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049U - 구성 재료 구조체 - Google Patents

구성 재료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049U
KR20090001049U KR2020070012518U KR20070012518U KR20090001049U KR 20090001049 U KR20090001049 U KR 20090001049U KR 2020070012518 U KR2020070012518 U KR 2020070012518U KR 20070012518 U KR20070012518 U KR 20070012518U KR 20090001049 U KR20090001049 U KR 200900010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ise
tenon
rectangular
engagement
materia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앙유젠
Original Assignee
추앙유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앙유젠 filed Critical 추앙유젠
Priority to KR2020070012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049U/ko
Publication of KR200900010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04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8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04C1/41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load-bearing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구성 재료 구조체는 장방형 본체를 포함한다. 장방형 본체의 양 단부에는 장부와, 장부와 맞물리기 위한 장붓구멍과, 다른 장방형 본체의 장붓구멍이 형성된다. 장방형 본체의 일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그루브들 중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몰드의 낮은 비용으로 인해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두 개의 구성 재료들 사이의 결합력이 장부, 장붓구멍 및 그루브의 사용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구성 재료 구조체, 장방형 본체, 장부, 장붓구멍, 그루브, 맞물림 관통 구멍

Description

구성 재료 구조체{CONSTRUCTION MATERIAL STRUCTURE}
본 고안은 구성 재료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조 비용이 보다 더 저렴하면서 결합 강도는 보다 높은 구성 재료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벽돌과 같은 전형적인 구성 재료 구조체에 있어서, 벽돌들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인접한 두 개의 벽돌들이 면 대 면 방식으로 또는 볼목 대 오목 방식으로 서로 맞물린다. 면 대 면 또는 볼록 대 오목 맞물림으로, 인접한 두 개의 벽돌들은 서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두 개의 벽돌들 사이의 결합이 간단히 실현될 수 있다는 생각은 훌륭하지만, 실제로는 부주의로 인해, 구성 재료들 사이의 결합 강도의 효과는 의문시 된다. 결합 강도가 만족스럽지 못한 이유는 인접한 두 개의 벽돌이 적절한 맞물림 없이 면 대 면 방식으로 결합되어, 불충분한 결합 능력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목 볼록 맞물림이 채택되면, 시멘트의 수용부에 대한 적절한 간극이 없기 때문에, 맞물림 조작 후에, 결합 효과가 없이 맞물림만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술된 단점들을 없애거나 그리고/또는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구성 재료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성 재료 구조체는 단순한 구조로 인해 너무 많은 몰드 없이 제조되어, 구성 재료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부 목적은 장방형 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구성 재료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별 맞물림 관통 구멍의 중공 구조로, 방음, 단열 및 경량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 재료 구조체는 장방형 본체를 포함한다. 장방형 본체의 양 단부에는 장부(tenon)와, 장부와 맞물리기 위한 장붓구멍(mortise)과, 다른 장방형의 장붓구멍이 형성된다. 장방형 본체의 일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그루브들 중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인접한 두 개의 장방형 본체들 사이의 결합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해서, 인접한 두 개의 장방형 본체들이 체결구를 거쳐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체결구의 일 단부는 하나의 장방형 본체의 맞물림 관통 구멍 위에 체결되고, 체결구의 타 단부는 다른 장방형 본체의 맞물림 관통 구멍 상에 체결된다.
또한, 인접한 두 개의 장방형 본체들 사이의 결합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해서, 장방형 본체의 장부와 장붓구멍의 양 측면은 경사져 있고, 장붓구멍의 경사 각도는 장부의 경사 각도 보다 작아서, 시멘트가 맞물림부로 뚫고 들어가서, 이에 의해 내부의 결합력을 강화시킨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성 재료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성 재료 구조체는 단순한 구조로 인해 너무 많은 몰드 없이 제조되어, 구성 재료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장방형 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구성 재료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개별 맞물림 관통 구멍의 중공 구조로, 방음, 단열 및 경량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과 함께 본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고안은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재료 구조체는 장방형 본체(1)를 포함한다. 장방형 본체(1)의 양 단부에는 장부(11)와, 장부(11)와 맞물리기 위한 장붓구멍(12)과, 다른 장방형 본체(1)의 장붓구멍(12)이 형성된다. 장방형 본체(1)에는 그 일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13)가 형성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본체(1)는 그 일 표면에 세 개의 그루브(13, 131, 132)들이 형성된다. 가장 폭이 넓은 그루브(13)가 다른 두 개의 그루브(131, 132)들 사이에 위치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개의 장방형 본체는 시멘트(14)를 거쳐 서로 결합될 때, 개별 그루브(13, 131, 132)의 도움으로 인해, 시멘트(14)와 장방형 본체(1) 사이의 접촉 영역은 증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인접한 두 개의 장방형 본체(1) 사이의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다. 방음, 단열 및 경량화 기능을 확실히 제공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구성 재료 구조 체는 가장 넓은 그루브(13)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관통 구멍(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본 실시예는 일 예로써 두 개의 맞물림 구멍을 취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개의 장방형 본체(1)들 사이의 결합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해서, 장방형 본체(1)의 장부(11)와 장붓구멍(12)의 양 측면은 경사져 있고, 장붓구멍(12)의 경사 각도는 장부(11)의 경사 각도보다 작고, 이에 의해 시멘트(14)가 맞물림부를 뚫을 수 있게 만든다. 결합 영역이 많이 증가하기 때문에, 결합 능력이 결과적으로 향상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두 개의 인접한 장방형 본체(1)들 사이의 결합 강도를 더 강화시키기 위해서, 역 U자형 체결구(2)의 일 단부가 하나의 본체(1)의 맞물림 구멍(15) 상에 체결되고, 체결구(2)의 타 단부는 다른 본체(1)의 맞물림 구멍(15) 상에 체결되어, 인접한 두 개의 본체(1)들은 서로 결합된다. 체결구(2)의 체결로, 인접한 두 개의 장방형 본체(1)들은 서로 매우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인접한 장방형 본체(1)들 사이의 결합 강도를 더 강화시키기 위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13, 131, 132)가 형성된 표면에 대향하는 상술된 장방형 본체(1)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1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본체(1)에는 적어도 세 개의 그루브(17, 171, 172)들이 형성된다. 그루브(17)가 가장 폭이 넓고 다른 두 개의 그루브(171, 172)들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장방형 본체의 그루브(17, 171, 172)는 다른 장방형 본체의 그루브(13, 131, 132)들과 맞물리는데 사용되어, 내부 의 간극에 수용되는 시멘트(18)의 양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결합 능력을 강화시킨다.
요약하면, 인접한 두 개의 장방형 본체들 사이의 결합 강도를 강화시키도록 장부의 경사 각도 보다 작은 장붓구멍의 경사 각도 및 그루브를 이용하는 것에 더하여, 구성 재료 구조체는 장부와 장붓구멍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도록 체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 재료 구조체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라 인접한 두 개의 장방형 본체가 결합력을 강화시키도록 일 표면에 형성된 그루브를 이용하는 것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라 인접한 두 개의 장방형 본체가 결합력을 강화시키도록 장부와 장붓구멍의 맞물림을 이용하는 것을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라 인접한 두 개의 장방형 본체가 결합력을 강화시키도록 체결구를 이용하는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라 인접한 두 개의 장방형 본체가 결합력을 강화시키도록 체결구를 이용하는 것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라 인접한 두 개의 장방형 본체가 결합력을 강화시키도록 두 개의 대향면에 형성된 그루브를 이용하는 것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방형 본체
2 : 체결구
11 : 장부
12 : 장붓구멍
13, 131, 132, 17, 171, 172 : 그루브
14, 18 : 시멘트
15 : 맞물림 관통 구멍

Claims (3)

  1. 구성 재료 구조체이며,
    장방형 본체(1)를 포함하고,
    상기 장방형 본체(1)의 양 단부에는 장부(11)와, 상기 장부(11)와 맞물리기 위한 장붓구멍(12)과, 다른 장방형 본체(1)의 장붓구멍(12)이 형성되고,
    상기 장방형 본체(1)의 일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13)가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13, 131, 132)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관통 구멍(15)이 형성되는 구성 재료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 본체(1)에는 그 일 표면에 세 개의 그루브(13, 131, 132)들이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들 중 하나(13)는 가장 폭이 넓고 다른 두 개의 그루브(131, 132)들 사이에 위치되는 구성 재료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 본체(1)의 상기 장붓구멍(12)과 상기 장부(11)의 양 측면은 경사져 있고,상기 장붓구멍(12)의 경사 각도는 상기 장부(11)의 경사 각도 보다 작은 구성 재료 구조체.
KR2020070012518U 2007-07-26 2007-07-26 구성 재료 구조체 KR200900010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518U KR20090001049U (ko) 2007-07-26 2007-07-26 구성 재료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518U KR20090001049U (ko) 2007-07-26 2007-07-26 구성 재료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049U true KR20090001049U (ko) 2009-02-02

Family

ID=4129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518U KR20090001049U (ko) 2007-07-26 2007-07-26 구성 재료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04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8998A (zh) * 2019-08-09 2019-11-19 中南大学 一种水平连接的装配式rc剪力墙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8998A (zh) * 2019-08-09 2019-11-19 中南大学 一种水平连接的装配式rc剪力墙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943B1 (ko) 결합구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 및 이의 조립 방법
EP2351897A1 (en) New type of plastic ground mat
US20160002913A1 (en) Building element composed of two panels with a coupling strip
CN106394575B (zh) 具有夹层板状构件的交通工具
KR20090001049U (ko) 구성 재료 구조체
WO2007073692A1 (fr) Panneau pour plancher en bois combine
JP5619880B2 (ja) 多部材より成るグラファイト構造要素への、複数の特殊グラファイト部材の形状および力一体的な結合
KR200429608Y1 (ko) 단열벽체의 단열재 연결부재
KR101433748B1 (ko) 확대된 전단키 헤드를 구비한 강재 거더와 콘크리트의 일체 합성용 전단연결재
KR101913929B1 (ko) 연결부 단위부재를 이용한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부 구조
JP2012528994A5 (ko)
JP664385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102047837B1 (ko) 결속력 강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적층시공방법
EP1306460A3 (en) Metal matrix composite structure
KR200273599Y1 (ko) 개량 벽돌
RU2172371C1 (ru) Составная деревобетонная балка
JP5429530B2 (ja) アルミ型材の接合構造
JP7302126B2 (ja) 耐火構造
KR101132094B1 (ko) 탄성체 내장 보드
JP2005163481A (ja) 耐火断熱サンドイッチパネル
KR200321181Y1 (ko) 판넬의 조립구조
WO2013098901A1 (ja) 断熱ブロックおよび断熱ブロックを用いた断熱基礎構造体
JP4616870B2 (ja) 板材の組み立て構造
JP2002004551A (ja) 板材の接合部材及び板材の接合構造
KR100543793B1 (ko) 건축용 바닥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