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106A -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106A
KR20090003106A KR1020080061257A KR20080061257A KR20090003106A KR 20090003106 A KR20090003106 A KR 20090003106A KR 1020080061257 A KR1020080061257 A KR 1020080061257A KR 20080061257 A KR20080061257 A KR 20080061257A KR 20090003106 A KR20090003106 A KR 20090003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correction
bender
steel she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755B1 (ko
Inventor
마사히로 가야마
겐 구리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90003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21B37/22Lateral spread control; Width control, e.g. by edg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2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flatness or profile of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강판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크라운을 실현하는 것이다.
강판의 압연에 앞선 셋업 계산으로 벤더의 설정값을 산출하는 셋업 수단(102)과, 크라운 계측기(171)로부터 검출한 크라운량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여 이 값에 따른 연산으로 벤더의 선후단을, 선후단의 과도 영역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보정한다. 이로 인해 다음 회의 강판에 적용할 강판 선후단에 있어서의 벤더의 보정 사양을 산출하는 선후단 보정 사양 조정 수단(104)과, 산출한 벤더의 보정 사양과 강판의 압연 부위의 정보로부터 강판 압연 중에 벤더의 보정값을 산출하는 선후단 보정 수단(105)과, 벤더의 설정값과 벤더의 보정값으로부터 벤더 지령값을 산출하여 열간 압연 밀에 출력하는 조작량 산출 수단(130)을 구비하였다. 이 결과, 강판 길이 방향의 정상 크라운의 영역을 최대화하여 길이 방향의 크라운의 균일도가 높아진다.
조작량 산출 수단, 선후단 보정 사양 조정 수단, 강판, 크라운 계측기, 셋업 수단

Description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및 방법 {CROWN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HOT ROLLED MILL}
본 발명은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크라운을 강판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화하는 데 적합한 제어 방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크라운을 강판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화하는 방법에는 특허 문헌 1, 2가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압연 중에 얻어진 검출 크라운을 적당한 타이밍에 로크온하고, 로크온값을 목표치로 하여 강판 길이 방향으로 FF/FB 제어함으로써 크라운을 강판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화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상기에서 로크온하는 타이밍을 크라운 편차, 압연 하중, 압연 속도 등의 변화에 착안하여 최적화하고, 크라운의 길이 방향 균일화의 정도를 높이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2124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31387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방법은 압연 중의 크라운 검출성이 좋을수록 유효하고, 스테켈 밀(Steckel Mill)로 각 패스 혹은 기 패스의 크라운을 충분한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경우나, 탠덤 밀(tandem mill)로 스탠드 사이에 크라운 계측기를 설치하여 그 측정 결과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유효한 방법이다. 그러나 탠덤 밀에서 최종 스탠드 출구측밖에 크라운 계측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이로 인해 최종적인 압연 결과로서의 크라운밖에 측량할 수 없는 경우나, 압연 중인 크라운을 측량할 수 있어도 정밀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로크온 타이밍을 최적화하는 방법은 개시되어 있지만, 로크온 타이밍을 빠르게 함으로써 강판 길이 방향으로 크라운을 더욱 균일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라운 제어의 조작단인 벤더를 강판의 선단과 후단에서 적절하게 보정하여 제어함으로써 선후단에서 크라운이 비정상적인 영역을 최소화하여, 강판 길이 방향의 넓은 범위에서 크라운을 균일화하는 데 있다. 이 결과, 로크온 타이밍을 빠르게 하는 데 있다. 또한, 다음 강판 이후의 벤더의 보정량이나 보정 타이밍을, 최종적인 압연 결과로서 측정된 크라운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산정하는 데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에서는, 강판 선후단의 크라운 보정의 조작량을, 선단 보정량, 선단 보정 거리, 후단 보정량, 후단 보정 거리의 4개로 분해하여 산출하는 것으로 하고, 압연 종료시에 검출된 강판 길이 방향의 크라운을 축적하는 크라운 데이터 축적부와, 크라운의 차트 데이터로부터 특징 추출을 행하는 벤더 조정 지침 추출부와, 4개의 크라운 보정의 조작량을 기억하는 조정량 저장부와, 추출된 조정 지침으로 기억되어 있는 조작량으로부터, 선단 보정량, 선단 보정 거리, 후단 보정량, 후단 보정 거리를 각각 산출하는 선단 보정량 산출부, 선단 보정 거리 산출부, 후단 보정 거리 산출부 및 후단 보정 거리 산출부를 설치하였다. 또한, 이들 4개의 산출부의 출력으로부터 강판 길이 방향의 벤더 보정량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선후단 보정량부, 프리셋 제어로 결정된 벤더값과 아울러 강판 길이 방향의 각 부위에 대응한 벤더 조작량을 최종적으로 산출하는 조작량 산출부를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크라운 데이터 축적 수단에는 제품으로서 권취된 강판의 크라운이, 강판 선단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축적되어 있다. 벤더 조정 지침 추출 수단은 크라운의 차트 데이터로부터 선단 크라운의 언더슈트량, 선단 크라운이 정상 상태로 될 때까지의 강판 선단으로부터의 거리, 후단 크라운의 언더슈트량, 정상 상태 종료부로부터 강판 후단까지의 거리의 4개의 특징량을 벤더 조정 지침으로서 추출한다. 선단 보정량 산출부, 선단 보정 거리 산출부, 후단 보정량 산출부, 후단 보정 거리 산출부는 조정량 저장부로부터 각 산출부가 출력한 전회 값을 취입하고, 추출한 특징량을 이용한 소정의 연산으로 다음 회의 강판에 적용할 4개의 크라운 보정의 조작량을 산출한다. 또한, 선후단 보정부는 이들을 종합하여, 강판 길이 방향의 각 부위에 대응한 벤더 보정량을 산출하고, 조작량 산출부는 셋업으로 결정된 벤더의 조작량과, 선후단 보정부의 출력을 합성하여 강판 길이 방향의 각 부위에 대응한 벤더 조작량을 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판 선후단의 크라운 비정상부(과도 상태부)에 있어서도 적절한 보정에 의해 상대적으로 목표치에 가까운 크라운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강판 선단부의 보다 빠른 타이밍에 정상 크라운이 얻어지므로 로크온 타이밍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벤더 보정량을, 압연 중인 크라운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압연 후의 최종적인 크라운 데이터에 따라서 행하기 때문에, 최종적인 압연 결과로서의 크라운밖에 측량할 수 없는 경우나, 압연 중인 크라운을 측량할 수 있어도 여러 가지 이유로 정밀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선후단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으로 목표치에 가까운 값의 크라운이 균일하게 분포하는 강판을 생산한다. 또한 크라운을 고정밀도화함으로써 강판의 형상(폭 방향의 신장률의 변동)의 균일화도 실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어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크라운 제어 장치(100)는 제어 대상(150)으로부터 다양한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를 제어 대상(150)에 출력한다. 우선 제어 대상(15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 대상(150)은 열간 압연의 스테켈 밀이며, 전공정인 조압연기(粗壓延機)에서 생산된 두께 30 ㎜ 정도의 피가공물(152)을 밀(151)로 3회 내지 7회 정도 왕복 압연하고, 2 ㎜ 내지 10 ㎜ 정도의 강판(153)을 생산한다. 이하, 각 압연을 패스라 한다. 압연 중인 강판은 입구측 코일러(162)와 출구측 코일러(163)에 권취되면서 왕복 압연됨으로써 조판(粗板)의 상태로부터 서서히 얇아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151)의 출구측에, 강판의 크라운량을 측정하는 크라운 계측기(171)가 구비되어 있다.
도2는 크라운의 정의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크라운 C라 함은 판의 중앙의 두께 hC와, 에지로부터 일정 거리부의 두께 he1, he2의 차이며, 수학식 1로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
Figure 112008046255992-PAT00001
he1, he2의 측정점인 에지로부터의 거리는 40 ㎜로 정의되는 경우가 많지만, 25 ㎜나 70 ㎜인 경우도 있다. 크라운 계측기(171)는 도2와 같이 판폭 방향으로 복수의 측정 포인트(201)를 갖고 있고, 판 폭 방향의 판 두께 분포를 검출한 후에 크라운량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판 폭 방향의 두께 분포는, 주로 워크 롤(160)에 부여되는 강판 폭 방향의 굽힘력으로 제어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상하의 롤을 교차시켜 교차각으로 제어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굽힘력을 벤딩력이라 한다.
제어 장치(100)로부터 밀(151)에 출력되는 조작량은 벤딩력의 설정값이다. 또한 크라운 계측기(171)는 제어의 결과 얻어진 크라운을 검출하고, 측정값으로서 크라운 제어 장치(100)에 출력한다. 실제로는 많은 신호가 송수신되지만, 필요한 것에 한하여 설명한다.
다음에 크라운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크라운 제어 장치(100)는 목표의 강판 크라운이 생산되도록 왕복 압연의 각 패스마다의 목표 크라운을 결정하고, 제어 모델(103)을 참조하여 목표 크라운을 실현하는 벤더 지령 B0을 산출하는 셋업 수단(102)을 갖는다. 또한, 크라운 계측기(171)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크라운 수신 수단(110), 수신한 크라운 데이터를 강판 선단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축적하는 크라운 데이터 축적 수단(111), 축적된 크라운 데이터로부터 이후에 압연되는 강판에 대해 강판 선후단에 적용하는 벤더 보정 사양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선후단 보정 조정 수단(104)을 갖는다. 또한, 선후단 보정 조정 수단(104)의 출력인 벤더 보정 사양에 따라서 선후단의 보정량을 강판 선단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산출하고, ΔB1로서 출력하는 선후단 보정 수단(105)을 갖는다. 그리고, 셋업 수단(102)과 선후단 보정 수단(105)의 출력을 합성하여 워크롤(160)에 출력하는 벤더 설정값 Bref를 출력하는 조작량 산출 수단(1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선후단 보정 사양 조정 수단(104)은, 크라운 데이터 축적 수단(111)에 축적되어 있는 강판 1개분의 크라운 데이터로부터, 벤더의 선후단 보정 사양을 결정하기 위한 특징량을 추출하는 벤더 조정 지침 추출 수단(112), 현재의 선후단 보정의 조정량을 축적하고 있는 조정량 저장 수단(113)을 갖는다. 또한, 벤더 조정 지침 추출 수단(112)이 추출한 특징량과 조정량 저장 수단(113)의 내용으로부터 강판 선단의 벤더의 보정량을 산출하는 선단 보정량 산출 수단(114), 선단 보정을 실시하는 범위를 강판 선단으로부터의 거리로서 산출하는 선단 보정 거리 산출 수단(115), 강판 후단의 벤더의 보정량을 산출하는 후단 보정량 산출 수단(116), 후단 보정을 실시하는 범위를 강판 후단으로부터의 거리로서 산출하는 후단 보정 거리 산출 수단(117)을 갖는다.
이하, 각 부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 모델(103)은 압연 후의 크라운량(강판 출구측 크라운량)을 추정하기 위한 수학식이다. 크라운은 주로, 벤딩력에 부가하여 압연 전의 크라운량(강판 입구측 크라운량), 압연 하중, 워크롤의 폭 방향의 롤 직경 프로파일 형상(워크롤 크라운)에 의해 결정되고, 일례로서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4와 같은 대수식으로 된다. 크라운을 판 두께로 나눈 값을 크라운 비율이라 하고, 대수식 중에서 εH는 압연 전의 크라운 비율, εh는 압연 후의 크라운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08046255992-PAT00002
[수학식 3]
Figure 112008046255992-PAT00003
[수학식 4]
Figure 112008046255992-PAT00004
단, CH : 강판 입구측 크라운량(압연 전 크라운량), Ch : 강판 출구측 크라운량(압연 후 크라운량), Hc : 입구측 판 두께, hc : 출구측 판 두께, B : 벤딩량, P : 압연 하중, CRW : 워크롤 크라운, A1 내지 A5 : 판 두께, 판 폭, 강 종류 등에 따라 결정되는 계수.
셋업 수단(102)은 목표 판 두께를 얻기 위해 결정된 각 패스의 압연 하중, 판의 온도 등으로부터 최종 패스에서 목표 크라운이 얻어지는 각 패스의 목표 크라운을 결정한다. 그 후, 입구측 크라운, 입구측 판 두께, 출구측 판 두께, 압연 하중 및 워크롤 크라운량의 추정값을 입력값으로 하고,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4에서 부여되는 입력값과 강판 출구측 크라운량의 관계로부터 각 패스의 목표 크라운을 실현하는 벤딩력 B0을 각 패스마다 산출하고 출력한다. 또한, 워크롤 크라운의 추정은 압연 중의 열팽창량, 워크롤(160) 교환 후의 마모에 의한 롤 직경의 감쇠 효과, 워크롤(160)의 강판 폭 방향의 시프트량을 고려한 연산에서 결정된다.
도3에 강판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의 일반적인 크라운 분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강판 선단(301)으로부터 후단(302)까지의 검출 크라운 C(l)가, 강판 길이(l)에 대해 묘화되어 있다. 스테켈 밀로 압연된 강판에 있어서의 크라운은 온도 저하로 인해 강판 선후단에서 도면과 같이 큰 값으로 된다.
따라서 강판 전체의 크라운 분포는 크고, 선단 과도 상태부(303), 정상부(304), 후단 과도 상태부(305)로 나뉜다. 강판 길이 방향으로 양호한 크라운 제어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정상부(304)의 크라운을 목표값에 근접시키는 데 부가하여 선단 과도 상태부(303)와 후단 과도 상태부(305)의 범위를 가능한 한 좁혀, 정상부(304)를 강판 길이 방향의 보다 넓은 범위에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일반적으로 정상부(304)의 크라운 정밀도는 셋업 수단(102)의 계산 결과의 양호성으로 결정된다. 한편, 본원에서 제공하는 벤더의 선후단 보정 방법은 정상부의 범위를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4에 크라운 데이터 축적 수단(111)의 구성을 나타낸다. 크라운 데이터 축적 수단(111)은 크라운 수신 수단(110)이 수신한 측정 크라운을 취입하고, 강판 선단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축적한다. 도4에서는 강판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100 ㎜ 단위로 크라운의 측정치가 저장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선후단 보정 사양 조정 수단(104)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5에 벤더 조정 지침 추출 수단(112)이 추출하는 특징량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벤더 조정 지침 추출 수단(112)은 크라운의 파형으로부터, 선후단의 보정 사양을 조정하기 위한 특징량으로서 선단 과도 상태부(303)의 길이 Lt, 선단 과도 상태부(303)에 있어서의 크라운의 언더슈트량 Ut, 후단 과도 상태부(305)의 길이 Lb, 후단 과도 상태부(305)에 있어서의 크라운의 언더슈트량 Ub를 추출한다. 여기서 Ut, Ub는, 언더슈트되어 있는 경우에 마이너스 값을 취하는 것으로 한다. 검출 크라운(401) 중 Lt, Ut는 강판 선단부 크라운(404)과 정상부 크라운(405)을 이용하고, 또한 Lb, Ub는 정상부 크라운(405)과 강판 후단부 크라운(406)을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산출한다.
도6에 Lt, Ut, Lb, Ub의 4개의 특징량을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우선 S6-1에서 100 ㎜마다의 검출 크라운 C(l)에 대해 이동 평균 Ca(l)를 산출한다. 이동 평균 Ca(l)는 수학식 5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08046255992-PAT00005
n은 크라운 데이터의 변동 상태에 의존하여 정하는 값이지만, 실제로는 2 내지 5 정도의 값이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 다음에 각 l에 대응한 이동 분산을 산출한다. 이동 분산 Cv(l)는 수학식 6으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08046255992-PAT00006
다음에 정상부 크라운의 평균값에 상당하는 값을 산출한다. 강판 길이를 L로 하고, M으로부터 L-M 사이의 C(l)의 평균값 CA를 산출한다. 평균값 CA는 수학식 7로 산출된다.
[수학식 7]
Figure 112008046255992-PAT00007
M은 정상 크라운이 충분히 실현되어 있는 범위를 특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예를 들어 L의 1/3로 설정하면 좋다. 이 경우, 강판의 중앙 1/3의 크라운 데이터로 평균값을 산출한 것으로 된다.
다음에, S6-2에서 Ca(l)와 CA의 차가 일정값 이하, 또한 Cv(l)가 일정값 이하를 만족하는 l의 최소값 lmin을 추출한다. lmin은 강판 선단으로부터 크라운이 정상부의 값에 점차 근접하고, 또한 변동이 일정값 이하로 안정될 때까지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즉, 선단 과도 상태부의 길이를 정량화한 것으로 된다.
S6-3에서는 강판 선단으로부터의 거리 l이 lmin보다 작은 범위에서, Ca(l)-CA의 최소값 Ctmin을 추출한다. Ctmin이 마이너스일 때 크라운이 강판 선단 근방에서 언더슈트된 것을 나타내고 있고, Ctmin이 클수록 언더슈트량이 큰 것과 대응되어 있다.
S6-4에서는 Ca(l)와 CA의 차가 일정값 이하, 또한 Cv(l)가 일정값 이하를 만족하는 l의 최대값 lmax를 추출한다. lmax는 강판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올라갔을 때에, 크라운이 정상부의 값에 점차 근접하고 또한 변동이 일정값 이하로 안정될 때까지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즉, 후단 과도 상태부의 길이를 정량화한 것으로 된다.
S6-5에서는 강판 후단으로부터의 거리 l이 lmax보다 큰 범위에서, Ca(l)-CA의 최소값 Cbmin을 추출한다. Cbmin이 마이너스일 때 크라운이 강판 후단 근방에서 언더 슈트된 것을 나타내고 있고, Cbmin이 클수록 언더슈트량이 큰 것과 대응되어 있다.
S6-6에서는 lmin을 대입함으로써 Lt를, Ctmin을 대입함으로써 Ut, L-lmax를 대입함으로써 Lb를, Cbmin을 대입함으로써 Ub를 각각 산출한다.
이상에서 도5에 나타낸 4개의 특징량이 모두 산출된 것으로 된다. 이하, 강판 선후단의 언더슈트량과 과도 상태의 범위를 작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강판 선후단에서 벤더를 적절하게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7에 조정량 저장 수단(113)의 구성을, 도8에 강판 길이 방향에 대해 실시되는 벤더 보정량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벤더 보정은 강판의 선후단에 대해 실시되고,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판 선단의 보정 범위(강판 선단으로부터의 보정 길이)를 A, 강판 선단의 보정량을 B, 강판 후단의 보정 범위(강판 후단까지의 보정 길이)를 C, 강판 후단의 보정량을 D로 한다. 여기서 선후단 벤더의 보정 사양의 조정은 A, B, C, D를 적절한 값으로 조정해 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정량 저장 수단(113)은,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 종류, 판 두께, 판 폭, 패스 번호로 분류되어 있고, 각각의 분류에 대응하여 벤더 보정을 위한 조정량 A, B, C, D가 저장되어 있다. A , B, C, D의 초기값은 경험적인 값 등에 따라서 적절한 값을 입력한다. 도7에서는 강 종류가 스테인리스인 SUS304, 판 두께가 2.0 내지 3.0, 판 폭이 900 ㎜, 1패스째일 때, 강판 선단으로부터 벤더 보정을 실시하는 길이 A가 24 m, 벤더 보정량 B가 150 ton, 강판 후단으로부터의 벤더 보정 범위 C가 14 m, 보정량 D가 120 ton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테인리스 압연을 대상으로 한 통상의 스테켈 밀을 따라 패스 횟수의 최대값을 7로 하였지만, 고강도재를 대상으로 한 밀에서는 패스 횟수의 최대값으로서 더 큰 값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는, 조정량 저장 수단(113)의 패스 횟수의 분류를 필요한 만큼 확보하면 좋다.
선단 보정량 산출 수단(114), 선단 보정 거리 산출 수단(115), 후단 보정량 산출 수단(116), 후단 보정 거리 산출 수단(117)은 조정량 저장 수단(113)의 내용과, 바로 근처의 압연으로 얻어진 크라운 파형으로부터 추출한 특징량 Lt, Ut, Lb, Ub로부터, 다음 회의 압연에 사용할 각 패스의 A', B', C', D'를 패스마다 각각 산출한다.
기본적인 산출 방책은 선후단 모두 동일하며, 크라운의 언더슈트량에 착안하여 언더슈트량이 클 때에는 벤더 보정량을 작게 하고, 언더슈트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크라운 과도 상태의 범위를 작게 하는 방향으로 벤더의 보정 범위를 조정한다. A' 내지 D'를 산출하기 위해 선단 보정량 산출 수단(114), 선단 보정 거리 산출 수단(115), 후단 보정량 산출 수단(116), 후단 보정 거리 산출 수단(117)이 실행하는 계산식을, 수학식 8 내지 수학식 11에 정량적으로 나타낸다.
[수학식 8]
Figure 112008046255992-PAT00008
[수학식 9]
Figure 112008046255992-PAT00009
[수학식 10]
Figure 112008046255992-PAT00010
[수학식 11]
Figure 112008046255992-PAT00011
A' 내지 D'가 구해짐으로써 강판 길이 방향의 부위(l)에 대한 벤더 보정량 ΔB1(l)을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도9에 선후단 보정 수단(105)이 실행하는 처리 순서를 나타낸다. S9-1에서 선후단 보정량 조정 수단(104)의 조정 결과 A' 내지 D'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강판 길이(l)에 대한 벤더 보정량 ΔB1(l)에 대해 현재의 압연 길이 l을 취입하고 대응하는 ΔB1(l)을 산출한다.
S9-2에서 산출 결과를 조작량 산출 수단(130)에 출력한다. 조작량 산출 수단(130)은 셋업 수단(102)으로부터 출력된 벤더값 B0에 대해, ΔB1(l)을 가산한 값을 벤더 설정값 Bref로 하여 제어 대상(150)에 출력한다. 산출된 A' 내지 D'는 새로운 A 내지 D로서, 조정량 저장 수단(113)이 해당되는 분류로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판 선단으로부터의 거리에 착안하여 크라운 분포나 벤더 조작량을 고려하였지만, 강판(153)이 워크롤(160)에 물려 들어간 후의 압연 시간에 착안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 경우라도 본 발명을 동일한 고려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크라운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단으로서 벤더를 고려하였지만, 조작단으로서 교차각과 벤더를 병용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 경우라도 본 발명을 동일한 고려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강판(153)이 밀(151)에 물려 들어갈 때나 도중에 멈출 때에는 하중이 증가한다. 하중이 증가하면, 이에 대응하여 크라운이 증가하기 때문에 하중의 증가를 검출하여 벤더로 이에 수반되는 크라운 증가분을 제거하는 것이 강판 길이 방법에 균일한 크라운을 얻는 면에서 유효하다.
도10은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선후단 보정 수단(105)에 부가하여 하중 보정 기능을 갖춘 경우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중 수신 수단(1001)과 하중 보정 수단(1002)을 구비하고, 검출한 하중에 따라서 벤더의 보정을 행한다. 단, 도10에서는 선후단 보정 수단(105)만을 나타내고, 선후단 보정 사양 조정 수단(104)이나 크라운 수신 수단(110) 등은 생략하고 있다.
도11에 하중 보정 수단(1002)이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S11-1에서 하중 보정 수단(1002)은 하중 수신 수단(1001)에서 수신한 밀(151)의 워크롤(160)의 하중 실적값과 셋업으로 상정한 값을 이용하여 하중 변동을 산출한다. S11-2에서 이에 대응한 벤더의 보정량 ΔB2를 출력한다. ΔB2는 수학식 12로 산출된다.
[수학식 12]
Figure 112008046255992-PAT00012
단, β1 : 게인, Pset : 셋업 계산으로 상정한 하중, Pact : 제어 대상(150)으로부터 매번 취입된 실적 하중이다.
수학식 12에 의해, 셋업 계산시의 상정 하중으로부터의 편차의 형태로 하중의 변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의 결과, 실적 하중이 클 때에는 대응하여 벤더를 크게 함으로써 크라운의 증대를 억제한다. 조작량 산출 수단(130)은 B0에 대해, ΔB1(l)에 부가하여 ΔB2를 가산한 값을 벤더 설정값 Bref로 하여 제어 대상(150)에 출력한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스테켈 밀에 의해 압연되는 강판(153)에서는 선후단의 강판 온도가 낮기 때문에 크라운이 큰 값으로 된다. 온도 의 저하를 검출하여, 벤더로 이에 수반되는 크라운 증가분을 제거하는 것이 강판 길이 방법에 균일한 크라운을 얻는 면에서 유효하다.
도12는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선후단 보정 수단(105)에 부가하여 판 온도 보정 기능을 갖춘 경우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판 온도 검출 수단(1201)과 판 온도 보정 수단(1202)을 구비하고 있다. 판 온도 수신 수단(1201)은 온도계(1200)로 검출한 강판(153)의 온도를 수신한다. 판 온도 보정 수단(1202)은 판 온도 수신 수단(1201)이 수신한 판 온도를 기초로 하여 벤더를 보정한다.
도13에 판 온도 보정 수단(1202)이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S13-1에서 판 온도 보정 수단(1202)은 판 온도 수신 수단(1201)으로부터 수신한 강판 온도 실적값과 셋업으로 상정한 강판 온도를 이용하여 온도 변동을 산출한다. S13-2에서 이에 대응한 벤더의 보정량 ΔB3을 출력한다. ΔB3은 수학식 13으로 산출된다.
[수학식 13]
Figure 112008046255992-PAT00013
단, γ1 : 게인, Tset : 셋업 계산으로 상정한 온도, Tact : 온도계(1200)로부터 매번 취입된 실적 온도이다.
수학식 13에서는 셋업 계산시의 상정 온도로부터의 편차의 형태로 강판 온도의 변동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실적 온도가 상정 온도보다 작을 때에는, 그 정도에 따라서 벤더를 크게 함으로써 크라운의 증대를 억제한다. 조작량 산출 수 단(130)은 B0에 대해, ΔB3을 가산한 값을 벤더 설정값 Bref로 하여 제어 대상(150)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벤더의 선후단 보정량에 온도 보정량을 가산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하중 보정량을 또한 가산, B0, ΔB1(l), ΔB2를 가산하여 Bref를 산출하는 구성도 고려된다. 이 경우도 각 게인의 적절한 조정은 필요해지지만, 본 발명을 동일한 고려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연된 크라운 데이터를 복수 강판에 대해 축적하고, 이들을 종합적으로 사용하여 벤더의 보정을 행한다.
도14에 제4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부가하여 벤더 조정 지침 추출 수단(112)의 출력을 축적하는 조정 지침 저장 수단(1401)을 구비하고 있다. 조정 지침 저장 수단(1401)은 벤더 조정 지침 추출 수단(112)의 출력을 축적하고, 축적 결과를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선단 보정량 산출 수단(114), 선단 보정 거리 산출 수단(115), 후단 보정량 산출 수단(116), 후단 보정 거리 산출 수단(117)에 출력한다.
도15에 조정 지침 저장 수단(1401)의 구성을 나타낸다. 강 종류, 판 두께, 판 폭의 각 분류에 대해 바로 근처에 압연된 강판(강판 번호 1)으로부터 n개의 강판의 특징량 Lt(1) 내지 Lt(n), Ut(1) 내지 Ut(n), Lb(1) 내지 Lb(n), Ub(1) 내지 Ub(n)이 축적되어 있다. 이들을 취입하여 선단 보정량 산출 수단(114), 선단 보정 거리 산출 수단(115), 후단 보정량 산출 수단(116), 후단 보정 거리 산출 수단(117)이 실행하는 처리는 수학식 8 내지 수학식 11과 동일하다. 또한, 사용하는 Lt, Ut, Lb, Ub로서는, 수학식 14에 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입된 값을 단순 평균해도 좋고, 수학식 15에 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근의 결과에 무게를 둔 가중 평균으로 해도 좋다.
[수학식 14]
Figure 112008046255992-PAT00014
[수학식 15]
Figure 112008046255992-PAT00015
단, w(i) : 가중치 하중값
또한, 선단 보정량 산출 수단(114), 선단 보정 거리 산출 수단(115), 후단 보정량 산출 수단(116), 후단 보정 거리 산출 수단(117)의 각각이 연산을 실시하고, 선후단 보정 조정 수단(104)의 출력을 갱신하는 타이밍으로서는 강판의 압연마다 좋다. 혹은, 특징량 저장 수단(1401)에 강판 복수개분의 데이터가 축적된 타이밍에 선후단 보정 조정 수단(104)이 연산을 행하고, 출력을 갱신해도 좋다. 후자의 경우, 크라운 보정을 많은 강판 데이터로 실시하기 때문에 보정의 응답성은 저하되지만 안정된 선후단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크라운 제어 장치와 조합한 제5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6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밀(151)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크라운 계측기가 장착되어 있다. 입구측 크라운 계측기(170)에 의해 밀(151)에 대해 입구측에 위치하는 강판(153)의 크라운을 측정할 수 있고, 출구측 크라운 계측기(171)에 의해 밀(151)에 대해 출구측에 위치하는 강판(153)의 크라운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밀(151)에 의한 왕복 압연에 있어서 1회당 압연을 패스, 왕복 압연 횟수를 패스 횟수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00)는 목표의 강판 크라운이 생산되도록 왕복 압연의 각 패스마다의 목표 크라운을 결정하고, 제어 모델(103)을 참조하여 목표 크라운을 실현하는 벤더 지령(Bset)을 산출하는 셋업 수단(102), 2패스째 이후에 전패스에서 목표를 만족할 수 없었던 크라운의 값을 후패스에서 해소할 수 있도록 스케줄된 크라운 목표치를 수정하고, 대응하는 벤더의 지령값을 보정한 후에 보정값 B0을 출력하는 패스간 피드 포워드(FF) 제어 수단(1710)을 갖는다. 또한, 입구측 크라운 계측기(170)의 출력을 수신하는 입구측 크라운 수신 수단(1710), 각 패스의 밀 입구측에 있어서, 강판(153)의 선두로부터 정해진 거리 부근의 크라운을 판독하여 기억하는 입구측 크라운 로크온 수단(1711), 로크온 성립 후 입구측 크라운 로크온 수단(1711)의 출력과 입구측 크라운 수신 수단(1710)의 출력의 편차를 취입하고, 강판 각 부위의 크라운이 로크온 크라운과 일치하도록 벤딩력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량 ΔB4를 출력하는 입구측 길이 방향 크라운 제어 수단(1712)을 갖는다. 또 한, 출구측 크라운 계측기(171)의 출력을 수신하는 출구측 크라운 수신 수단(1720), 각 패스의 밀 출구측에 있어서 강판(153)의 선두로부터 정해진 거리 부근의 크라운을 판독하여 기억하는 출구측 크라운 로크온 수단(1721), 로크온 성립 후, 출구측 크라운 로크온 수단(1721)의 출력과 출구측 크라운 수신 수단(1720)의 출력의 편차를 취입하고 강판 각 부위의 크라운이 로크온 크라운과 일치하도록 벤딩력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량 ΔB5를 출력하는 출구측 길이 방향 크라운 제어 수단(1722)을 구비하고 있다.
강판(153) 선두로부터의 크라운 분포에 있어서, 로크온 크라운은 본래의 목표 크라운보다도 빠른 타이밍에 얻어지므로, 로크온 크라운을 목표 크라운으로 한 강판(153) 길이 방향의 제어에 의해 강판(153)의 정상부 크라운(405)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본래의 크라운 목표치와의 편차를, 패스간 피드 포워드(FF) 제어 수단(1710)에 의해 이후의 패스에서 보상함으로써 정상부 크라운(405)을 본래의 목표 크라운에 근접시킬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또한 조작량 산출 수단(1730)을 구비하고 있고, 조작량 산출 수단(1730)은 B0, ΔB4, ΔB5를 가산한 값과,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선후단 보정 수단(105)의 출력 ΔB1을 취입하고, 이들을 가산하여 강판(153)의 압연에 있어서의 각 타이밍에 최종적인 벤더 조작량 Bref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크라운 제어 장치에 선후단 보정 수단(105)을 부가한 것에 의해 강판(153)의 선단부 크라운이 신속하게 정상 상태에 점차 근접하므로 크라운을 로크온할 때까지의 강판(153)의 선두로부터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혹은 동일 거리에서 로크온한 경우, 로크온 크라운을 목표치에 근접하게 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도 강판(153)의 정상부 크라운(405)을 길게 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제5 실시예는 제2, 제3, 제4 실시예와의 조합도 가능하다.
<제6 실시예>
제6 실시예는 선후단의 벤더 보정 사양의 튜닝을 플랜트 메이커가 원격으로부터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로서 행한다.
도17에 제6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다. 메이커는 철강 회사(1601)의 제어 대상(150)으로부터 제어 장치(100)가 취입된 Lt, Ut, Lb, Ub나, 이때의 하중이나 온도, 판 속도 등의 실적 데이터나 강 종류, 판 두께, 판 폭 등의 제어 정보를 네트워크(1611), 서버(1610), 회선망(1603)을 통해 자사의 서버(1604)에 취입한다. 그리고 조정용 데이터 베이스(1605)에 저장한다. 조정용 데이터 베이스(1605)의 구성은 조정량 저장 수단(113)과 동일하게 하면 된다.
메이커(1602)는 선후단 보정 수단(1606)을 갖고 있고, 철강 회사(160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조정용 데이터 베이스(1605)에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분류에 대응한 A, B, C, D의 계산을 행하고, 계산 결과를 철강 회사(1601)로 송신한다.
모델 튜닝 수단(1606)이 실행하는 알고리즘은 선후단 보정 조정 수단(104)과 동일하게 하면 된다. 모델 튜닝의 대가는 튜닝 횟수에 대응시켜도 좋고, 튜닝의 결과 향상된 제어 결과에 대응시킨 성과 보수라도 좋다.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스테켈 밀의 크라운 제어 이외에도, 본 발명은 압연 후의 강판의 크라운에 착안한 제어 방식이므로 최종 스탠드 출구측에 크라운 계측기가 구비되는 탠덤 밀의 크라운 제어에도 본 발명을 동일한 구성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크라운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2는 크라운의 정의를 도시한 설명도.
도3은 강판 길이 방향의 검출 크라운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4는 크라운 데이터 축적 수단의 축적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5는 강판 길이 방향의 검출 크라운에 대해 조정을 위한 특징량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6은 벤더 조정 지침 추출 수단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7은 조정량 저장 수단의 저장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8은 강판 길이 방향의 벤더 보정량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9는 선후단 보정 수단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10은 제2 실시예의 하중 보정 수단을 구비한 크라운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11은 하중 보정 수단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12는 제3 실시예의 온도 보정 수단을 구비한 크라운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13은 온도 보정 수단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14는 제4 실시예의 조정 지침 저장 수단을 구비한 크라운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15는 조정 지침 저장 수단의 저장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16은 제5 실시예의 크라운 제어 장치로, 로크온값을 목표치로 하여 강판 길이 방향으로 FF/FB 제어하는 방식과 제1 실시예를 조합한 구성도.
도17은 벤더의 선후단 보정량의 조정을 원격 서비스하는 시스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 장치, 102 : 셋업 수단, 103 : 제어 모델, 104 : 선후단 보정 조정 수단, 105 : 선후단 보정 수단, 112 : 벤더 조정 지침 추출 수단, 113 : 조정량 저장 수단, 114 : 선단 보정량 산출 수단, 115 : 선단 보정 거리 산출 수단, 116 : 후단 보정량 산출 수단, 117 : 후단 보정 거리 산출 수단, 130 : 조작량 산출 수단, 150 : 제어 대상, 1002 : 하중 보정 수단, 1202 : 온도 보정 수단, 1401 : 조정 지침 저장 수단

Claims (13)

  1. 크라운을 검출하는 크라운 계측기와, 크라운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단으로서 적어도 벤더를 갖는 열간 압연 밀에 있어서,
    강판의 압연에 앞선 셋업 계산으로 벤더의 설정값을 산출하는 셋업부와, 크라운 계측기로부터 취입된 강판의 크라운 데이터를 축적하는 크라운 축적부와, 축적된 크라운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 회의 강판에 적용하는 강판 선후단에 있어서의 벤더의 보정 사양을 산출하는 선후단 보정 조정부와, 선후단 보정 조정부가 산출한 벤더의 보정 사양과 강판의 압연 부위의 정보로부터 강판 압연 중에 벤더의 보정값을 산출하는 선후단 보정부와, 상기 벤더의 설정값과 상기 벤더의 보정값으로부터 벤더 지령값을 산출하여 열간 압연 밀에 출력하는 조작량 산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후단 보정 조정부는 크라운 축적부로부터 크라운 데이터를 취입하여, 미리 정해진 연산에 의해 강판 선단부와 후단부의 각각에서 언더슈트량과 과도 상태부의 길이를 추출하는 벤더 조정 지침 추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후단 보정 조정부는 벤더 조정 지침 추출부의 출력을 취입하고, 크라운이 강판 선단부에서 언더슈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언 더슈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언더슈트량에 따라서 강판 선단부의 벤더 보정량을 작게 하고, 언더슈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강판 선단 과도 상태부의 길이에 따라서 강판 선단부의 벤더 보정량을 크게 하는 선단 보정량 산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후단 보정 조정부는 벤더 조정 지침 추출부의 출력을 취입하고, 크라운이 강판 선단부에서 언더슈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언더슈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언더슈트량에 따라서 강판 선단부의 벤더 보정 거리를 작게 하고, 언더슈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강판 선단 과도 상태부의 길이에 따라서 강판 선단부의 벤더 보정 거리를 크게 하는 선단 보정 거리 산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후단 보정 조정부는 벤더 조정 지침 추출부의 출력을 취입하고, 크라운이 강판 후단부에서 언더슈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언더슈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언더슈트량에 따라서 강판 후단부의 벤더 보정량을 작게 하고, 언더슈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강판 후단 과도 상태부의 길이에 따라서 강판 후단부의 벤더 보정량을 크게 하는 후단 보정량 산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후단 보정 조정부는 벤더 조정 지침 추출부의 출력 을 취입하고, 크라운이 강판 후단부에서 언더슈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언더슈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언더슈트량에 따라서 강판 후단부의 벤더 보정 거리를 작게 하고, 언더슈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강판 후단 과도 상태부의 길이에 따라서 강판 후단부의 벤더 보정 거리를 크게 하는 후단 보정 거리 산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축적부로부터 취입된 크라운 데이터에 대해 이동 평균값, 이동 분산값, 강판 중앙 부근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이동 평균값과 강판 중앙 부근의 평균값이 일정 이하이고, 또한 이동 분산값이 일정 이하로 된 부위의 강판 선단으로부터의 거리에서 강판 선단의 과도 상태부의 길이를 추출하고, 강판 선단의 과도 상태부에서 이동 평균값으로부터 강판 중앙 부근의 평균값을 뺀 값의 최소값을 추출하여 강판 선단부의 언더슈트량으로 하고, 이동 평균값과 강판 중앙 부근의 평균값이 일정 이상이고, 또한 이동 분산값이 일정 이상으로 된 부위의 강판 후단으로부터의 거리에서 강판 후단의 과도 상태부의 길이를 추출하고, 강판 후단의 과도 상태부에서 이동 평균값으로부터 강판 중앙 부근의 평균값을 뺀 값의 최소값을 추출하여 강판 후단의 언더슈트량으로 하는 벤더 조정 지침 추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후단 보정 조정부는 최근 압연된 강판으로부터 추출된 강판 선단부와 후단부의 언더슈트량과 과도 상태부의 길이를 미리 정해진 분류 대로 복수 축적하는 조정 지침 저장부를 구비하고, 선단 보정량 산출부, 선단 보정 거리부, 후단 보정량 산출부 및 후단 보정 거리 산출부는 다음 회 압연되는 강판에 대응하여 축적되어 있는 강판 선단부와 후단부의 언더슈트량과 과도 상태부의 길이를 이용하여 선단 보정량, 선단 보정 거리, 후단 보정량, 후단 보정 거리를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 압연 밀로부터 압연 중의 하중을 취입하여 셋업 계산시의 상정 하중으로부터의 변동이 크라운에 미치는 영향을 상쇄하는 벤더 보정량을 산출하고, 제1 벤더 보정량으로서 출력하는 하중 보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후단 보정부가 출력한 제2 벤더 보정량과, 상기 셋업부가 출력한 벤더 설정값으로부터 벤더 지령값을 산출하여 열간 압연 밀에 출력하는 조작량 산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 압연 밀로부터 압연 중의 강판 온도를 취입하여 셋업 계산시의 상정 강판 온도로부터의 변동이 크라운에 미치는 영향을 상쇄하는 벤더 보정량을 산출하고, 제1 벤더 보정량으로서 출력하는 판 온도 보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후단 보정부가 출력한 제2 벤더 보정량과, 상기 셋업부가 출력한 벤더 설정값으로부터 벤더 지령치를 산출하여 열간 압연 밀에 출력하는 조작량 산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밀의 출구측에 크라운 계측기를 구비하고, 크라운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단으로서 적어도 벤더를 갖는 열간 압연 밀에 있어서,
    강판의 압연에 앞선 셋업 계산으로 상기 벤더의 설정값을 산출하는 셋업부와, 크라운 계측기로부터 취입된 강판의 크라운 데이터를 축적하는 크라운 축적부와, 축적된 크라운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 회의 강판에 적용하는 강판 선후단에 있어서의 벤더의 보정 사양을 산출하는 선후단 보정 조정부와, 선후단 보정 조정부가 산출한 벤더의 보정 사양과 강판의 압연 부위의 정보로부터 강판 압연 중에 벤더의 보정값을 산출하는 선후단 보정부와,
    강판의 선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에 있어서의 크라운의 값을 기억하여 출력하는 출구측 크라운 로크온부와, 상기 기억 후, 출구측 크라운 로크온부의 출력과 크라운 계측기의 검출값의 편차를 취입하여 상기 편차가 작아지도록 벤더 등의 조작량을 수정하는 출구측 길이 방향 크라운 제어부와,
    상기 벤더의 설정값과 벤더의 보정값과 상기 출구측 길이 방향 크라운 제어부의 출력으로부터 벤더 지령값을 산출하여 열간 압연 밀에 출력하는 조작량 산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밀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크라운 계측기를 구비하고, 크라운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단으로서 적어도 벤더를 갖는 열간 압연 밀에 있어서,
    강판의 압연에 앞선 셋업 계산으로 상기 벤더의 설정값을 산출하는 셋업부와, 크라운 계측기로부터 취입된 강판의 크라운 데이터를 축적하는 크라운 축적부 와, 축적된 크라운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 회의 강판에 적용하는 강판 선후단에 있어서의 벤더의 보정 사양을 산출하는 선후단 보정 조정부와, 선후단 보정 조정부가 산출한 벤더의 보정 사양과 강판의 압연 부위의 정보로부터 강판 압연 중에 벤더의 보정값을 산출하는 선후단 보정부와,
    강판의 선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에 있어서의 크라운의 값을 기억하여 출력하는 입구측 크라운 로크온부와, 상기 기억 후, 입구측 크라운 로크온부의 출력과 크라운 계측기의 검출값의 편차를 취입하여 상기 편차가 작아지도록 벤더 등의 조작량을 수정하는 입구측 길이 방향 크라운 제어부와,
    강판의 선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에 있어서의 크라운의 값을 기억하여 출력하는 출구측 크라운 로크온부와, 상기 기억 후, 출구측 크라운 로크온부의 출력과 크라운 계측기의 검출값의 편차를 취입하여 상기 편차가 작아지도록 벤더 등의 조작량을 수정하는 출구측 길이 방향 크라운 제어부와,
    상기 벤더의 설정값과 벤더의 보정값과 상기 입구측 길이 방향 크라운 제어부의 출력과 상기 출구측 길이 방향 크라운 제어부의 출력으로부터 벤더 지령치를 산출하여 열간 압연 밀에 출력하는 조작량 산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13. 크라운을 검출하는 크라운 계측기와, 크라운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단으로서 적어도 벤더를 갖는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강판의 압연에 앞선 셋업 계산으로 상기 벤더의 설정값을 산출하고, 크라운 계측기로부터 취입된 강판의 크라운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된 크라운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 회의 강판에 적용하는 강판 선후단에 있어서의 벤더의 보정 사양을 산출하고, 벤더의 보정 사양과 강판의 압연 부위의 정보로부터 강판 압연 중에 벤더의 보정값을 산출하고, 벤더의 설정값과 벤더의 보정값으로부터 벤더 지령값을 산출하여 열간 압연 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방법.
KR1020080061257A 2007-06-28 2008-06-27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17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70693A JP4606437B2 (ja) 2007-06-28 2007-06-28 熱間圧延ミルのクラウン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JP-P-2007-00170693 2007-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106A true KR20090003106A (ko) 2009-01-09
KR101017755B1 KR101017755B1 (ko) 2011-02-28

Family

ID=4019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257A KR101017755B1 (ko) 2007-06-28 2008-06-27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06437B2 (ko)
KR (1) KR101017755B1 (ko)
CN (1) CN10133247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2073A (zh) * 2020-05-29 2021-12-0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精轧出口带钢平直度缺陷的修正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5189B2 (ja) * 2010-10-04 2013-10-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ンデムミルのクラウン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1322988B1 (ko) 2011-09-28 2013-10-29 주식회사 포스코 형상제어 장치를 구비한 압연기 및 그 제어 방법
JP5469143B2 (ja) * 2011-09-29 2014-04-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制御装置、圧延制御方法及び圧延制御プログラム
CN102989786B (zh) * 2012-12-20 2015-03-25 济钢集团有限公司 一种钢板的板形与板厚优化控制系统
CN103433295B (zh) * 2013-08-05 2016-08-10 苏州有色金属研究院有限公司 单机架双卷取铝热轧机凸度控制方法
CN105834224B (zh) * 2015-01-12 2017-08-2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热轧层冷辊道追钢的方法
CN104741387A (zh) * 2015-02-28 2015-07-01 太原科技大学 一种基于动态规划法和粒子群算法的轧制规程优化方法
CN107377634B (zh) * 2017-07-19 2018-10-16 东北大学 一种热轧带钢出口凸度预报方法
JPWO2024042601A1 (ko) * 2022-08-23 2024-02-29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91411B1 (en) * 1995-12-26 2008-02-13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Strip crown measur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 rolling machines
CN1179369A (zh) * 1996-10-11 1998-04-22 冶金工业部钢铁研究总院 板带轧制过程的板形测量和控制方法
JP3607029B2 (ja) * 1997-01-16 2005-01-05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圧延機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US5943895A (en) * 1997-04-24 1999-08-31 Sms Schloemann-Siemag Aktiengesellschaft Dynamic crown control back-up roll assembly
KR100325332B1 (ko) * 1997-12-23 2002-08-2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열연판폭방향두께프로파일을고려한판크라운예측방법
JP2000033411A (ja) * 1998-07-21 2000-02-02 Toshiba Corp 圧延における遺伝係数の測定装置
JP3348692B2 (ja) 1999-05-19 2002-11-2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被圧延材の板クラウン制御方法及び形状制御装置
KR20010036626A (ko) * 1999-10-11 2001-05-07 이구택 열간사상압연에서의 스트립 형상제어 게인 설정방법
JP3742966B2 (ja) * 2000-02-23 2006-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制御装置
CN1253261C (zh) * 2002-09-28 2006-04-26 鞍钢集团新钢铁有限责任公司 热轧带钢中浪板形控制法
JP4395088B2 (ja) * 2005-02-28 2010-01-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間圧延ミルのクラウン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049765B2 (ja) * 2004-07-09 2008-0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間圧延ミルのクラウン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701762B2 (ja) * 2005-03-15 2011-06-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板の圧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2073A (zh) * 2020-05-29 2021-12-0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精轧出口带钢平直度缺陷的修正方法
CN113732073B (zh) * 2020-05-29 2023-04-1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精轧出口带钢平直度缺陷的修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2473A (zh) 2008-12-31
JP2009006373A (ja) 2009-01-15
JP4606437B2 (ja) 2011-01-05
KR101017755B1 (ko) 2011-02-28
CN101332473B (zh)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755B1 (ko) 열간 압연 밀의 크라운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318511B2 (en) Width setting on a finishing train
KR20000052719A (ko) 밀 트레인 상의 밴드 단부에서 밴드 폭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US2002002019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flatness
JP3996976B2 (ja) 冷延反転スタンドの予設定
CN110293135B (zh) 一种粗轧宽度动态前馈控制方法
JP7298645B2 (ja) 形鋼の断面寸法変化量予測モデルの生成方法、形鋼の断面寸法変化量予測モデルの生成装置、形鋼の断面寸法の予測方法、形鋼の断面寸法の制御方法、および形鋼の製造方法
JP5325189B2 (ja) タンデムミルのクラウン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4208509B2 (ja) 圧延プロセスのモデル学習装置
US6220068B1 (en) Process and device for reducing the edge drop of a laminated strip
KR100531145B1 (ko) 열간 압연에서의 판폭 제어 방법
US3820366A (en) Rolling mill gaug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temperatureand hardness correction
JP2002336906A (ja) 圧延機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950182B2 (ja) テーパー鋼板の製造方法
JP3937997B2 (ja) 熱間仕上げ圧延機における板幅制御方法
JP2719216B2 (ja) 板圧延の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JPH0763747B2 (ja) 熱間連続圧延機における通板時の板厚制御方法
JP3679699B2 (ja) 熱間圧延における板幅制御方法
JP3908702B2 (ja) 連続圧延機の板幅制御方法
JP2505989B2 (ja) 板圧延の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JPH0441010A (ja) 冷間圧延における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JPH09192715A (ja) 多段式熱間圧延における自動荷重バランス調整方法
JPH11290920A (ja) 圧延機の走間変更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661497B2 (ja) 板クラウン制御装置及び熱間圧延時の板クラウン制御方法
JP2697573B2 (ja) 連続圧延機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