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957A - 잡 컨트롤 장치 및 복합장치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잡 컨트롤 장치 및 복합장치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957A
KR20080113957A KR1020070063034A KR20070063034A KR20080113957A KR 20080113957 A KR20080113957 A KR 20080113957A KR 1020070063034 A KR1020070063034 A KR 1020070063034A KR 20070063034 A KR20070063034 A KR 20070063034A KR 20080113957 A KR20080113957 A KR 20080113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devices
job control
middlewa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920B1 (ko
Inventor
변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3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920B1/ko
Priority to US12/034,879 priority patent/US8804164B2/en
Priority to CNA2008100930503A priority patent/CN101335803A/zh
Publication of KR2008011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4Local printe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54Scheduling operations or managing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79Medical imag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잡 컨트롤 장치 및 복합장치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잡 컨트롤 장치는, 독립된 기능을 갖는 복수의 디바이스들로 이루어지는 복합장치와의 연결을 중계하는 미들웨어부, 및 미들웨어부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잡(Job)을 제어하는 잡 컨트롤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복합장치의 잡 컨트롤 소프트웨어의 변경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잡 컨트롤, 미들웨어, 잡 호출, 인터페이스, 복합장치

Description

잡 컨트롤 장치 및 복합장치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Job control apparatus and multi-function produc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복합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잡 컨트롤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잡 컨트롤 시스템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잡 컨트롤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잡 컨트롤 장치 110 : 제1 미들웨어부
120 : 잡 컨트롤부 200: 복합장치
210 : 제2 미들웨어부 22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30 : 복수의 디바이스
본 발명은 잡 컨트롤 장치 및 복합장치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잡 컨트롤 소프트웨어의 변경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잡 컨트롤 장치 및 복합장치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하나의 장치에는 하나의 기능만이 탑재된 프린터, 스캐너, 및 팩시밀리와 같은 장치들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각각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장치가 하나의 장치에 탑재된 복합장치(Multi-function Product)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합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합장치(1)에는 프린터(12), 스캐너(14), 팩스(16), 및 미디어(18)와 같은 디바이스(10)가 탑재될 수 있다. 복합장치(1)에 탑재된 프린터(12), 스캐너(14), 팩스(16), 및 미디어(18)는 각각의 독립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복합장치(1) 내에서 디바이스(10)는 상호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복사 및 인쇄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는 복합장치(1) 내부에서 디바이스(10)를 컨트롤하는 소프트웨어가 존재하여야 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잡 컨트롤부(30)라 한다.
예를 들면, 복사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잡 컨트롤부(30)는 UI부(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 인지되면, 스캐너(14)를 통해 문서를 스캔하도록 한 후, 프린터(12)를 통해 스캔된 문서를 인쇄하도록 한다.
그런데, 복합장치(1)에서는 단순한 복사 기능 이외에도, N-up 복사, 축소 혹 은 확대 복사, 복사된 문서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이 파생된다. 이와 같이 다양하게 파생된 기능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잡 컨트롤부(30)의 변경이 요구된다.
즉, 잡 컨트롤부(30)는 사용자의 요구 사항 혹은 제조업체의 상황에 맞추어 변경된다. 또한, 새로운 복합장치(1)를 제조할 때마다 해당 복합장치(1)에 적합하도록 잡 컨트롤부(30)를 변경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잡 컨트롤부(30)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 솔루션(Solution) 복합장치가 개시되었다. 솔루션 복합장치는 내부에 플랫폼을 설치하고, 사용자 환경에 맞도록 별도의 프로그램을 플랫폼에 다운로드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형태 및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능을 제어하도록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솔루션 복합장치는 플랫폼 구축 및 인터페이스 환경 제공을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플랫폼을 설치하는 형태의 경우, 플랫폼 제공을 위해 갖추어야 할 하드웨어적인 요소 예를 들면, 메모리 및 CPU 성능이 고성능이어야 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하는 형태의 경우, SOA(Site Open API)와 같은 웹(Web)상에서 솔루션 복합장치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본적인 환경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들웨어 환경을 기반으로 호스트와 복합장치간의 잡을 컨트롤함으로써, 추가적인 하드웨어의 구성 없이 잡 컨트롤 소프트웨어의 변 경이 용이한 잡 컨트롤 장치 및 복합장치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잡 컨트롤 장치는, 독립된 기능을 갖는 복수의 디바이스들로 이루어지는 복합장치와의 연결을 중계하는 미들웨어부, 및 미들웨어부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잡(Job)을 제어하는 잡 컨트롤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잡 컨트롤부는 복합장치의 잡 호출 요청에 대하여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잡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잡 컨트롤부는 잡에 대응하는 디바이스가 복수 개일 경우, 잡의 수행 순서에 따라 복수 개의 디바이스를 순차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미들웨어부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정의된 인터페이스의 통신 메커니즘 환경 요소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미들웨어부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RMI(Remote Method Invocation), 및 COM+(Component Object Model) 중 어느 하나의 미들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잡 컨트롤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복합장치의 잡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복합장치와의 연결을 중계하는 미들웨어부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잡을 제어하는 단계는, 복합장치의 잡 호출 요청에 대하여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잡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잡을 제어하는 단계는, 잡에 대응하는 디바이스가 복수 개일 경우, 잡의 수행을 위한 순서에 따라 복수 개의 디바이스를 순차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복수의 디바이스들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단계, 및 정의된 인터페이스의 통신 메커니즘 환경 요소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미들웨어부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RMI(Remote Method Invocation), 및 COM+(Component Object Model) 중 어느 하나의 미들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장치는, 독립된 기능을 갖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및 처리할 잡에 대한 잡 호출을 잡 컨트롤 장치로 요청하는 미들웨어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미들웨어부를 통해 잡 컨트롤 장치로부터 호출된 디바이스는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로부터 잡 처리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잡 컨트롤 장치는 사용자 단말장치, 잡 컨트롤 전용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미들웨어부는, 잡 컨트롤 장치로부터 호출된 디바이스가 해당 기능을 수행한 후, 디바이스의 기능 수행 결과를 잡 컨트롤 장치에 통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미들웨어부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RMI(Remote Method Invocation), 및 COM+(Component Object Model) 중 어느 하나의 미들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장치의 동작 방법은, 잡 컨트롤 장치와의 연결을 중계하는 미들웨어부를 통해 처리할 잡에 대한 잡 호출을 요청하는 단계, 및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미들웨어부를 통해 잡 컨트롤 장치로부터 호출된 디바이스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로부터 잡 처리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잡 컨트롤 장치는 사용자 단말장치, 잡 컨트롤 전용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미들웨어부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RMI(Remote Method Invocation), 및 COM+(Component Object Model) 중 어느 하나의 미들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잡 컨트롤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잡 컨트롤 시스템은 잡 컨트롤 장치(100) 및 복합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잡 컨트롤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장치이거나 잡 컨트롤 전용 장치일 수 있다.
잡 컨트롤 장치(100) 및 복합장치(200)는 미들웨어(Middleware)를 통해 연결된다. 통상, 미들웨어는 각각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프로그램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거나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미들웨어로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RMI(Remote Method Invocation), 및 COM+(Component Object Model)를 들 수 있다.
잡 컨트롤 장치(100)는 제1 미들웨어부(110) 및 잡 컨트롤부(120)를 포함한다. 잡 컨트롤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장치일 경우, 제1 미들웨어부(110) 및 잡 컨트롤부(120) 이외에도 각종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및 프린터 드라이버(Driver)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잡 컨트롤 장치(100)에 포함되어 있는 미들웨어부 및 복합장치(200)에 포함되어 있는 미들웨어부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잡 컨트롤 장치(100)에 포함되어 있는 미들웨어부는 제1 미들웨어부(110)라 하고, 복합장치(200)에 포함되어 있는 미들웨어부는 제2 미들웨어부(210)라 한다. 또한, 미들웨어부는 미들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미들웨어부(110)는 복합장치(200)와의 연결을 중계하는 것으로, 복합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잡 컨트롤부(120)에 전달하고, 잡 컨트롤부(1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복합장치(200)로 전달한다.
제1 미들웨어부(110)는 잡 컨트롤부(120)에서 복합장치(200)의 복수의 디바이스의 잡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여야 한다. 여기서,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정의는 해당 인터페이스의 이름, 이 인터페이스가 호출될 때 제공받을 인수, 및 각 인수가 어떠한 타입으로 정의되어야 하는지에 관하여 기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Interface Definition Language, 이하, "IDL"이라 한다)를 이용한다. IDL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면, 컴파일(Compile) 과정을 통해 서버 전용 소스 코드인 스켈리톤(Skeleton) 및 클라이언트 전용 소스 코드인 스터브(Stub) 파일이 소정 프로그램 언어 형태로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파일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을 실행할 수 있다.
잡 컨트롤부(120)는 제1 미들웨어부(110)를 통해 복합장치(200)의 복수의 디바이스 중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잡(Job)을 제어한다. 잡 컨트롤부(120)에서 복수의 디바이스가 소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잡을 제어할 때, 통상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의 디바이스가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스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문서를 스캔한 후 인쇄를 하여야 하고, 팩스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팩스 문서를 수신한 후 인쇄를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잡 컨트롤부(120)는 두 가지 이상의 디바이스가 순차적으로 동작하도록 잡을 제어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형태로 잡을 제어하는 것을 플로우 제어(Flow control)라 한다.
즉, 잡 컨트롤부(120)는 복합장치(200)에서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디바이스가 동작이 완료된 후 다른 디바이스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플로우 제어 형태로 잡을 제어한다.
복합장치(200)는 제2 미들웨어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및 복수의 디바이스(230)을 포함한다.
제2 미들웨어부(210)는 잡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에 잡 컨트롤 장치(100)로 처리할 잡에 대한 잡 호출을 요청한다. 여기서, 잡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잡 처리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및 잡 컨트롤 장치(100)로부터 잡 처리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잡 컨트롤 장치(100)로부터의 잡 처리 요청 신호는 잡 컨트롤 장치(100)에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복합장치(200) 및 잡 컨트롤 장치(100)간을 연결하는 소정 케이블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미들웨어로 CORBA를 적용할 경우, 복합장치(200)의 제2 미들웨어부(210)는 객체 요구 브로커(Object Request Broker)를 통해 잡 컨트롤 장치(100)의 제1 미들웨어부(110)에 잡 호출 요청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ORB는 분산 객체에서 제공할 서비스에 대하여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시점부터 그 요구가 완료될 때까지 마치 "거래 중계인"처럼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일컫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잡 처리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사용자는 복합장치(200)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통하거나 혹은 전용 키를 통해 처리하고자 하는 잡을 요청하는 잡 처리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복수의 디바이스(230)는 독립된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로, 프린터부(232), 스캐너부(234), 팩스부(236), 및 미디어부(238)를 포함한다. 프린터부(232), 스캐너부(234), 팩스부(236), 및 미디어부(238)는 복수의 디바이스(230)에 포함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예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프린터부(232), 스캐너부(234), 팩스부(236), 및 미디어부(238) 이외에 다른 디바이스가 포함될 수도 있고, 프린터부(232), 스캐너부(234), 팩스부(236), 및 미디어부(238) 중 불필요한 구성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린터부(232)는 잡 컨트롤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인쇄 데이터 혹은 복합장치(20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스캐너부(234)는 복합장치(200)에 삽입된 소정의 문서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문서를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한다.
팩스부(236)는 공중 전화망을 통해 다른 복합장치 혹은 팩시밀리로 팩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다른 복합장치 혹은 팩시밀리로부터 팩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부(238)는 복합장치(200) 내부의 HDD, SD(secure digital card), 스마트 카드(Smart card)와 같은 저장 매체를 통칭한다. 미디어부(238)에는 잡 컨트롤부(120)의 플로우 제어를 위해 첫 단계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잡 컨트롤부(120)에 의해 스 캐너부(234)가 동작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면, 잡 컨트롤부(120)는 스캐너부(234)의 동작 완료를 확인한 이후에 프린터부(232)가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미디어부(238)는 스캐너부(234)의 동작 완료 후 프린터부(232)가 동작하기 이전까지 스캔 이미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잡 컨트롤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잡 컨트롤 시스템은 잡 컨트롤 장치(100) 및 복합장치(20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잡 컨트롤 장치(100) 및 복합장치(200)는 미들웨어를 통해 연결된다.
도 3에 도시한 잡 컨트롤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잡 컨트롤 시스템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표기하였다. 또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나는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잡 컨트롤 장치(100)는 제1 미들웨어부(110) 및 제1 잡 컨트롤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잡 컨트롤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장치이거나 혹은 잡 컨트롤 전용 장치일 수 있다. 제1 미들웨어부(110)는 도 2에 도시한 제1 미들웨어부와 동일한 기능을 갖으며, 제1 잡 컨트롤부(130)는 도 2에 도시한 잡 컨트롤부(12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복합장치(200)는 제2 미들웨어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복수의 디바이스(230), 및 제2 잡 컨트롤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미들웨어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및 복수의 디바이스(230)는 도 2에 도시한 제 2 미들웨어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및 복수의 디바이스(23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제2 잡 컨트롤부(240)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잡 컨트롤부(1)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디바이스(230)는 선택적으로 잡 컨트롤 장치(100)의 제1 잡 컨트롤부(130)에 의해 제어되거나 혹은 복합장치(200) 내부의 제2 잡 컨트롤부(2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디바이스(230)가 복합장치(200) 내부의 제2 잡 컨트롤부(240)에 의해 제어될 경우에는 제1 미들웨어부(110) 및 제2 미들웨어부(210)를 통하지 않으므로, 잡 컨트롤 장치(100)의 제1 잡 컨트롤부(130)에 의해 제어될 경우보다 다소 처리 속도가 빠를 수 있다.
그러나, 제2 잡 컨트롤부(240)는 소프트웨어적인 변경이 어려우므로, 잡 제어의 소프트웨어적인 변경이 요구될 경우에는 제1 잡 컨트롤부(130)를 변경시킴으로써, 제1 잡 컨트롤부(130) 혹은 제2 잡 컨트롤부(240)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잡 컨트롤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잡 컨트롤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잡 처리 요청 신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제2 미들웨어부(210)를 통해 잡 호출을 요청하며, 잡 컨트롤 장치(100)는 제1 미들웨어부(110)를 통해 복합장치(200)의 잡 호출 요청을 수신한다(S300).
잡 컨트롤부(120)는 제1 미들웨어부(110)를 통해 잡 호출 요청이 수신되면, 복수의 디바이스(230) 중 해당 잡을 처리할 디바이스를 결정한다. 이때, 잡을 처리할 디바이스가 복수 개일 경우(S310-Y), 잡 컨트롤부(120)는 제1 미들웨어부(110)를 통해 잡의 수행을 위한 순서에 따라 하나의 디바이스를 실행시킨다(S320).
복수의 디바이스 중 잡 컨트롤부(120)의 제어에 의해 해당 기능을 수행한 디바이스는 자신의 동작 수행 결과를 제2 미들웨어부(210)를 통해 잡 컨트롤부(120)에 알리며, 잡 컨트롤부(120)는 기능을 수행한 디바이스의 기능 수행 결과를 제1 미들웨어부(110)를 통해 수신한다(S330).
이후, 잡 컨트롤부(120)는 플로우 제어에 의해 즉, 잡의 수행을 위한 순서에 따라 이전에 처리된 기능 다음에 처리하여야 하는 기능을 수행할 다른 디바이스를 실행시킨다(S340).
만약, S310 단계에서, 잡에 대응하는 디바이스가 하나일 경우(S310-N)에는 플로우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잡 컨트롤부(120)는 잡에 대응하는 하나의 디바이스를 실행시킨다(S350).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복합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잡 처리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다(S400).
잡 처리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제2 미들웨어부(210)는 잡 컨트롤 장치(100)로 처리할 잡에 대한 잡 호출을 요청한다(S410). 잡 컨트롤 장치(100)에서는 제1 미들웨어부(110)를 통해 복합장치(200)의 잡 호출 요청을 수신한다.
이후, 제2 미들웨어부(210)에 잡 컨트롤 장치(100)로부터의 디바이스에 대한 인터페이스 호출이 수신되면, 해당 디바이스에서 기능을 수행한다(S42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잡 컨트롤 장치 및 복합장치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은 미들웨어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호스트에서 복합장치의 잡을 컨트롤함으로써, 추가적인 하드웨어의 구성 없이 잡 컨트롤 소프트웨어의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호스트에서 복합장치의 잡을 컨트롤하기 위하여 미들웨어 환경을 기반으로 함으로 인하여, 빠른 대응 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9)

  1. 독립된 기능을 갖는 복수의 디바이스들로 이루어지는 복합장치와의 연결을 중계하는 미들웨어부; 및
    상기 미들웨어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잡(Job)을 제어하는 잡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컨트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 컨트롤부는, 상기 복합장치의 잡 호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상기 잡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컨트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잡 컨트롤부는, 상기 잡에 대응하는 디바이스가 복수 개일 경우, 상기 잡의 수행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를 순차적으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컨트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웨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인터페이스의 통신 메커니즘 환경 요소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컨트롤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웨어부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RMI(Remote Method Invocation), 및 COM+(Component Object Model) 중 어느 하나의 미들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컨트롤 장치.
  6. 독립된 기능을 갖는 복수의 디바이스들로 이루어지는 복합장치의 잡을 제어하는 잡 컨트롤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장치의 잡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장치와의 연결을 중계하는 미들웨어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컨트롤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합장치의 잡 호출 요청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상기 잡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컨트롤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잡에 대응하는 디바이스가 복수 개일 경우, 상기 잡의 수행을 위한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를 순차적으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컨트롤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정의된 인터페이스의 통신 메커니즘 환경 요소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컨트롤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웨어부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RMI(Remote Method Invocation), 및 COM+(Component Object Model) 중 어느 하나의 미들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컨트롤 장치의 동작 방법.
  11. 독립된 기능을 갖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및
    처리할 잡에 대한 잡 호출을 잡 컨트롤 장치로 요청하는 미들웨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상기 미들웨어부를 통해 상기 잡 컨트롤 장치로부터 호출된 디바이스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잡 처리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잡 컨트롤 장치는 사용자 단말장치, 잡 컨트롤 전용 장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웨어부는, 상기 잡 컨트롤 장치로부터 호출된 디바이스가 상기 해당 기능을 수행한 후,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잡 컨트롤 장치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웨어부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RMI(Remote Method Invocation), 및 COM+(Component Object Model) 중 어느 하나의 미들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
  16. 독립된 기능을 갖는 복수의 디바이스들로 이루어지는 복합장치의 동작 방법 에 있어서,
    잡 컨트롤 장치와의 연결을 중계하는 미들웨어부를 통해 처리할 잡에 대한 잡 호출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상기 미들웨어부를 통해 상기 잡 컨트롤 장치로부터 호출된 디바이스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잡 처리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잡 컨트롤 장치는 사용자 단말장치, 잡 컨트롤 전용 장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웨어부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RMI(Remote Method Invocation), 및 COM+(Component Object Model) 중 어느 하나의 미들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070063034A 2007-06-26 2007-06-26 잡 컨트롤 장치 및 복합장치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 KR101405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034A KR101405920B1 (ko) 2007-06-26 2007-06-26 잡 컨트롤 장치 및 복합장치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
US12/034,879 US8804164B2 (en) 2007-06-26 2008-02-21 Image form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middleware
CNA2008100930503A CN101335803A (zh) 2007-06-26 2008-04-15 作业控制设备、多功能设备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034A KR101405920B1 (ko) 2007-06-26 2007-06-26 잡 컨트롤 장치 및 복합장치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957A true KR20080113957A (ko) 2008-12-31
KR101405920B1 KR101405920B1 (ko) 2014-07-17

Family

ID=4016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034A KR101405920B1 (ko) 2007-06-26 2007-06-26 잡 컨트롤 장치 및 복합장치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04164B2 (ko)
KR (1) KR101405920B1 (ko)
CN (1) CN1013358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0097B (zh) * 2012-07-04 2018-01-30 深圳中兴网信科技有限公司 一种跨中间件平台的组件的实现方法和装置
CN109739447B (zh) * 2018-12-19 2022-07-12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中间件及其通信方法、中间件层、存储介质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0312B1 (en) * 2000-04-24 2005-1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function office device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implemented with a touch screen
US7831693B2 (en) * 2003-08-18 2010-11-09 Oracle America, Inc. Structured methodology and design patterns for web services
KR20060021031A (ko) * 2004-09-02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중지기능을 지원하는 인쇄시스템 및 그 방법
JP4614390B2 (ja) * 2005-06-14 2011-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とその制御方法
US20070022233A1 (en) * 2005-07-20 2007-01-25 Lexmark International, Inc. Document processing device with USB drive
US8284768B2 (en) 2005-10-06 2012-10-09 Sierra Wireless, Inc. Dynamic bus-based virtual channel multiplexing device driver architecture
KR101198583B1 (ko) * 2005-10-12 2012-11-06 한국과학기술원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미들웨어 장치와 그 관리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7148652A (ja) 2005-11-25 2007-06-14 Canon Inc 印刷システム
US20070198996A1 (en) * 2006-02-09 2007-08-23 Ziep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peripheral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04164B2 (en) 2014-08-12
KR101405920B1 (ko) 2014-07-17
CN101335803A (zh) 2008-12-31
US20090002740A1 (en) 200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65265A1 (en) System using services, image handling apparatus, external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ate change sending method
JP568320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を制御する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8121954B2 (en) Information processo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system
EP2498177B1 (en) Printer
US20090027725A1 (en) Networ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5729979B2 (ja) 印刷中継システム、印刷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印刷中継システムを制御する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51422B2 (ja) ドキュメントにセキュリティ特徴を組み込む方法とその装置
JP5609308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907096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405920B1 (ko) 잡 컨트롤 장치 및 복합장치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
US20140009774A1 (en) Print processing system
JP2006338268A (ja) データ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ース基板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登録方法
JP5274203B2 (ja) データ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6768544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050966A (ja) ドキュメント処理装置の設定をクローン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9054153A (ja) ドキュメント処理装置のドライバをカスタム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977039B2 (ja) 画像情報処理装置用通信プログラム生成方法および画像情報処理装置用通信プログラム生成装置
JP2004086354A (ja) 画像処理装置
JP4500326B2 (ja) プロセス間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情報処理装置
JP4498460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046818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内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JP4886748B2 (ja) 画像処理ノード、および画像処理ノード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2000039975A (ja) 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システム、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システムの通信制御方法及び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7140663A (ja) 画像処理装置
JP2007087129A (ja) 情報処理装置、デバイス設定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