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314U - 레벨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습식정화챔버 액체의 레벨을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레벨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습식정화챔버 액체의 레벨을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314U
KR20090003314U KR2020070016222U KR20070016222U KR20090003314U KR 20090003314 U KR20090003314 U KR 20090003314U KR 2020070016222 U KR2020070016222 U KR 2020070016222U KR 20070016222 U KR20070016222 U KR 20070016222U KR 20090003314 U KR20090003314 U KR 200900033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wet
liquid
chamb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6764Y1 (ko
Inventor
이인섭
김헌
문선용
Original Assignee
미래엔이티 주식회사
문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엔이티 주식회사, 문선용 filed Critical 미래엔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016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76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3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7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벨센서와 콘트롤 밸브를 구비하여 엘리미네이터를 구비한 정화처리챔버의 액체의 레벨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된 미립자와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습식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는, 바닥면에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로 유입된 배출가스가 출구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흐르도록 입구와 출구가 배치된 습식정화챔버와, 상기 습식정화챔버의 내부를 입구측 공간과 출구측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습식정화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배출가스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배치된 복수의 절곡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엘리미네이터와, 액체저장조와, 일단이 상기 배출 구멍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상기 액체저장조에 연결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연결된 콘트롤 밸브와, 상기 습식정화챔버에 설치된 레벨센서와, 상기 레벨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습식정화챔버 액체의 레벨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콘트롤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와, 상기 액체저장조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 상기 습식정화챔버의 입구측 공간으로 분무하도록 설치된 위한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가스, 습식정화장치, 엘리미네이터, 레벨센서, 콘트롤밸브

Description

레벨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습식정화챔버 액체의 레벨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WET TYPE SCRUBBER FOR EXHAUST GAS CAPABLE OF MAINTAINING LIQUID LEVEL OF CHAMBER}
본 고안은 유해한 배출가스를 습식으로 정화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벨센서와 콘트롤 밸브를 구비하여 엘리미네이터를 구비한 정화처리챔버의 액체의 레벨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된 미립자와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습식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4에는 종래의 배출가스를 습식으로 정화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배출가스 습식정화장치는, 정화처리챔버(10) 내에 설치된 엘리미네이터(11)의 전방에서 액체를 분무하여, 배출가스에 포함된 분진이나,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배출가스가 산성인 경우에는 배출가스를 중화처리하기 위한 NaOH와 같은 알카리성 용액을 분무하여 산성 배출가스를 중화처리하고, 엘리미네이터(11)에서 산성가스가 알카리 용액과 반응하여 생성된 염이나 분진을 제거하여 배출시킨다. 엘리미네이터(11)에서 분리된 분진이나 염은 수분과 함께 정화처리챔버(10)의 바닥에 설치된 배출관(21)을 통하여 액체저장조(20)로 낙하된 다. 액체저장조(20)에 낙하된 액체는 펌프(30)를 통하여 분사노즐(18)로 공급되어 재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출가스 습식 세정장치는, 드레인 배관이 정화처리챔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배출가스가 엘리미네이터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b 경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어서, 엘리미네이터에서의 정화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응축수나 액체의 분무에 의한 배출가스 내의 습기가 완전이 제거되지 않고서 배출되기 때문에 백필터와 같은 건식 정화설치를 후단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배출가스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는, 배출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입구와 처리된 배출가스가 유출되기 위한 출구를 구비하고, 바닥면에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로 유입된 배출가스가 출구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흐르도록 입구와 출구가 배치된 습식정화챔버와, 상기 습식정화챔버의 내부를 입구측 공간과 출구측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습식정화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배출가스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배치된 복수의 절곡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엘리미네이터와, 액체저장조와, 일단이 상기 배출 구멍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상기 액체저장조에 연결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연결된 콘트롤 밸브와, 상기 습식정화챔버에 설치된 레벨센서와, 상기 레벨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습식정화챔버 액체의 레벨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콘트롤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와, 상기 액체저 장조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 상기 습식정화챔버의 입구측 공간으로 분무하도록 설치된 위한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습식정화챔버 내부에 설치된 레벨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콘트롤밸브의 개폐를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습식정화챔버 내부의 액체의 레벨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시 엘리미네이터의 하부에 항상 일정한 양의 액체가 차있게 되어 엘리미네이터 하부의 공간으로 배출가스가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출가스에 포함된 분진이나 분사노즐을 통하여 분무된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정화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화장치는 습식정화챔버(10)의 내부에 엘리미네이터(11)와 용액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18)이 설치되어 있다. 습식정화챔버(10)의 일측에는 배출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입구(15)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출구(17)가 형성되어 있다. 엘리미네이터(11)는 습식정화챔버(10)의 내부를 입구측 공간과 출구측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습식정화챔버(10)의 하부 바닥면에는 배출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습식정화챔버(10)의 하부에는 엘리미네이터(11)를 바닥면으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설치대(14)가 고정되어 있다.
입구(15)와 출구(17)는 입구(15)로 유입된 배출가스가 거의 수평이 되어 흐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멍(12)에는 액체저장조(20)와 연결된 배출관(21)이 연결되어 있다. 배출관(21)에는 액체의 흐름을 개폐하기 위한 콘트롤밸브(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콘트롤밸브(23)는 제어기(40)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된다. 제어기(40)는 습식정화챔버(10)의 내부에 설치된 레벨센서(41)의 출력을 입력받아, 습식정화챔버(10) 내부의 액체의 레벨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콘트롤밸브(23)의 개폐를 제어한다. 제어기(40)는 배출가스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나 분사노즐(18)에서 분무되는 액체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콘트롤밸브(23)를 많이 열어 주고, 배출가스에 수분이 적개 포함되어 있어서 분사노즐(18)에서 분무되는 액체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콘트롤밸브(23)를 적게 열어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출구(2)는 블로어(90)에 덕트(2)로 연결되어 있으며, 블로어(90)는 굴뚝(100)으로 배출가스를 배출시킨다. 액체저장조(20)에 저장된 액체는 정화처리하고자 하는 배출가스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분진이나 먼지가 많은 배출가스인 경우에는 물을 정화처리액체로 사용할 수도 있고, 산성의 배출가스인 경우에는 중화처리를 하기 위하여 가성소다(NaOH) 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액체저장조(20)에 저장된 용액은 펌프(30)를 통하여 습식정화챔버(10)의 입구측 공간에 설치된 분사노즐(18)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액체저장조(20)의 용액을 펌프(30)로 공급하기 전에 분사노즐(18)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액체저장조(20)의 슬러지 등을 정화하기 위한 폐수처리시설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엘리미네이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엘리미네이터(11)는 손잡이가 설치된 상판(11a)과, 복수의 블레이드(11b)를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11d)과, 하판(11c)과, 상판(11a) 및 하판(11c)에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11b)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1b)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배출가스로부터 제거되는 수분이나 분진이 중력에 의하여 습식정화챔버(10)의 바닥면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브레이드(11b)는 배출가스의 흐름 방향을 안내하여 미립자를 제거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있다. 또한, 상판(11a) 및 하판(11c)에는 블레이드(11b)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홈(11c-1)이 형성되어 있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정화장치에 있어서 분사노즐과 엘리미네이더의 다양한 배치상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사노즐로 부터 액체가 분무되는 방향이 배출가스 유동 방향(화살표 방향)의 하류를 향하도록(도 1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분사노즐(18)을 설치하거나,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쌍의 분무노즐(18)을 분무 방향이 대향하도록 설치하거나,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엘리미네이터(11)의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배출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운전시에는 레벨센서(41)로부터 정화처리챔버(10) 내부의 수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콘트롤밸브(23)의 개폐를 제어하여 습식정화챔버(10)의 엘리미네이터(11)의 바닥면까지 일정한 수준의 수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시 엘리미네이터(11)의 하부까지 항상 액체가 차있게 되어 엘리미네이터 하부의 공간으로 배출가스가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출가스에 포함된 분진이나 분사노즐(18)을 통하여 분무된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정화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엘리미네이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정화장치에 있어서 분사노즐과 엘리미네이터의 다양한 배치상태도
도 4는 종래의 습식 정화장치의 개략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입구덕트 2 출구덕트
10 정화처리챔버 11 엘리미네이터
18 분사노즐 20 액체저장조
21 배출관 23 콘트롤 밸브
30 펌프 40 제어기
41 레벨센서 90 블로워

Claims (1)

  1. 배출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입구와 처리된 배출가스가 유출되기 위한 출구를 구비하고, 바닥면에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로 유입된 배출가스가 출구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흐르도록 입구와 출구가 배치된 습식정화챔버와,
    상기 습식정화챔버의 내부를 입구측 공간과 출구측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습식정화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배출가스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배치된 복수의 절곡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엘리미네이터와,
    액체저장조와,
    일단이 상기 배출 구멍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상기 액체저장조에 연결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연결된 콘트롤 밸브와,
    상기 습식정화챔버에 설치된 레벨센서와,
    상기 레벨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습식정화챔버 액체의 레벨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콘트롤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와,
    상기 액체저장조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 상기 습식정화챔버의 입구측 공간으로 분무하도록 설치된 위한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
KR20070016222U 2007-10-05 2007-10-05 레벨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습식정화챔버 액체의 레벨을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 KR200446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222U KR200446764Y1 (ko) 2007-10-05 2007-10-05 레벨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습식정화챔버 액체의 레벨을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222U KR200446764Y1 (ko) 2007-10-05 2007-10-05 레벨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습식정화챔버 액체의 레벨을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314U true KR20090003314U (ko) 2009-04-09
KR200446764Y1 KR200446764Y1 (ko) 2009-12-03

Family

ID=4132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6222U KR200446764Y1 (ko) 2007-10-05 2007-10-05 레벨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습식정화챔버 액체의 레벨을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76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1493A (zh) * 2012-05-28 2012-09-1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可移动自动除尘装置
KR101411883B1 (ko) * 2012-10-29 2014-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기용 배출가스 처리장치
CN108144388A (zh) * 2018-01-12 2018-06-12 西安同大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粉尘洗涤控制方法
WO2018212506A1 (ko) * 2017-05-18 2018-11-22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배출 세정액 내의 유해가스 제거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442A (ja) 1996-03-22 1997-09-30 Takasago Thermal Eng Co Ltd 空気中可溶性ガス除去装置
KR200355707Y1 (ko) 2004-04-08 2004-07-07 선우균 웨트 스크루버의 자동제어 장치
KR200429519Y1 (ko) * 2006-08-10 2006-10-23 주식회사 케스 습식 공기정화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1493A (zh) * 2012-05-28 2012-09-1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可移动自动除尘装置
KR101411883B1 (ko) * 2012-10-29 2014-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기용 배출가스 처리장치
WO2018212506A1 (ko) * 2017-05-18 2018-11-22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배출 세정액 내의 유해가스 제거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7579A (ko) * 2017-05-18 2018-11-29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배출 세정액 내의 유해가스 제거 시스템 및 방법
CN110621387A (zh) * 2017-05-18 2019-12-27 泛亚有限公司 排放气体处理装置的排放清洗液内有害气体去除系统及方法
US10987621B1 (en) 2017-05-18 2021-04-27 Panasia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harmful gas in discharged cleaning solution of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CN110621387B (zh) * 2017-05-18 2022-04-22 泛亚有限公司 排放气体处理装置的排放清洗液内有害气体去除系统及方法
CN108144388A (zh) * 2018-01-12 2018-06-12 西安同大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粉尘洗涤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764Y1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264B1 (ko)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
KR101688287B1 (ko)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JP2009539579A (ja) 湿式静電集塵装置
US11752465B2 (en) Wet scrubber apparatus
KR200446764Y1 (ko) 레벨센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습식정화챔버 액체의 레벨을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
KR20150128589A (ko) 해수 거품 제어를 위한 항거품 장치와 사용 방법
KR100717430B1 (ko)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TWI739309B (zh) 廢氣有害物質去除單元
KR101733239B1 (ko)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KR20200039084A (ko) 다단 습식 스크러버
KR101989400B1 (ko) 세정 효율을 향상시킨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KR101913197B1 (ko) 스크러버 장치
JP4915564B2 (ja) 湿式空気清浄装置
JP4336890B2 (ja) 空気浄化装置
KR101755229B1 (ko) 다중 분사노즐을 구비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KR102139437B1 (ko) 효율적 악취처리가 가능한 복합 임핀젯 3단 약액 세정탑
KR100844178B1 (ko) 임핀젯 효과를 극대화한 스크러버 탈취기
KR100613301B1 (ko) 배출가스의 점착성 분진 제거용 롤링 필터를 구비한 습식정화장치
KR102346707B1 (ko) 가스 스크러버 기반의 흄제거 장치
KR20180079492A (ko)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집진시스템
KR102405585B1 (ko) 오염공기 정화장치
JP2006175336A (ja) 湿式ガス浄化装置
KR100919817B1 (ko) 엘리미네이터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배출가스습식정화장치
KR100640728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정화장치
KR20220147230A (ko) 미세 버블을 이용한 수평식 스크러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