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693A -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693A
KR20080113693A KR1020070062486A KR20070062486A KR20080113693A KR 20080113693 A KR20080113693 A KR 20080113693A KR 1020070062486 A KR1020070062486 A KR 1020070062486A KR 20070062486 A KR20070062486 A KR 20070062486A KR 20080113693 A KR20080113693 A KR 20080113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module
mai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ata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5437B1 (ko
Inventor
이종태
한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437B1/ko
Priority to US12/074,805 priority patent/US7975075B2/en
Priority to CN2008100948367A priority patent/CN101335570B/zh
Publication of KR20080113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3Bidirection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디바이스와 그에 연결된 외부 모듈 사이의 직렬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모듈은 상기 데이터 통신 수행 전에, 자신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모듈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모듈의 접속을 확인한 후에, 상기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상기 외부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 직렬 통신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2에서 메인 디바이스가 외부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식별정보 포맷의 일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메인 디바이스가 외부 모듈로 전송하는 식별정보 확인신호 포맷의 일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메인 디바이스와 그에 연결된 외부 모듈 사이의 직렬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로써, 국내 출원번호 제1998-0059854호에 개시된 다중 직렬 통신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1에서 통신용 제어 모듈부(10)내의 PIO(12)의 상태에 따라 RS232 통신을 수행하는 UART 포트(11)의 용도를 변경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용 제어보드의 다중 시리얼 통신 장치가 케이블 연결 상태에 따라 RS232 통신이라 인식되면, 통신용 제어 모듈부(10)내의 PIO(12) 상태를 Low로 출력하고, 선택부(80)의 제어를 통해 UART 포트(11)를 RS232 통신용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용 제어보드의 다중 시리얼 통신 장치가 케이블 연결 상태에 따라 RS232 통신이 아니라고 인식되면, 통신용 제어 모듈부(10)내의 PIO(12) 상태를 High로 출력하고, 선택부(80)의 제어를 통해 UART 포트(11)를 적외선 통신용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UART 직렬 통신용 핀(Rx, Tx)(도 1의 UART 포트(11))은 규격화 되어 있는 통신 방법으로, 규격화된 직렬 통신을 사용하는 기기간의 통신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A라는 디바이스에 B 모듈과 C 모듈을 RS232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고 가정해 보자. B 모듈 및 C 모듈은 모두 A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지만, A 디바이스 입장에서는 단순히 데이터만을 수신할 수 있을 뿐, B 모듈이 연결되었는지, C 모듈이 연결되었는지 판단하지 못한다. 이 경우 A 디바이스에 B 모듈이 연결되었는지, C 모듈이 연결되었는지 인식할 수 있는 또 다른 검출 핀(detection pin)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별도의 검출 핀의 할당 없이 UART 직렬 통신용 두개의 핀(Rx, Tx)만을 이용하여 메인 디바이스에 어떤 외부 모듈이 연결되었는지 판단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모듈은 상기 데이터 통신 수행 전에, 자신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모듈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모듈의 접속을 확인한 후에, 상기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상기 외부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모듈은 상기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모듈은 자신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는 상기 식별정보로부터 상기 외부모듈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모듈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식별정보는 적어도 상기 외부모듈의 종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식별정보 확인신호는 적어도 상기 외부모듈의 연결 성공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직렬 데이터 통신용 송수신 단자를 포함하 는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의 직렬 데이터 통신용 송수신 단자를 포함하는 외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모듈의 송신 단자는 상기 직렬 데이터 통신 수행 전에, 자신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수신단자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송신단자는 상기 외부모듈의 연결결과신호를 상기 외부모듈의 수신단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송수신 단자 및 상기 외부모듈의 송수신 단자 사이에 상기 식별정보 및 연결결과신호 송수신 후 직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모듈의 송신단자는 자신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수신단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수신단자가 수신한 식별정보는 수신자, 상기 외부모듈의 고유번호, 상기 외부모듈의 버전정보 및 상기 외부모듈의 종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송신단자가 전송하는 연결 결과신호는 송신자, 상기 외부모듈의 고유번호, 상기 외부모듈의 버전정보 및 상기 외부모듈의 종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연결된 외부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메인 디바이스 및 외부모듈 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외부모듈이 자신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한 상기 메인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모듈의 접속을 확인하고,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상기 외부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외부모듈이 상기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적어도 상기 외부모듈의 종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소, 상기 식별정보 확인신호는 적어도 상기 외부모듈의 연결 성공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메인 디바이스(200) 및 외부 모듈(210)을 포함한다. 메인 디바이스(200)는 UART 직렬 통신 중 TTA(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24 핀 규격에 해당하는 24 핀 커넥터를 채택하는 디지털 카메라, 단말기, 휴대 단말기 컴퓨터 등의 기기일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200)에 연결되어 직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모듈(21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일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200)와 외부모듈(210)은 유선 케이블(미도시)로 연결되어 직 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직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디바이스(200)가 디지털 카메라 이고, 외부 모듈(210)이 GPS 모듈인 경우, 디지털 카메라와 GPS 모듈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GPS 모듈이 저장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디지털 카메라가 수신하고, 디지털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파일 저장 시에 수신한 위치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인 디바이스(200)가 휴대용 단말기 이고, 외부 모듈(210)이 블루투스 모듈인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소정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메인 디바이스(200)는 자신을 제어하는 제어부(20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부(201)에는 직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단자(transmitter port, 이하 Tx단자로 표기함)(203) 및 수신단자(reciver port, 이하 Rx단자로 표기함)(205)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모듈(210) 또한 자신을 제어하는 제어부(2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부(211)에는 직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Tx단자(213) 및 Rx단자(215)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디바이스(200)의 Rx단자(205)는 외부 모듈(2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뿐 외부 모듈(210)이 어떤 종류인지 알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메인 디바이스(200)가 통신 중인 외부 모듈(210)의 종류를 확인하여 현재 데이터 통신 상태를 OSD(on screen display)로 디스플레이 하거나, 연결된 외부 모듈(210)에 맞게 메인 디바이스(200)의 상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메인 디바이스(200)의 Rx단자(205)는 직렬 데이터 통신 전에, 외부 모듈(210)의 Tx단자(123)로부터 외부 모듈(210)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도 3에는 메인 디바이스(200)가 수신하는 외부 모듈(210)의 식별정보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식별정보 포맷은 적어도 외부 모듈(210)의 카테고리 즉, 메인 디바이스(200)에 연결된 외부 모듈(210)의 종류를 포함한다. 외부 모듈(210)의 종류는 도 3(a),(b) 및 (c)에 도시된 예와 같이 GPS 모듈, 블루투스 모듈, IrDA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정보 포맷은, 메인 디바이스(200) 중심으로, 메인 디바이스(200)가 식별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식별자, 외부 모듈(210)의 고유번호(serial number), 외부 모듈(210)의 버전정보(version information) 및 외부 모듈의 종류(category)로 구성된다.
도 3(a)에 도시된 식별정보 "$0101gps"에서, "$"는 메인 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 수신을 의미하는 식별자를, "01"은 외부 모듈(210)의 고유번호(serial number)를, "01"은 외부 모듈(210)의 버전정보(version information)를, "gps"는 외부 모듈의 종류(category)가 GPS 모듈임을 나타낸다.
도 3(b)에 도시된 식별정보 "$0703blu"에서, "$"는 메인 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 수신을 의미하는 식별자를, "07"은 외부 모듈(210)의 고유번호(serial number)를, "03"은 외부 모듈(210)의 버전정보(version information)를, "blu"는 외부 모듈의 종류(category)가 블루투스 모듈임을 나타낸다.
도 3(c)에 도시된 식별정보 "$0502ird"에서, "$"는 메인 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 수신을 의미하는 식별자를, "05"는 외부 모듈(210)의 고유번호(serial number)를, "02"는 외부 모듈(210)의 버전정보(version information)를, "ird"는 외부 모듈의 종류(category)가 irDA 모듈임을 나타낸다.
메인 디바이스(200)의 Rx단자(205)가 외부 모듈(210)의 Tx단자(213)로부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현재 통신 상태를 OSD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본격적인 직렬 데이터 통신 수행을 위해 메인 디바이스(200)를 외부 모듈(210) 통신모드로 전환한다.
메인 디바이스(200)가 외부 모듈(210) 통신모드로 전환된 후, 메인 디바이스(200)의 Tx단자(203)는 외부 모듈(210)의 Rx단자(215)로 식별정보 확인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식별정보 확인신호는 외부 모듈(210)의 연결 성공 신호로써, 직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는 메인 디바이스(200)가 외부 모듈(210)로 전송하는 식별정보 확인신호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식별정보 확인신호 포맷은 적어도 메인 디바이스(200)에 외부 모듈(210) 연결이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식별정보 확인신호 포맷은, 메인 디바이스(200) 중심으로, 외부 모듈(210)의 연결이 성공하여 보내는 신호임을 의미하는 식별자, 외부 모듈(210)의 고유번호(serial number), 외부 모듈(210)의 버전정보(version information) 및 외부 모듈의 종류(category)로 구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식별정보 "%0101gps"에서, "%"는 외부 모듈(210)로서 GPS 모듈의 연결이 성공하여 보내는 신호임을 의미하는 식별자를, "01"은 외부 모듈(210)의 고유번호(serial number)를, "01"은 외부 모듈(210)의 버전정보(version information)를, "gps"는 외부 모듈의 종류(category)가 GPS 모듈임을 나타낸다.
도 4(b)에 도시된 식별정보 "%0703blu"에서, "%"는 외부 모듈(210)로서 블로투스 모듈의 연결이 성공하여 보내는 신호임을 의미하는 식별자를, "07"은 외부 모듈(210)의 고유번호(serial number)를, "03"은 외부 모듈(210)의 버전정보(version information)를, "blu"는 외부 모듈의 종류(category)가 블루투스 모듈임을 나타낸다.
도 4(c)에 도시된 식별정보 "%0502ird"에서, "%"는 외부 모듈(210)로서 IrDA 모듈의 연결이 성공하여 보내는 신호임을 의미하는 식별자를, "05"는 외부 모듈(210)의 고유번호(serial number)를, "02"는 외부 모듈(210)의 버전정보(version information)를, "ird"는 외부 모듈의 종류(category)가 IrDA 모듈임을 나타낸다.
외부 모듈(210)의 Rx단자(215)가 메인 디바이스(200)의 Tx단자(203)로부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수신하면, 본격적으로 메인 디바이스(200)와 외부 모듈(210) 사이의 직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외부 모듈(210)의 Rx단자(215)가 메인 디바이스(200)의 Tx단자(203)로부터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외부 모듈(210)은 메인 디바이스(200)에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전송해 달라고 주기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외부 모듈(210)의 Rx단자(215)가 메인 디바이스(200)의 Tx단자(203)로부터 식 별정보 확인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이는 메인 디바이스(200)가 외부 모듈(210) 인식에 실패했다는 의미이므로, 직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도 5는 메인 디바이스(200)와 외부 모듈(210) 사이에 직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로서, 메인 디바이스(200)에 외부 모듈(210)을 연결한다(501단계). 외부 모듈(210)은 메인 디바이스(200)에 유선 케이블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200)에 외부 모듈(210)이 연결되면, 외부 모듈(210)은 자신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메인 디바이스(200)에 전송한다(503단계). 구체적으로, 메인 디바이스(200)의 Rx단자(205)는 외부 모듈(210)의 Tx단자(123)로부터 외부 모듈(210)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메인 디바이스(200)가 수신하는 외부 모듈(210)의 식별정보 포맷은 적어도 외부 모듈(210)의 카테고리 즉, 메인 디바이스(200)에 연결된 외부 모듈(210)의 종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식별정보 포맷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바이스(200) 중심으로, 메인 디바이스(200)가 식별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식별자, 외부 모듈(210)의 고유번호(serial number), 외부 모듈(210)의 버전정보(version information) 및 외부 모듈의 종류(category)로 구성된다.
메인 디바이스(200)가 외부 모듈(210)로부터 식별정보 수신이 완료되면(505단계), 메인 디바이스(200)는 식별정보를 해석한다. 메인 디바이스(200)는 식별정보로부터 외부 모듈(210)의 고유번호, 버전정보 및 종류를 확인한다. 그리고나서, 메인 디바이스(200)는 현재 통신 상태를 OSD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하 고, 본격적인 직렬 데이터 통신 수행을 위해 외부 모듈(210) 통신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나서, 메인 디바이스(200)는 외부 모듈(210) 연결이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외부 모듈(210)로 전송한다(509단계). 구체적으로 메인 디바이스(200)의 Tx단자(203)는 외부 모듈(210)의 Rx단자(215)로 식별정보 확인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식별정보 확인신호는 외부 모듈(210)의 연결 성공 신호로써, 직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식별정보 확인신호 포맷은 적어도 메인 디바이스(200)에 외부 모듈(210) 연결이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식별정보 확인신호 포맷은, 메인 디바이스(200) 중심으로, 외부 모듈(210)의 연결이 성공하여 보내는 신호임을 의미하는 식별자, 외부 모듈(210)의 고유번호(serial number), 외부 모듈(210)의 버전정보(version information) 및 외부 모듈의 종류(category)로 구성된다.
외부 모듈(210)이 메인 디바이스(200)로부터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여(509단계), 외부 모듈(210)이 메인 디바이스(200)로부터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주기적으로 메인 디바이스(200)에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전송해 달라고 주기적으로 요청한다(513단계).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외부 모듈(210)이 메인 디바이스(200)로부터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이는 메인 디바이스(200)가 외부 모듈(210) 인식에 실패했다는 의미이므로, 직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외부 모듈(210)이 메인 디바이스(200)로부터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수신한 경우, 본격적으로 메인 디바이스(200)와 외부 모듈(210) 사이에 직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515단계). 예를 들어, 메인 디바이스(200)가 디지털 카메라 이고, 외부 모듈(210)이 GPS 모듈인 경우, 디지털 카메라와 GPS 모듈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GPS 모듈이 저장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디지털 카메라가 수신하고, 디지털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파일 저장 시에 수신한 위치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인 디바이스(200)가 휴대용 단말기 이고, 외부 모듈(210)이 블루투스 모듈인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소정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후 메인 디바이스(200)와 외부 모듈(210) 사이에 직렬 데이터 통신이 완료되면 종료한다(517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검출 핀의 할당 없이 UART 직렬 통신용 두개의 핀(Rx, Tx)만을 이용하여 메인 디바이스에 어떤 외부 모듈이 연결되었는지 판단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모듈은
    상기 데이터 통신 수행 전에, 자신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모듈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모듈의 접속을 확인한 후에, 상기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상기 외부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모듈은
    상기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모듈은
    자신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는
    상기 식별정보로부터 상기 외부모듈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모듈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식별정보는 적어도 상기 외부모듈의 종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식별정보 확인신호는 적어도 상기 외부모듈의 연결 성공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7. 직렬 데이터 통신용 송수신 단자를 포함하는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의 직렬 데이터 통신용 송수신 단자를 포함하는 외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모듈의 송신 단자는 상기 직렬 데이터 통신 수행 전에, 자신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수신단자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송신단자는 상기 외부모듈의 연결결과신호를 상기 외부모듈의 수신단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송수신 단자 및 상기 외부모듈의 송수신 단자 사이에 상기 식별정보 및 연결결과신호 송수신 후 직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모듈의 송신단자는
    자신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수신단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수신단자가 수신한 식별정보는 수신자, 상기 외부모듈의 고유번호, 상기 외부모듈의 버전정보 및 상기 외부모듈의 종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송신단자가 전송하는 연결결과신호는 송신자, 상기 외부모듈의 고유번호, 상기 외부모듈의 버전정보 및 상기 외부모듈의 종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12.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연결된 외부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메인 디바이스 및 외부모듈 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외부모듈이 자신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한 상기 메인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모듈의 접속을 확인하고,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상기 외부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외부모듈이 상기 식별정보 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적어도 상기 외부모듈의 종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확인신호는 적어도 상기 외부모듈의 연결 성공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0070062486A 2007-06-25 2007-06-25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36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486A KR101365437B1 (ko) 2007-06-25 2007-06-25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12/074,805 US7975075B2 (en) 2007-06-25 2008-03-06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2008100948367A CN101335570B (zh) 2007-06-25 2008-04-28 数据通信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486A KR101365437B1 (ko) 2007-06-25 2007-06-25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693A true KR20080113693A (ko) 2008-12-31
KR101365437B1 KR101365437B1 (ko) 2014-02-19

Family

ID=4013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486A KR101365437B1 (ko) 2007-06-25 2007-06-25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75075B2 (ko)
KR (1) KR101365437B1 (ko)
CN (1) CN1013355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3214B2 (en) 2005-01-07 2010-10-26 Apple Inc. Accessory authentication for electronic devices
JP5149715B2 (ja) * 2008-06-30 201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8238811B2 (en) * 2008-09-08 2012-08-07 Apple Inc. Cross-transport authentication
US8477215B2 (en) * 2010-12-15 2013-07-02 Eka Technologies, Inc. Wireless data module for imaging systems
US9752369B2 (en) * 2011-05-24 2017-09-05 Overhead Door Corporation Barrier operator mechanical transmission assembly
KR101952213B1 (ko) * 2012-04-27 2019-0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JP6155953B2 (ja) * 2013-08-13 2017-07-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通信装置、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82748B2 (en) * 2014-03-10 2018-01-30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configuring transmitter equaliz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1041A (en) * 1990-10-25 1994-09-27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ethod of data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 on automobile
JPH0721101A (ja) 1993-06-30 1995-01-24 Nippondenso Co Ltd シリアル通信処理装置
US5884102A (en) * 1997-05-30 1999-03-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nfigurable means of connection between an embedded processor and a personal computer
KR100268885B1 (ko) * 1998-09-10 2000-10-16 김영환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20000043472A (ko) 1998-12-29 2000-07-1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용 제어보드의 다중 시리얼 통신장치
JP3617491B2 (ja) * 2001-10-31 2005-02-02 ソニー株式会社 Icチップ及び情報処理端末
JP4063593B2 (ja) * 2002-05-30 2008-03-19 富士通株式会社 デバイス情報を管理可能なバスアナライザ
TW200417865A (en) * 2003-03-12 2004-09-16 Lite On It Corp Transmission system and receiving device of operation information of CD driv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40091996A (ko) * 2003-04-23 200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신호를 이용한 기기식별 장치와 시스템 및 기기식별방법
US6931456B2 (en) * 2003-09-09 2005-08-16 Transact Technologies Incorporated Standard configurable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identifier
JP2005209057A (ja) * 2004-01-26 2005-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通信方法
US7206874B2 (en) * 2004-01-27 2007-04-17 Inventec Corporation Status display-enabled connector for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S20090024757A1 (en) * 2004-07-30 2009-01-22 Proctor David W Automatic Protocol Determination For Portable Devices Supporting Multiple Protocols
KR100678099B1 (ko) * 2005-04-0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US7433990B2 (en) * 2006-01-24 2008-10-07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Transferring system information via universal serial bus (USB)
US7757010B2 (en) * 2006-04-28 2010-07-13 Media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ass storage devices in electronic devices
US8035401B2 (en) * 2007-04-18 2011-10-1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Self-calibrating driver for charging a capacitive load to a desired volt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75075B2 (en) 2011-07-05
US20080320174A1 (en) 2008-12-25
CN101335570A (zh) 2008-12-31
CN101335570B (zh) 2013-10-30
KR101365437B1 (ko)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437B1 (ko)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600892B1 (ko) 블루투스 저전력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73262B1 (ko) 통신 연결의 형성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7730859B (zh) 无线设备配对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6753790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n adaptive remote controller
KR10195657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호스트 디바이스의 운영 체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764159B (zh) 一种网络连接方法及其系统、终端
CN106803988B (zh) 信息传送系统以及信息传送方法
KR20200140097A (ko) Uwb 통신에서 시간 스케줄링에 기반한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
JP2009284076A (ja) 無線機器、無線制御システムおよび無線制御方法
CN112233404A (zh) 一种蓝牙连接方法、蓝牙遥控器、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210101496A (ko)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524818B1 (ko) 모바일 터미널 및 모바일 터미널의 작동 방법
CN104242998A (zh) 一种通过磁传感器快捷共享多种信息的方法及系统
KR102456913B1 (ko)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54708A (ko) Ieee 802.11 표준에 정의된 tdls 세션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전자 장치
CN105376318A (zh) 文件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20190391670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system and setting adaptation apparatus
KR101641639B1 (ko) 디바이스 페어링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10032104A (ko)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205430621U (zh) 设备配对系统
KR201400290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신호 처리 방법
CN216527162U (zh) 传屏器
CN110351900B (zh) 电子装置
CN113590079B (zh) 一种音乐播放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