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166U -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166U
KR20090001166U KR2020080013807U KR20080013807U KR20090001166U KR 20090001166 U KR20090001166 U KR 20090001166U KR 2020080013807 U KR2020080013807 U KR 2020080013807U KR 20080013807 U KR20080013807 U KR 20080013807U KR 20090001166 U KR20090001166 U KR 200900011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mber
nut
hula hoop
rod
scre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재동
Original Assignee
도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재동 filed Critical 도재동
Priority to KR2020080013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166U/ko
Publication of KR20090001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1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서, 훌라후프를 조립식으로 구성함에 있어 각 단위부재를 견고하게 조립하여 내구성 향상을 제공함과 아울러 임의로 중량을 증감할 수 있게 한 훌라후프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이웃하는 단위부재(10)들을 너트(2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 구성되도록 한 조립식 구성의 훌라후프(1)에 있어서; 단위부재(10)의 일측에는 내측단에 걸림돌기(11a)가 형성된 끼움봉(11)을 돌출시키고, 끼움봉(11)에는 걸림돌기(11a)가 조립되는 키홈(22)이 측벽(21)에 형성된 너트(20)를 조립하되, 너트(20)의 선단과 측벽(21)에 나사봉(12) 쪽으로 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톱니돌기(23)를 형성하며; 단위부재(10)의 타측에는 이웃하는 단위부재(10)에 조립된 너트(20)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12)을 형성하되, 나사봉(12)의 중심에는 이웃하는 단위부재(10)의 끼움봉(11)이 끼워지도록 키홈(13a)이 축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13)을 형성하고, 너트(20)에 형성된 톱니돌기(23)와 대응하도록 단위부재(10)의 측면 및 나사봉(12)의 선단에 원주방향으로 톱니돌기(14)를 형성하며; 상기 톱니돌기(14,23)는 너트(20)의 잠금 방향으로 경사면(a)을 형성하고, 풀림방향으로 걸림턱(b)을 형성하며, 상기 각 단위부재(10)에는 요홈(15)을 형성하고 중량체(30)를 끼워서 고정나사(31)로 고정한 것으로서, 각 단위부재(10)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분이 이중 구성으로 조립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며, 사용과정에서 단위부재(10)들이 분리되는 등의 염려를 일소할 수 있고, 중량체(30)를 이용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Figure P2020080013807
훌라후프, 단위부재, 끼움봉, 너트, 중량체, 고정나사

Description

훌라후프{Hula-Hoop}
본 고안은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훌라후프를 조립식으로 구성함에 있어 각 단위부재를 견고하게 조립하여 내구성 향상을 제공함과 아울러 임의로 중량을 증감할 수 있게 한 훌라후프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인 훌라후프는 직경이 1m 내외인 합성수지재 테 등으로 만들어지며, 테를 사용자의 허리에 걸친 후, 허리를 돌려 훌라후프를 회전시키면 훌라후프는 원심력에 의하여 계속 회전하게 되고, 사용자는 훌라후프의 회전을 계속 유지시키기 위하여 허리를 계속 움직여야 함으로 자연히 허리나 다리 등이 운동이 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존 훌라후프는 대부분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작이 어렵고, 물류비용이 많이 들어, 훌라후프를 중대형으로 제작하기가 어려웠다.
근자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한 훌라후프가 많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훌라후프를 여러 개의 단위부재로 구성하고, 이들을 상호 조 립하는 구성이다.
각 단위부들의 결합은 대부분 일측 단위부재에 형성된 나사봉을 이웃하는 단위부재에 결합된 너트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성, 일측 단위부재에 형성된 끼움봉에 스프링 지지되는 강구를 설치하고 끼움봉이 끼워지도록 이웃하는 단위부재에 형성된 고정관에 걸림구멍을 형성하여 상호 걸리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단위부재를 이용한 훌라후프는 중대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운반에 따른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으나, 훌라후프를 사용할 때 원심력으로 인한 무게중심이 외측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때 연결부분이 부러지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며, 사용과정에서 단위부재들이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 조립식 훌라후프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각 단위부재를 견고하게 조립하여 내구성 향상을 제공함과 아울러 임의로 중량을 증감할 수 있게 한 훌라후프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단위부재들의 연결부분 구성을 이중으로 결합되게 함으로 해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너트를 체결한 상태에서 풀림이 없도록 구성하여 단위부재들이 사용과정에서 분리되는 등의 염려를 일소토록 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중량체를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 해서 운동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하였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훌라후프를 사용할 경우 각 단위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분이 이중 구성으로 조립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며, 사용과정에서 단위부재들이 분리되는 등의 염려를 일소할 수 있고, 중량체를 이용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등 기존 훌라후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이웃하는 단위부재들을 너트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 구성되도록 한 조립식 구성의 훌라후프에 있어서;
단위부재의 일측에는 내측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끼움봉을 돌출시키고, 끼움봉에는 걸림돌기가 조립되는 키홈이 측벽에 형성된 너트를 조립하며; 단위부재의 타측에는 이웃하는 단위부재에 조립된 너트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을 형성하되, 나사봉의 중심에는 이웃하는 단위부재의 끼움봉이 끼워지도록 키홈이 축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너트의 선단과 측벽에 나사봉 쪽으로 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수개의 톱니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너트에 형성된 톱니돌기와 대응하도록 단위부재의 측면 및 나사봉의 선단에 원주방향으로 톱니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톱니돌기는 너트의 잠금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풀림방향으로 걸림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단위부재에 요홈을 형성하여 중량체를 끼우고, 고정나사로 단위부재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훌라후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중요부분을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의 조립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 른 실시예의 중요부분을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개의 단위부재(10)를 상호 조립하여 훌라후프(1)를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부재(10)들의 연결부분의 구성을 개량하여 내구성을 월등히 향상시키고 또한 사용과정에서 단위부재(10)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웃하는 단위부재(10)들을 너트(2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 구성한 것이다.
즉, 단위부재(10)의 일측에는 내측단에 걸림돌기(11a)가 형성된 끼움봉(11)을 돌출시키고, 이 끼움봉(11)에는 걸림돌기(11a)가 조립되는 키홈(22)이 측벽(21)에 형성된 너트(20)를 조립하되, 너트(20)는 측벽(21)에 형성된 키홈(22)이 끼움봉(11)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1a)를 통과한 상태에서 걸림돌기(11a)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자유 회전되게 한다.
그리고 단위부재(10)의 타측에는 이웃하는 단위부재(10)의 끼움봉(11)에 조립된 너트(20)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12)을 형성하되, 나사봉(12)의 중심에는 이웃하는 단위부재(10)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봉(11)이 끼워지도록, 키홈(13a)이 축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13)을 형성한다.
또한 본 고안은 너트(20)를 나사봉(12)에 조립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단위부재(10)들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너트(30)의 선단과 측벽(21)에 나사봉(12) 쪽으로 향하게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톱니돌기(23)를 형성하고, 이들과 대응하는 단위부재(10)의 측면 및 나사봉(12)의 선단에 원주방향으로 톱니돌기(14)를 형성한다.
상기 톱니돌기(14,23)는 너트(20)의 잠금 방향으로 경사면(a)이 형성되고, 풀림방향으로 걸림턱(b)을 형성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톱니돌기(14,23)를 형성한 경우 나사봉(12)에 너트(20)를 체결할 경우 경사면(a)을 따라서 두 부재가 잠기지만 잠긴 상태에서는 걸림턱(b)에 의해 풀림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중량체(30)를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 해서 운동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각 단위부재(10)에 요홈(15)을 형성하고, 이 요홈(15)에는 중량체(30)를 끼워서 고정나사(31)로 단위부재(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중량체(30)는 다양한 무게를 갖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외형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나사(31)는 동전을 이용하여 쉽게 조작할 수 있게 일자 홈을 갖게 구성하여 중량체(30)의 교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는 단위부재(10)에 조립된 지압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훌라후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중요부분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중요부분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훌라후프 10:단위부재
11:끼움봉 12:나사봉
13:구멍 15:요홈
20:너트 21:측벽
30:중량체 31:고정나사

Claims (3)

  1. 이웃하는 단위부재(10)들을 너트(2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 구성되도록 한 조립식 구성의 훌라후프(1)에 있어서;
    단위부재(10)의 일측에는 내측단에 걸림돌기(11a)가 형성된 끼움봉(11)을 돌출시키고, 끼움봉(11)에는 걸림돌기(11a)가 조립되는 키홈(22)이 측벽(21)에 형성된 너트(20)를 조립하며;
    단위부재(10)의 타측에는 이웃하는 단위부재(10)에 조립된 너트(20)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12)을 형성하되, 나사봉(12)의 중심에는 이웃하는 단위부재(10)의 끼움봉(11)이 끼워지도록 키홈(13a)이 축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1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20)의 선단과 측벽(21)에 나사봉(12) 쪽으로 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수개의 톱니돌기(23)를 형성하고,
    상기 너트(20)에 형성된 톱니돌기(23)와 대응하도록 단위부재(10)의 측면 및 나사봉(12)의 선단에 원주방향으로 톱니돌기(14)를 형성하되,
    상기 톱니돌기(14,23)는 너트(20)의 잠금 방향으로 경사면(a)을 형성하고, 풀림방향으로 걸림턱(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부재(10)에 요홈(15)을 형성하여 중량체(30)를 끼우고, 고정나사(31)로 단위부재(10)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KR2020080013807U 2008-10-16 2008-10-16 훌라후프 KR200900011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807U KR20090001166U (ko) 2008-10-16 2008-10-16 훌라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807U KR20090001166U (ko) 2008-10-16 2008-10-16 훌라후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166U true KR20090001166U (ko) 2009-02-03

Family

ID=41298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807U KR20090001166U (ko) 2008-10-16 2008-10-16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16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642A1 (ko) * 2012-06-11 2013-12-19 Lee Jong Ah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훌라후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642A1 (ko) * 2012-06-11 2013-12-19 Lee Jong Ah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훌라후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97657B (en) Bicycle sprocket
US20180369631A1 (en) Assembly device and system for an exercise structure, and associated exercise system and mounting method
US9022879B2 (en) Golf club, shaft insertion depth changing method and shaft replacing method
DK3060461T3 (en) SUPPORT FOR THE HUMAN BODY
US7220218B1 (en) Modified trampoline holder structure
AU2015334498B2 (en) Modular support element for the human body
CN102844082A (zh) 可移除地连接高尔夫球杆头和杆身的侧锁定可调整杆身连接系统
US20080216348A1 (en) Footwear for the Diet Equipped with the Buffering Means
US20160166465A1 (en) Massage attachment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7614066A (zh) 具有一个固定内部平台和一个与内部平台旋转相连的外部环形构件的锻炼装置
KR20090001166U (ko) 훌라후프
JP3183540U (ja) 重量調整可能な靴
KR200489966Y1 (ko) 어린이 놀이집
KR200403932Y1 (ko) 인공 암벽용 홀더
KR20100083023A (ko) 이동중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JP2008264023A (ja) 下駄
KR200414312Y1 (ko) 어깨 운동기구
KR100857375B1 (ko) 중량조절이 가능한 훌라후프
JP3167878U (ja) 竹馬の補助カバー
KR200418089Y1 (ko) 조립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전복 양식용 전복집
KR101104615B1 (ko) 밸런스 다이어트용 스프링 신발
KR20110118442A (ko) 무게 조절이 가능한 덤벨
RU39833U1 (ru) Обруч (варианты)
JP6392009B2 (ja) 付属品付きゴルフクラブ
JP6371598B2 (ja) ゴルフクラ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