074A1 (en) Conveyor diverter
CN204603996U (zh) 一种改进型线条双侧边抛光机
KR100894847B1 (ko) 금속판재 하면 가공기 및 이를 채용한 금속판재 양면가공장치
JP2009248259A (ja) 面取り装置およびステンレススチール板の面取り方法
CN112976166A (zh) 木材智能横向锯切系统
EP1708850A1 (en) Grinding apparatus for treatment of a surface
CN111661614B (zh) 一种下料机构
JP2005533682A (ja) 石材切削装置
KR101259832B1 (ko) 리프트형 판유리 방향 전환장치
KR101583505B1 (ko) 면취장치
KR20090022535A (ko) 후판 자동 육면 면취기
KR100663397B1 (ko) 라미네이팅 자동화 장치
KR100700113B1 (ko) 도로경계석 모서리부 절삭장치
CN106966168A (zh) 一种稳定运输玻璃板的传送装置
KR101476697B1 (ko) 자동 버핑 장치
KR101469743B1 (ko) 석재 모서리 가공장치
JP2008150142A (ja) 給紙装置
JP3044441B2 (ja) 両面研削式ベルトサンダー機
CN204096691U (zh) 压辊浮动式片状木材自动分层输送机
CN219853899U (zh) 一种木板抛光机
CN112428130B (zh) 轮式圆钢抛光机
CN219443712U (zh) 一种切边机
JPH10109257A (ja) 板状体の研磨装置
KR100413564B1 (ko) 트리밍 기계의 타이어 공급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