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581A -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 - Google Patents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581A
KR20080112581A KR1020070061137A KR20070061137A KR20080112581A KR 20080112581 A KR20080112581 A KR 20080112581A KR 1020070061137 A KR1020070061137 A KR 1020070061137A KR 20070061137 A KR20070061137 A KR 20070061137A KR 20080112581 A KR20080112581 A KR 20080112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cowl cross
bent portion
body panel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1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2581A/ko
Publication of KR20080112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 패널에 구비되는 제1굴곡부; 차체 패널의 내측에 위치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 카울 크로스 멤버의 양측단에 구비되고 차체 패널과 결합되는 브라켓; 및 브라켓에 구비되고 제1굴곡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접촉되는 제2굴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는 제1,제2굴곡부에 의해 카울 크로스 멤버를 차체 패널에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카울 크로스 멤버, 브라켓, 굴곡부, 차체 패널

Description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INSTALLING DEVICE OF COWL-CROSS-MEMBER}
도 1은 일반적인 카울 크로스 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카울 크로스 멤버와 차체 패널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 멤버와 차체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 멤버와 차체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차체 패널 31 : 제1굴곡부
40 : 카울 크로스 멤버 41 : 브라켓
42 : 제2굴곡부 43 : 설치홀
본 발명은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울 크로스 멤버가 차체 패널에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카울 크로스 멤버(Cowl Cross Member)는 칵핏 모듈(Cockpit Module)의 지지역할을 하는 구조물을 의미하며, 도 1은 일반적인 카울 크로스 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카울 크로스 멤버와 차체 패널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울 크로스 멤버(10)는 양단에 브래킷(11)이 구비되어 차체패널에 장착되고, HVAC(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에어백 모듈, 전장 부품들이 조립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카울 크로스 멤버(10)의 양단에 구비된 브라켓(11)이 차량의 차체 패널(21)의 내측에 볼트(22)로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는 카울 크로스 멤버(10) 자체 하중으로 인해, 볼트(22) 결합을 위해 브라켓(11)과 차체 패널(21)의 결합 위치를 정확히 조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카울 크로스 멤버가 차체 패널과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 패널에 구비되는 제1굴곡부; 상기 차체 패널의 내측에 위치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양측단에 구비되고 상기 차체 패널과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구 비되고 상기 제1굴곡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접촉되는 제2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굴곡부와 상기 제2굴곡부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나머지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굴곡부와 상기 제2굴곡부는 일단이 타단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 멤버와 차체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 멤버와 차체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카울 크로스 멤버(40)는 차체 패널(30) 사이에 위치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카울 크로스 멤버(40)에는 HVAC(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에어백 모듈, 전장 부품들이 조립된다.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40)의 양측단에는 브라켓(41)이 구비되고, 이러한 브라켓(41)은 차체 패널(30)과 고정체(미도시)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차체 패널(30)에는 제1굴곡부(31)가 구비되고, 브라켓(41)에는 제2굴곡부(42)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굴곡부(31)와 제2굴곡부(4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서로 접촉된다. 따라서, 제1굴곡부(31)와 제2굴곡부(42)는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된다.
이때, 제1굴곡부(31)와 제2굴곡부(42)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나머지는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즉, 제1굴곡부(31)가 차체 패널(30)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면, 제2굴곡부(42)는 제1굴곡부(31)가 삽입되면서 접촉되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1굴곡부(31)가 오목한 형상을 가지면, 제2굴곡부(42)는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1굴곡부(31)는 차체 패널(3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품이 되어 차체 패널(30)에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굴곡부(42)는 브라켓(4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품이 되어 브라켓(4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굴곡부(31)와 제2굴곡부(42)는 단면이 곡률을 형성하거나, 각진 형상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굴곡부(31)와 제2굴곡부(42)는 일단이 타단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제1굴곡부(31)는 제1입구부(52) 및 제1안착부(51)를 가지며, 제2굴곡부(42)는 제2입구부(62) 및 제2안착부(61)를 갖는다. 이때, 제1입구부(52)의 폭 길이(a)는 제1안착부(51)의 폭 길이(b) 보다 길게 설계한다. 마찬가지로, 제2입구부(62)의 폭 길이(c)는 제2안착부(61)의 폭 길이(d) 보다 길게 설계한다.
미설명 부호 43은 고정체(미도시)에 의해 차체 패널(30)과 결합되기 위한 설치홀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울 크로스 멤버(40)를 차체 패널(30) 사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제1굴곡부(31)와 제2굴곡부(42)가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하면,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42)는 카울 크로스 멤버(40)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여, 카울 크로스 멤버(40)가 차체 패널(30)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입구부(52)의 폭 길이(a)가 제1안착부(51)의 폭 길이(b) 보다 길고, 제2입구부(62)의 폭 길이(c)는 제2안착부(61)의 폭 길이(d) 보다 길면, 제2굴곡부(42)가 제1굴곡부(31)에 의해 가이드 되다가, 소정위치에서 카울 크로스 멤버(40)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제1안착부(51)와 제2안착부(61)가 접촉되면, 제2안착부(61)는 제1안착부(51)에 걸려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게 되므로, 설계된 위치에 카울 크로스 멤버(4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는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에 의해 카울 크로스 멤버를 차체 패널에 가이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는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와 접촉으로 카울 크로스 멤버 자체 하중을 일부 지탱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체 패널에 구비되는 제1굴곡부;
    상기 차체 패널의 내측에 위치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양측단에 구비되고 상기 차체 패널과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고 상기 제1굴곡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접촉되는 제2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굴곡부와 상기 제2굴곡부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나머지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굴곡부와 상기 제2굴곡부는 일단이 타단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
KR1020070061137A 2007-06-21 2007-06-21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 KR20080112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137A KR20080112581A (ko) 2007-06-21 2007-06-21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137A KR20080112581A (ko) 2007-06-21 2007-06-21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581A true KR20080112581A (ko) 2008-12-26

Family

ID=40370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137A KR20080112581A (ko) 2007-06-21 2007-06-21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25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351B1 (ko) * 2009-02-04 2015-06-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내부패널과 카울크로스멤버 결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351B1 (ko) * 2009-02-04 2015-06-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내부패널과 카울크로스멤버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7737B2 (ja) センサ用の保持クリップ
EP3433132B1 (en) Flexible plastic snap-receiving socket
US20110298239A1 (en) Module load enabling bracket
WO2018087942A1 (ja) 整風部材及び整風部材の製造方法
CN202424036U (zh) 一种线束固定支架
KR20080112581A (ko) 카울 크로스 멤버 설치 장치
KR101629831B1 (ko)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JP6040142B2 (ja) 吸気取入構造
JP2016223674A (ja) 部材の係止構造及び風向調整装置
JP2019147499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上面部連結構造
JP2014065322A (ja) エアガイドの取付構造
JP2012064874A (ja) 電子制御装置
JP5925499B2 (ja) 車両用ドアの止水構造
CN207207966U (zh) 一种线束护板
JP6233697B2 (ja) フェンダートップカバーの構造
JP2005104212A (ja) クーリングモジュール
CN109552046A (zh) 汽车仪表板与汽车
JP2013216143A (ja) コクピットモジュール取付構造
KR200426810Y1 (ko)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
CN219635100U (zh) Ecu支架以及车辆
KR100645155B1 (ko) 차량용 에이 필러 덕트 장착구조
KR200457519Y1 (ko) 모터 설치용 클램핑수단
JP7155773B2 (ja) 車両用スポイラ取付構造
KR20080043917A (ko) 에어닥트가 일체로 형성된 카울크로스 맴버
CN106627062A (zh) 一种排水管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