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478A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478A
KR20080114478A KR1020080009456A KR20080009456A KR20080114478A KR 20080114478 A KR20080114478 A KR 20080114478A KR 1020080009456 A KR1020080009456 A KR 1020080009456A KR 20080009456 A KR20080009456 A KR 20080009456A KR 20080114478 A KR20080114478 A KR 20080114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signal
circuit
signal processing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찌로 기무라
유따까 지아끼
가쯔노부 기무라
히데아끼 오오끼
마사야 다지마
기요시 다까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114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7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04N9/69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for modifying the colour signals by gamma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내믹 레인지의 증가를 수반하는 영상 신호의 변환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신호 전송을 위한 코스트를 증가시키지 않고, 영상 신호를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 처리 회로까지 보낼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를, 다이내믹 레인지가 증대하는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150)로서, 상기 제1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를 변환 출력하는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와, 상기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로 화상 표시 패널(90)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80)와, 상기 구동 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70)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모듈(100)을 갖고, 상기 영상 신호 변환 회로가, 상기 신호 처리 모듈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텔레비전 신호 처리 회로, 영상 신호 변환 회로, 역 γ보정 회로, 컬러 매트릭스 회로, 백 밸런스 보정 회로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를,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할 때에, 다이내믹 레인지의 증가를 수반하는 영상 신호 변환을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텔레비전 시스템의 색 재현은, CRT의 형광체의 특성을 기초로 정해져 있고, 텔레비전 신호 및 화상 표시 장치의 규격은, sRGB 색공간의 색영역에 제한되어 있지만, 최근, 카메라나 디스플레이의 광색영역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텔레비전 신호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선명한 색을 표현하기 위해, 광색영역 색공간의 신규격인 xvYCC 규격이 정해졌다(예를 들면, 「동화상용 광색영역 색공간의 신규격」, 영상 정보 미디어 학회지 vol 60, No.11, pp.1749-1754(2006) 참조).
이러한 xvYCC 규격에서는, xvYCC 규격의 색공간을, 종래의 규격인 ITU-R BT.709/601 규격의 색공간의 상위 호환으로 하기 위해, ITU-R BT.709/601 규격으로 정의된 휘도 신호와 색공간의 관계는, xvYCC 규격에서도 불변으로 하고 있다.
도 9는, ITU-R BT.7O9 규격과 xvYCC709 규격의 광전 변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 ITU-R BT.709 규격에서는, RGB의 색 신호가 0 이하 및 1 이상에서는 미정의이므로, 이 영역의 색 신호로부터 변환되는 휘도 색도 신호도 미정의로 되어, 신호값이 존재 가능하더라도 활용되지 않는다. xvYCC709 규격에서는, ITU-R BT.709 규격의 광전 변환 특성을 확장하여, 색 신호가 1 이상인 영역에서는 종래 특성을 연신함과 함께, 0 이하(마이너스)의 영역에서는 원점에 대하여 플러스 영역과 점대칭으로 정의하여, 마이너스 신호를 도입함으로써 광색영역화하고 있다. RGB 신호 포맷에서 보면, 종래 ITU-R BT.7O9 규격에서는 O∼1의 신호 범위이었던 것이, xvYCC709 규격에서는 대략 -1∼2의 신호 범위로 약 3배로 확대되어 있다. 즉, 영상 신호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약 3배로 확대된다.
도 10은, YCbCr 신호 포맷에서, 종축을 휘도 신호 Y, 횡축을 색도 신호 Cb, Cr의 값으로 했을 때의, 영상 신호를 취할 수 있는 영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에서, 중앙의 마름모형 영역(160)은, 종래의 sRGB 색공간의 색영역에서의 영상 신호가 취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xvYCC 색공간에서는, 마름모형 영역(160)의 주위의 영역에까지 확장되어, CbCr 신호의 0.5∼0.56, -0.57∼0.5의 영역도 영상 신호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xvYCC 규격에서는, 종래 정의하고 있지 않았던 영역에 광색영역의 정보를 담는 형태로 실현하기 때문에, 종래의 마름모형 영역(160)에 있는 sRGB 색영역의 영상 신호는, 종래와 동일한 영상 신호를 사용할 수 있어, 광색영역화한 확장 영역(170)에 있는 영상 신호를 재현 가능한 카메라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면, 이들의 영역의 영상 신호의 색도 표현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텔레비전 수신기에서는, YCbCr 형식의 텔레비전 영상 신호를 수신하면, 화면 포맷 조정 등이 필요한 텔레비전 신호 처리를 행한 후, YCbCr 형식으로부터 RGB 형식으로 변환하는 YCbCr/RGB 변환을 행하고, RGB 변환한 영상 신호를, RGB 입력 형식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하였다. 예를 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RGB 입력용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과 그 전단의 RGB 변환한 영상 신호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등이 이용되어 전송되고 있었다.
도 1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250)의 회로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에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250)는, YCbCr 형식의 텔레비전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텔레비전 신호 처리 회로(110)와, YCbCr 형식의 영상 신호를 RGB 형식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120)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210)로 구성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또한, 화상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90)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90)을 구동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80)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80)를 구동시키는 데에 필요한 신호 처리를 행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신호 처리 회로(200)로 구성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 이 패널 구동 회로(180)는, 어드레스 전극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 서스테인 전극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90)이 갖는 전극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신호 처리 회로(200)는, RGB 형식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서브 필드 형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90) 특유의 구동 형식으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회로이다. 이 변환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180)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9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120)에서 행해지는 영상 신호 변환은, 종래의, ITU-R BT.709/601 규격에 의한 텔레비전 신호이면, Y신호:0∼1, CbCr 신호:-0.5∼0.5일 때 RGB 신호:0∼1로 된다. 예를 들면 10bit의 YCbCr 신호가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120)에 입력되었을 때에는,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120)에 의해, 10bit의 RGB 신호로 변환되고, 접속된 LVDS 인터페이스 등에 의해 전송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신호 처리 회로(200)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비특허 문헌1에 기재된 xvYCC 규격의 YCbCr 형식의 영상 신호를, RGB 형식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면,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RGB 신호의 신호 가변폭이 약 3배로 확대되기 때문에, 종래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RGB 신호의 비트폭을 약 2비트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종래 RGB 각 10비트로 신호 전송되고 있던 것이, xvYCC 규격 대응에서는, 12비트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 11과 같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250)의 구성과 같이,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120)를 탑재한 기판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신호 처리 회로(200)를 탑재한 기판이 별도의 기판으로서 구성되고, 그 사이를 RGB 형식의 영상 신호로 전송을 행하면, 영상 신호의 전송 정보량이 증가하여, 양 기판을 접속하는 커넥터나 접속 부재, LVDS 트랜지스터/리시버 등의 코스트 증가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이내믹 레인지의 증가를 수반하는 영상 신호의 변환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신호 전송을 위한 코스트를 증가시키지 않고, 영상 신호를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 처리 회로까지 보낼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제1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를,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로 변환할 때에, 다이내믹 레인지의 증가를 수반하는 영상 신호 변환을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를 변환 출력하는 영상 신호 변환 회로와, 상기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로 화상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상기 구동 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모듈을 갖고, 상기 영상 신호 변환 회로가, 상기 신호 처리 모듈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다이내믹 레인지의 증가를 수반하는 영상 신호의 변환을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변환 후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증가한 영상 신호의 모듈 간의 전송이 불필요해져서, 전송을 위한 코스트를 증대시키지 않고 화상 표시 패널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기판 또는 ASI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신호 처리 모듈 내의 신호 처리가 동일 기판 내 또는 동일 ASIC 내에서 행해지므로, 다이내믹 레인지가 증가한 신호의 전송이 불필요해져서, 전송을 위한 코스트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제3 발명은, 제1 또는 제2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1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는 YCbCr 신호이고, 상기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는 RGB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YCbCr 신호로부터 RGB 신호에의 색 좌표 변환이 필요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전송 코스트를 증대시키지 않고, RGB 입력 형식의 화상 표시 패널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4 발명은,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고,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서브 필드 변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에 특유의 서브 필드 변환 회로와 영상 신호 변환 회로 간의 신호 전달이 동일 신호 처리 모듈 내에서 행해지므로, 영상 신호 변환 회로와 서브 필드 변환 회로 사이에서 다이내믹 레인지가 증가 한 신호 전송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발명은, 제4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역 γ보정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위해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역 γ보정을, 다이내믹 레인지가 증가한 신호의 전송을 행하지 않고, 동일 신호 처리 모듈 내에 탑재한 동일 신호 처리 회로 내에서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6 발명은, 제4 또는 제5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컬러 매트릭스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다이내믹 레인지가 증가한 신호의 전송을 행하지 않고, 화상의 색 조정을 동일 신호 처리 모듈에 탑재한 동일 신호 처리 회로 내에서 행할 수 있다.
제7 발명은, 제4∼제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백 밸런스 보정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다이내믹 레인지가 증가한 신호의 전송을 행하지 않고, 화상의 백 밸런스 보정을 동일 신호 처리 모듈 내에 탑재한 동일 신호 처리 회로 내에서 행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제1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를, 다이내믹 레인지가 증대하는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영상 신호 변환을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를 변환 출력하는 영상 신호 변환 회로와, 상기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로 화상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상기 구동 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모듈을 갖고, 상기 영상 신호 변환 회로가 상기 신호 처리 모듈 내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의 입력 영상 신호가 상기 제1 영상 신호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내믹 레인지의 증가를 수반하는 영상 신호의 변환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어도, 화상 표시 장치 내의 모듈 간의 전송 비트의 증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송을 위한 코스트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의 설명을 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150)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150)는, 텔레비전 신호 처리 회로(10)와,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와, 신호 처리 회로(70)와, 화상 표시 패널 구동 회로(80)와, 화상 표시 패널(90)을 구비한다.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와, 신호 처리 회로(70)는, 동일한 신호 처리 모듈(100) 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텔레비전 신호 처리 회로(10)나 화상 표시 패널 구동 회로(80), 화상 표시 패널(90)은, 동일 신호 처리 모듈(100) 내에 있을 필요는 없고, LVDS나 접속선 등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텔레비전 신호 처리 회로(10)는, 입력된 텔레비전 영상 신호를 처리하기 위 한 회로이다. 신호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색의 농도나 색상을 조정하거나, 화상 표시 패널(90)에 맞춘 화면의 축소나 확대 등의 처리를 행하거나 한다. 이 경우의 신호 처리는, 예를 들면 YCbCr 형식으로 영상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YCbCr 형식 그대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YCbCr 형식 그대로 신호 처리를 행다.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는, 텔레비전 신호 처리 회로(10)로부터 출력된 제1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제1 영상 신호 포맷과는 다른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포맷 변환을 행하는 회로이다. 예를 들면,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YCbCr 신호이고,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RGB 신호일 때에는,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는, YCbCr/RGB 변환 회로가 적용되어도 된다. 이하, YCbCr/RGB 변환을 예로 들어 본 실시예의 설명을 행하지만, 다이내믹 레인지의 증가를 수반하는 다른 영상 신호 변환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는 적용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YCbCr 형식의 영상 신호가 10bit로 입력될 때에는, 종래와 같은 색영역에서 신호 변환을 행한 경우에는, RGB 신호는 10bit 그대로이다. 그러나, xvYCC 규격을 적용한 광역화된 영상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RGB 신호로 변환됨으로써, 마이너스의 신호나 1 이상의 RGB 신호가 출력되어, 다이내믹 레인지가 3배 정도로 증가한다. 따라서, RGB 신호를, 화상 수준을 종래와 같이 유지하여 전송하고자 하면, 이에 요하는 신호 비트폭은 2bit 증가하여 12bit 필요하게 된다.
여기에서, ITU-R BT.709 규격에서의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의 변환식예를 나타내면, 수학식 1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8007763915-PAT00001
또한, 마찬가지로, ITU-R BT.601 규격에서의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의 변환식 예를 나타내면, 수학식 2와 같이 된다.
Figure 112008007763915-PAT00002
이러한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에서 실행되는 YCbCr/RGB 변환 후에, RGB 신호의 신호 전송을 행하면, 신호 전송을 위해 이용되는 LVDS나 접속 부재에는, 이러한 다이내믹 레인지의 증대에 대응한 가공 등을 실시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150)에서는, 다음의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70)가, 동일한 신호 처리 모듈(100)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 전송을 행할 필요가 없어, 동일한 신호 처리 모듈(100) 내에서 필요한 신호 처리가 이루어진다.
신호 처리 모듈(100)는, 여러 회로를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모듈로서,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 내에 실장된 회로 기판이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가 적용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로부터 출력된 RGB 신호를, 신호 처리 회로(70)에 LDVS 등을 이용하여 전송하지 않고, 회로적으로 일련의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에서 실행되는 YCbCr/RGB 변환은, 단순한 bit수의 증가가 아니라, 다이내믹 레인지의 증가를 수반하는 YCbCr/RGB 변환을 의미하고 있다. 즉, 예를 들면, 다이내믹 레인지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는 종래의 YCbCr/RGB 변환이더라도, YCbCr 신호 전송 시에, 색의 전송 클럭 레이트를 1/2로 압축한 YCbCr(4:2:2) 방식을 적용한 경우에는, CbCr(색 신호)의 정보는 2화소에 1회밖에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YCbCr 신호는, 압축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2/3의 bit수로 전송된다. 그리고, 전송 후에 YCbCr 신호를 RGB 신호로 변환한 경우에는, Y(휘도)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시 압축 전의 bit수로 되돌아간다. 즉, 예를 들면, 압축이 없는 YCbCr(4:4:4) 방식으로 24bit이었던 YCbCr 신호를, 전술한 바와 같은 YCbCr(4:2:2) 방식으로 전송하면, 16bit로 된다. 그리고, 16bit의 YCbCr 신호를, YCbCr/RGB 변환하면, 다시 24bit로 되돌아가, bit수의 증가를 수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YCbCr/RGB 변환에서는, bit수는 증가하지만, 다이내믹 레인지는 전혀 증가하지 않았다. 본 실시예에서의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2O)에서 실행되는 YCbCr/RGB 변환은, 어디까지나 다이내믹 레인지의 증가를 수반하는 영상 신호 변환을 의미하고 있고, 이러한 압축 전송 후의 영상 신호 변환에 의한 bit수 증가와는, 다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식과 조합함으로써, 영상 신호의 전송 비트폭을 더 압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신호 처리 회로(70)에서는, 화상 표시 패널(90)을 구동시키는 화상 표시 패 널 구동 회로(80)에 필요한, 화상 표시 패널(90)의 종류에 특유의 신호 처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화상 처리 패널(90)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신호 처리 회로(70)는, 서브 필드 변환 회로나, 패널 드라이버의 입력 신호 사양에 따른 신호 변환 회로 등을 구비하여도 되고, 화상 표시 패널(90)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데에 필요한 패널 드라이버의 입력 신호 사양에 따른 신호 변환 회로 등을 포함하는 신호 처리 회로(70)를 구비하여도 된다.
화상 표시 패널 구동 회로(80)는, 화상 표시 패널(9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제어 회로로서, 화상 표시 패널(90)의 종류에 따른 구동 제어 회로가 적용되어도 된다.
화상 표시 패널(90)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적용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150)에서는, 신호 처리 회로(70)를 탑재한 신호 처리 모듈에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를 내장하고, 텔레비전 신호 처리 회로(10)로부터는 YCbCr 신호 그대로 직접적으로 전송 입력 가능하게 구성했으므로, 광역화된 영상 정보를 포함한 YCbCr 형식의 영상 신호가 전송되어도, 전송 레이트가 낮은 YCbCr 신호 그대로 신호 전송을 행하고, RGB 신호로 변환 후에는 회로적으로 신호 처리를 행하므로, 다이내믹 레인지가 증가한 RGB 신호의 전송을 행하지 않아, 전송에 의한 코스트 증대를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화상 표시 장치(150)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를 적용한 경우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의 회로 블록도이다. 또한, 도 1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150)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는, 텔레비전 신호 처리 회로(10)와, 신호 처리 모듈(100a)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80a)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을 포함한다. 신호 처리 모듈(100a)은,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와, 신호 처리 회로(70a)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 처리 회로(70a)는, 역 γ보정 회로(30)와, 컬러 매트릭스 회로(40)와, 백 밸런스 보정 회로(50)와,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를 포함하여도 된다.
도 2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는, 도 1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150)와는, 신호 처리 회로(70a)가, 역 γ보정 회로(30)와, 컬러 매트릭스 회로(40)와, 백 밸런스 보정 회로(50)와,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를 구체적으로 구비한 점에서 서로 다르다. 또한, 당연히, 화상 표시 패널(90)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이 적용되고, 그에 수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80a)가 적용되고 있다.
텔레비전 신호 처리 회로(10)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이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에서도, YCbCr 신호가 입력되어, YCbCr 신호 그대로 처리되고, 색의 농도 조정이나 색상 조정, 화상의 확대·축소 등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도,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이며, 텔레비전 신호 처리 회로(10)로부터 YCbCr 신호가, 전송 레이트가 확대되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된다. 입력된 YCbCr 신호는,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의 변환식에 따라, RGB 신호로 변환되어, YCbCr 신호로부터 다이내믹 레인지 증가분의 2bit가 증가한 RGB 신호로 변환 출력된다. 예를 들면, 입력되는 YCbCr 신호가 10bit이면, 12bit의 RGB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출력된 RGB 신호는, 동일 신호 처리 모듈(100) 내의 신호 처리 회로(70a)에 입력된다.
신호 처리 회로(70a)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을 구동 제어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80a)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 처리를 행하는 회로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에 특유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회로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에 특유의 신호 처리 회로(70a) 중, 필수로 되는 것이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이다. 한편, 역 γ보정 회로(30)와, 컬러 매트릭스 회로(40)와, 백 밸런스 보정 회로(50)는,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어도 된다. 이하, 신호 처리 회로(70a)의 각 회로(30, 40, 50, 60)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역 γ보정 회로(30)는, 전송 γ보정되어 입력된 영상 신호에, 이를 원래대로 되돌리는 역의 보정을 행하고, 그 출력 신호를 선형 특성으로 하기 위한 신호 특성보정 회로이다.
도 3은, 역 γ보정 회로(2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입력 신호를 x, 출력 신호를 y로 한다.
도 3의 (a)는, 역 γ보정 회로에 입력되는 전송 γ보정된 영상 신호의 신호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에서, 전송 γ보정된 영상 신호는, 위로 볼록한 상승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b)는, 역 γ보정 회로(30)의 보정 특성도이다. 역 γ보정 회로는, 입력 신호 x에 대하여, y=x2.2의 특성으로 보정하여 출력 신호 y를 출력한다. 이는, 브라운관의 특성에 합치하여, 화상 표시 패널(90)이 브라운관인 경우에는, 이러한 보정을 행할 필요가 없지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은 선형의 출력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보정 회로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보정을 행하여도 된다.
도 3의 (c)는, 역 γ보정 회로(30)의 출력 영상 신호의 신호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c)에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리니어한 특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와 같이, 역 γ보정 회로(30)에 의해 리니어한 특성으로 보정된 영상 신호는, 컬러 매트릭스 회로(40)에 입력된다.
컬러 매트릭스 회로(40)는,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에서 신호 변환이 이루어졌을 때에, 색의 재현을 위해 좌표 변환을 행하는 회로이다.
도 4는, 컬러 매트릭스 회로(4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입력 컬러 영상 신호의 규격에 의한 색 재현 범위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의 색 재현 범위가 넓은 경우의 컬러 매트릭스 회로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녹(G) 신호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ITU-R BT.709에 대응한 입력 컬러 영상 신호의 G0 신호를 그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에 공급하여 표시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의 색 재현 범위(95)의 최외의 코너 G에 재현된다. 그러나, 이 G0 신호는, 원래 색 재현 범위(95)의 범위 내의 G'의 위치의 색으로서 재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입력 신호 G를 (KGR)배 (KGR>0)한 입력 신호 R의 성분 (KGRG)와, 입력 신호 G를 (KGB)배 (KGB>O)한 입력 신호 B의 성분 (KGBG)를 벡터 합산하여 G' 신호로 하고, G0 신호의 색도값에 일치시킨다. 이러한 보정을, 다른 청 신호(B), 적 신호(R)에 대해서도 행하여, B', R' 신호를 얻는다. xvYCC 규격에 의해 광색영역화되면, RGB의 값은 마이너스의 값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R'G'B'로 나타내어지는 색 재현 범위를 초과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의 색 재현 범위(95)까지 올바르게 색 재현할 수 있도록 된다.
도 5는, 컬러 매트릭스 회로(4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서, 컬러 매트릭스 회로(40)는, 입력 컬러 영상 신호로서, 녹(G) 신호 SG, 청(B) 신호 SB 및 적(R) 신호 SR을 받아,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색 보정을 행하여, 보정 신호 SG', SB' 및 SR'를 출력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컬러 매트릭스 회로(40)는, 수학식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정 처리를 행한다.
Figure 112008007763915-PAT00003
단,
KBG : G 신호에 대한 B 신호의 혼합 계수
KRG : G 신호에 대한 R 신호의 혼합 계수
KGB : B 신호에 대한 G 신호의 혼합 계수
KRB : B 신호에 대한 R 신호의 혼합 계수
KGR : R 신호에 대한 G 신호의 혼합 계수
KBR : R 신호에 대한 B 신호의 혼합 계수
도 5의 회로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색 보정을 행하는 회로로서,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G 신호에만 주목하였는데, 이는 SB=0, SR=0인 경우에 상당하고, 이 경우에는 수학식 3으로부터,
Figure 112008007763915-PAT00004
로 되어, 도 4와 같은 보정이 확실히 행해지고 있다.
도 2로 되돌아가, 백 밸런스 보정 회로(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백 밸런스 보정 회로(50)는, RGB 신호의 게인비를 바꾸는 회로이다. 즉, 흰 색을 표시했을 때에, 붉은 빛을 띤 백색인지, 푸른 빛을 띤 백색인지에 기초하여, RGB 신호의 게인비를 변경하고, 조정하는 회로이다.
도 6은, 백 밸런스 보정 회로(50)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서, 백 밸런스 보정 회로(50)는, 승산기(51, 52, 53)와, 마이크로 컴퓨터(55)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밸런스 보정 회로(50)는, 입력된 영상 신호 R, G, B에 대하여, 각 승산기(51, 52, 53)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55)로부터의 승산 계수(진폭 계수) Kr, Kg, Kb를 승산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55)는, 적, 녹 및 청의 휘도비를 바꾸어서 백 밸런스를 보정 또는 조정하기 위해 각 색의 영상 신호 R, G, B용의 계수 Kr, Kg, Kb를 승산기(51, 52, 53)에 공급한다. 여기에서, 계수 Kr, Kg, Kb는, 각 색의 영상 신호 R, G, B에 따라 동일한 경우도 있고, 또한, 서로 다른 경우도 있다. 즉, 백 밸런스 보정 회로(50)는, 마이크로컴퓨터(55)로부터의 계수 Kr, Kg, Kb를 승산기(51, 52, 53)에 공급하여, 각 색의 영상 신호 R, G, B의 신호 진폭을 제어함으로써 백 밸런스의 보정을 행한다.
여기에서, 백 밸런스 보정 회로(50)에서, 백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해, 예를 들면, 임의의 일정한 조정 패턴을 표시시켜서 원하는 백 밸런스가 얻어지도록, 각 색의 영상 신호 R, G, B의 신호 진폭 조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예를 들면, 공장 출하 전에, 각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마다 백 밸런스를 조정 또는 보정하지만, 일정한 조정 패턴을 표시시키고, 그 상태에서 마이크로컴퓨터(55)에 계수 Kr, Kg, Kb를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백 밸런스를 얻을 수 있다.
도 2로 되돌아가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에 특유의 구성 요소인,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80a)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3개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그 동작이 연동하고 있으므로, 통합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7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의,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80a)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의 부분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과, 어드레스 전극(91)과, 주사 유지 전극(92)과, 유지 전극(93)과, 격벽(99)과, 어드레스 구동 회로(81)와, 주사 유지 펄스 출력 회로(82)와, 유지 펄스 출력 회로(83)와, 구동 제어 회로(85)와,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를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는, 크게 나누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80a)와,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의 3개로 대별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은, 어드레스 전극(91), 주사 유지 전극(92), 유지 전극(93) 및 격벽(99)을 갖는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80a)는, 어드레스 전극(91)을 구동하는 어드레스 구동 회로(81)와, 주사 유지 전극(92)을 구동하는 주사 유지 펄스 출력 회로(82)과, 유지 전극(93)을 구동하는 유지 펄스 출력 회로(83)와, 이들의 출력 회로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 회로(85)를 갖는다.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서브 필드 변환 신호 처리를 행하는 회로를 갖는다. 또한,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는, 신호 처리 모듈(100a)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은, 대향하는 2매의 글래스 기판의 한쪽에 어드레스 전극(91)을 설치하고, 다른쪽에 주사 유지 전극(92)을 설치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글래스 기판 사이에 두어진 공간이 격벽(99)에 의해 구획되고, 그 구획된 각각의 공간이 각각 방전 셀을 구성하고 있다. 방전 셀에는, 예를 들면, He-Xe, Ne-Xe와 같은 희가스가 봉입되어 있고, 주사 유지 전극(92)과 유지 전극(93)에 전압을 가하면, 방전이 일어나, 자외선이 발생한다. 또한, 각각의 방전 셀에는, 적, 녹 및 청 중 어느 하나로 발광하는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발생한 자외선에 의해, 이 형광체가 여기하여 각각의 형광체에 따른 색광을 발광시킨다. 이 발광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에 따라서 원하는 색의 방전 셀을 선택함으로써, 컬러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제어 회로(85)는, 영상 신호(RGB 신호)에 의한 화상의 표시율(또는 표시 전류)에 따라서, 주사 유지 펄스 출력 회로(82)를 통하여 영상 신호의 발광 횟수를 제어하고 있다.
도 8은, 도 7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의 구동 시퀀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술한 발행 원리를 이용한 서브 필드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서브 필드법이란, 1 프레임을 발광 횟수의 차이에 따라 가중치 부여된 복수의 서브 필드(도 8에서는, SF1∼SF4)로 분할하고, 화소마다 거기에서의 신호의 진폭에 따른 서브 필드를 선택함으로써 계조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도 8에 도시하는 서브 필드법에 의한 구동 시퀀스는, 1 프레임을 4개의 서브 필드 SF1∼SF4로 분할하여 16계조를 표시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각 서브 필드의 주사 기간 T1ha, 그 서브 필드에서 발광하는 방전 셀(이하, 「발광 셀」이라고 부름)을 선택하기 위한 기간이며, 또한, 방전 유지 기간 T2ha, 그 선택된 발광 셀이 발광하고 있는 기간이다.
서브 필드 SF1∼SF4의 방전 유지 기간 T2는, 선택된 셀이 발광하는 시간을 요하고, 각각은 8:4:2:1의 비율로 발광 횟수에 가중치 부여되고 있다. 그리고, 영상 신호 레벨에 따라서 이들 서브 필드 SF1∼SF4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택함으로써, 2의 4승=16계조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계조수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브 필드의 수를 늘리면 되고, 예를 들면, 서브 필드수를 8로 하면, 2의 8승=256계조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 서브 필드의 휘도 레벨은, 유지 발광의 횟수(발광 횟수)에 의해 제어한다.
이러한 서브 필드법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의 구동을 행하기 위해서,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는, 입력된 영상 신호로부터, 복수의 서브 필드 각각의 비트 신호군을 새롭게 작성하고, 서브 필드의 발광·비발광을 나타내는 서브 필드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의 변환 처리를 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에서는, 변환된 서브 필드 데이터가, SF1, SF2, SF3의 순으로 읽어내어지고, 각 서브 필드가 시간축을 따라, 시간의 경과와 함께 서브 필드마다 읽어내어지도록, 읽어내기 순번의 변경을 행한다.
읽어내어진 서브 필드 데이터는, 어드레스 구동 회로(81)에 어드레스 데이터 로서 출력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80a)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의 구동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도 8의 예에서는 각 서브 필드 SF1∼SF4는 8:4:2:1의 바이너리 비율로 발광 횟수에 가중치 부여되고 있지만, 임의의 비율로 발광 횟수에 가중치 부여를 하여도 된다.
도 2로 되돌아가면,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에 특유의 구동을 행하는 데에 필요한 신호 처리 회로는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이며, 이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회로(70a)와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를 1개의 신호 처리 모듈(100a) 내에 내장함으로써, 다이내믹 레인지가 증가한 영상 신호의 케이블 등에 의한 전송을 행하지 않고, 동일 신호 처리 모듈 내에서 최종 단계의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까지 영상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에 특유의 구성 요소로서 지금까지 설명한 역 γ보정 회로(30), 컬러 매트릭스 회로(40), 백 밸런스 보정 회로(50),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80a)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90a)의 개개의 구성에 대해서는, 여러 양태를 적용하여도 되고,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양태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이에 한정되는 취지는 아니다.
또한, 역 γ보정 회로(30), 컬러 매트릭스 회로(40) 및 백 밸런스 회로(50)는, 반드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의 구동을 위한 신호 처리로서 필요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필요에 따라, 이들 회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신호 처리 모듈(100a) 내의 신호 처리 회로(70a) 내에 일체적으로 구성함으 로써, 스페이스 절약으로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특히, 역 γ보정 회로(30)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출력 신호의 비트수가 증가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의 구성에 의한 의의가 크다. YCbCr/RGB 영상 신호 변환 회로(20), 역 γ보정 회로(30), 컬러 매트릭스 회로(40), 백 밸런스 보정 회로(50) 및 서브 필드 변환 회로(60)를, 1개의 신호 처리 모듈(100a) 내에 설치함으로써, 저코스트로 스페이스를 절약하면서 고속의 신호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에 여러 변형 및 치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150)의 회로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의 회로 블록도.
도 3은, 역 γ보정 회로(2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역 γ보정 회로에 입력되는 전송 γ보정된 영상 신호의 신호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의 (b)는, 역 γ보정 회로(30)의 보정 특성도, 도 3의 (c)는, 역 γ보정 회로(30)의 출력 영상 신호의 신호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컬러 매트릭스 회로(4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컬러 매트릭스 회로(4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백 밸런스 보정 회로(50)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50a)의 구동 시퀀스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공지의 ITU-R BT.709 규격과 xvYCC709 규격의 광전 변환 특성도.
도 10은 공지의 영상 신호의 색영역을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250)의 회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텔레비전 신호 처리 회로
20 : 영상 신호 변환 회로
30 : 역 γ보정 회로
40 : 컬러 매트릭스 회로
50 : 백 밸런스 보정 회로
60 : 서브 필드 변환 회로
70, 70a : 신호 처리 회로
80 : 화상 표시 패널 구동 회로
80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
90 : 화상 표시 패널
90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0, 100a : 신호 처리 모듈
150 : 화상 표시 장치
150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8)

  1. 제1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를, 다이내믹 레인지가 증대하는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를 변환 출력하는 영상 신호 변환 회로와,
    상기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로 화상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상기 구동 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모듈
    을 갖고,
    상기 영상 신호 변환 회로가, 상기 신호 처리 모듈 내에 설치되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기판 또는 ASIC인 화상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는 YCbCr 신호이고, 상기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는 RGB 신호인 화상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고,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서브 필드 변환 회로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역 γ보정 회로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컬러 매트릭스 회로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백 밸런스 보정 회로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8. 제1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를, 다이내믹 레인지가 증대하는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영상 신호 변환을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를 변환 출력하는 영상 신호 변환 회로와,
    상기 제2 영상 신호 포맷의 영상 신호로 화상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 로와,
    상기 구동 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모듈을 갖고,
    상기 영상 신호 변환 회로가 상기 신호 처리 모듈 내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의 입력 영상 신호가 상기 제1 영상 신호 포맷인 화상 표시 장치.
KR1020080009456A 2007-06-27 2008-01-30 화상 표시 장치 KR200801144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69254 2007-06-27
JP2007169254A JP2009008835A (ja) 2007-06-27 2007-06-27 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478A true KR20080114478A (ko) 2008-12-31

Family

ID=3979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456A KR20080114478A (ko) 2007-06-27 2008-01-30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02550A1 (ko)
EP (1) EP2009930A2 (ko)
JP (1) JP2009008835A (ko)
KR (1) KR20080114478A (ko)
CN (1) CN1013349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46818A4 (en) * 2008-01-24 2011-08-03 Panasonic Corp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SIGNAL PROCESSING PROGRAM
TWI410953B (zh) * 2009-03-25 2013-10-01 Mstar Semiconductor Inc 色彩空間轉換電路及方法
JP2014095905A (ja) * 2013-12-04 2014-05-22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CN108777774A (zh) * 2018-06-13 2018-11-09 贵州大学 一种基于fpga的四通道视频转换电路及转换方法
US10796621B2 (en) * 2018-09-14 2020-10-06 Chongqing Hkc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data, display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930A (ko) * 2002-02-09 2003-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이트 밸런스 보상방법 및장치
JP2003241720A (ja) * 2002-02-20 2003-08-29 Casio Comput Co Ltd 液晶駆動装置
JP4528934B2 (ja) * 2004-03-02 2010-08-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駆動制御装置
KR20050100530A (ko) * 2004-04-14 2005-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
TWI300544B (en) * 2005-07-01 2008-09-0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module and gate driver thereof
EP1933571B1 (en) * 2005-08-26 2015-09-30 Panasonic Corporation Multiplex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7142500A (ja) * 2005-11-14 2007-06-07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信号処理回路、プログラム及び表示方法
JP2008187695A (ja) * 2007-01-31 2008-08-14 Toshiba Corp 映像信号変換装置及び映像信号変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02550A1 (en) 2009-01-01
JP2009008835A (ja) 2009-01-15
EP2009930A2 (en) 2008-12-31
CN101334989A (zh)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12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extended color space data
KR100648310B1 (ko) 영상의 휘도 정보를 이용한 색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디스플레이 장치
US8451299B2 (en) Controller, hold-type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signal adjusting method for hold-type display device
US93965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image data
KR100710121B1 (ko) 색신호 보정 장치, 색신호 보정 방법 및 화상 표시장치
KR102253039B1 (ko) 영상 데이터 인코딩 장치 및 방법
US7817210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apparatus
US88607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or gamut mapping
KR101815895B1 (ko) 데이터 드라이버, 표시장치 및 데이터 구동 방법
EP1727113A1 (en) Display and displaying method
CN101296383A (zh) 用于显示具有宽色域的图像的方法和装置
JP2008242254A (ja) 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パネル駆動方法
KR20080114478A (ko) 화상 표시 장치
KR101938298B1 (ko) 표시 시스템, 이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감마 보정 방법 및 상기 영상 데이터 감마 보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매체
US9747827B2 (en) Driving circuit of display device for compensating image data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8237752B2 (en) Color calibrator of display device
JP2005518158A (ja) ガンマ補正回路
JPH1013849A (ja) Pdpのガンマ補正方式
KR101686119B1 (ko) 휘도 제어기술을 이용한 플리커 프리 최적의 고효율 led전광판
JP2003099010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CN113808550A (zh) 可应用于在显示模块中进行亮度增强的设备
KR20030097507A (ko) 평판 표시 장치의 색도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41923A (ko) 신호 생성 장치, 신호 생성 프로그램, 신호 생성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US20080238952A1 (en) Colo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lor with an increased number of gradation levels
US20060066523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