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7495A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495A
KR20080107495A KR1020070055304A KR20070055304A KR20080107495A KR 20080107495 A KR20080107495 A KR 20080107495A KR 1020070055304 A KR1020070055304 A KR 1020070055304A KR 20070055304 A KR20070055304 A KR 20070055304A KR 20080107495 A KR20080107495 A KR 20080107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eaner body
moving
cleaner
s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욱
정경선
최규천
황근배
선창화
민주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5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7495A/ko
Publication of KR20080107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7Handles for 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장치; 상기 흡입 장치 또는 상기 본체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 바퀴; 상기 이동 바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이동 바퀴, 구동부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청소기 본체의 측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5는 청소기 본체가 정지한 상태의 흡입 장치와 청소기 본체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청소기 본체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청소기 본체가 좌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청소기 본체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청소기 본체 30 : 흡입 장치
60 : 연결 호스 100 : 핸들
130 : 작동 조작부 140 : 이동 조작부
230 : 좌륜 모터 240 : 우륜 모터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크게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장치가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흡입 장치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캐니스터 방식의 청소기의 경우, 본체가 정지한 상태에서 흡입 장치가 전후 또는 좌우 이동됨에 따라 청소기가 수행되고, 업라이트 방식의 청소기의 경우, 본체가 흡입 장치와 동시에 이동되면서 청소기가 수행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방향으로 청소기 본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청소기 본체가 스스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청 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장치; 상기 흡입 장치 또는 상기 본체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 바퀴; 상기 이동 바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바퀴; 상기 이동 바퀴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이동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핸들; 상기 핸들에 제공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는 먼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장치; 상기 흡입 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상기 흡입 장치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 바퀴; 상기 이동 바퀴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부; 상기 흡입 장치 또는 상기 청소기 본체를 조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잡는 핸들; 상기 핸들에 제공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청소기 본체 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캐니스터 방식의 청소기로서,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1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시키며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집진 장치(2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1)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장치(30)와, 사용자가 상기 진공 청소기(11)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100)과, 상기 흡입 장치(30)와 상기 핸들(100)을 연결시키는 연장관(40)과, 상기 흡입 장치(3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연결시키는 연결 호스(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관(40)과 상기 연결 호스(60)는 상기 흡입 장치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본체(10)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연장관(40) 및 상기 연결 호스(60)를 "연결관"이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히, 상기 청소기 본체(10)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이동 바퀴(11)가 제공되며, 상기 이동 바퀴(11)는 상기 청소기 본체(11)의 양측에 제공된다. 즉, 상기 이동 바퀴(11)는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바퀴(11)에 의해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저면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 때,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저면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것 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저면이 바닥면 또는 바닥면에 놓인 장애물에 의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임은 용이하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상기 이동 바퀴(11)에 의해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바닥면에 형성되는 턱 등을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게 됨은 용이하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 바퀴(11)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후측에 제공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저면 앞쪽에는 보조 바퀴(12)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바퀴(11)의 위치와 상기 보조 바퀴(12)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연결 호스(60)는 변형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재질이 사용되며, 상기 연결 호스(60)에 의해서 사용자는 상기 연결 호스(60)가 변형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흡입 장치(3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흡입 장치(3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상기 연결 호스(60)는 인장되고, 상기 연결 호스(60)가 인장되는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흡입 장치(30)를 따라 이동되어야 한다.
이 때,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당기는 힘(이하에서는 "견인력"이라 함) 없이도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상기 청소기 본 체(10)가 이동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조가 제공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100)은, 핸들 바디(110)와, 상기 핸들 바디(110)의 상측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1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20)에는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 조작부(13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조작부(140)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핸들 바디(110)에는 상기 연결관(4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연결 호스(60)로 이동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20)는 사용자가 파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 바디(110)의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하므로,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작동 또는 이동을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 조작부(130) 및 상기 이동 조작부(140)는 상기 파지부(120)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작동 조작부(13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내부에 제공되는 흡입 모터의 온/오프 및 흡입력이 조절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의 조절은 사용자가 상기 흡입 모터를 온시키는 과정과 동시에 이루어지며, 청소 과정에서는 빈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상기 작동 조작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청소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피청소면의 청소는 사용자가 상기 흡입 장치(2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이루어므로, 상기 흡입 장치(20)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이동은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청소 과정에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 조작부(140)를 상기 작동 조작부(130) 보다 빈번하게 사용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 조작부(140)는 상기 작동 조작부(130) 보다 사용자의 손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동 조작부(140)는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이동 조작부(140)를 통하여 이동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이동 조작부(140)는 상기 파지부(120)의 상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 조작부(140)와 상기 작동 조작부(13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이동 조작부(140)는 상기 핸들 바디(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 조작부(140) 보다 후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형태로는 상기 이동 조작부(140) 또는 상기 작동 조작부(130)가 상기 파지부(110)의 상측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파지부(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동 조작부(140)는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전후 및 좌우 이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조작부(140)는 상기 파지부(110)에 대해서 이동이 자유로운 조작 부재(142)가 포함된다. 이러한 조작 부재(142)로는 게임기 등에 사용되는 조이스틱(Joystick)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작 부재(142)로 조이스틱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어느 방향으로도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한 손가락으로 상기 조작 부재(14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상기 조작 부재(142)의 이동 방향과 대응하여 이동된다.
즉, 상기 조작 부재(142)를 전방 밀거나,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이에 대응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부재(14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면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이에 대응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 전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작 부재(142)를 전후 및 좌우 방향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이동되는 과정에서 방향 전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조작 부재(142)를 현재 위치에서 10시 또는 11시 방향으로 미는 경우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전방 좌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부재(142)의 작동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 속도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례로, 작동 시간에 비례하여 이동 속 도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작 부재(142)를 일 방향을 0.5초 동안 이동시킨 경우,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 속도는 0.1m/s가 되도록 하고, 상기 조작 부재(142)를 1초 동안 이동시킨 경우,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 속도는 0.3m/s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 부재(142)를 1.5초 동안 이동시킨 경우,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 속도는 0.5m/s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20)에는 상기 조작 부재(140)의 조작 방향을 가이드하는 표시부(144)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4)는 단순하게 방향 표시를 나타내는 표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20)에는 상기 조작 방향에 대응하여 빛을 발하는 램프 또는 LED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사용자가 상기 진공 청소기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작동 조작부(130)와, 사용자가 상기 진공 청소기의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이동 조작부(140)와, 상기 조작부(130, 140)를 통하여 입력된 조건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210)와, 상기 구동부(21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구동부(21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22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바퀴(11)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는 좌측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좌륜 모 터(230)와, 우측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우륜 모터(240)가 포함된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한 쌍의 이동 바퀴(11)가 각각의 구동 모터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 바퀴(11)의 회전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좌륜 모터(230) 및 우륜 모터(24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작동 조작부(130)를 통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작동 조건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흡입 모터가 입력된 조건에 따라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 조작부(130)를 통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 조건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각 모터(230, 240)가 입력된 이동 조건에 따라 구동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서 청소기 본체(10)를 끄는 견인력은 사용자로부터 발생하지 않고, 상기 각 모터(230, 240)에 의해서 발생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이동시키는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 때,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 방향은 상기 각 모터(230, 240)의 회전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모터(230, 240)가 등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반면, 어느 한 측 모터가 빠르게 회전되는 경우, 늦은 속도로 회전하는 모터의 방향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이동된다. 물론 어느 한 측 모터가 정지된 상태에서 다른 한 측 모터가 회전되도록 하여 방향 전환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 조작부(140)는 상기 제어부(200)와 유선 연결되어 상기 이동 조작부(140)의 조작 신호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상기 이동 조작부(140)의 조작 신호가 무선으로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 조작부(140)의 조작 신호가 무선으로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도록 하는 경우, 일 례로 RF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핸들(100)에는 상기 이동 조작부(140)의 조작 신호가 외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송신부가 제공될 것이고, 상기 본체(10)에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제공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RF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외선 방식으로도 상기 이동 조작부(140)의 조작 신호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청소기 본체가 정지한 상태의 흡입 장치와 청소기 본체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는 상기 핸들(10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바닥면의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이 때, 바닥면 이외의 부분도 청소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 장치(30)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흡입 장치(3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흡입 장치(30)가 청소기 본체(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 호스(60)는 느슨한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 장치(3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거리는 상기 연결 호스(60)에 의해서 결정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일정 거리는 사용자가 상기 흡입 장치(2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당기는 힘, 즉 견인력이 요구되는 상태의 거리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 호스(60)가 느슨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 장치(20)를 더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이동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사용자는 상기 이동 조작부(140)를 조작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상기 이동 조작부(140)를 조작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청소기 본체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흡입 장치(3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흡입 장치(3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와 멀어지면, 상기 연결 호스(60)는 일정 길이로 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흡입 장치(30)를 더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이동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는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 조작부(140)를 조작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조작 부재(140)를 상측으로 민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전방 이동 신호가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2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좌륜 모터(230) 및 상기 우륜 모터(240)가 등속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면, 좌측 바퀴(11a) 및 우측 바퀴(11b)가 등속으로 회전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1)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전방 이동에 의해서 상기 흡입 장치(3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 간의 거리가 좁혀진다.
여기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후방 이동은 상기 조작 부재(142)를 후측으로 당기는 것과 상기 각 모터(230, 240)의 회전 방향이 반대가 되는 것 외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전방 이동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청소기 본체가 좌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흡입 장치(3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흡입 장치(3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이에 대응하여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 조작부(140)를 조작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좌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조작 부재(140)를 좌측으로 민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좌측 이동 신호가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좌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2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우륜 모터(240)가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좌측 바퀴(11a)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우측 바퀴(11b)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좌측으로 방향 전환이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흡입 장치(30)를 지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므로,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전진하면서 좌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조작 부재(142)를 10시 또는 11시 방향으로 밀거나, 상기 조작 부재(142)를 좌측으로 밀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좌측으로 방향 전환을 한 후 상기 조작 부재(142)를 전방으로 밀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전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좌측으로 방향 전환을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우륜 모터(240)가 상기 좌륜 모터(230) 보다 빠르게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우측 바퀴(11b)가 상기 좌측 바퀴(11a)보다 더 빠르게 회전하므로, 상기 청소기 본체(20)는 전진하는 과정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8은 청소기 본체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흡입 장치(3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이에 대응하여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 조작부(140)를 조작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좌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조작 부재(140)를 우측으로 민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우측 이동 신호가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210)의 작동 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좌륜 모터(230)가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우측 바퀴(11b)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좌측 바퀴(11a)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우측으로 방향 전환이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흡입 장치(30)를 지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므로,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전진하면서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조작 부재(142)를 1시 또는 2시 방향으로 밀거나, 상기 조작 부재(142)를 우측으로 밀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우측으로 방향 전환을 한 후 상기 조작 부재(142)를 전방으로 밀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전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전진하는 과정에서 우측으로 방향 전환을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좌륜 모터(230)가 상기 우륜 모터(240) 보다 빠르게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좌측 바퀴(11a)가 상기 우측 바퀴(11b)보다 더 빠르게 회전하므로, 상기 청소기 본체(20)는 전진하는 과정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스스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구동 모터에 의해서 이동되므로, 바닥면의 장애물을 보다 쉽게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넘을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 게 된다.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300)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 조작부(330)와 상기 작동 조작부의 후측에 제공되는 이동 조작부(34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조작부(340)는 상기 청소기 본체가 전후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조작 버튼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조작 버튼은, 전진 버튼(341)과 후진 버튼(342)과 좌측 버튼(343)과 우측 버튼(344)이 포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각 버튼(341 내지 344)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상기 각 버튼이 가압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가 상기 진공 청소기의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이동 조작부(310)와, 상기 이동 조작부(310)의 전후 이동을 감지하는 전후 이동 감지부(320)와, 상기 이동 조작부(310)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330)와, 상기 각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정보에 대응하여 구동되는 구동부(340)와, 상기 구동부(34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구동부(310)는, 상기 좌측 바퀴(11a)를 회전시키기 위한 좌륜 모터(350)와, 상기 우측 바퀴(11b)를 회전시키기 위한 우륜 모터(350)가 포함된다.
그리고, 원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각 바퀴(11a, 11b)는 상기 흡입 장치(30)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이동 조작부(31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동 조작부(31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대해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감지부(320, 330)는 상기 이동 조작부(310)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 조작부(310)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핸들에 구비될 수 있다.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경우 청소기 본체(10)와 흡입 장치(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측에 제공되는 핸들을 잡고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흡입 장치(30)가 전후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흡입 장치(3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와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을 위하여 많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이동 조작부(310)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이동 조작부(31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흡입 장치(30) 및 청소기 본체(10)가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흡입 장치(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는 상기 이동 조작부(310)를 잡고 상기 흡입 장치(30)를 전방으로 밀어야 하므로, 상기 이동 조작부(310)는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전후 이동 감지부(320)가 상기 이동 조작부(310)의 전방 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상기 제어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340)가 구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각 모터(350, 360)가 등속으로 회전되어 상기 흡입 장치(30)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상기 흡입 장치(3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반면, 상기 흡입 장치(3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이동 조작부(310)를 잡고 상기 흡입 장치(30)를 당겨야 하므로, 상기 이동 조작부(310)는 사용자의 당기는 힘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전후 이동 감지부(320)가 상기 이동 조작부(310)의 후방 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상기 제어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340)가 구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흡입 장치(3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이동 조작부(310)를 잡고 상기 흡입 장치(3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여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손목이 꺽이는 과정과 동시에 상기 이동 조작부(310)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 조작부(310)의 회전은 오토바이에 적용되는 핸들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오토바이에 핸들에 적용되는 핸들의 경우 사용자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조작부(310)가 양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이동 조작부(310)가 어느 일 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 감지부(330)에서 상기 이동 조작부(310)의 회전이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340)가 구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 전환의 구체적인 작동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 조작부(310)의 전후 및/또는 좌우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흡입 장치(30) 및 청소기 본체(10)가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 상기 흡입 장치(30) 및 청소기 본체(1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 조작부(310)가 양방향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흡입 장치(3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서 청소기 본체가 스스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가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피청소면을 이동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부에 의해서 청소기 본체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바닥면의 장애물 등을 청소기 본체가 쉽게 넘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장치;
    상기 흡입 장치 또는 상기 본체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 바퀴;
    상기 이동 바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핸들에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방향 조작이 자유로운 조이스틱(joystick)이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가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버튼이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외력에 의해서 전후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진공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시간 증가에 따라 상기 이동 바퀴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는 진공 청소기.
  7.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바퀴;
    상기 이동 바퀴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핸들;
    상기 핸들에 제공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바퀴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제공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각 이동 바퀴에 연결되는 한 쌍의 구동 모터가 포함되고,
    상기 각 구동 모터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진공 청소기.
  9. 먼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장치;
    상기 흡입 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상기 흡입 장치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 바퀴;
    상기 이동 바퀴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부;
    상기 흡입 장치 또는 상기 청소기 본체를 조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잡는 핸들;
    상기 핸들에 제공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핸들에 대해서 전후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진공 청소기.
KR1020070055304A 2007-06-07 2007-06-07 진공 청소기 KR20080107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304A KR20080107495A (ko) 2007-06-07 2007-06-07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304A KR20080107495A (ko) 2007-06-07 2007-06-07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495A true KR20080107495A (ko) 2008-12-11

Family

ID=4036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304A KR20080107495A (ko) 2007-06-07 2007-06-07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74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2456A (en) * 2014-01-24 2015-07-29 Hoover Ltd Canister vacuum clea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2456A (en) * 2014-01-24 2015-07-29 Hoover Ltd Canister vacuum cleaner
CN104799761A (zh) * 2014-01-24 2015-07-29 胡佛有限公司 卧式真空吸尘器
EP2898808A1 (en) * 2014-01-24 2015-07-29 Hoover Limited Canister vacuum cleaner
GB2522456B (en) * 2014-01-24 2016-03-23 Hoover Ltd Canister vacuum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3311B2 (ja) 電気掃除機
US10813520B2 (en) Surface cleaning device with triggerless fluid distribution mechanism
AU2010345829B2 (en) Upright vacuum cleaner
KR101758281B1 (ko)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9279230A (ja) 電気掃除機
JP2612328B2 (ja) 電気掃除機
CN101677736B (zh) 真空吸尘器
EP2301401A1 (en) Vacuum cleaner with remote control
KR100901032B1 (ko) 진공 청소기
TW201529063A (zh) 智慧型行動輔具
WO2018225173A1 (ja) 電気掃除機
KR101035165B1 (ko) 진공 청소기
JP2018143344A (ja) 電気掃除機
KR20080107495A (ko) 진공 청소기
JP4923530B2 (ja) 電気掃除機
KR20180044342A (ko) 작동 손잡이
JP2012210300A (ja) 電気掃除機用手元ハンドル部
JP2007135651A5 (ko)
JP2019033814A (ja) 電気掃除機
JP5620089B2 (ja) 電気掃除機
WO2018158972A1 (ja) 電気掃除機
JP3019520B2 (ja) 自走式掃除機
CN104799761B (zh) 卧式真空吸尘器
JP2571735B2 (ja) 電気掃除機
JP2008188289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17

Effective date: 2009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