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094B1 - 탄성체 내장 보드 - Google Patents

탄성체 내장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094B1
KR101132094B1 KR1020090122282A KR20090122282A KR101132094B1 KR 101132094 B1 KR101132094 B1 KR 101132094B1 KR 1020090122282 A KR1020090122282 A KR 1020090122282A KR 20090122282 A KR20090122282 A KR 20090122282A KR 101132094 B1 KR101132094 B1 KR 10113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sleeve
plate
lower plat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678A (ko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조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철 filed Critical 조현철
Priority to KR102009012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094B1/ko
Priority to PCT/KR2010/008790 priority patent/WO2011071318A2/ko
Publication of KR20110065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는, 상호 이격된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체와, 상단이 상기 상판의 저면에 접촉되고 하단이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접촉되는 슬리브와 상기 상판을 상기 슬리브의 상단에 압착 결합시키고 상기 하판을 상기 슬리브의 하단에 압착 결합시키는 한 쌍의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상판과 하판을 상기 탄성체 측으로 가압하면서 결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피대비 중량이 매우 작아 운반성 및 조립성이 양호하고, 탄성체가 단열재 및 흡음재 역할을 하므로 단열성 및 방음성이 매우 우수하며, 탄성체가 완충재 역할을 하므로 내충격성 및 휨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보드, 탄성체, 기체캡슐, 보강, 슬리브, 리벳

Description

탄성체 내장 보드{Board with embedded elastic material}
본 발명은 탄성체가 내장된 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경량이면서 단열성 및 보온성이 우수하고 내충격성 및 휨강성이 우수하도록 구성되는 보드에 관한 것이다.
보드는 공간을 나누고 에워싸는데 사용되는 구조적 요소로서, 건축물 또는 공작물 등의 지붕, 바닥, 내?외벽, 칸막이벽 또는 내력부재로 사용하는 부속 재료로서 단단하고 넓은 판이다.
보드의 종류로는 알루미늄 복합 보드, 알루미늄 쉬트 보드 등과 같이 금속판 에 여러 가지 단열재 또는 방음?방열재 등이 결합되어 있는 보드와, 법랑 보드, 허니컴 보드, 세라믹 보드, 케라이언 보드 및 스테인레스 보드 등과 같이 석면, 유리, 시멘트, 세라믹, 목재 등의 소재에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스터(polyester), 발포 폴리스티렌(expandable polystyrene),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able polypropylene), 발포 폴리에틸렌(expandable polyethylene) 등과 같은 합성수지가 결합되어 있는 보드가 있다.
상기 종래의 보드들은 철판, 세라믹, 목재 등을 주구성소재로 하기 때문에 보드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 운반이 어려우며, 제조공정이 까다로워 생산비 증가로 인한 건축 시공비의 증가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합성수지가 함께 결합되어 있는 보드의 경우는 상기 금속판과의 접착을 위해 톨루엔(toluene)과 같은 유독한 화학물질이 첨가된 스프레이식 본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유해할 뿐 아니라, 제조 후 한번 사용한 제품은 다시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한 종류의 물질로 내부가 채워지도록 제작된 보드의 경우에는, 합성수지로 제작을 한다 하더라도 부피 대비 중량이 커서 운반 및 제조공정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 등과 같이 큰 부력이 요구되는 제품용으로는 사용에 한계가 있고, 단열 및 방음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내부가 채워지도록 제작되는 보드의 경우에는 외부 충격을 자체적으로 완충하는 능력이 매우 낮아 외부 충격에 의해 매우 쉽게 파손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갖도록 이중 구조를 갖는 보드가 제안된 바 있으나, 현재까지 제안된 이중 보드의 경우 두께방향으로의 휨강성이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부피대비 중량이 매우 작고, 단열성 및 방음성이 매우 우수하며, 내충격성 및 휨강성이 우수한 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는, 상호 이격된 상판과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체; 상기 상판과 하판을 상기 탄성체측으로 가압하여 체결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단이 상기 상판의 저면에 접촉되고 하단이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접촉되는 슬리브와, 상기 상판을 상기 슬리브의 상단에 압착 결합시키고 상기 하판을 상기 슬리브의 하단에 압착 결합시키는 한 쌍의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는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판 또는 하판을 상기 슬리브에 결합시키는 리벳으로 적용된다.
상기 가압부재는,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판의 저면에 접촉되는 슬리브와, 상기 상판을 상기 슬리브의 상단에 압착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는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상판을 상기 슬리브에 결합시키는 리벳으로 적용된다.
상기 슬리브의 높이는 상기 탄성체의 높이보다 작게 설정된다.
상기 슬리브의 외경은 이웃하는 두 탄성체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된다.
상기 탄성체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인접한 네 개의 탄성체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가압부재가 지나는 부위에 모따기면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는 발포수지로 적용된다.
상기 탄성체는 내부에 기체가 주입되어 밀봉된 기체캡슐로 적용된다.
상기 상판과 하판의 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테두리결합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는, 부피대비 중량이 매우 작아 운반성 및 조립성이 양호하고, 탄성체가 단열재 및 흡음재 역할을 하므로 단열성 및 방음성이 매우 우수하며, 탄성체가 완충재 역할을 하므로 내충격성 및 휨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탄성체의 배열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는, 상호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배열되는 상판(100) 및 하판(200)과, 상기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탄성체(300)와, 상기 상판(100)과 하판(200)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판(100)과 하판(200)을 탄성체(300) 측으로 가압하여 결합시키는 가압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300)는 내부에 기체층(더 명확하게는 공기층)을 갖는 발포수지 또는 내부에 기체가 주입되어 밀봉된 기체캡슐로 적용되는데, 이와 같이 탄성체(300) 내부에 마련된 기체층은 상판(100) 및 하판(200)과 같은 고체층에 비해 단열성 및 방음성이 우수하므로, 탄성체 내장 보드 전체의 단열성 및 방음성이 현저히 상승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와 같이 기체층을 갖는 탄성체(300)가 내부에 구비되면 부피대비 중량이 작아지므로, 운반성 및 작업성 또한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상기 상판(100)과 하판(200)의 가장자리에는 테두리결합부재(500)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테두리결합부재(500)가 'ㄷ'자 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100)과 하판(200)의 가장자리가 상기 테두리결합부재(500)에 삽입되는 구조만이 도시되고 있으나,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다면 상기 테두리결합부재(5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테두리결합부재(500)는 상판(100)과 하판(200)의 가장자리 사이로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가 휘어지기 위해서는 상판(100)의 곡률반경과 탄성체(300)의 곡률반경과 하판(200)의 곡률반경이 각각 달라져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판(100)과 탄성체(300)와 하판(200)이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아니하는 한, 상판(100)과 탄성체(300) 사이에서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되고 하판(200)과 탄성체(300) 사이에서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탄성체(300)가 가압부재(400)의 가압력에 의해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에서 압착되면, 상기 상판(100)과 하판(200)은 상기 탄성체(300)와의 마찰력이 매우 커지게 되므로 쉽게 휘어지거나 비틀어지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탄성체(300)가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400)는 상판(100) 및 하판(200)의 너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판(100)과 하판(200)을 탄성체(300) 측으로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400)는 상판(100)과 하판(200)을 단순히 탄성체(300) 측으로 가압하여 결합시키는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까지 함께 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400)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까지 할 수 있도록, 상단이 상기 상판(100)의 저면에 접촉되고 하단이 상기 하판(2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슬리브(410)와, 상기 상판(100)을 슬리브(410)의 상단에 가압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하판(200)을 슬리브(410)의 하단에 가압하여 결합시키는 한 쌍의 체결수단(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에는 슬리브(410)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삽입되어 있는바, 상기 상판(100)과 하판(200) 간의 간격은 슬리브(410)의 길이보다 더 좁아지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상판(100)과 하판(200)은 각각 슬리브(410)의 상단과 하단에 체결수단(420)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는바, 상기 체결수단(420)이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슬리브(410)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게 된다. 즉, 상기 상판(100)과 하판(200)은 슬리브(410)의 길이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호 고정된다. 슬리브(410)가 체결수단(420)에 의해 상판(100)과 하판(200)에 결합되는 구조는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슬리브(410)의 양단을 상판(100)과 하판(2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420)은 체결볼트로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420)이 체결볼트로 적용되는 경우 체결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외부 진동 등에 의해 체결볼트가 풀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수단(420)은 체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적고 외부 진동 등에 의해 풀어질 우려가 없도록 리벳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포함되는 체결수단(42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리벳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슬리브(410)의 길이방향 양단을 상판(100) 및 하판(200)에 결합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측이 상판(100)과 하판(200)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100)과 하판(200)을 단성체(300) 측으로 잡아당기는 체결와이어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0) 및 하판(200)의 크기에 맞는 하나의 큰 탄성체(300)가 구비될 수도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크기의 탄성체(300)가 여러 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체(300)가 상판(100) 및 하판(200)의 크기에 맞게 하나로 크게 제작되는 경우, 상기 탄성체(300)의 제작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체(300)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에 탄성체(300)를 삽입시켜 압착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300)가 하나로 크게 제작되면, 상판(100)과 탄성체(300) 간의 접촉면적과 하판(200)과 탄성체(300) 간의 접촉면적이 매우 커지게 되어 상판(100)과 탄성체(300) 간의 마찰력 및 하판(200)과 탄성체(300) 간의 마찰력이 매우 커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가 쉽게 휘어지거나 비틀어지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성체 내장 보드가 휘어질 때에는 상판(100)의 곡률반경과 탄성체(300)의 곡률반경과 하판(200)의 곡률반경이 각각 달라지고, 이에 따라 상판(100)과 하판(200) 간의 거리가 각 부위 별로 상이해진다. 그러나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의 공간에 하나의 큰 탄성체(300)가 압착되어 채워지게 되면 상판(100)과 하판(200) 간의 거리가 각 부위 별로 상이해지기 어려워지므로, 결과적으로 탄성체 내장 보드의 휨 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체(300)가 상판(100) 및 하판(200)의 크기에 맞게 하나로 크게 제작되는 경우, 상기 슬리브(410)는 탄성체(300)를 관통하도록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에 장착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탄성체(300)는 다면체 또는 원통형의 작은 블록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 개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체(300)가 작은 블록 형상으로 제작되어 다수 개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탄성체(300) 제작이 매우 용이해지며, 상판(100) 및 하판(200)의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탄성체(300)의 장착 개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를 탄성체(300)로 채울 수 있으므로 상판(100) 및 하판(200)의 크기에 맞는 별도의 탄성체(300) 제작이 필요치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성체(300)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가압부재(400) 체결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일부 탄성체(300)가 파손되었을 때 파손된 탄성체(300)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의 단열성 및 방음성, 내충격성 등을 최대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웃하는 탄성체(300) 간의 이격간격(G)을 최소화시킴이 바람직한데, 상기 가압부재(400)를 이웃하는 두 개의 탄성체(300) 사이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탄성체(300) 간의 이격간격을 슬리브(410)의 외경(D)보다 크게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체(300)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고 상기 가압부재(400)는 인접한 네 개의 탄성체(300) 사이 즉, 네 개의 탄성체(300) 모서리가 만나는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400)의 장착위치를 인접한 네 개의 탄성체(300) 사이로 설정하면, 이웃하는 두 탄성체(300)를 슬리브(410)의 외경(D)보다 더 작은 거리만큼 이격시키더라도 가압부재(400)를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탄성체(300) 간의 이격거리(G)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탄성체(300) 간의 이격거리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300)는 가압부재(400)(더 명확하게는 슬리브(410))가 지나는 부위에 모따기면(310)이 형성될 수 있다. 모따기면(310)이 충분히 크게 형성되는 경우, 탄성체(300) 간의 이격거리(G)를 '0'으로 즉, 이웃하는 탄성체(300)를 상호 밀착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따기면(310)이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모따기면(310)은 제조상의 편의 또는 가압부재(400)의 형상 등에 따라 곡면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300)의 각 모서리에 모따기면(310)을 형성하고 슬리브(410)의 외경(D)을 이웃하는 두 탄성체(300)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제작하는 경우, 각각의 탄성체(300)는 각 모따기면(310)에 장착된 4개의 슬리브(410) 사이에 끼워지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300)는 하판(200)이나 상판(100)에 접착되지 아니하더라도, 모따기면(310)과 슬리브(410) 간의 이격 거리만큼만 이동될 수 있을 뿐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크게 움직이지 못하고 위치가 한정된다. 더 나아가, 탄성체(300)의 모따기면(310)과 슬리브(410)가 밀착되는 경우, 상기 탄성체(300)는 전후 및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전혀 흔들리지 아니하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를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에 탄성체(300)를 위치시키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300) 사이에 슬리브(41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슬리브(410)는 리벳 공정에 의해 상판(100) 및 하판(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주면 상측과 하측에 각각 걸림턱(412)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리벳이 슬리브(4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면, 상기 슬리브(410)에 형성된 걸림턱(412)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상기 리벳은 일측이 상판(100) 또는 하판(200)의 외측면을 덮고 타측이 슬리브(410)의 내주면에 압착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슬리브(410) 위치선정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420)의 일단을 상판(100)과 하판(200)에 형성된 관통공(110, 210)을 통해 슬리브(410)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420)은 상판(100) 또는 하판(200)의 외측면과 상기 걸림턱(412)의 내측면을 덮도록 체결되는 리벳으로서, 원통 형상의 몸통부(422)와, 몸통부(422)의 양단에 구비된 외측헤드(424) 및 내측헤드(426)와, 일단(본 실시예에서는 하단)이 몸통부(422)의 내부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몸통부(422)의 외부로 연장되는 코어핀(4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수단(420)의 삽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코어핀(428)을 잡아 당김으로써 내측헤드(426)가 수평방향으로 펴지면서 걸림턱(412)의 내측면을 덮어 고착되도록 한 다. 한편, 몸통부(422) 외부로 인출된 코어핀(428)은 절단과정을 통해 제거된다.
이와 같이 슬리브(410)는 한 쌍의 체결수단(420)에 의해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판(100)과 하판(200)에 압착 결합되는바, 상기 상판(100)과 하판(200)은 슬리브(410)나 체결수단(420)이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슬리브(410)의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에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의 각 부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상판(100)과 하판(200)이 이격되도록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판(100)에 하향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상판(100)과 하판(200)의 변형량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상판(100)과 하판(200)만을 도시한다.
상판(100)과 하판(200)이 이격되도록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판(100)에 하향 하중이 인가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0)과 하판(200)은 모두 가운데 부위가 아래로 처지게 되는데, 상판(100)이 직접적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하판(200)보다 상판(100)의 처짐량이 더 커지게 된다. 즉, 하중이 인가되지 아니하였을 때의 상판(100)과 하판(200) 간의 간격(H1)보다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의 상판(100)과 하판(200) 간의 간격(H2)이 작아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는,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에 슬리브(410)가 삽입되어 있어 상판(100)과 하판(200)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 는바, 상판(100)의 처짐량이 하판(200)의 처짐량보다 더 커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즉, 상판(100)으로 인가되는 하중은 슬리브(410)를 통해 하판(200)으로도 고르게 인가되므로, 보드 전체의 휨강도가 개선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에 삽입된 탄성체(300)는 상면과 저면이 각각 상판(100)과 하판(200)에 밀착되므로, 슬리브(410)와 마찬가지로 상판(100)으로 인가된 하중을 하판(200)으로 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슬리브(410)의 높이가 탄성체(300)의 높이보다 크면 탄성체(300)의 상면과 저면이 상판(100)과 하판(200)에 밀착될 수 없으므로, 상기 슬리브(410)의 높이는 상기 탄성체(300)의 높이보다 작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부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상판(100) 및 하판(200)이 깨지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판(100) 및 하판(200)을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해야 하는데, 상판(100) 및 하판(200)이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면 휨강성이 저하되고 충격력이 인가된 부위가 과도하게 변형되어 쉽게 찢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와 같이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에 탄성체(300)와 슬리브(410)가 장착되도록 구성되면, 외부 충격에 의한 깨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판(100)과 하판(200)을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휨강성을 얻을 수 있고, 상판(100) 및 하판(200)에 충격력이 인가되었을 때 탄성체(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판(100) 및 하판(200)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상판(100) 및 하판(200)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판(100)과 하판(200) 사이에 구비된 슬리브(410)가 리벳 구조의 체결수단(420)에 의해 상판(100)과 하판(200)에 결합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상판(100)이 휘어지는 경우 상판(100)의 상면 중 외측헤드(424)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위가 외측헤드(424)의 가장자리에 상향 압착되고 상판(100)의 저면 중 걸림턱(412)의 끝단과 대응되는 부위가 걸림턱(412)의 끝단 상면에 하향 압착되어(점선 화살표 참조), 몸통부(422)에 인장력을 인가하게 된다. 그러나 체결수단(420)의 몸통부(422)가 내인장성이 큰 재료로 제작되는 경우 도 9와 같이 상판(100)이 휘어지는 현상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즉, 리벳 구조의 체결수단(420)으로 슬리브(410)를 상판(100) 및 하판(200)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판(100)과 하판(200)의 휨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 전체의 휨강도가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에 포함되는 가압부재(400)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이다.
가압부재(400)에 포함되는 슬리브(410)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길이방향 양단이 모두 체결수단(420)에 의해 상판(100) 및 하판(200)에 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길이방향 일단은 상판(100)과 하판(200) 중 어느 하나에 접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체결수단(420)에 의해 상판(100)과 하판(200)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가압부재(400)는,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하판(200)의 상면에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판(100)의 저면에 접촉되는 슬리브(410)와, 상기 상판(100)을 슬리브(410)의 상단에 압착 결합시키는 체결수단(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리브(410)의 길이방향 일단(도 10에서는 하단)이 하판(200)에 접합 방식으로 결합되면, 하판(200)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구성요소가 없어 상기 하판(200)의 저면이 매끄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하판(200) 저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슬리브(410)의 길이방향 일단을 하판(200)에 접합시키는 방법으로는,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열융착을 이용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에 포함되는 탄성체(300)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탄성체(300)는 영보드와 같은 발포수지로 적용될 수도 있으나, 상기 탄성체(300)가 발포수지로 적용되는 경우 물에 쉽게 젖을 수 있고 장기간 사용 시 탄성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체 내장 보드가 부력을 받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탄성체(300)가 물에 젖게 되면 부력을 받을 수 없게 된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3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기체가 주입되어 밀봉된 기체캡슐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체캡슐은 물에 젖지 아니하며 일정 수준 이상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기체캡슐은 어느 일부가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탄성력을 장기간동안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물에 젖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수중에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발포수지 대비 기체 함유량이 크므로 단열성 및 방음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탄성체의 배열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에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의 각 부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에 포함되는 가압부재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내장 보드에 포함되는 탄성체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판 200 : 하판
300 : 탄성체 400 : 가압부재
410 : 슬리브 420 : 체결수단
500 : 테두리결합부재

Claims (12)

  1. 상호 이격된 상판과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체;
    상기 상판과 하판을 상기 탄성체 측으로 가압하여 체결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재는, 상단이 상기 상판의 저면에 접촉되고 하단이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접촉되는 슬리브와, 상기 상판을 상기 슬리브의 상단에 압착 결합시키고 상기 하판을 상기 슬리브의 하단에 압착 결합시키는 한 쌍의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높이는 상기 탄성체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내장 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판 또는 하판을 상기 슬리브에 결합시키는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내장 보드.
  4. 상호 이격된 상판과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체;
    상기 상판과 하판을 상기 탄성체 측으로 가압하여 체결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재는, 하단이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접합되고 상단이 상기 상판의 저면에 접촉되는 슬리브와, 상기 상판을 상기 슬리브의 상단에 압착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높이는 상기 탄성체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내장 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상판을 상기 슬리브에 결합시키는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내장 보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경은 이웃하는 두 탄성체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내장 보드.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인접한 네 개의 탄성체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내장 보드.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가압부재가 지나는 부위에 모따기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내장 보드.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발포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내장 보드.
  1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내부에 기체가 주입되어 밀봉된 기체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내장보드.
  12.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의 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테두리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내장 보드.
KR1020090122282A 2009-12-10 2009-12-10 탄성체 내장 보드 KR10113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282A KR101132094B1 (ko) 2009-12-10 2009-12-10 탄성체 내장 보드
PCT/KR2010/008790 WO2011071318A2 (ko) 2009-12-10 2010-12-09 내장부재를 구비하는 보드, 단열구조체 및 침수방지용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282A KR101132094B1 (ko) 2009-12-10 2009-12-10 탄성체 내장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678A KR20110065678A (ko) 2011-06-16
KR101132094B1 true KR101132094B1 (ko) 2012-04-04

Family

ID=4439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282A KR101132094B1 (ko) 2009-12-10 2009-12-10 탄성체 내장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0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848Y1 (ko) * 2003-06-17 2003-09-26 이정태 온돌용 난방장치
KR100690625B1 (ko) * 2004-08-27 2007-03-13 주식회사 젠트로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
KR20070104219A (ko) * 2006-04-21 2007-10-25 월드메카텍(주) 건축용 엠보싱 코어 패널과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848Y1 (ko) * 2003-06-17 2003-09-26 이정태 온돌용 난방장치
KR100690625B1 (ko) * 2004-08-27 2007-03-13 주식회사 젠트로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
KR20070104219A (ko) * 2006-04-21 2007-10-25 월드메카텍(주) 건축용 엠보싱 코어 패널과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791033B1 (ko) * 2006-04-21 2008-01-04 월드메카텍(주) 건축용 엠보싱 코어 패널과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678A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JP5210139B2 (ja) 断熱パネル
CN112543831A (zh) 箱型建筑物单元及建筑物
JP4797184B2 (ja) 耐震壁構造及び耐震壁の築造方法
KR101222320B1 (ko)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1132094B1 (ko) 탄성체 내장 보드
JP6533074B2 (ja) 面内せん断耐力構造、及びその面内せん断耐力構造を備えた屋根構造、壁構造、床構造
JP2019002228A (ja) パネル積載ユニット
JP7201149B2 (ja) 水平部材の補強構造
EP2126237B1 (en) Building elements made of trapezoid corrugated thin sheet plates
KR20110065679A (ko) 단열구조체
GB2374038A (en) Structural sandwich plate members
JP5516933B2 (ja) 柱梁接合部の補強構造
KR102025410B1 (ko) 다기능 복합타일패널 구조체
KR20180022483A (ko) 탈형 단열 데크
JP4410571B2 (ja) 断熱パネルの接続構造
JP5478128B2 (ja) ユニット建物
KR102541093B1 (ko) 바닥 충격음 차단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체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차단 구조
KR20060067282A (ko)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 판구조물
KR102484945B1 (ko) 바닥 충격음 차단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체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차단 구조
JP2021063337A (ja) 木質部材の補強構造及び木質部材の補強方法
JP7278587B2 (ja) 筋交い金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木造建物の接合構造
KR101280479B1 (ko) 패널 어셈블리
JP2020176492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部材及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複合構造
KR200430962Y1 (ko) 거푸집 체결용 웨지 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