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030B1 - 주택 바닥난방 배관 미장몰탈 결속구조 - Google Patents

주택 바닥난방 배관 미장몰탈 결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030B1
KR100605030B1 KR1020050129815A KR20050129815A KR100605030B1 KR 100605030 B1 KR100605030 B1 KR 100605030B1 KR 1020050129815 A KR1020050129815 A KR 1020050129815A KR 20050129815 A KR20050129815 A KR 20050129815A KR 100605030 B1 KR100605030 B1 KR 100605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pipe
mortar
binding
concre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신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신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신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29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9Tube-lay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 바닥난방 배관 미장몰탈 결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실내난방을 위해 설치되는 온수배관은 기포콘크리트층에 접면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므로 그만큼 온수배관과 미장몰탈 상면과의 거리가 너무 떨어져 열전도율이 낮아지는 것이고, 또한 온수배관을 미장몰탈로 고정시 온수배관의 표면이 매끄러워 미장몰탈과 제대로 결속되지 못하여 충격이 가해지면 온수배관이 쉽게 유동됨에 따라 미장몰탈의 일부위에 균열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닥골조인 슬리브(100)의 기포콘크리트층(200)에 온수배관(300)과 미장몰탈(400)을 설치하여 건물내부 바닥을 구성함에 있어서, 몸체(510)의 외주면에 다수의 결속돌기(511)가 돌출되고, 중앙에 배관용 끼움공(501)이 구비된 결속링(500)을 구비하여 상기 온수배관(300)이 외부에 끼워지는 다수의 결속링(500)에 의해 기포콘크리트층(200)에서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에서 미장몰탈(400)로 고정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온수배관(300)에 끼워진 결속링(500)에 의해 온수배관(300)이 기포콘크리트층(200)의 바닥에서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미장몰탈(400)의 상면과 보다 가까이 설치되므로 그만큼 열전도율이 향상되는 것이며, 또한 온수배관(300)의 표면이 매끄럽다 하여도 온수배관(300)에 끼워진 결속링(500)에 의해 미장몰탈(400)과 온수배관(300)의 결속력이 향상되어 충격에 의해서도 온수배관(300)이 유동될 우려가 없어 이로인해서 미장몰탈(400)에 균열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슬라브,기포콘크리트층,온수배관,미장몰탈,결속링,몸체,끼움공,결속돌기

Description

주택 바닥난방 배관 미장몰탈 결속구조{Structure for union a plastering mortar of heating pipe for housing floor}
도 1 은 종래 온수배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온수배관에 결속링을 끼운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온수배관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a,4b는 본 발명에서 결속링의 결속돌기에 의해 온수배관의 설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슬리브 200 : 기포콘크리트층
300 : 온수배관 400 : 미장몰탈
500 : 결속링 501 : 끼움공
510 : 몸체 511 : 결속돌기
512 : 절결부
본 발명은 주택 바닥난방 배관 미장몰탈 결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온수배관에 결속링을 체결하여 온수배관이 기포콘크리트층에서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설치하므로서 온수배관이 미장몰탈의 상면에 보다 근접되도록 하여 온수배관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온수배관이 결속링에 의해 미장몰탈과의 결속력이 향상되어 충격이 가해져도 온수배관의 유동됨이 방지되어 미장몰탈의 일부위에 균열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주택 바닥난방 배관 미장몰탈 결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축물들의 실내바닥에는 물이 유입되는 배관을 설치하여 실외에 설치된 열원기를 작동시켜서 물을 가열시켜 온수를 생성하여 순환로를 통해서 실내의 바닥에 설치된 배관으로 공급하여 실내를 난방하는 바닥난방장치가 설치된다.
즉,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콘크리트 슬라브(10)위로는 일정두께로 기포콘크리트층(20)이 타설되도록 한후 상기 기포콘크리트층(20)의 상부로 온수순환을 위해 온수배관(30)을 배열시킨 다음 그 위로 미장몰탈(40)을 타설하여 양생시켜 온수배관(30)을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미장몰탈(40)의 상면에 장판지 등을 깔아 실내바닥을 마감토록 하는 것이나 이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 종래에는 기포콘크리트층(20)위에 온수배관(30)을 올려놓게 되면 기포콘크리트층(20)의 바닥면에 온수배관(30)의 일부위가 접면된 상태로 놓여지는 것 이고, 이후 미장몰탈(40)을 타설하여 온수배관(30)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미장몰탈(40)은 일정두께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므로 온수배관(30)이 기포콘크리트층(20)의 바닥에 접면된 상태로 설치되면 그만큼 온수배관(30)과 미장몰탈(40)상면과의 거리가 너무 떨어져 온수배관(30)의 열을 이용하여 미장몰탈(40)의 상면이 따뜻해지는데 너무 오랜시간이 소요되어 즉, 온수배관(30)의 열전도율이 저하됨에 따라 실외에 설치된 열원기의 가동을 장시간 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불필요한 에너지의 손실이 많았다.
둘째 ; 또한 기포콘크리트층(20)에 설치된 온수배관(30)은 미장몰탈(4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나 온수배관(30)의 표면이 매끄러워 미장몰탈(40)과의 결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충격이 가해지면 온수배관(30)이 쉽게 유동됨에 따라 미장몰탈(40)의 일부위에 균열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배관이 미장몰탈의 상면에 보다 근접되게 설치하여 열전도율을 향상시킨 것이고, 또한 온수배관과 미장몰탈의 결속력을 향상시켜 충격에 의해서도 온수배관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미장몰탈에 균열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주택 바닥난방 배관 미장몰탈 결속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골조인 슬리브의 기포콘크리트층에 온수배관과 미장몰탈을 설치하여 건물내부 바닥을 구성함에 있어서, 몸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결속돌기가 돌출되고 중앙에 배관용 끼움공이 구비된 결속링을 구비하여 상기 온수배관이 외부에 끼워지는 다수의 결속링에 의해 기포콘크리트층에서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에서 미장몰탈로 고정되게 하므로서 달성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온수배관에 결속링을 끼워주면 상기 결속링에 형성된 결속돌기에 의하여 온수배관이 기포콘크리트층의 바닥에서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온수배관이 미장몰탈의 상면에 보다 근접되어 열전도율이 향상되는 것이며, 또한 미장몰탈을 타설하면 온수배관에 끼워진 결속링의 결속돌기에 의해 온수배관과 미장몰탈의 결속력이 향상되므로서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온수배관에 결속링을 끼운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온수배관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4a,4b는 본 발명에서 결속링의 결속돌기에 의해 온수배관의 설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골조인 슬리브(100)의 기포콘크리트층(200)에 온수배관(300)과 미장몰탈(400)을 설치하여 건물내부 바닥을 구성함에 있어서, 몸체(510)의 외주면에 다수의 결속돌기(511)가 돌출되고, 중앙에 배관용 끼움공(501)이 구비 된 결속링(500)을 구비하여 상기 온수배관(300)이 외부에 끼워지는 다수의 결속링(500)에 의해 기포콘크리트층(200)에서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에서 미장몰탈(400)로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바닥골조인 슬리브(100)의 위로 기포콘크리트층(200)을 타설한후 그 기포콘크리트층(200)위에 온수배관(3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미장몰탈(400)을 타설하여 온수배관(300)이 고정되도록 하여 실내바닥을 마감하는 동시에 난방장치를 구성하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기포콘크리트층(200)위에 설치되는 온수배관(300)이 기포콘크리트층(200)의 바닥에서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온수배관(300)이 미장몰탈(400)의 상면과 보다 가까이 근접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2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몸체(510)중앙에 끼움공(50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결속돌기(511)가 돌설된 결속링(500)을 구비하여 상기 결속링(500)을 온수배관(300)에 다수개 끼워준다.
여기서 상기 결속링(500)의 몸체(510)는 탄성체의 재질로 되어 있고, 일측에는 절결부(5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속링(500)을 온수배관(300)에 끼워줄 때에는 몸체(510)를 잡고 벌려주면 몸체(510)는 절결부(512)에 의해 벌어지는 것이므로 결속링(500)을 온수배관(300)에 쉽게 끼울수가 있는 것이고, 이후 몸체(510)에서 손을 떼게되면 벌어졌던 몸체(510)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오므라들어 온수배관(300)이 결속링(500)의 끼움공(501)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러한 결속링(500)은 인위적으로 빼주기 전에는 온수배관(300)에서 분리되 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온수배관(300)에 결속링(500)을 다수개 끼워준후 상기 온수배관(300)을 기포콘크리트층(200)에 올려놓으면 도 3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온수배관(300)에 끼워진 결속링(500)의 결속돌기(511)가 기포콘크리트층(200)의 바닥에 접면되어 온수배관(300)은 기포콘크리트층(200)의 바닥에서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온수배관(300)이 미장몰탈(400)의 상면에 보다 가까이 근접되어 온수배관(300)의 열이 신속하게 미장몰탈(400)의 상면에 전도되어 미장몰탈(400)의 상면이 그만큼 빠르게 따뜻해짐에 따라 실외에 설치된 열원기(도면중 미도시)를 조금만 가동하여도 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위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온수배관(300)에 결속링(500)을 끼워 설치하면 온수배관(300)이 기포콘크리트층(200)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이외에 온수배관(300)과 미장몰탈(400)의 결속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즉, 결속링(500)의 몸체(510)에 돌설된 결속돌기(511)가 사방으로 뻗쳐있는 상태에서 미장몰탈(400)이 타설되면 결속링(500)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고, 이러한 결속링(500)에 의해 결속된 온수배관(300)역시 고정력이 향상되어 충격에 의해서 온수배관(300)이 유동될 우려가 없어 이로인하여 미장몰탈(400)에 균열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a,4b에서와 같이 결속링(500)의 몸체(510)외주면에 돌설되는 다수개의 결속돌기(511)의 길이를 일부는 길게 다른 일부는 짧게 형성하여 온수배관(300)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즉, 온수배관(300)의 열을 빠른 시간내에 전도받고자 하는 실내바닥을 구성할 때에는 도 4a에서와 같이 결속링(500)의 결속돌기(511)가 긴 쪽을 기포콘크리트층(200)에 접면되도록 하면 온수배관(300)과 미장몰탈(400)상면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그만큼 열전도율이 좋아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온수배관(300)의 열을 천천히 전도받고자 하는 실내바닥을 구성할 경우에는 도 4b에서와 같이 결속링(500)의 결속돌기(511)의 길이가 짧은쪽이 기포콘크리트층(200)에 접면되도록 하면 온수배관(300)과 미장몰탈(400)상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이므로 그만큼 열전도율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실내바닥에 난방을 하기 위하여 기초콘크리트층에 온수배관을 설치시 온수배관에 결속링을 끼워 온수배관을 기초콘크리트층에서 일정높이 이격시킨 상태로 설치하여 온수배관과 미장몰탈 상면과의 거리를 가깝게하여 온수배관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킨 것이며, 또한 미장몰탈을 타설하면 사방에 돌설된 결속돌기에 의해 결속링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러한 결속링에 결속된 온수배관 역시 견고한 고정이 되므로 충격에 의해서도 온수배관이 유동되지 않 아 이로인한 미장몰탈의 균열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바닥골조인 슬리브(100)의 기포콘크리트층(200)에 절결부(512)가 구비된 몸체(510) 외주면으로 다수개의 결속돌기(511)가 돌출되고, 중앙에는 배관용 끼움공(501)이 구비된 결속링(500)을 설치한 온수배관(300)과 미장몰탈(400)을 설치하여 주택 건물내부 바닥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결속돌기(511) 중 일부는 길고 다른 일부는 짧게 하여 온수배관(300)이 외부에 끼워지는 결속링(500)의 결속돌기(511) 길이에 따라 기포콘크리트층(200)으로부터 온수배관(300)의 설치 높이가 조절되면서 미장몰탈(400)에 의해 온수배관(300)이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 바닥난방 배관 미장몰탈 결속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050129815A 2005-12-26 2005-12-26 주택 바닥난방 배관 미장몰탈 결속구조 KR100605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815A KR100605030B1 (ko) 2005-12-26 2005-12-26 주택 바닥난방 배관 미장몰탈 결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815A KR100605030B1 (ko) 2005-12-26 2005-12-26 주택 바닥난방 배관 미장몰탈 결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030B1 true KR100605030B1 (ko) 2006-07-28

Family

ID=3718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815A KR100605030B1 (ko) 2005-12-26 2005-12-26 주택 바닥난방 배관 미장몰탈 결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0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844B1 (ko) * 2020-06-26 2021-01-04 안우현 컷팅공법을 이용한 온돌바닥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KR20230011071A (ko) 2021-07-13 2023-01-2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바닥충격음 저감용 바닥구조
KR20230059570A (ko) 2021-10-26 2023-05-03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드롭빔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0192A (en) * 1980-09-26 1982-04-10 Ishida Sangyo Kk Heat exchanger
JPS61106783U (ko) * 1984-12-12 1986-07-07
JPS63189788A (ja) * 1987-01-31 1988-08-05 Toshiba Corp 蓄熱式熱交換器
JPH11118377A (ja) * 1997-10-15 1999-04-30 Sanyo Electric Co Ltd 熱交換器
JP2003214792A (ja) * 2002-01-18 2003-07-30 Usui Internatl Ind Co Ltd フィンチューブ
KR200365808Y1 (ko) * 2004-07-19 2004-10-27 권명하 침대의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0192A (en) * 1980-09-26 1982-04-10 Ishida Sangyo Kk Heat exchanger
JPS61106783U (ko) * 1984-12-12 1986-07-07
JPS63189788A (ja) * 1987-01-31 1988-08-05 Toshiba Corp 蓄熱式熱交換器
JPH11118377A (ja) * 1997-10-15 1999-04-30 Sanyo Electric Co Ltd 熱交換器
JP2003214792A (ja) * 2002-01-18 2003-07-30 Usui Internatl Ind Co Ltd フィンチューブ
KR200365808Y1 (ko) * 2004-07-19 2004-10-27 권명하 침대의 난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844B1 (ko) * 2020-06-26 2021-01-04 안우현 컷팅공법을 이용한 온돌바닥 배관파이프 교체방법
KR20230011071A (ko) 2021-07-13 2023-01-2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바닥충격음 저감용 바닥구조
KR20230059570A (ko) 2021-10-26 2023-05-03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드롭빔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030B1 (ko) 주택 바닥난방 배관 미장몰탈 결속구조
KR101864428B1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53584B1 (ko) 조립식 온수온돌용 열전도판 및 그 시공방법
KR20100123115A (ko) 건식 방수턱 및 이의 시공구조
KR102053497B1 (ko) 바닥재 시공방법
KR101383351B1 (ko) 히트 파이프 안착홈을 구비한 방수판 및 이를 이용한욕실바닥 시공방법
KR200394430Y1 (ko) 난방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
KR102274980B1 (ko) 층간소음 방지용 건식난방 설치 구조
KR100644507B1 (ko) 주택내부 바닥의 결속 레일을 이용한 보일러 배관의설치구조
KR20220002331U (ko) 건식 난방구조용 모듈패널 및 그 모듈패널을 이용한 건식 바닥난방 시공구조
KR100644508B1 (ko) 주택내부 바닥의 결속 레일을 이용한 보일러 배관의설치구조
WO2008091070A1 (en) Heating structure using thermal insulating panel
KR200339209Y1 (ko) 온돌패널구조
KR200435174Y1 (ko) 배관보온기능을 갖는 바닥관통 슬리브
KR100357752B1 (ko) 난방배관 시공방법
KR200481665Y1 (ko) 관통 슬리브용 받침부재
KR100634983B1 (ko)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94592Y1 (ko) 온돌 패널 고정 장치
KR950018994A (ko) 공동주택의 온돌바닥 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0301524B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_
KR102410456B1 (ko) 건식 바닥난방을 위한 패널 시공구조
KR100977637B1 (ko) 욕실용 건식 바닥체
KR200495356Y1 (ko) 배관고정용 마감구를 갖는 관통슬리브
KR20030045890A (ko) 건축물의 단열,방수,방음을 위한 시공방법
JP2005213969A (ja) 防水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