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848Y1 - 온돌용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온돌용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848Y1
KR200327848Y1 KR20-2003-0019065U KR20030019065U KR200327848Y1 KR 200327848 Y1 KR200327848 Y1 KR 200327848Y1 KR 20030019065 U KR20030019065 U KR 20030019065U KR 200327848 Y1 KR200327848 Y1 KR 200327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support
water pipe
rivet
ond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태
Original Assignee
이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태 filed Critical 이정태
Priority to KR20-2003-0019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8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848Y1/ko
Priority to PCT/KR2004/001445 priority patent/WO2004111544A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온돌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쉽고 자유로운 온수관의 배열이 가능하게 되고, 열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내구성있는 리벳(Rivet)을 이용하여 배관판넬과 상판이 간단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된 온돌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주면 하단에 환형턱이 형성된 관통공을 갖는 지지체를 일체 포함하는 배관판넬과 이러한 배관판넬이 상판과 체결되게 리벳(Rivet)을 구비하여서 상기 온수관이 자유로운 형태로 배열되고 또한, 상기 상판과 쉽고 간단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서 오래도록 그 체결됨이 안전하게 지속되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돌용 난방장치{A heating system for ondol-room}
본 고안은 온돌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돌방을 설치하기 위한 배관판넬의 표면에 온수관이 자유로운 형태로 쉽게 배열 혹은 고정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그 상면에 적층되어 체결되는 상판과 간단하게 체결되고 아울러 그 체결됨이 안전하게 오래 지속 될 수 있도록 된 온돌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온돌은 현대의 입식(立式)문화 유입으로 각종 질병이 발생하면서 현대과학으로 그 우수성이 서서히 증명되고 있다. 온돌방은 사계절이 뚜렷한 한국에서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시원하게 지내기 위해서 만들어진 문화이다. 돌이 한번 뜨거워 지면 잘 식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추운 겨울에는 장작등으로 돌을 달구어 지내곤 하였다.
이처럼, 온돌문화는 여전히 현대인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어서 그에 대한 연구 및 개발 역시 한창 진행중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보일러 바닥의 시공 기술을 살펴보면 온수관을 방바닥에 지그재그로 깔아 나열시킨 후 콘크리트 못을 바닥에 박아서 온수관을 철사 등으로 단단히 결속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매립시킴으로서 시공을 완료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공 방식은 타설작업이 초기 바닥 작업을 포함하여 두 번에 걸쳐 이루어지게 됨으로 작업이 여간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양생작업에 시간이 많이 투여 되고 또, 타작업과의 호환성이 떨어져서 신속한 시공을 이룰 수가 없었고, 수리나 보수시 온수관을 교체해야 되는 경우가 발생시에는 콘크리트 바닥을 깨어 매설된 온수관을 밖으로 들어내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의 어려움은 물론 수리비가 상당히 소요되고 더욱이 콘크리트 재가 발생된다는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조립식으로 구성된 온돌시공용 배관판넬들이 종래에도 다수개 출원되어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였지만, 특히 온수관을 통하여 흐르는 고온의 물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에 대한 내구성이 떨어져서 배관판넬과 상판을 체결하여 주는 체결수단들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게 되면서 결국은 체결됨이 쉽게 풀리어 상기 배관판넬의 상부로 체결된 상판이 쉽게 이탈(분리)되거나 하는 등의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시공이 간편하여 공기단축으로 인한 인건비 및 시공비가 절약됨과 동시에 자유로운 형태의 온수관 배열이 가능하고, 상판과의 그 체결됨이 안전하게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된 온돌용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건축물의 바닥에 배치되어 온수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온수관과, 그 온수관의 상부에 놓여져서 고정되는 결합공들을 갖는 상판으로 된 온돌용 난방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의 바닥에 조립설치되어서 상기 온수관을 여러가지 형태로 배열할 수 있도록 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성형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일정 높이로서 돌출 설치되어 상기 온수관이 자유롭게 배열되게 지지해주는 지지턱들을 형성하며, 그 내부의 종방향으로는 상기 온수관의상부에 놓여지는 상기 상판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환형턱들이 형성된 관통공들을 갖는 지지체; 및 상기 상판의 결합공들과 상기 지지체의 각 관통공들을 관통후 그 관통공들의 환형턱에 걸리는 상태로 리벳팅(Riveting)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체에 일체화 하는 리벳(Riv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조립설치되는 지지판들의 각 인접부위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판들의 인접부위에 보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중공구조의 홀을 갖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벳(Rivet)의 재질은 림드강(Rimmed Steel),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동, 듀랄루민(Duralumin)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판넬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온돌용 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배관판넬에 형성되는 지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판넬에 온수관이 다양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관판넬 19 : 리벳(Rivet)
12 : 지지판 23 : 지지턱
14 : 온수관 24 : 관통공
16 : 상판 25 : 환형턱
18 : 지지체 29 : 보강부재
29a : 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판넬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온돌용 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배관판넬에 형성되는 지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온돌용 배관판넬(10)은 온수관(14)이 놓여질수 있도록 혹은 상판(16)이 적층될 수 있을 만큼의 소정 면적을 갖으며, 인접한 다수개가 서로 조립 설치되는 지지판(12)과 상기 지지판(12)의 상면으로부터 성형시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지지체(1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판(16)은 일반적인 기술로서 방바닥으로 열을 발산케 해주어 따뜻한 온기가 실내의 전체에 미칠수 있게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배관판넬(10)은 건축물의 바닥이 편평하게 된후에 배치되어, 그 위로 온수가 자유롭게 흐를수 있도록 하는 유동로가 형성되도록 온수관(14)이 설치는 장소를 마련되게 하는 것이다.
먼저, 상기 지지판(12)은 상기 배관판넬(1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상기 상판(16)과 적층될 수 있고 온수관(14)이 설치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판(12)은 장방형의 단위로 구획되도록 凹형상의 요홈(20)으로 경계가 형성되어져 있다. 이는 상기 온수관(14)이 놓여지는 안내길로서의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상기 온수관(14)이 놓여질 때 상기 요홈(20)을 통하여 신축적으로 작용되게하여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상기 지지판(12)에는 사각모양의 개구(22)들이 다수개가 형성되어져 있다. 이는 상기 배관판넬(10)의 제조시에 요구되어지는 원재료 절감을 통한 비용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배관판넬(10)은 그 지지판(12)의 상면으로부터 일체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체(1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지체(18)는 평면상 지지판(12)의 상면에 X방향 혹은 Y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됨이 바람직 하겠다.
이처럼, 상기 지지체(18)가 X와 Y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서 형성되는 공간은 즉, 배관로는 상기 온수관(14)이 배열 설치되는 장소를 마련해 준다.
따라서, 그 형성된 상기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거나 고르지 못하다면 시공자가 자유롭고 간단하게 온수관(14)을 설치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된다. 따라서, X축과 Y축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됨이 좋다.
또, 상기 지지체(18)는 그 외주면의 선단부에 X방향 혹은, Y방향중의 어느 한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턱(23)이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지지턱(23)은 상기 지지체(18)들에 의해서 형성된 배관로에 상기 온수관(14)이 기(旣)설치된 후에 상기 온수관(14)이 쉽게 상기 지지판(12)으로부터 이탈 및 분리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고장을 줄이기 위함이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턱(23)은 어느 한 방향으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체(18)들간에 2개 혹은 4개씩 상호 교차적으로 X방향이나 Y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좋다. 이는 상기 배관판넬(10)에 배열 설치되는 온수관(14)의 배관로를 좀더 자유로운 형태로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턱(23)은 지지판(12)을 향하게 즉, 하향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배관판넬(10)에 설치된 온수관(14)이 더 단단히 결속되고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턱(23)이 상향이라면 오히려 상기 설치된 온수관(14)이 이탈됨을 유도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턱(23)은 반드시 하향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형성되어져야 한다.
이처럼 지지턱(23)과 지지체(18), 그리고 지지판(12)으로 일체화된 배관판넬(10)에는 상기 온수관(16)이 자유로운 형태로 배열되게 설치될수 있음은물론이다.
이러한 실시예를 도 6에 제시하였다.
도 6은 상기 온수관이 상기 지지체(18)와 지지턱(23)에 의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관(14)은 상기 배관판넬(10)의 표면상에 원형의 형태로, 횡(橫)으로 혹은 종(縱)으로 각각의 규격화된 배관판넬(10)에 형성될 수도 있고 조립되어 좀더 넙게 종합적으로 설치될 수 도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판넬(10)에 상기 온수관(14)이 자유로운 형태로 설치된 후에는 그 위로 상판(16)이 적층되어 체결되고 마감처리후에 완성된 온돌방의 구조를 갖게된다. 여기서 중요한 본 고안의 특징은 바로 상기 배관판넬(10)과 상판(16)은 리벳(Rivet)을 통하여 서로 적층 체결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종래의 체결수단들은 그 체결된후에 상기 온수관(14)의 열기로 인하여 쉽게 수축과 팽창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면서 결국 얼마 지나지 않아서 쉽게 이탈되거나 하여 상판(16)과 배관판넬간의 분리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배관판넬(10)의 지지체(18)에는 그 내주면의 하단에 환형턱(25)이 형성되어져 있는데, 리벳(Rivet)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16)과 배관판넬(10)이 쉽고 간단하게 끼움 고정 체결됨과 아울러 안전하고 지속적으로 그 체결됨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먼저, 상기 리벳(Rivet)(19)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기에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지만 본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벳(Rivet)(19)은 어느 일단에 예부(28a)가 형성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얇은 봉체(28)와 그 예부(28a)가 형성된 반대단에는 그 봉체(28)의 중심부에 이르도록 결합되어 있는 결합체(27)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27)의 단부에는 원형의 결속편(27a)이 형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리벳(19)은 상기 배관판넬(10)의 지지체(18)의 안쪽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관통공(24)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판(16)과 배관판넬(10)을 체결시켜 준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관통공(26)와 상판(16)에 형성된 결합공(16a)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위치되게 한 후 리벳(19)의 결합체(27)가 상기 상판(16)의 결합공(16a)을 경유하여 상기 관통공(26)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6)는 그 내주면의 하단에 환형턱(25)을 형성하면서 형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결합체(27)의 결속편(27a)에 의하여 상기 관통공(26)으로 일정구간 수용되다가 제1공간부(26a)와 결속편(27a)이 서로 닿게 되는 위치에 이르러 상기 리벳(19)은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삽입이 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제2공간부(26b)에는 상기 리벳(19)의 끝단인 결합체(27)가 관통 삽입되게 된다.
이때, 소정의 리벳(Rivet)결합용 툴(Tool)이나 기계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면 상기 관통공(26)의 제2공간부(26b)에 대하여 상기 결합체(27)가 압축되면서 결속이 되고 상기 관통공(26)의 상단부는 상기 결속편(27a)에 의해서 눌리게 됨으로 인하여 압축되어 결국 쉽게 체결이 이루어지고, 단단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리벳(19)의 재질로서는 림드강(Rimmed Steel),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동, 듀랄루민(Duralumin) 리벳중의 어나 하나가 됨이 좋다. 이는 상기 리벳(19)이 온수관(14)을 통하여 흐르는 물의 열기에 의하여 쉽게 수축과 팽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배관판넬(10)과 상판(16)과의 체결을 단단하게 하고 안전하게 오래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의 조립설치되는 지지판(12)들은 보강부재(29)를 통하여 서로 인접되게 위치되어 있는 다른 지지판(12)과 연속적으로 임의의 설치면적 만큼 그 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29)는 상호 인접된 지지판(12)과의 사이에 위치되는데 특히, 상호 인접된 지지체(18)와 지지판(12)의 사이에 위치되며 그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고, 그 중심은 중공구조의 홀(29a)로 형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29)는 유동적인 설치면적을 간단하게 조립하여 해결될 수 있도록 해줄뿐만 아니라 그 중공구조의 홀(29a)을 통하여 보강성을 증대시킨다는 효과를 가져다 준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관판넬(10)의 상면에 형성된 배관로에 상기 온수관(14)이 설치된 이후에 상판(16)과 적층되면서 남게될 여유의 공간부(31)에는 상기 상판(16)이 적층되기에 앞서서 인체의 피부 깊숙이 침투해 노폐물 제거는 물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주어서 사람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용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광물 예컨대, 옥(玉), 맥반석, 황토 및 게르마늄 등과 같은 것을 채울수도 있다.(도 4참조)
상기의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여, 지지판의 표면에 일체로 성형된 지지체로 인하여 그 표면에 자유로운 온수관의 배열이 가능하게 해주고 또한, 지지턱을 통하여 배열된 온수관이 쉽게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해준다. 아울러, 상기 온수관이 설치된 배관판넬과 그 상부로 적층되어 끼움고정되는 상판이 내열성이 강한 리벳을 통하여 리벳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하여서, 그 체결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그 체결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고층의 건축물에 있어서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설치식으 배관판넬을 사용하게 됨으로 인하여 하중을 적게 걸리게 하여서 결국은 건축물의 하중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라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건축물의 바닥에 배치되어 온수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온수관과, 그 온수관의 상부에 놓여져서 고정되는 결합공들을 갖는 상판으로 된 온돌용 난방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의 바닥에 조립설치되어서 상기 온수관을 여러가지 형태로 배열할 수 있도록 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성형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일정 높이로서 돌출 설치되어 상기 온수관이 자유롭게 배열되게 지지해주는 지지턱들을 형성하며, 그 내부의 종방향으로는 상기 온수관의 상부에 놓여지는 상기 상판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환형턱들이 형성된 관통공들을 갖는 지지체; 및
    상기 상판의 결합공들과 상기 지지체의 각 관통공들을 관통후 그 관통공들의 환형턱에 걸리는 상태로 리벳팅(Riveting)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체에 일체화 하는 리벳(Riv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용 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설치되는 지지판들의 각 인접부위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판들의 인접부위에 보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중공구조의 홀을 갖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용 난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Rivet)의 재질은 림드강(Rimmed Steel),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동, 듀랄루민(Duralumin)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용 난방장치.
KR20-2003-0019065U 2003-06-17 2003-06-17 온돌용 난방장치 KR200327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065U KR200327848Y1 (ko) 2003-06-17 2003-06-17 온돌용 난방장치
PCT/KR2004/001445 WO2004111544A1 (en) 2003-06-17 2004-06-17 Indoor floor hea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065U KR200327848Y1 (ko) 2003-06-17 2003-06-17 온돌용 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848Y1 true KR200327848Y1 (ko) 2003-09-26

Family

ID=4941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065U KR200327848Y1 (ko) 2003-06-17 2003-06-17 온돌용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84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1318A2 (ko) * 2009-12-10 2011-06-16 Cho Hyun-Chul 내장부재를 구비하는 보드, 단열구조체 및 침수방지용 선박
KR101132094B1 (ko) * 2009-12-10 2012-04-04 조현철 탄성체 내장 보드
KR101284739B1 (ko) 2010-12-06 2013-07-17 이병성 온수장판
KR101761242B1 (ko) * 2016-09-27 2017-07-25 주식회사 에이디디웰빙테크판매 층간소음 저감용 반 건식난방패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1318A2 (ko) * 2009-12-10 2011-06-16 Cho Hyun-Chul 내장부재를 구비하는 보드, 단열구조체 및 침수방지용 선박
WO2011071318A3 (ko) * 2009-12-10 2011-11-03 Cho Hyun-Chul 내장부재를 구비하는 보드, 단열구조체 및 침수방지용 선박
KR101132094B1 (ko) * 2009-12-10 2012-04-04 조현철 탄성체 내장 보드
KR101284739B1 (ko) 2010-12-06 2013-07-17 이병성 온수장판
KR101761242B1 (ko) * 2016-09-27 2017-07-25 주식회사 에이디디웰빙테크판매 층간소음 저감용 반 건식난방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7848Y1 (ko) 온돌용 난방장치
US6898909B2 (en) Flooring
US20100064430A1 (en) Prefabricated shower floor liner for use with solid stone shower floor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200390663Y1 (ko) 조립식 온돌난방용 패널
JP4042971B2 (ja) 冷暖房空気オンドル構造
EP1227280A2 (de) Bodenelement zum Erstellen von Hohlraumböden für Heizrohre einer Raumheizung sowie für Heiz- und Kühlrohre einer kombinierten Raumheizung und Raumkühlung für Gebäude
EP1760409A1 (de) Bodenelement zum Erstellen von Hohlraumböden mit Heizrohren einer Raumheizung oder mit Heiz- und Kühlrohren einer kombinierten Raumheizung und Raumkühlung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KR20050097695A (ko) 전기 난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327847Y1 (ko) 온돌용 난방장치
EP1911899A2 (de) Bausystem
KR100605030B1 (ko) 주택 바닥난방 배관 미장몰탈 결속구조
KR200394430Y1 (ko) 난방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
KR20040108238A (ko) 온돌용 난방장치
KR20210144022A (ko) 난방배관 지지용 모듈 패널
KR100644508B1 (ko) 주택내부 바닥의 결속 레일을 이용한 보일러 배관의설치구조
KR101043091B1 (ko) 온돌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00090183A (ko) 바닥재 어셈블리 및 바닥재의 시공방법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CN110006085A (zh) 一种预制装配式地热采暖结构及其安装方法
KR20050021749A (ko) 조립식 온돌 패널 및 그 설치방법
KR200384608Y1 (ko) 온수 방열판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EP2042664A2 (en) Insulating and roofing support panel
KR102182146B1 (ko) 온기순환이 가능한 온돌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