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104A -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104A
KR20210032104A KR1020190113391A KR20190113391A KR20210032104A KR 20210032104 A KR20210032104 A KR 20210032104A KR 1020190113391 A KR1020190113391 A KR 1020190113391A KR 20190113391 A KR20190113391 A KR 20190113391A KR 20210032104 A KR20210032104 A KR 20210032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address information
external electronic
setting
blue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근
강대희
박천호
김승년
박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104A/ko
Priority to PCT/KR2020/007501 priority patent/WO2021054573A1/ko
Publication of KR2021003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104A/ko
Priority to US17/689,090 priority patent/US1177069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1/20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84Providing for device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됨을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하고, 및 상기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ELECTRONIC DEVICE FOR SETTING ADDRESS INFORM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다양한 실시예들은, 오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이동성(portability) 및 사용자의 접근성(accessi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도 개발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외부 전자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또는 오디오 컨텐츠)를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또는 오디오 컨텐츠)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 및 다른 전자 장치(예: 분리형 이어폰) 사이의 통신에 대한 페어(pair)를 위하여, 각각의 전자 장치가 자신의 주소 정보 및 서로의 주소 정보를 공정 단계에서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생산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고, 두 전자 장치가 커플링(coupling)되어 서로의 주소 정보가 설정된 후에는, 두 전자 장치 중에 하나를 분실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분실되지 않은 전자 장치와 새로운 전자 장치 사이의 커플링을 위한 주소 정보를 설정함에 어려움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다른 전자 장치를 보관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케이스 또는 충전기)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 또는 다른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자 장치에 새로이 설정함으로써, 다른 전자 장치와 원활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됨을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하고, 및 상기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됨을 확인하는 동작,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 또는 제 2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오디오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제 2 오디오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됨을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 1 오디오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제 2 오디오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확인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오디오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제 2 오디오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된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한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새로이 설정함으로써, 전자 장치와 다른 장치들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위한 연결 설정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제 1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를 보관하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가 제 2 전자 장치와 BLE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의 토폴로지를 도시한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가 제 2 외부 전자 장치와 새로운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가 제 2 전자 장치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가 제 2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재연결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한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가 NFC 모듈을 활성화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가 주소 정보의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획득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가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외부 전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게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205)(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블록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도 1의 외부 전자 장치(102) 또는 도 1의 외부 전자 장치(104)일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는 안테나(211)(예: 도 1의 안테나 모듈(197)), 통신 모듈(210)(예: 도 1의 통신 모듈(190)), 입력 장치(220)(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센서 모듈(230)(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오디오 처리 모듈(240)(예: 도 1의 오디오 모듈(170)), 메모리(250)(예: 도 1의 메모리(130)), 전력 관리 모듈(260)(예: 도 1의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270)(예: 도 1의 배터리(189)), 인터페이스(280)(예: 도 1의 인터페이스(177)), 및 프로세서(29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WiFi(wireless fidelity)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예: 도 1의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도 1의 제 2 네트워크(199))를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204)(예: 충전 장치),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예: 휴대 단말기),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전자 장치(201)와 페어(pair)로 구성된 이어버드(earbud)일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프로세서(29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211)은 신호 또는 전력을 다른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204 또는 205)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로 송신하거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211)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printed circuit board))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211)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예: 도 1의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21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210)과 다른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211)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211)은 다른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204 또는 205)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자기장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될 수 있는 코일,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 현상이 발생되는 공진기, 또는 전자기파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패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20)는 제 1 전자 장치(201)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220)는 터치 패드, 터치 패널 또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패드가 제공되는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택타일 레이어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는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은,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또는 광학식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 장치(22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온 또는 오프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220)는 제 1 전자 장치(201)와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 사이의 통신 연결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220)는 오디오 데이터(또는, 오디오 컨텐츠)에 연관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작, 재생 일시 중지, 재생 중지, 재생 속도 조절, 재생 볼륨 조절 또는 음소거의 기능에 연관할 수 있다. 터치 패드가 설치된 면을 툭툭 두드리거나 위아래로 스와이핑(swiping)과 같은 다양한 제스처에 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동작은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220)를 통해 한번의 탭(single tap)에 관한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 1 전자 장치(201)(또는, 프로세서(290))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또는 그 재생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220)를 통해 두 번의 탭에 관한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다음 오디오 데이터로 그 재생을 전환할 수 있다. 입력 장치(220)를 통해 세 번의 탭에 관한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이전 오디오 데이터로 그 재생을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220)를 통해 위 또는 아래로 스와이핑하는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에 관한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화가 걸려 왔을 때, 입력 장치(220)를 통해 두 번의 탭에 관한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전화를 연결할 수 있다.
센서 모듈(230)은 물리량을 측정하거나 제 1 전자 장치(2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모듈(230)은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30)은,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마그네틱 센서, 근접 센서, 제스처 센서, 그립 센서, 광 센서 또는 생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전자 장치(201)는 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는 발광부(예: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센서는 물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하나 이상의 파장 대역의 광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수광부(예: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모듈(240)은 오디오 데이터 수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모듈(240)은 수집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처리 모듈(240)은 오디오 디코더(미도시) 및 D/A 컨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디코더는 메모리(25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D/A 컨버터는 상기 오디오 디코더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디오 디코더는 통신 모듈(210)을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수신되어 메모리(250)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스피커(241)는 D/A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처리 모듈(240)는 A/D 컨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D 컨버터는 마이크로폰(242) 통해 전달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디오 처리 모듈(240)은 제 1 전자 장치(201)의 운용 동작에서 설정된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가 귀에 결합되는 것이 감지되거나, 귀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감지될 때, 오디오 처리 모듈(240)은 해당 효과 또는 안내 음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204)에 결합되는 것이 감지되거나, 제 1 외부 전자 장치(204)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감지될 때, 오디오 처리 모듈(240)은 해당 효과 또는 안내 음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효과음이나 안내 음의 출력은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디오 처리 모듈(240)은 프로세서(290)에 포함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90) 또는 센서 모듈(23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5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수신한 제 1 오디오 데이터(비휘발성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25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수신한 제 2 오디오 데이터(휘발성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50)는 로컬(local) 주소 정보, 피어(peer) 주소 정보, 및 인증 주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의 로컬 주소 정보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블루투스 장치 주소(예: BD_ADDR)를 나타낼 수 있고, 제 1 전자 장치(201)의 피어 주소 정보는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 제 1 전자 장치(201)와 페어(pair)로 구성된 상대방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02))의 블루투스 장치 주소를 나타낼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의 로컬 주소 정보 및 피어 주소 정보는 제 1 전자 장치(201)가 페어(pair)로 구성된 상대방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02))와의 통신 연결 또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의 통신 연결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컬 주소 정보 또는 피어 주소 정보는 6바이트 크기의 블루투스 장치 주소의 형태(예: BD_ADDR)이거나 상기 블루투스 장치 주소에 기반하여 생성된 LE 주소 정보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는 제 1 전자 장치(201)를 보관하기 위한 제 1 외부 전자 장치(204)의 주소 정보로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통신 주소 정보(예: MAC 주소 또는 블루투스 주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제조사에 의하여 설정된 시리얼 번호와 같은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전자 장치(201)에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의 초기 상태는 인증 주소 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60)은 제 1 전자 장치(2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60)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60)은 배터리 충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204 또는 205)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가 제 1 전자 장치(201)와 전기적으로 연결(무선 또는 유선)되는 경우, 전력 관리 모듈(260)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배터리(27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로 제 1 외부 전자 장치(204) 내에 인입이 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전원을 온(on)시키거나 통신 모듈(210)의 적어도 일부를 턴 온 시킬 수 있다.
배터리(27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270)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204) 내에 인입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미리 지정된 충전 레벨까지 배터리(270)를 충전시킨 후, 제 1 전자 장치(201)의 전원을 온(on) 시키거나 통신 모듈(210)의 적어도 일부를 턴 온 시킬 수 있다.
인터페이스(280)는 제 1 전자 장치(201)가 외부 전자 장치(204 또는 205)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280)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280)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204)와 물리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표시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201)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또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수단은 충전 중 또는 충전 완료에 해당하는 색상을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통신 연결된 상태인 경우, 발광 수단은 특정 색상을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상태(예: 재생 중, 또는 재생 일시 중지)에 따라, 발광 수단은 특정 색상을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를 통하여 발생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발광 수단은 특정 색상을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프로세서(29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프로세서(290)에 연결된 제 1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29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230) 또는 통신 모듈(21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250)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90)는 센서 모듈(230) 또는 인터페이스(280)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204)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90)는 센서 모듈(230)에 포함된 마그네틱 센서(예: 홀 센서)를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204)에 설치된 마그네트(magnet)를 인식함으로써, 제 1 전자 장치(201)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204)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90)는 인터페이스(280)에 포함된 연결 단자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204)의 장착부에 설치된 연결 단자와 접촉한 것을 인식함으로써, 제 1 전자 장치(201)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204)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90)는 센서 모듈(230)을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가 귀에 착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2 전자 장치(202)와 통신 연결될 때, 제 1 전자 장치(201)는 마스터 장치가 되고 제 2 전자 장치(202)는 슬레이브 장치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인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241)로 출력할 뿐 아니라, 제 2 전자 장치(20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2 전자 장치(202)와 통신 연결될 때, 제 1 전자 장치(201)는 슬레이브 장치가 되고 제 2 전자 장치(202)는 마스터 장치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전자 장치(201)에 포함된 모듈들과 동일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제 1 전자 장치(201)에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1)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 요소에서 특정 구성 요소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와 페어로 구성된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전자 장치(20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고, 후술하는 도 3 내지 도 15에서 설명되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동작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1) 및/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를 보관하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예: 도 2의 제 1 외부 전자 장치(204))의 블록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 1 전자 장치(201) 및 제 2 전자 장치(202)를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 장치일 수 있다.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프로세서(310), 안테나(321), 통신 모듈(320), 센서 모듈(330), 적어도 하나의 충전 표시자(335), 입력 장치(340),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345), 전원 인터페이스(350), 메모리(360), 전력 관리 모듈(370), 및 배터리(38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프로세서(310)에 연결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31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330) 또는 통신 모듈(22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360)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32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WiFi(wireless fidelity)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예: 도 1의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도 1의 제 2 네트워크(199))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예: 휴대 단말기), 또는 전자 장치들(201 및 202)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320)은 프로세서(31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321)은 신호 또는 전력을 다른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 또는 전자 장치들(201 및 202))로 송신하거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321)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321)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네트워크(예: 도 1의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32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320)과 다른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321)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321)은 전원(305)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자기장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될 수 있는 코일,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 현상이 발생되는 공진기, 또는 전자기파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패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321)은 전자 장치들(201 및 202)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자기장의 변화를 형성하기 위한 코일,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공진기, 또는 전자기파를 송신하도록 하는 복수의 패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330)은 물리량을 측정하거나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모듈(330)은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330)은,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마그네틱 센서, 근접 센서, 제스처 센서, 그립 센서, 광 센서 또는 생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30)은 전자 장치들(201 및 202) 중 하나 이상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위치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30)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덮개가 열림 상태에 있는 경우와 덮개가 닫힘 상태에 있는 경우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센서 모듈(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센서 모듈(330)로부터 덮개가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들(201 및 202) 중 하나 이상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위치하고 덮개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전자 장치들(201 및 202)의 통신 모듈(예: 도 2의 통신 모듈(210))을 턴 온(ON)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전자 장치들(201 및 202) 중 하나 이상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위치하고 덮개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전자 장치들(201 및 202)의 통신 모듈(예: 도 2의 통신 모듈(210))을 턴 오프(OFF)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30)은 덮개가 열림 상태인 경우 전자 장치들(201 및 202)과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가 페어링 모드에 진입하도록 프로세서(310)를 트리거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충전 표시자(335)는 배터리(380) 및/또는 전자 장치들(201 및 202)의 배터리(예: 도 2의 배터리(270))의 충전 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표면 상의 충전 표시자(335)를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배터리(380)의 충전량 또는 전자 장치들(201 및 202)의 배터리(예: 도 2의 배터리(270))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 충전 표시자(335)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되거나, 또는 LED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 장치(340)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340)는 터치 패드, 터치 패널 또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패드가 제공되는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택타일 레이어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는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은,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또는 광학식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345)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자 장치들(201 및 2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345)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345)는 전자 장치들(201 및 202)과 물리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345)를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및 전자 장치들(201 및 202) 사이에 물리적 연결이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가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345)를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와 전자 장치들(201 및 202)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확인할 경우,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들(201 및 202)의 충전을 개시하는 충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가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345)를 통하여 전자 장치들(201 및 20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프로세서(310)는 제거된 전자 장치(201 및/또는 202)의 충전을 정지하는 제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350)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원(305)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 의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350)는 USB 커넥터, 라이트닝 커넥터(lightning connector), 또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커넥터를 위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350)는 전원(305)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 의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안테나(321)를 포함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메모리(360)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310) 또는 센서 모듈(33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6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360)는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설정 정보는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 또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는 블루투스 장치 주소(예: BD_ADDR)를 포함하거나 상기 블루투스 장치 주소에 기반하여 생성된 LE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는 우측 이어버드(right earbud) 또는 좌측 이어버드(left earbud) 중 하나를 나타내는 장치 타입(device type)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는 마스터 장치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하나를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및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는 서로 상이한 블루투스 장치 주소 및 장치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통신 주소 정보(예: MAC 주소 또는 블루투스 주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제조사에 의하여 설정된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와 같은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포맷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36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장치,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바코드(bar code)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NFC 태그, RFID 태그, MST 장치, QR 코드, 또는 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에 포함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구성요소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NFC 태그, RFID 태그, MST 장치, QR 코드, 또는 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 또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370)은 제 1 외부 전자 장치(2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70)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70)는 배터리 충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70)은 프로세서(310)의 제어 하에 전원(305)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 의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력을 제공받아 배터리(38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70)은 프로세서(310)의 제어 하에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345) 또는 안테나(321)를 통하여 전자 장치들(201 및 202)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배터리(380)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380)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80)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통신 모듈(예: 도 2의 통신 모듈(210)) 또는 센서 모듈(예: 도 2의 센서 모듈(230))을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메모리(360), NFC 태그, RFID 태그, MST 장치, QR 코드, 또는 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 또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에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 요소에서 특정 구성 요소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2 전자 장치(202)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1)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고, 제 2 전자 장치(202)는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예: 케이스 장치)로부터 통신 모듈(예: 도 2의 통신 모듈(210)) 또는 전원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예: 케이스 장치)의 덮개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덮개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자신의 통신 모듈(예: 도 2의 통신 모듈(210))을 턴 오프(turn off) 상태에서 턴 온(turn 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덮개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자신의 통신 모듈(예: 도 2의 통신 모듈(210))을 턴 오프(turn off) 상태에서 턴 온(turn 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연결 방식 또는 제 2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02)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연결 방식은 BLE 통신 프로토콜의 패시브(passive) 스캔 방식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연결 방식은 BLE 통신 프로토콜의 액티브(active) 스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연결 방식 또는 제 2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신호(410)(예: ADV_DIRECT_IND)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하는 advertising 동작 또는 페이지 스캔(page scan) 동작을 개시(401)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드버타이징 신호(410)는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 사용자의 계정 정보, 현재 다른 장치와의 페어링되어 있는지를 지시하는 정보, 동시에 페어링 가능한 장치에 관한 정보, 송신 전력, 감지 영역, 또는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드버타이징 신호(410)는 manufacture data field에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덮개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형성된 전기적 연결이 해제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애드버타이징 신호(410)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하는 advertising 동작(401)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2 전자 장치(202)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연결 단자로부터 분리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애드버타이징 신호(410)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하는 advertising 동작(401)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전자 장치(202)를 탐색하기 위하여 제 1 연결 방식 또는 제 2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scan 동작(402)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덮개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scan 동작(402)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형성된 전기적 연결이 해제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scan 동작(402)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연결 단자로부터 분리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scan 동작(402)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신호(410)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애드버타이징 신호(410)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연결 방식(예: BLE 패시브 스캔 방식)에 따라 제 2 전자 장치(202)로 연결 요청 신호(420)(예: CONNECT_IND)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애드버타이징 신호(410)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연결 방식(예: BLE 액티브 스캔 방식)에 따라 제 2 전자 장치(202)로 스캔 요청(scan request) 신호(미도시)를 송신할 수 있고, 스캔 요청에 대응하는 스캔 응답(scan response) 신호(미도시)를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스캔 응답 신호(미도시)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연결 방식에 따라 제 2 전자 장치(202)로 연결 요청 신호(420)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애드버타이징 신호(410) 또는 스캔 응답 신호(미도시) 내에 포함된 제 2 전자 장치(202)의 로컬 주소 정보(예: 도 8의 로컬 주소 정보(831))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전자 장치(202)의 로컬 주소 정보가 제 1 전자 장치(201) 내에 설정된 피어 주소 정보(예: 도 8의 피어 주소 정보(822))에 대응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02)로 연결 요청 신호(420)(예: CONNECT_IND)를 송신할 수 있다. 연결 요청 신호(420)는 제 1 전자 장치(201) 내에 로컬 주소 정보로서 설정된 제 1 전자 장치(201)의 블루투스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전자 장치(202)로 연결 요청 신호(420)를 송신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02)와 BLE 통신 연결을 완료(430)할 수 있고,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420)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와 BLE 통신 연결을 완료(430)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 및 제 2 전자 장치(202)는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전자 장치(201)와 통신 연결을 완료(430)한 후에 페이지 스캔(page scan) 동작을 종료(440)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의 토폴로지(500)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토폴로지(500)에 포함되는 장치들(예: 201, 202, 203, 205, 및 301)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들(예: 201, 202, 203, 205, 및 301)은 블루투스 SIG에 의하여 규정되는 블루투스 네트워크에 따라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레거시(legacy) 네트워크와, BLE(bluetooth low energy)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들(예: 201, 202, 203, 205, 및 301)은 블루투스 레거시 네트워크와 BLE 네트워크 중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두 개의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 제 2 전자 장치(202), 및 제 3 전자 장치(203)는 미디어 데이터(예: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 제 2 전자 장치(202), 및 제 3 전자 장치(203)는 무선 이어폰, 무선 스피커 또는 무선 이어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 1 전자 장치(201) 및 제 2 전자 장치(202)를 보관 또는 충전하기 위한 케이스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도 2에 설명된 제 1 외부 전자 장치(20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한 예시일 뿐, 제 2 전자 장치(202), 제 3 전자 장치(203), 또는 외부 서버(501)와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데이터 소스(data source)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음악과 같은 미디어 데이터를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에 송신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스마트폰, 태블릿,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랩탑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예: 제 1 전자 장치(201), 제 2 전자 장치(202), 및/또는 제 3 전자 장치(203))과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외부 장치와 지정된 시퀀스에 따라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장치들과 연결되는 경우,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복수의 외부 장치들 각각과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예: 블루투스 레거시 및/또는 BLE))을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를 인식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1 전자 장치(201)에 의하여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된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 1 전자 장치(201)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는 연결 또는 연결 요청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 사용자의 계정 정보, 현재 다른 장치와의 페어링되어 있는지를 지시하는 정보, 동시에 페어링 가능한 장치에 관한 정보, 송신 전력, 감지 영역, 또는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manufacture data field에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인식된 제 1 전자 장치(201)와 블루투스 또는 BLE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블루투스 및/또는 BLE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를 인식하고 블루투스 또는 BLE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와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에 제 1 전자 장치(201)와의 연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식별된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식별된 장치가 이전에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페어링된 적이 있는지를 표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 및/또는 제 1 전자 장치(201)에 연관된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사용자 입력(예: 블루투스 기능 활성화 입력)이 수신되면, 다른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전자 장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식별된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연결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1)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선택된 제 1 전자 장치(201)에 연결 요청을 송신하고,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수락 응답이 수신되면 제 1 전자 장치(201)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1 전자 장치(201)와 연결된 경우, 제 1 전자 장치(201)에 연관된 정보를 외부 서버(501)(예: IOT(internet-of-things) 서버 또는 삼성 커넥트™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가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의 계정에 연동된 다른 외부 전자 장치들 중 제 1 전자 장치(201)와 처음 연결된 경우,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연결된 제 1 전자 장치(201)의 정보를 외부 서버(501)에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가 이전에 제 1 전자 장치(201)와 연결되었던 경우,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1 전자 장치(201) 및/또는 제 1 링크(505)에 연관된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501)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외부 서버(501)의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들을 계정(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연관된 사용자 계정) 기반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연결된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1)) 및/또는 링크(예: 제 1 링크(505))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외부 서버(501)로부터 다른 전자 장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3 링크(515)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와 연결되고, 제 1 전자 장치(201)의 정보를 외부 서버(501)에 송신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외부 서버(501)로부터 제 2 전자 장치(202)에 의하여 송신된 제 1 전자 장치(201)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 제 1 전자 장치(201), 및 제 2 전자 장치(202)는 외부 서버(501)에서 동일한 계정에 연관된 전자 장치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연결된 외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1 링크(505)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 또는 제 1 전자 장치(201)는 연결 절차에서 마스터 장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거시 블루투스 통신의 경우,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1 링크(505)의 마스터 장치의 클록(clock)에 기반하여 생성된 채널 자원(예: 주파수 호핑 채널(frequency hopping channel))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BLE 통신의 경우,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매 연결 구간(connection interval)에서 제 1 전자 장치(201)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링크(505)를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링크(505)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 ACK)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송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링크(505)를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ACK/NACK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1 전자 장치(201)와 제 1 링크(505)만을 형성하고, 제 1 링크(505)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02) 및/또는 제 3 전자 장치(203))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제 1 링크(505)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예: 청취)하기 위하여, 제 1 링크(505)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1 전자 장치(201)로 데이터를 유니캐스트 하나,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의하여 송신된 데이터가 제 1 전자 장치(201)뿐만 아니라 다른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02) 및/또는 제 3 전자 장치(203))에도 수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2 전자 장치(202)가 제 1 링크(505)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본 문서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전자 장치(202)가 제 1 링크(505)를 모니터링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다른 전자 장치(예: 제 3 전자 장치(203))도 제 1 링크(505)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2 전자 장치(202)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2 링크(51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2 링크(510)를 통하여 제 1 링크(505)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02)에 송신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202)는, 예를 들어, 제 1 링크(505) 정보가 수신되면, 제 1 링크(505) 정보 수신에 대한 ACK/NACK을 제 2 링크(510)를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링크(505) 정보는 제 2 전자 장치(202)가 제 1 링크(505)를 통하여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링크(505)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링크(505) 정보는 주소 정보(예: 제 1 링크(505)의 마스터 장치의 블루투스 주소,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의 블루투스 주소, 및/또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블루투스 주소), 피코넷(piconet) 클록 정보(예: 제 1 링크(505)의 마스터 장치의 CLKN(clock native)), 논리 운송(logical transport) 주소 정보(예: 제 1 링크(505)의 마스터 장치에 의하여 할당된 정보), 사용 채널 맵(used channel map) 정보, 링크 키(link key) 정보,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 정보(예: 제 1 링크(505)에 연관된 서비스 및/또는 프로필 정보), 및/또는 지원 피쳐(supported featur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링크(505) 정보는, 예를 들어, EIR(extended inquiry response) 패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EIR 패킷은 제 1 링크(505)의 자원 제어 정보 및/또는 제조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IR 패킷은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링크(505)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링크(505)를 통한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제 1 전자 장치(201) 사이의 통신을 수신(예: 청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02) 제 1 링크(505)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링크(505) 호핑 채널(hopping channel)(또는, 주파수 호핑 채널)을 결정할 수 있고, 키 정보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 패킷을 해독(decrypt)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데이터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기(notify) 위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게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는 데이터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ACK(positive acknowledgement) 메시지와 데이터 패킷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NACK(negative acknowledgement)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는 예를 들어, 1 비트(bi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이후에 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다음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고, NACK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지정된 시간 내에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동일한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수신한 ACK/NACK에 기반하여 응답 메시지를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의하여 제 1 링크(505)를 통하여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모니터링하고, 송신된 데이터 패킷의 수신 결과를 제 3 링크(515)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ACK을 제 1 전자 장치(201)에 제 3 링크(515)를 통하여 송신하고,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으면 NACK을 제 1 전자 장치(201)에 제 3 링크(515)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NACK이 수신된 경우, NACK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제 1 링크(505)를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송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NACK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제 1 링크(505)를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송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해당 데이터에 대한 ACK이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경우에만 ACK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제 1 링크(505)를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의 ACK/NACK에 기반하여 응답 메시지를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링크(505)를 통하여 송신된 데이터 패킷의 수신 결과를 제 3 링크(515)를 통하여 제 2 전자 장치(202)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ACK을 제 2 전자 장치(202)에 제 3 링크(515)를 통하여 송신하고,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으면 NACK을 제 2 전자 장치(202)에 제 3 링크(515)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는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으면, ACK을 제 2 전자 장치(202)에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NACK이 수신되거나 ACK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제 2 전자 장치(202)는 NACK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제 2 링크(510)를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송신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NACK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제 2 링크(510)를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송신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해당 데이터에 대한 ACK이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수신된 경우에만 ACK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제 2 링크(510)를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와 제 2 전자 장치(202)는 서로 상이한 타이밍에 ACK/NACK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와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하나의 시간 구간(예: 슬롯 또는 시간 구간) 내에서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와 제 2 전자 장치(202)는 하나의 슬롯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슬롯들 중 서로 다른 서브 슬롯을 이용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ACK/NACK을 송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와 제 2 전자 장치(202)는 하나의 시간 구간(예: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타이밍에 ACK/NACK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와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링크(505) 또는 제 2 링크(510)를 이용하여 ACK/NACK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02)는 슬롯과 슬롯 사이를 중심으로 설정된 시간 마진 구간(예: Rx cycle)을 이용하여 NACK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하면 시간 마진 구간 내에서 ACK 및 NACK을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자 장치(201)는 시간 마진 구간의 경과 후에 제 1 링크(505)를 통하여 ACK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면, 시간 마진 구간 내에서 NACK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성공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만 NACK을 제 1 전자 장치(201)에 앞서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링크(505)와 제 2 링크(510)에 연관된 응답 메시지의 유형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ACK을 제 2 전자 장치(202)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ACK을 수신하고,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제 2 링크(510)를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메시지(예: ACK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ACK을 수신하였으나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아무런 응답을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면 제 1 링크(505)를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메시지(예: NACK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아무런 응답을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2 링크(510)를 통하여 ACK에 연관된 메시지만을 수신하고, 제 1 링크(505)를 통하여는 NACK에 연관된 메시지만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예: 무응답)에도 NACK에 대응하는 경우임을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와 제 2 전자 장치(202)는 교대로 ACK/NACK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제 1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은 제 1 전자 장치(201)가 송신하고, 후속하는 제 2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은 제 2 전자 장치(202)가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CK/NACK을 송신하도록 설정된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는 다른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02) 또는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의 ACK/NACK을 취합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ACK/NACK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와 제 2 전자 장치(202)는 서로 동일한 링크(예: 제 1 링크(505))를 이용하여 상이한 전력으로 ACK/NACK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2 전자 장치(202)에 비하여 높은 송신 전력으로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ACK/NACK을 송신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2 전자 장치(202)의 ACK/NACK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02)가 제 1 전자 장치(201)에 비하여 높은 송신 전력으로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ACK/NACK을 송신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ACK/NACK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와 제 2 전자 장치(202)의 송신 전력들 중 낮은 송신 전력은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수신될 수 없는 송신 전력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와 제 2 전자 장치(202)의 송신 전력들 중 낮은 송신 전력은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수신될 수 없고 다른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에 수신될 수 있는 송신 전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 및/또는 제 2 전자 장치(202)가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에 실패한 경우, 데이터는 재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NACK의 수신 또는 ACK의 미수신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가 재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였으나, 제 2 전자 장치(202)가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3 링크(515)를 통하여 제 2 전자 장치(202)로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02)가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였으나 제 1 전자 장치(201)가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 제 2 전자 장치(202)가 제 3 링크(515)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로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링크(505) 정보의 송신 후에 제 2 링크(51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링크(505) 정보의 송신 후에도 제 2 링크(205)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2 전자 장치(202)와 페어(pair)로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2 전자 장치(202) 및 제 3 전자 장치(203)가 케이스 장치(예: 도 2의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에 삽입이 되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소리를 스피커(241)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술된 예시들에 있어서, 제 1 링크(505) 정보가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의하여 제 2 전자 장치(202)로 송신될 수 있다. 제 1 링크(505) 정보를 가진 장치는 제 1 링크(505)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모니터링(예: 청취)할 수 있다. 따라서, 원치 않는(unwanted) 장치가 제 1 링크(505)를 엿듣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1 링크(505) 정보의 공유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링크(505) 정보의 공유 방법들이 설명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하의 제 1 링크(505) 정보의 공유 방법들은 유사하게 다른 전자 장치들(예: 제 3 전자 장치(203))에 대하여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자 장치(201)와 제 2 전자 장치(20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구분일 뿐, 본 문서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전자 장치(202)와 관련한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전자 장치(201)와 관련한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새로운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도 6a 내지 도 6c에서의 제 1 전자 장치(201)는 마스터 장치로 동작할 수 있고, 제 2 전자 장치(202)는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 및 제 2 전자 장치(202)의 역할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제 1 전자 장치(201)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할 수 있고, 제 2 전자 장치(202)가 마스터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제 1 전자 장치(201)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제 2 전자 장치(202)가 수행할 수 있고, 제 2 전자 장치(202)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제 1 전자 장치(201)가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a를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도 4에서와 같이, 제 2 전자 장치(202)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애드버타이징 신호(610)(예: ADV_SCAN_IND)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 사용자의 계정 정보, 현재 다른 장치와의 페어링되어 있는지를 지시하는 정보, 동시에 페어링 가능한 장치에 관한 정보, 송신 전력, 감지 영역, 또는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인식된 제 1 전자 장치(201)와 블루투스 또는 BLE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연결 요청 신호(611)(예: connection request)를 제 1 전자 장치(201)로 송신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612)할 수 있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2 전자 장치(202)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도 4에서와 같이, 제 2 전자 장치(202)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이전에 연결된 적이 있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또는 BLE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덮개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된 경우, 덮개의 상태가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제 1 시간(예: 1초)이 경과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페이징(pag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연결 요청 신호(620)(예: connection request)를 송신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621)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02)가 마스터 장치인 경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덮개의 상태가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제 2 시간(예: 2초)이 경과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페이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의 통신을 재연결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6c를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도 4에서와 같이, 제 2 전자 장치(202)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통신 연결을 완료한 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거리가 멀어져서 통신 링크가 손실(loss)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연결 요청 신호(630)(connection request)를 지정된 간격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630)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와의 통신 연결을 완료(631)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1)) 내의 주소 정보(예: 도 8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810)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701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터페이스(예: 도 2의 인터페이스(280))에 포함된 연결 단자(예: 충전 단자)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인터페이스(예: 도 3의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345))에 포함된 연결 단자(예: 충전 단자) 사이의 전기적 연결(물리적 접촉)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전기적 연결 상태인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임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와 근거리 무선 통신(예: NFC 또는 MST)을 수행할 수 있음에 기반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되면, 충전 대기 상태 또는 충전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는 충전 대기 상태에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충전 개시 신호를 획득하는 것에 기반하여 충전 상태로 진입하여, 배터리(270)를 충전할 수 있다.
702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근거리 통신 모듈(예: 도 2의 통신 모듈(21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810)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810)는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는 블루투스 장치 주소(예: BD_ADDR)를 포함하거나 상기 블루투스 장치 주소에 기반하여 생성된 LE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는 우측 이어버드(right earbud) 또는 좌측 이어버드(left earbud) 중 하나를 나타내는 장치 타입(device type)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는 마스터 장치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하나를 나타내는 장치 타입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및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는 서로 상이한 블루투스 장치 주소 및 장치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는 블루투스 장치 주소(예: A)를 포함할 수 있고, 우측 타입 및 마스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는 블루투스 장치 주소(예: B)를 포함할 수 있고, 좌측 타입 및 슬레이브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810)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통신 주소 정보(예: MAC 주소 또는 블루투스 주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제조사에 의하여 설정된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와 같은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포맷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근거리 통신 모듈에 포함된 NFC 모듈을 활성화함으로써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설정 정보(810)를 획득할 수 있다.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NFC 모듈을 활성화하는 대신 안테나 모듈(211)을 활성화함으로써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하여 설정 정보(810)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안테나 모듈(211)에 포함된 코일, 공진기, 또는 복수의 패치 안테나 중 하나를 활성화함으로써,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하여 설정 정보(810)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됨을 확인한 것에 응답하여, NFC 모듈 또는 안테나 모듈(211)을 활성화함으로써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설정 정보(810)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2 전자 장치(202))는 상술한 701동작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설정 정보(810)를 획득할 수 있다.
703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는 로컬 주소(local address) 정보(예: 도 8의 로컬 주소 정보(821)), 피어 주소(peer address) 정보(예: 도 8의 피어 주소 정보(822)), 또는 인증 주소 정보(예: 도 8의 인증 주소 정보(8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의 로컬 주소 정보(82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블루투스 장치 주소(예: BD_ADDR)를 나타낼 수 있고, 제 1 전자 장치(201)의 피어 주소 정보(822)는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 제 1 전자 장치(201)와 페어(pair)로 구성된 상대방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02))의 블루투스 장치 주소를 나타낼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의 로컬 주소 정보(821) 및 피어 주소 정보(822)는 제 1 전자 장치(201)가 페어(pair)로 구성된 상대방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02))와의 통신 연결 또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의 통신 연결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컬 주소 정보(821) 또는 피어 주소 정보(823)는 6바이트 크기의 블루투스 장치 주소의 형태(예: BD_ADDR)이거나 상기 블루투스 장치 주소에 기반하여 생성된 LE 주소 정보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는 제 1 전자 장치(201)를 보관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주소 정보(예: MAC 주소 또는 블루투스 주소)로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통신 주소 정보(예: MAC 주소 또는 블루투스 주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제조사에 의하여 설정된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와 같은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전자 장치(201)에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은, 제 1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조건은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조건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획득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조건은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와 대응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조건은 제 1 전자 장치(201)에 포함된 마이크로폰(예: 도 2의 마이크로폰(242))을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 음성으로부터 주소 정보의 설정을 요청하는 음성 명령을 확인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는 구체적인 동작은 도 9, 도 10a, 도 10b, 및 도 1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예: 도 8의 주소 정보(83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술한 제 1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30)는 로컬 주소 정보(예: 도 8의 로컬 주소 정보(831)), 피어 주소 정보(예: 도 8의 피어 주소 정보(832)), 또는 인증 주소 정보(예: 도 8의 인증 주소 정보(8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은, 제 2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조건은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획득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되고 제 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 1 조건 및 제 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는 구체적인 동작은 도 11, 도 12, 및 도 14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3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술한 제 2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조건으로서,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조건으로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제공되거나 또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주소 정보의 설정을 요청하는 음성 명령을 확인한 것에 응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버튼(예: 도 3의 입력 장치(340))이 눌려지거나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특정 영역이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쥐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버튼이 눌려지거나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특정 영역이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쥐어짐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신호(예: 주소 설정 요청 신호)를 제 1 전자 장치(201)로 송신할 수 있고,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신호를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터페이스(예: 도 2의 인터페이스(280))에 포함된 연결 단자(예: 충전 단자) 또는 통신 모듈(210)을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마스터 장치인 경우, 제 1 조건으로서,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애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와 대응(예를 들어, 일치)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마스터 장치인 경우,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EIR 패킷에 포함된 정보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와 대응(예를 들어, 일치)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조건으로서, 제 1 전자 장치(201)에 포함된 마이크로폰(242)을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 음성으로부터 주소 정보의 설정을 요청하는 음성 명령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도 11의 1105 동작에서 설명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조건으로서,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획득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도 11의 1107 동작에서 설명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조건 및 제 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도 11, 도 12, 및 도 14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확인하거나 또는 제 1 조건이 만족되었지만 제 2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가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와 대응함(예: 일치 또는 동일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와 대응하지 않음(예: 상이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상술한 703 동작을 수행한 후에, 상술한 70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됨을 확인한 것에 응답하여, 703 동작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응답하여, 702 동작에 따른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810)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도 13 및 도 14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02)는 상술한 703동작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3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705 동작에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810)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설정 정보(810)에 포함된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중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가 우측 이어버드의 블루투스 주소 정보이고,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가 좌측 이어버드의 블루투스 주소 정보인 경우를 상정해보도록 한다. 이 경우, 제 1 전자 장치(201)가 우측 이어버드에 해당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를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는 정보로 확인할 수 있고,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를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지 않는 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전자 장치(201)가 좌측 이어버드에 해당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를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는 정보로 확인할 수 있고,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를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지 않는 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810)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1)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중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로컬 주소 정보(821)로서 설정하는 동작, 2)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중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피어 주소 정보(822)로서 설정하는 동작, 또는 3)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로서 설정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들에서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는 동작은, 상술한 1) 동작, 2) 동작, 또는 3)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미리 수립된 상태에서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미리 수립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설정 정보(810)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수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고, 설정 정보(810)를 획득하기 전의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이용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완료한 후, 수립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설정 정보(810)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고 있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02))의 로컬 주소 정보(예: 도 8의 로컬 주소 정보(831))를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를 통하여 획득하거나,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와 수립된 통신 연결(예: 도 5의 제 3 링크(515))을 통하여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직접(direct)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전자 장치(202)의 로컬 주소 정보(831)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피어 주소 정보(822)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로컬 주소 정보(821)를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고 있는 제 2 전자 장치(202)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를 통하여 송신하거나,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와 수립된 통신 연결을 통하여 제 2 전자 장치(202)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로컬 주소 정보(821)를 제 2 전자 장치(202)의 피어 주소 정보(832)로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조건의 만족을 확인함에 따라 제 1 전자 장치(201)의 새로운 주소 정보의 설정을 완료한 후에,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제 1 전자 장치(201)의 새로운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통신 연결이 수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전자 장치(201)의 새로운 주소 정보의 설정을 완료한 후에, 통신 모듈(예: 도 2의 통신 모듈(210))을 활성화하고, 도 6a, 도 6b, 또는 도 6c에서 설명된 내용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새로운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통신 연결을 완료한 후, 활성화된 통신 모듈(210)을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새로운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의 통신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 1 조건의 만족을 확인함에 따라 제 1 전자 장치(201)의 새로운 주소 정보의 설정을 완료한 후에, 이전 주소 정보에 기반하는 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새로운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통신 연결을 완료한 후, 통신 모듈(210)을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새로운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도 11의 1105 동작에 설명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통신 모듈(210)을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에 새로이 설정된 주소 정보(예: 로컬 주소 정보(821), 피어 주소 정보(822), 또는 인증 주소 정보(823) 중 적어도 하나)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통신 모듈(210)을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거절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새로운 주소 정보의 설정을 해제하고 이전에 설정된 주소 정보를 복구할 수 있고, 복구된 이전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202) 또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획득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도 11의 1107 동작에 설명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상술한 703 동작을 상술한 702 동작보다 먼저 수행한 경우, 702 동작을 수행한 후에, 상술한 705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응답하여, 702 동작에 따른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810)를 획득할 수 있고, 705 동작에 따른 상기 설정 정보(810)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도 13 및 도 14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02)는 상술한 705동작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중 제 2 전자 장치(202)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02)의 로컬 주소 정보(예: 도 8의 로컬 주소 정보(831))로 설정하고,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중 제 2 전자 장치(202)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02)의 피어 주소 정보(예: 도 8의 피어 주소 정보(832))로 설정하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를 제 2 전자 장치(202)의 인증 주소 정보(예: 도 8의 인증 주소 정보(833))로 설정할 수 있다.
707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 오프(turn off)하거나 배터리(예: 도 2의 배터리(270))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707 동작에서, 제 1 전자 장치(201)는 근거리 통신 모듈의 일부 구성(예: NFC 모듈)을 턴 오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701 동작에 따라 제 1 전자 장치(201)의 설정 정보(810)를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 오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707 동작에서,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전원을 오프(off)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근거리 통신 모듈(210)의 적어도 일부 구성(예: NFC 모듈)을 턴 오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전원을 오프(off)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배터리(270)를 충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가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배터리(예: 도 2의 배터리(270))를 충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와 대응함(예: 일치 또는 동일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배터리(예: 도 2의 배터리(270))를 충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와 대응하지 않음(예: 상이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배터리(예: 도 2의 배터리(270))를 충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한 후, 제 1 전자 장치(201)의 근거리 통신 모듈의 적어도 일부 구성(예: NFC 모듈)을 턴 오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한 후, 제 1 전자 장치(201)의 전원을 오프(off)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한 후,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배터리(270)를 충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전원을 오프(off)하고 배터리(270)를 충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근거리 통신 모듈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새로이 설정된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이용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와 새로운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갱신된 로컬 주소 정보(821) 및 갱신된 피어 주소 정보(822)를 기반으로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는 상술한 701 내지 705 동작에 기반하여 새로이 설정된 로컬 주소 정보(821) 및 피어 주소 정보(822)를 기반으로,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202)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도 6a, 도 6b, 또는 도 6c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된 상태에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가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응답하여,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고, 제 1 전자 장치(201)의 갱신된 로컬 주소 정보(821) 및 갱신된 피어 주소 정보(822)를 기반으로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된 상태에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가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갱신된 로컬 주소 정보(821) 및 갱신된 피어 주소 정보(822)를 기반으로 갱신된 피어 주소 정보(822)에 대응하는 제 2 전자 장치(202)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예: 도 2 의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설정 정보(예: 도 8의 설정 정보(810))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예: 도 8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1)가 NFC 모듈을 활성화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1)가 주소 정보의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획득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901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NFC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를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터페이스(예: 도 2의 인터페이스(280))에 포함된 연결 단자(예: 충전 단자)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인터페이스(예: 도 3의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345))에 포함된 연결 단자(예: 충전 단자)에 물리적으로 접촉한 것을 확인하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덮개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NFC 모듈을 활성화(예: 턴 온(turn on))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0a를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안테나 모듈(예: 도 2의 안테나 모듈(211))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안테나 모듈(예: 도 3의 안테나 모듈(321))에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확인하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덮개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NFC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하여 설정 정보(810)를 획득하도록 NFC 모듈을 활성화하는 대신 안테나 모듈(211)을 활성화할 수 있다.
903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NFC 모듈을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예: 도 8의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예: 도 8의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예: 도 8의 식별 정보(813))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810)를 획득할 수 있다.
905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조건으로서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예: 도 8의 인증 주소 정보(823))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중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로컬 주소 정보(예: 도 8의 로컬 주소 정보(821))로서 설정하고,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중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피어 주소 정보(예: 도 8의 피어 주소 정보(822))로서 설정하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조건으로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중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로컬 주소 정보(821)로서 설정하고,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중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피어 주소 정보(822)로서 설정하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로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의 <1001>을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버튼(1010)(예: 도 3의 입력 장치(340))이 눌려지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0b의 <1002>를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제 1 영역(1020)이 터치되거나 제 2 영역(1030)이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쥐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도 7의 707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설정 정보(예: 도 8의 설정 정보(810))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예: 도 8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1)가 설정 정보(810)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101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NFC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1)는 도 9의 901 동작에서 설명된 방법을 이용하여 110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103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NFC 모듈을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예: 도 8의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예: 도 8의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예: 도 8의 식별 정보(813))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810)를 획득할 수 있다.
1105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조건은 도 7의 703 동작에서 설명된 제 1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직접(directly)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수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고, 설정 정보(810)를 획득하기 전의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예: 설정 전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립한 후, 활성화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 및/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태에서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 및/또는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20 및/또는 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1) 및 제 2 전자 장치(202)가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태에서 마스터 장치인 제 1 전자 장치에 의하여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고 제 2 전자 장치(202)가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4))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102)로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고, 제 2 전자 장치(202)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104)로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예: 도 2의 인터페이스(280))를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확인 요청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통신 모듈(예: 도 3의 통신 모듈(320))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통신 모듈(320))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태에서, 제 1 전자 장치(201)와 함께 인입된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30)의 설정을 위한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인터페이스(280)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로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된 상태에서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된 상태에서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특정 신호(예: 버튼(1010) 눌림)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또는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20 또는 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주소 정보의 설정을 문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디스플레이(1210)(예: 도 1의 표시장치(160)) 상에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또는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20 또는 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20 또는 830)의 설정을 문의하는 메시지(122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연결 중인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에 미등록된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30)의 설정을 문의하는 메시지(1220)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도 7의 707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107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제 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거절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인터페이스(280)를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2 조건으로서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중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로컬 주소 정보(예: 도 8의 로컬 주소 정보(821))로서 설정하고,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중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피어 주소 정보(예: 도 8의 피어 주소 정보(822))로서 설정하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로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태에서, 제 1 전자 장치(201)와 함께 인입된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획득된 응답을 인터페이스(280)를 통하여 제 2 전자 장치(202)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직접 획득하거나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의 주소 정보(820 또는 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거절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도 7의 707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설정 정보(예: 도 8의 설정 정보(810))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예: 도 8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301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예: 도 8의 인증 주소 정보(823))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획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조건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의 703 동작에서 설명된 제 1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1302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NFC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조건으로서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NFC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조건으로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NFC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의 <1001>을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버튼(1010)이 눌려지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턴 오프된 NFC 모듈을 턴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0b의 <1002>를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제 1 영역(1020)이 터치되거나 제 2 영역(1030)이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쥐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턴 오프된 NFC 모듈(210)을 턴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터페이스(예: 도 2의 인터페이스(280))에 포함된 연결 단자(예: 충전 단자) 또는 통신 모듈(210)을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NFC 모듈을 활성화하는 대신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하여 설정 정보(810)를 획득하도록 안테나 모듈(211)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도 7의 707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303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NFC 모듈을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예: 도 8의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예: 도 8의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예: 도 8의 식별 정보(813))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810)를 획득할 수 있다.
1305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중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로컬 주소 정보(예: 도 8의 로컬 주소 정보(821))로서 설정하고,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또는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중 제 1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피어 주소 정보(예: 도 8의 피어 주소 정보(822))로서 설정하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를 제 1 전자 장치(201)의 인증 주소 정보(823)로서 설정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설정 정보(예: 도 8의 설정 정보(810))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401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도 13의 1301 동작에 설명된 방법을 이용하여 140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403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도 11의 1105 동작에 설명된 방법을 이용하여 140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405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하기 위한 제 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NFC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조건으로서,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NFC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는 제 2 조건으로서,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인터페이스(280)를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NFC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거절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도 7의 707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407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NFC 모듈을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예: 도 8의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예: 도 8의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예: 도 8의 식별 정보(813))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810)를 획득할 수 있다.
1409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11),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12),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13)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예: 도 2의 프로세서(290))는 도 13의 1305 동작에 설명된 방법을 이용하여 1409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에게 설정 정보(예: 도 8의 설정 정보(810))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501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예: 도 3의 프로세서(310))는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내에 인입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예: 도 3의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345))와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의 인터페이스(예: 도 2의 인터페이스(280))에 포함된 연결 단자(예: 충전 단자) 사이의 전기적 연결(물리적 접촉)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전기적 연결 상태임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1503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예: 도 3의 프로세서(310))는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예: 도 8의 주소 정보(820) 및/또는 주소 정보(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예: 도 3의 프로세서(3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예: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820 및/또는 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예: 도 3의 프로세서(310))는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해당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820 및/또는 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을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통신 모듈(예: 도 3의 통신 모듈(320))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통신 모듈(320)을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820 및/또는 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예: 도 3의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345)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해당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820 및/또는 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확인을 요청한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820 및/또는 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인입된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중에서 도 7의 703 동작에서 설명된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확인을 요청한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820 및/또는 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인증 주소 정보(예: 도 8의 인증 주소 정보(823))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제 1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82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예: 도 3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인입된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820 및/또는 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직접(directly)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버튼(예: 도 10의 버튼(1010)이 눌려지거나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특정 영역(예: 도 10의 제 1 영역(1020))이 터치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인입된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820 및/또는 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에 포함된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 음성으로부터 주소 정보의 설정을 요청하는 음성 명령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인입된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820 및/또는 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예: 도 3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인입된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820 및/또는 830)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를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인입된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로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하여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1) 및 제 2 전자 장치(202)가 모두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된 상태인 경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마스터 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로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1505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예: 도 3의 프로세서(31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주소 정보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 또는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거절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통신 모듈(32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예: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주소 정보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직접(directly)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345)를 통하여, 주소 정보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가 확인을 요청한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1507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예: 도 3의 프로세서(310))는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통신 모듈(320) 또는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345)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로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810)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 또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가 확인을 요청한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로부터,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통신 모듈(210)의 적어도 일부(예: NFC 모듈)를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제 1 전자 장치(201) 및/또는 제 2 전자 장치(202)로 송신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한 특정 전자 장치에게만 설정 정보(810)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 1 전자 장치(201)로부터만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을 획득할 수 있고, 제 1 전자 장치(201)의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로만 설정 정보(810)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근거리 통신 모듈(예: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주소 정보 설정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 정보(810)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는 메모리(360) 내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810)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810)는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예: 도 8의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821)),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예: 도 8의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822)), 또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예: 도 8의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식별 정보(8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전자 장치(201)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210),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290), 및 상기 프로세서(29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25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250)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290)가, 상기 전자 장치(201)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됨을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31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하고, 및 상기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201)의 상기 주소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290)가, 상기 전자 장치(201)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됨을 확인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포함된 NFC 모듈을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290)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된 것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설정 정보는,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 및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로컬 주소(local address) 정보, 피어 주소(peer address) 정보, 및 인증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290)가, 상기 전자 장치(201)의 상기 인증 주소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특정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201)의 상기 인증 주소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특정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상기 전자 장치(201)의 상기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상기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290)가,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수립되지 않은 제 1 상태에서 상기 인증 주소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또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특정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기 전의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와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및 상기 수립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 상기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290)가, 상기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1) 상기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또는 상기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 중 상기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201)의 상기 로컬 주소 정보로서 설정하고, 2) 상기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또는 상기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 중 상기 전자 장치(201)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201)의 상기 피어 주소 정보로서 설정하고, 또는 3)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201)의 상기 인증 주소 정보로서 설정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201)는 상기 프로세서(29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배터리(270)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290)가,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 오프(turn off)하고,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201)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290)가, 상기 전자 장치(201)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가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201)의 상기 설정된 피어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전자 장치(202)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더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201)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됨을 확인하는 동작, 통신 모듈(21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201)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201)의 상기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내에 인입됨을 확인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포함된 NFC 모듈을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됨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된 것으로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인증 주소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특정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인증 주소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특정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수립되지 않은 제 1 상태에서 상기 인증 주소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또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특정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활성화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기 전의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동작, 및 상기 수립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1) 상기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또는 상기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 중 상기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로컬 주소 정보로서 설정하고, 2) 상기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또는 상기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 중 상기 전자 장치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피어 주소 정보로서 설정하고, 또는 3)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인증 주소 정보로서 설정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 오프(turn off)하고,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 1 오디오 전자 장치(201) 또는 제 2 오디오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 장치(301)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320),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310), 및 상기 프로세서(31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6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360)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310)가, 상기 제 1 오디오 전자 장치(201) 또는 상기 제 2 오디오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전자 장치(301) 내에 인입됨을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205)로 상기 제 1 오디오 전자 장치(201) 또는 상기 제 2 오디오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205)로부터 상기 확인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오디오 전자 장치(201) 또는 상기 제 2 오디오 전자 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됨을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하고, 및
    상기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됨을 확인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포함된 NFC 모듈을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된 것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 및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로컬 주소(local address) 정보, 피어 주소(peer address) 정보, 및 인증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인증 주소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특정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인증 주소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특정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수립되지 않은 제 1 상태에서 상기 인증 주소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또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특정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기 전의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및
    상기 수립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1) 상기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또는 상기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 중 상기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로컬 주소 정보로서 설정하고, 2) 상기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또는 상기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 중 상기 전자 장치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피어 주소 정보로서 설정하고, 또는 3)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인증 주소 정보로서 설정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 오프(turn off)하고,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가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설정된 피어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전자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더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제 1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됨을 확인하는 동작,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됨을 확인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포함된 NFC 모듈을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됨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전환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된 것으로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 및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로컬 주소(local address) 정보, 피어 주소(peer address) 정보, 및 인증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인증 주소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특정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인증 주소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특정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수립되지 않은 제 1 상태에서 상기 인증 주소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또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특정 신호를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활성화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상기 설정 정보를 획득하기 전의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동작, 및
    상기 수립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1) 상기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또는 상기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 중 상기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로컬 주소 정보로서 설정하고, 2) 상기 제 1 블루투스 주소 정보 또는 상기 제 2 블루투스 주소 정보 중 상기 전자 장치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피어 주소 정보로서 설정하고, 또는 3)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인증 주소 정보로서 설정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 오프(turn off)하고,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 오디오 전자 장치 또는 제 2 오디오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보관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오디오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제 2 오디오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인입됨을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 1 오디오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제 2 오디오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주소 정보의 설정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확인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을 획득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오디오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제 2 오디오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설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KR1020190113391A 2019-09-16 2019-09-16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2021003210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391A KR20210032104A (ko) 2019-09-16 2019-09-16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PCT/KR2020/007501 WO2021054573A1 (ko) 2019-09-16 2020-06-10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US17/689,090 US11770693B2 (en) 2019-09-16 2022-03-08 Electronic device for setting address inform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391A KR20210032104A (ko) 2019-09-16 2019-09-16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104A true KR20210032104A (ko) 2021-03-24

Family

ID=7488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391A KR20210032104A (ko) 2019-09-16 2019-09-16 주소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70693B2 (ko)
KR (1) KR20210032104A (ko)
WO (1) WO20210545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438A1 (ko) * 2021-09-06 2023-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들 간의 매칭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8693B2 (en) * 2012-11-09 2016-02-09 Apple Inc. Device centric or interactive discovery
US10219062B2 (en) 2015-06-05 2019-02-26 Apple Inc. Wireless audio output devices
KR20170006716A (ko) * 2015-07-09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신호 제어 방법
US10735467B2 (en) * 2016-01-11 2020-08-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evice using bluetooth technology
KR102587726B1 (ko) 2016-12-28 2023-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609537B2 (en) * 2017-11-22 2020-03-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ity platfo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438A1 (ko) * 2021-09-06 2023-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들 간의 매칭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70693B2 (en) 2023-09-26
WO2021054573A1 (ko) 2021-03-25
US20220191669A1 (en)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892B1 (ko) 블루투스 저전력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632299B1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419182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link sharing and method therefor
EP3709685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 link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11818636B2 (en) External audio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mmunication link
KR102652380B1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10020541A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335903B1 (ko) 전자 장치들 간에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220141893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response message in bluetooth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therefor
KR2021001489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저전력 기반 통신 연결 방법
US20220417645A1 (en) Electronic device for audio,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in electronic device for audio
KR20210020542A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중 링크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EP4002737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packets in bluetooth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therefor
KR20210051932A (ko) 블루투스 연결 정보 공유를 통한 소스 기기 전환 방법 및 장치
KR20210017030A (ko)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770693B2 (en) Electronic device for setting address inform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230097491A1 (en)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pairing support signal and method operating the same
KR102639249B1 (ko)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 채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2010900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기반의 위치 정보 전송 방법
KR2022010547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블루투스 기반의 외부 전자 장치 원격 잠금 제어 방법
US20220225452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packets in bluetooth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therefor
KR102664874B1 (ko) 수신 경로 스위칭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3012989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의 충전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