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7315A - 인덱서블 엔드 밀링 인서트 - Google Patents

인덱서블 엔드 밀링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315A
KR20080107315A KR1020080053313A KR20080053313A KR20080107315A KR 20080107315 A KR20080107315 A KR 20080107315A KR 1020080053313 A KR1020080053313 A KR 1020080053313A KR 20080053313 A KR20080053313 A KR 20080053313A KR 20080107315 A KR20080107315 A KR 20080107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rance
cutting edge
main
inser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780B1 (ko
Inventor
토르드 엥스트룀
예란 판트사르
패트릭 스베드베리
마그누스 오스트룀
Original Assignee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filed Critical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80107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23C5/2208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 B23C5/2213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hav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06Drills with cutting inserts
    • B23B51/0007Drills with cutting inserts with exchangeable cutting insert
    • B23B51/0008Drills with cutting inserts with exchangeable cutting insert with indexable or reversible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12Seats f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5Discontinuous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8Wiper, i.e. an auxiliary cutting edge to improve surface fin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4Cross section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43Cross section of the cutting edge bevelled or chamfe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1Plural simultaneously usable separable tools in common seat or common clamp actuator for plural simultaneously usable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10T407/23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with integral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Gear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측 (14), 상부측 (13) 및 상기 상부측 (13) 과 복수의 여유측 (15) 사이에 형성되고 각각 칩 제거 주 절삭날 (18) 및 절삭 인서트의 코너 (17) 를 통해 주 절삭날 (18) 로 이어지는 표면 닦기용 와이퍼날 (19) 을 포함하는 복수의 절삭날을 포함하는 유형의 인덱서블 엔드 밀링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서트는 정사각형 기본 형상을 갖고, 4 개의 주 절삭날 (18) 및 4 개의 와이퍼날 (19) 을 갖고 각각의 와이퍼날은 주 절삭날 (18) 과 동일한 여유측 (15) 을 따라 위치하며, 주 절삭날 (18) 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와이퍼날 (19) 은 상기 부 여유면 (26) 에 대해 돌출되고 제 3 여유면 (32) 을 갖는 돌출 립 (31) 에 상부 경계선으로서 포함된다. 제 3 여유면은 일측을 따라 천이면 (36) 을 통해 상기 주 여유면 (22) 에 이어져 있고, 상기 주 여유면 (22) 은 상기 반대편 단부 (38, 39) 로부터 이들 사이의 최소폭을 갖는 구역 (40) 쪽으로 감소하는 폭을 갖는다.
인덱서블 엔드 밀링 인서트.

Description

인덱서블 엔드 밀링 인서트{AN INDEXABLE END-MILLING INSERT}
본 발명은 하부측, 상부측 및 상기 상부측과 복수의 여유측 사이에 형성되고 각각 칩 제거 주 절삭날 및 절삭 인서트의 코너를 통해 주 절삭날로 이어지는 표면 닦기용 와이퍼날을 포함하는 복수의 절삭날을 포함하고, 상기 개별 주 절삭날은 제 1 단부와 하부측에 대하여 상기 제 1 단부보다 높게 위치한 반대편의 제 2 단부 사이에서 아치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주 절삭날은 절삭날선의 내측에 위치한 칩 표면과 하부에 부 여유면이 있는 절삭날선 외부에 위치한 볼록한 아치형의 주 여유면 사이에서 한정되는 인덱서블 엔드 밀링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EP 0956921 로부터, 상기 언급한 유형의 엔드 밀링용 절삭 인서트가 종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절삭 인서트의 이점으로는, 무엇보다도, 절삭이 용이하고 균일한 칩 형성 및 주 절삭날의 전체 길이를 따라 양호한 칩 배출을 제공하는 동시에, 특히 상기 절삭날의 여유각이 전체 절삭날 길이를 따라 일정하기 때문에, 주 절삭날로서 양호한 강성 및 긴 서비스 수명을 갖는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점으로는 주 절삭날의 기능적 여유 뿐만 아니라, 작업물 내에 생성되는 표면에 대한 와이퍼날의 기능적 여유 또한 신뢰 가능해진다는 점이다. 그로 인해, 절삭날의 여유면이 일찍 마모되는 것을 피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두 번째 이점은 절삭날이 단지 두 개의 가용 절삭날만을 포함한다는 단점을 희생하여 얻게 된다.
절삭 또는 칩 제거 가공 분야에서, 가능한 많은 가용 절삭날을 갖도록 하는 공구의 교체 가능한 절삭 인서트를 설계하고자 하는 목표가 꾸준히 존재한다. 이러한 점에서, 엔드 밀링 인서트도 예외가 아니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가 정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기본 형상이 되도록 하여, 4 개의 교대로 가용한 절삭날을 갖는 엔드 밀링 인서트를 형성하기 위한 여러 제안들이 있었다. 예를 들면, EP 0787051. US 5597271, WO 96/35538 및 US 5810521 등이 있다.
하지만, 4 개의 날을 갖는 엔드 밀링 인서트의 설계 작업은, 엔드 밀링 커터 공구 및 절삭 인서트의 복잡한 공간 형상 때문에 만만치 않은 문제점들을 다수 포함하며, 그 중 가장 어려운 문제는 절삭 인서트의 서로 다른 여유를 설계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방으로 인덱스된 절삭 인서트의 작용 절삭날 쌍, 즉 절삭 인서트에 대해 일정한 각을 이루는 주 절삭날 및 와이퍼날 뿐만 아니라, 작용 주 절삭날의 연장선 상의 비작용 와이퍼날 및 작용 와이퍼날의 연장선 상의 비작용 주 절삭날 또한 생성 표면으로부터 허용 가능한 여유를 얻을 필요가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날 회전방향으로 후방인 여유면이 상기 날에 의해 가공된 평면인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작용 와이퍼날은 양호한 접선방향 또는 회전방향 여유를 가져야 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와이퍼날의 연장선 상의 비작용 주 절삭날은 상기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기 위해 반경 방향 여유를 가져야 한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바닥면과 90°각도인 숄더 또는 숄더면을 생성하는 작용 주 절삭날 은, 회전 방향으로 후방인 여유면이 상기 숄더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접선방향 여유를 가져야 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주 절삭날의 연장선 상의 비작용 와이퍼날 또한 상기 숄더면과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에 대한 기본적이고 기하학적으로 작용하는 해결 방법이 EP 0787051 및 US 5597271 에 나타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러한 두 문헌에 개시된 절삭 인서트 설계는 와이퍼날이 절삭날의 하부쪽으로 및 하나의 동일한 여유측을 따라 위치한 주 절삭날에 대해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는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그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 와이퍼날은 한편으로 절삭 인서트가 부속 밀링 커터 본체 내에 양의 축선 각으로 팁-인 되어 있는 상태로 바닥면으로부터 허용 가능한 여유를 갖고 작용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절삭 인서트의 인덱싱 후에 숄더면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비작용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절삭 이서트가 음의 반경 각으로 팁-인 되어 유지된다는 사실에 의해 얻어진다. 명확성을 위해, 축선 각 및 반경 각은 밀링 커터 본체 내에 형성되고 절삭 인서트의 하부측이 가압되는 지지 표면의 입체 기하학적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2 개의 문헌이 기하학적 문제의 기본 컴플렉스가 어떻게 해결되어야 할 지에 관한 이론적인 조건들을 제공해 주는데도 불구하고, 그 두 가지 해결 방법은 어떤 면에서는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그 기본 설계에서, 2 개의 절삭 인서트는 직선인 주 절삭날을 갖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며, 추가로, 주 절삭날이 일반적으로 곡선 형태가 되도록 하는 가능성이 지적되었다. 하지만,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주 절삭날과 와이퍼날의 접속은 실제 절삭 인서트 제조에 적 합하지 않은 종류의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문제되는 종류의 절삭 인서트는, 예컨대 초경합금의 형성시, 보통 프레스 본체 내에 분말 덩어리를 압축 성형한 후 소결하여 제조된다. 압축 성형은 한편으로는 상기 절삭 인서트의 여유측의 형성을 결정하는 다이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절삭 인서트의 상부측 및 하부측이 원하는 형상이 되도록 하는 2 개의 스탬프를 포함하는 공구 내에서 발생한다. 가압 작업이 한편으로 정밀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 성형 공구로부터 가압 본체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절삭 인서트의 전체 형상을 함께 한정하는 서로 다른 부분면이 서로간에 어떠한 뾰족하거나 단절된 천이부도 포함하지 않을 것을 요한다. 또한, 개별 부분면은 여유각이 너무 좁아서도 안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 프레스 본체가 분리될 때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서로 다른 부분면은 매끄럽게 둥글게 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
본 발명은 종래 EP 07870501 및 US 5597271 에 개시된 엔드 밀링 인서트의 단점을 제거하고, 개선된 엔드 밀링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실제 올바르게 작용하는, 4 개의 날을 갖는 엔드 밀링 인서트로서, EP 0956921 에 공지된 절삭이 용이하고 곡선인 주 절삭날과, EP 0787051 및 US 5597271 에 공지된 이론적인 기하학적 해법의 이점을 결합한 엔드 밀링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a) 칩 형성이 양호하고 융통성 있는 칩 배출이 가능하고, 절삭 인서트의 긴 서비스 수명을 보장하면서 고르게 천천히 마모되는, 절삭이 용이하고 강한 4 개의 주 절삭날을 가지며,
b) 한편으로는 작용 상태에서 생성된 바닥면에 양호한 표면 닦기 효과를 내고, 다른 한편으로 비작용 상태에서 작용 상태의 주 절삭날에 의해 생성된 숄더면으로부터 신뢰할 만한 여유를 갖는 4 개의 와이퍼날을 가지며,
c) 작용 와이퍼날의 연장선 상의 비작용 주 절삭날이 상기 와이퍼날로부터 양호한 반경 방향 여유를 얻도록 보장하는 엔드 밀링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엔드 밀링 인서트의 서로 다른 부분면이 매끄럽게 둥글게 되어 절삭 인서트의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직렬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엔 드 밀링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삭 인서트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상대적으로 넓은 하부측 또는 기저면을 갖는 엔드 밀링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한정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엔드 밀링 인서트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청구항 2 및 청구항 3에서 추가적으로 한정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여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절삭 인서트와 협동하는 밀링 또는 기본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후, 절삭 인서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조립된 밀링 커터 공구는, 기본체 (1) 및 복수의 절삭 인서트 (2) 를 포함하고, 각 도면에는 그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기본체 또는 밀링 커터 본체 (1) 는 'C' 로 나타낸 중심 축선 주위로 회전 (R)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회전 대칭인 포락면 (3) 뿐만 아니라 전방 단부면 (4) 을 갖는다. 상기 포락면 및 단부면에서, 복수의 칩 포켓 (5) 이 개방되고, 칩 포켓 각각은 절삭 인서트 (2) 를 수용하기 위한 인서트 시트 (seat) (6) 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칩 포켓과 절삭 인서트의 수는 각각 세 개이다.
이 경우, 인서트 시트 (6) 는 절삭 인서트의 하부측이 가압될 수 있는 평면형 바닥면 (7) 뿐만 아니라 절삭 인서트의 여유측 (clearance side) 이 가압될 수 있는 두 개의 측면 지지면 (8, 9) 을 포함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측면 지지면 (8) 은 축선 방향 절삭력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이며, 측면 지지면 (9) 은 반경 방향 절삭력을 전달하고 바닥면 (7) 은 접선 방향 절삭력을 전달하게 된다.
절삭 인서트 (2) 는 조임 요소 (10) 에 의해 인서트 시트 (6) 에 고정되고, 이 경우 조임 요소 (10) 는 수나사 및 원뿔형 헤드를 갖는 스크류 형태이다. 스크류는 절삭 인서트 내에 있는 관통구 (11) 를 통해 들어와서 바닥면 (7) 에서 개구되어 있는 구멍 (12) 내의 암나사에 결합된다. 스크류 (10) 가 강으로 만들어지고, 그에 의해 특정한 고유의 탄성을 갖는다는 사실에 의해, 이 스크류는 바닥면 (7) 쪽으로 수직 하강하는 축선 방향 힘 뿐만 아니라, 절삭 인서트를 측면 지지면 (8, 9) 에 대해 동시에 가압하는 측방향 힘을 절삭 인서트에 가하게 된다.
도 3 및 도 4 에는, 절삭 인서트 (2) 가 인서트 시트 내에 팁-인 (tipping-in) 위치에 있게 되도록 인서트 시트 (6) 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기본체 (1) 내에 입체-기하학적으로 (solid-geometrically) 위치하는가를 나타낸다. 보다 정확하게는, 절삭 인서트는 특정한 축선 방향의 양의 팁-인 각 (α) 와 특정한 음의 반경 방향 팁-인 각 (β) 으로 팁-인 된다. 상기 팁-인 각 (β) 은 절삭 인서트의 상부측이 기본체의 중심 축선 (C) 과 절삭 인서트의 주변 작용 절삭날 사이의 가상 반경 (r) 과 형성하는 각으로 정의되며, 실제로 6 ~ 16°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각 (α) 은 절삭 인서트가 중심 축선 (C) 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각으로 정의된다. 실제로, 각 (α) 은 10 ~ 25°범위 내에서 변화한다. 예를 들면, α 는 15°이고 β 는 10°이다.
"공칭" 여유 및 "기능적" 여유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인서트가 한편으로 기본체 옆에 따로 떨어져 있을 때, 및 기본체 내에 장착되어 있을 때를 고려하는 경우에, 절삭 인서트의 특성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첫 번째 상태에서, 절삭 인서트는 일반적으로 평면도 또는 측면도 중 하나에서 일반적으로 고려 및 정의되며, 발생 여유는 공칭이고, 절삭 인서트 자체의 중심 축선 뿐만 아니라 그 상부측 및 하부측에도 관계된다. 하지만, 기본체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절삭 인서트의 여유는 기능적이며 기본체의 형상에 좌우된다. 다시 말해, 발생 여유 및 여유각은 공칭, 즉 절삭 인서트에 대해서만 특수한 경우인지, 또는 기능적, 즉 공구 내에 팁-인 되어 있는 상태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에 의하여, 작용 절삭날의 연장선 상의 비작용 절삭날이 모든 좌표 방향에서 두 개의 생성된 표면으로부터 넉넉한 여유를 얻게 되는 동시에, 강력하고 절삭이 용이한 주 절삭날과 동일한 수의 와이퍼날이 결합된, 4 개의 날을 갖는 엔드 밀링 인서트를 직렬-제조하기 위한 조건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엔드 밀링 인서트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
이제, 도 5 내지 도 9 를 참조하면, 절삭 인서트 (2) 는 정사각형 기본 형상을 갖고, 상부측 (13) 과 하부측 (14) 및 상부측과 하부측 사이에서 연장하는 4 개의 여유측 또는 여유 플랭크 (15) 을 포함하며, 이는 하부측과는 둔각을 형성하고 상부측과는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부측과 여유측 사이의 천이부에 는 절삭날이 형성되고, 이는 코너 (17) 에서 서로 만나고, 절삭 인서트 주위를 따라 연속적인 절삭날을 함께 형성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절삭 인서트는 4 개의 칩 제거 주 절삭날 (18) 및 4 개의 표면 닦기용 와이퍼 날 (19) 을 포함한다. 절삭날은, 비작용 주 절삭날과 구별되도록 하기 위해 '18a' 로 표시한 작용 주 절삭날이, 작용 주 절삭날로서 동일한 코너 (17a) 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퍼 날 (19a) 과 협동하는 방식으로 쌍으로 협동한다. 다른 절삭날 (18, 19) 은 동시에 비작용 상태에 있다. 이는 동시에 비작용인 주 절삭날 및 와이퍼 날이 개별 여유측 (15) 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 절삭날 (18a) 의 연장선 상에 나타나 있는 와이퍼날 (19) 은 주 절삭날 (18a) 이 작용중일 때 작용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와이퍼날 (19a) 의 연장선 상에 나타나 있는 주 절삭날 (18) 은 와이퍼날 (19a) 이 작용중일 때는 작용하지 않는다. 코너 (17) 는 주 절삭날과 와이퍼날 사이의 천이부를 형성하는 가장자리 부분이다. 예를 들면, 모든 절삭날은 공통의 무단인 주위 절삭날선 (20) 을 따라 서로의 연장선 상에서 이어지며, 절삭날선은 통상의 방식으로 이는 가느다란 강화 베벨 (0.05 ~ 0.20 ㎜) 의 형태이다.
주 절삭날 (18) 은 한편으로 절삭날선 (20) 내측에 위치한 칩 표면 (21) 과, 다른 한편으로 절삭날선 바로 아래에 위치한 외부 주 여유면 (22) 사이에 한정된다. 칩 표면 (21) 은 오목한 기본 형상을 갖고 절삭날선으로부터 랜드 (land) (24) 를 따라 경계선 (23) 으로까지 연장하며, 랜드 (24) 는 절삭 인서트의 상부측 (13) 의 중심부를 형성하게 된다. 와이퍼날 (19) 근방의 개별 칩 표면은 '21a' 로 표시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절삭 인서트의 하부측 (14) 은 평면이고 기본체 (1) 의 인서트 시트 (6) 내의 평면형 바닥면 (7) 에 대해 적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하부측 (14) 은 정사각형 형상이며,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4 개의 직선인 경계선 (25) 에 의해 한정된다. 하부측 (14) 은 기저면을 형성한다. 기저면이 넓을수록, 절삭 인서트의 바닥면 (7) 에 대한 절삭 인서트의 접합은 더 안정하게 된다.
주 여유면 (22) 아래에는, 부 여유면 (26) 이 형성되며, 이는 하부 지지면 또는 지지 플랭크 (27) 에 이어져 있다. 이러한 부분면은 경계선 (28, 29) 에 의해 이격된다. 각 개별 지지 플랭크 (27) 는 볼록하게 둥글게 되어 있는 두 코너면 (30) 사이에서 연장한다. 지지 플랭크 (27) 는 경계선 (25) 및 경계선 (29) 이 서로 평행한 결과로서 균일하게 좁은 평면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해 중요한 두 여유면 (22, 26) 의 형상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개별 와이퍼날 (19) 은 돌출 립 (lip) 또는 돌출부 (31) 상에 형성되고, 돌출부 (31) 는 쐐기형 단면을 갖는다. 보다 정확하게는, 와이퍼날 (19) 은 제 3 여유면 (32) 을 위한 상부 경계선을 형성하고, 이 여유면은 실시예에서 하부 경계선 (33) 을 거쳐 부 여유면 (26) 에 이어져 있다. 측방향으로는, 상기 면 (32) 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경계선 (34, 35) 에 의해 한정되는데, 경계선 (34) 은 주 여유면 (22) 쪽으로 천이면 (36) 에 인접하며, 경계선 (35) 은 코너 가장자리 (17) 아래의 코너 여유면 (37) 에 인접하고 있다. 주 여유면 (22) 은 제 1 경계선 (38) 및 제 2 경계선 (39) 사이에서 연장하며, 이들 경계선은 개별 주 절삭날 (18) 의 제 1 및 제 2 단부를 한정한다. 제 3 여유면 (32) 은 평면이거나 또는 약간 오목할 수 있는 반면, 상기 면 (36, 37) 은 볼록한 아치형이다.
도 8 에 명확히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와이퍼날 (19) 은 주 절삭날 (18) 에 대해 낮게 되어 있으며, 다시 말해 주 절삭날보다 절삭 인서트의 하부측 (14) 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주 절삭날 (18) 은 제 2 단부 (39) 근방에 위치한 최고점과 제 1 단부 (38) 에 더 가까운 최저점을 갖는다. 도 8 에 따른 측면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2 단부 (39) 최근방에 위치한 주 절삭날 (18) 의 일부분은 볼록 아치 형상을 갖는 반면, 제 1 단부 (38) 의 최근방에 위치한 부분은 오목 아치 형상을 갖는다.
도 7 에 따라 절삭 인서트를 상부 평면도 상에서 바라볼 때, 와이퍼날 (19) 은 주 절삭날 (18) 의 가상의 연장의 다소 외부쪽에 위치한다. 하지만, 와이퍼날이 주 절삭날의 연장 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변위된 길이는 0.001 ~ 0.1 ㎜ 범위 내이며, 따라서 변위는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와이퍼날 (19) 은 또한 주 절삭날 (18) 의 가상의 연장선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와이퍼날이 더 내측에 위치할수록, 와이퍼날 뒤쪽, 즉 제 3 여유면 (32) 을 따라 기능적 여유가 더 나빠진다.
이제, 도 7 에서의 서로 다른 단면 A-A, B-B 및 C-C 에서 절삭 인서트의 공칭 경사 각 (γ), 절삭날 각 (ε) 및 여유각 (λ) 을 나타내는 도 12 를 참조하기로 한다. 주 절삭날 (18) 이 최고점을 갖는 단면 A-A 에서, 경사 각 (γ) 은 여유각 (λ) 보다 상당히 크다. 따라서, 구체적인 예에서, 경사 각 (γ) 은 27.7°, 여유각 (λ) 은 2.3° 및 절삭날 각 (ε) 은 60°이다. 대략 주 절삭날 (18) 이 최저점을 갖는 곳에 위치한 단면 B-B 에서, 경사 각 (γ) 은 단면 A-A 에서보다 훨씬 작고, 여유각 (λ) 은 단면 A-A 에서보다 훨씬 크다. 실시예에서, 경사 각 (γ) 및 여유각 (λ) 은 14°이며, 절삭날 각 (ε) 은 62°이다. 이러한 극한값 사이에서, 각 (γ) 및 각 (λ) 은 주 절삭날의 두 단부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반면, 절삭날 각 (ε) 은 실질적으로 60° 범위 내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경사 각 (γ) 은 최고에 위치한 단부 (39) 로부터 최저에 위치한 단부 (38) 쪽으로 감소되는 반면, 여유각 (λ) 은 단부 (39) 로부터 단부 (38) 쪽으로 증가한다.
와이퍼날 (19) 을 가로지르는 단면 C-C 에서, 경사 각은 0°로 감소하였고 절삭날 각 (ε) 은 68°로 증가하였으며, 제 3 여유면 (32) 의 여유각 (λ) 은 22° 로 증가하였다.
도 5 내지 도 9 를 새로 참조하면, 개별 주 절삭날 (18) 을 따른 주 여유면 (22) 은 두 개의 반대편 단부 (38, 39) 로부터 '40' 으로 표시된 영역의 최소 폭 쪽으로 감소하는 폭을 갖는다. 이 영역은 절삭 인서트의 두 코너 사이의 대략 중간 지점, 즉 대략 개별 여유측의 중심을 따라 위치한다. 주 여유면 (22) 의 폭의 이러한 감소의 이유는 이하와 같다.
하부 지지 플랭크 (27) 는 평면형 표면인 반면, 주 여유면 (22) 은 볼록한 아치형이다. 부 여유면 (26) 은 평면형 표면 (27) 과 아치형 표면 (22) 사이의 천이면 또는 소위 자유형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절삭 인서트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볼록도를 결정하는 반경이 영역 (40) 에서 대략 최소가 되었다가, 그 후 여유측의 두 코너 쪽으로 계속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표면 (26) 의 볼록도는 계속해서 증가하게 된다. 만약 주 여유면 (22) 이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 균일한 폭이라면, 상기 표면 (26) 의 이러한 볼록도는 허용 가능한 기능적 여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0, 11, 13 및 도 14 를 참조하여 자세히 하기로 한다.
도 10 에서, 숄더면 또는 숄더 (42) 뿐만 아니라 숄더면 (42) 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바닥면 (43) 이 생성되는 작업물 (41) 에 인접한 작용 상태의 절삭 인서트 (2) 가 나타나 있다. 도 11 에 나타난 상태에서, 절삭 인서트는 양의 축선 각 (α) (실시예에서는 15°) 으로 팁인 된다. 그렇게 하여, 와이퍼날 (19a) 은 표면 닦기 효과 (발생하는 요철이 제거되지만 적합한 칩은 제거되지 않는다) 를 제공함과 동시에, 작용 주 절삭날 (18a) 에 의해 주요한 칩 제거가 이루어진다. 제거되는 칩은, 주 절삭날 (18a) 을 따라 대략 두께가 균일하고, 코너 가장자리 (17a) 를 따라 계속적으로 두께가 감소하게 된다.
도 10 에 명확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주 절삭날 (18a) 의 연장선 상의 비작용 와이퍼날 (19) 은 숄더면 (42) 으로부터, 보다 정확하게는 도 4 에 따른 음의 반경 방향 팁-인 (β) 의 결과로서 양호한 여유를 갖는다. 이와 동시에, 작용 와이퍼날 (19a) 은 도 13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도 10 의 단면 D-D), 양호한 접선방향 또는 회전 방향 여유를 갖는다. 제 3 여유면 (32) 의 여유각 (λ) 이 충 분히 큰 값 (22°) 을 갖는다는 사실에 의해, 따라서 상기 표면 (32) 는 생성된 바닥면 (43) 으로부터 신속히 분리된다. 제 3 여유면 (32) 의 후방에는, 회전 방향 (R) 에서 바라보았을 때, 절삭 인서트의 다른 여유면, 즉 표면 (26, 27) 들은, 생성된 표면 (43) 으로부터 양호한 여유를 갖는다. 실제로, 상기 표면 (26, 27) 은 상기 표면 (43) 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따라서 절삭 인서트의 기저면, 즉 하부측 (14) 은 최적으로 커지게 된다.
절삭 인서트가 축선상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 작용 와이퍼날 (19a) 이 전방/하부 쪽으로 회전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주 여유면 (22) 과 부 여유면 (26) 사이의 경계선 (28) 또한 전방/하부 쪽으로 회전될 것이다. 주 절삭날 (18) 을 따르는 주 여유면 (22) 이 그 전체 길이를 따라 폭이 균일한 경우, 비작용 주 절삭날 (18) 의 경계선 (28) 은 생성된 표면 (42) 에 대해 끌리게 되거나 그 생성된 표면 (42) 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하지만, 여유면 (22) 의 폭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감소되었다는 사실에 따른 결과로서, 비작용 주 절삭날은, 도 14 (도 10 에서 단면 E-E) 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면 (43) 으로부터 양호한 반경 방향 여유를 얻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 작용 와이퍼날로부터의 양호한 접선 방향 여유 뿐만 아니라, 작용 와이퍼날의 연장선 상에 있는 비작용 주 절삭날의 양호한 반경 방향 여유 또한 보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작용 절삭날의 연장선 상의 비작용 절삭날이 모든 좌표 방향에서 두 개의 생성된 표면으로부터 넉넉한 여유를 얻게 되는 동시에, 협동하는 작용 절삭날 쌍이 작업물에서 서로 90°의 각을 이루는 매끄러운 면을 생 성하도록 강력하고 쉽게 절삭하는 주 절삭날과 동일한 수의 와이퍼날이 결합된, 4 개의 날을 갖는 엔드 밀링 인서트를 직렬-제조하기 위한 조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가능한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서로 기계적으로 체결되는 (톱니 접속) 암수 요소를 포함하는 현대식 상호 접속 유형을 통하여 절삭 인서트를 기본체와 접속하는 것, 또한 스크류가 아닌 다른 조임 요소, 예컨대 클램프, 쐐기 등에 의해 고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예시한 것과 같은 연속적이고 매끄러운 면을 이용하는 대신, 복수의 연속적인 표면에 의해, 일반적으로 볼록하고 이중 곡면 형상을 갖는 주 절삭날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기본체 및 복수의 교체 가능한 절삭 인서트로 구성되는 엔드 밀 형태의 밀링 커터 공구의 사시도.
도 2 는 기본체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위한 조임 나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 에 따른 공구의 측면도.
도 4 는 상기 절삭 공구의 일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확대된 상면 사시도.
도 6 은 상기 절삭 인서트의 하면 사시도.
도 7 은 상기 절삭 인서트의 상부 평면도.
도 8 은 상기 절삭 인서트의 측면도.
도 9 는 상기 절삭 인서트의 하부 평면도.
도 10 은 작업물의 숄더 및 하면에 근접하여 작용 중인 절삭 인서트의 정면도.
도 11 은 도 10 에 따른 절삭 인서트가 일정한 축선 방향 팁-인 (tipping-in) 위치에서 기울어진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 는 도 7 에서의 세 개의 확대된 상세 단면 A-A, B-B 및 C-C 을 나타내는 도.
도 13 은 도 10 에서의 단면 D-D 를 나타내는 도.
도 14 는 도 10 에서의 단면 E-E 를 나타내는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01 기본체 02 절삭 인서트
03 포락면 04 단부면
05 칩 포켓 06 인서트 시트
07 바닥면 08 측면 지지면
09 측면 지지면 10 조임 요소
11 관통구 12 구멍
13 상부측 14 하부측
15 여유 플랭크 17, 17a 코너
18, 18a 주 절삭날 19, 19a 와이퍼날
20 절삭날선 21 칩 표면
22 주 여유면 23, 25 경계선
28, 29 경계선 24 랜드
26 부 여유면 27 지지 플랭크
31 돌출부 32 제 3 여유면
33,34 경계선 36 천이면
37 여유면 38 제 1 단부
39 제 2 단부 42 숄더
43 바닥면

Claims (3)

  1. 하부측 (14), 상부측 (13) 및 상기 상부측 (13) 과 복수의 여유측 (15) 사이에 형성되고 각각 칩 제거 주 절삭날 (18) 및 절삭 인서트의 코너 (17) 를 통해 주 절삭날 (18) 로 이어지는 표면 닦기용 와이퍼날 (19) 을 포함하는 복수의 절삭날을 포함하고, 상기 개별 주 절삭날 (18) 은 제 1 단부 (38) 와 하부측 (14) 에 대하여 상기 제 1 단부 (38) 보다 높게 위치한 반대편의 제 2 단부 (39) 사이에서 아치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주 절삭날 (18) 은 절삭날선 (20) 의 내측에 위치한 칩 표면 (21) 과 하부에 부 여유면 (26) 이 있는 절삭날선 외부에 위치한 볼록한 아치형의 주 여유면 (22) 사이에서 한정되는 인덱서블 엔드 밀링 인서트로서,
    상기 인서트는 정사각형 기본 형상을 갖고, 4 개의 주 절삭날 (18) 및 4 개의 와이퍼날 (19) 을 갖고 각각의 와이퍼날은 주 절삭날 (18) 과 동일한 여유측 (15) 을 따라 위치하며, 주 절삭날 (18) 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며,
    상기 개별 와이퍼날 (19) 은 상기 부 여유면 (26) 에 대해 돌출되고 제 3 여유면 (32) 을 갖는 돌출 립 (31) 에 상부 경계선으로서 포함되며, 제 3 여유면은 일측을 따라 천이면 (36) 을 통해 상기 주 여유면 (22) 에 이어져 있고 상기 주 여유면 (22) 은 상기 반대편 단부 (38, 39) 로부터 이들 사이의 최소폭을 갖는 구역 (40) 쪽으로 감소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엔드 밀링 인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여유면 (22) 의 구역 (40) 은 상기 개별 여유측 (15)의 중심 부근에서 최소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엔드 밀링 인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바닥에서, 상기 제 3 여유면 (32) 은 상기 부 여유면 (26) 에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엔드 밀링 인서트.
KR1020080053313A 2007-06-05 2008-06-05 인덱서블 엔드 밀링 인서트 KR101532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701370A SE531250C2 (sv) 2007-06-05 2007-06-05 Indexerbart hörnfrässkär
SE0701370-9 2007-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315A true KR20080107315A (ko) 2008-12-10
KR101532780B1 KR101532780B1 (ko) 2015-06-30

Family

ID=3970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313A KR101532780B1 (ko) 2007-06-05 2008-06-05 인덱서블 엔드 밀링 인서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26234B2 (ko)
EP (1) EP2014398B1 (ko)
JP (1) JP5378708B2 (ko)
KR (1) KR101532780B1 (ko)
CN (1) CN101318234B (ko)
AT (1) ATE496716T1 (ko)
DE (1) DE602008004698D1 (ko)
ES (1) ES2355862T3 (ko)
SE (1) SE531250C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168B1 (ko) * 2012-08-07 2014-06-12 대구텍 유한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
KR101459062B1 (ko) * 2012-06-14 2014-11-07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KR101498547B1 (ko) * 2010-08-11 2015-03-04 쿄세라 코포레이션 절삭 인서트, 절삭 공구, 및 이들을 이용한 절삭 가공물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0083B2 (en) 2003-10-15 2007-05-22 Tdy Industries, Inc. Cutting insert for high feed face milling
DE102006044605A1 (de) * 2006-09-19 2008-03-27 Komet Group Holding Gmbh Wendeschneidplatte sowie Verwendung der Wendeschneidplatte in einem Vollbohrer
US7905689B2 (en) * 2008-05-07 2011-03-15 Tdy Industries, Inc. Cutting tool system, cutting insert, and tool holder
US8454277B2 (en) * 2008-12-18 2013-06-04 Kennametal Inc. Toolholder and toolholder assembly with elongated seating pads
US8491234B2 (en) 2009-02-12 2013-07-23 TDY Industries, LLC Double-sided cutting inserts for high feed milling
SE533484C2 (sv) * 2009-02-20 2010-10-05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Roterbart 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samt skär härför
US9586264B2 (en) 2009-04-28 2017-03-07 Kennametal Inc. Double-sided cutting insert for drilling tool
KR101097658B1 (ko) * 2009-05-29 2011-12-22 대구텍 유한회사 절삭 삽입체
CA2761456A1 (en) * 2009-06-16 2010-12-23 Tungaloy Corporation Cutting insert and indexable face mill
IN2012DN00892A (ko) * 2009-07-02 2015-04-03 Gershon System Ltd
US8807884B2 (en) 2009-12-18 2014-08-19 Kennametal Inc. Tool holder for multiple differently-shaped cutting inserts
AT12004U1 (de) * 2010-02-25 2011-09-15 Ceratizit Austria Gmbh Schneideinsatz
JP5299568B2 (ja) * 2010-05-06 2013-09-25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用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WO2012057173A1 (ja) * 2010-10-27 2012-05-0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フライス加工用インサート及びフライス加工用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WO2013001907A1 (ja) * 2011-06-30 2013-01-03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KR101700703B1 (ko) * 2011-06-30 2017-01-31 쿄세라 코포레이션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절삭 가공물의 제조 방법
JP5906976B2 (ja) * 2011-10-04 2016-04-2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CN107297531B (zh) 2011-10-31 2019-11-22 京瓷株式会社 切削镶刀
JP6127439B2 (ja) * 2011-12-12 2017-05-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刃先交換式切削工具および切削インサート
US9283626B2 (en) 2012-09-25 2016-03-15 Kennametal Inc. Double-sided cutting inserts with anti-rotation features
US9011049B2 (en) 2012-09-25 2015-04-21 Kennametal Inc. Double-sided cutting inserts with anti-rotation features
EP2926933B1 (en) * 2012-11-27 2019-01-09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cut workpiece manufacturing method
WO2014084252A1 (ja) * 2012-11-30 2014-06-05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およ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US9821384B2 (en) * 2013-04-27 2017-11-21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t product
CN105764640B (zh) * 2013-09-11 2017-09-15 三菱日立工具技术株式会社 刀头更换式旋转切削工具
KR101519747B1 (ko) * 2013-12-09 2015-05-12 한국야금 주식회사 인덱서블 드릴용 절삭인서트
JP5979619B2 (ja) * 2014-05-26 2016-08-24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ボデーおよび切削工具
CN103978255B (zh) * 2014-05-28 2017-05-17 中核(天津)机械有限公司 加工异径孔的复合铣刀
KR101517979B1 (ko) * 2014-07-08 2015-05-06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AT14282U1 (de) * 2014-09-03 2015-07-15 Ceratizit Austria Gmbh Doppelseitiger Schneideinsatz und Fräswerkzeug
EP3050655B1 (en) * 2015-01-30 2017-03-2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 milling insert and a milling tool
US9776258B2 (en) 2015-03-04 2017-10-03 Kennametal Inc. Double-sided, trigon cutting insert with rounded minor cutting edge and cutting tool therefor
DE112016001367B4 (de) * 2015-03-23 2023-08-17 Kyocera Corporation Einsatz, Bohrer und Verfahren des Herstellens eines maschinell bearbeiteten Produkts unter Verwendung derselben
IL239701A (en) * 2015-06-29 2016-03-31 M D Y Technology Ltd Structure for a chilling language
JP6542975B2 (ja) * 2016-02-24 2019-07-10 京セラ株式会社 インサート、切削工具及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CN105772818B (zh) * 2016-05-06 2018-03-23 浙江神钢赛欧科技有限公司 一种铝材铣刀
JP6057010B1 (ja) * 2016-06-02 2017-01-11 株式会社タンガロイ 穴あけ工具
US10005141B2 (en) * 2016-08-04 2018-06-26 Iscar, Ltd. Tool holder having insert receiving pocket with stress relief surfaces
US10875105B2 (en) * 2016-10-14 2020-12-29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Cutting insert
EP3315235B1 (en) * 2016-10-27 2022-07-27 Pramet Tools, S.R.O. A cutting insert and a milling tool
EP3563955B1 (en) * 2016-12-27 2024-04-10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Cutting insert
WO2018123930A1 (ja) * 2016-12-27 2018-07-05 三菱日立ツー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EP3616814A4 (en) * 2017-04-25 2021-01-20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CUTTING INSERT
JP6967595B2 (ja) * 2017-07-12 2021-11-17 北京沃爾徳金剛石工具股▲フン▼有限公司Beijing Worldia Diamond Tools Co., Ltd. インデックス可能な正面フライスインサート及び該インサートを用いた正面フライスカッティングヘッド
WO2019039547A1 (ja) * 2017-08-23 2019-02-28 京セラ株式会社 インサート
KR102003446B1 (ko) * 2018-01-19 2019-07-24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CN109158665B (zh) * 2018-08-14 2020-02-04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可转位钻孔刀具
CN109365887B (zh) * 2018-11-26 2020-08-14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一种铣削刀片
JP6744599B1 (ja) * 2019-03-01 2020-08-19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
JP6703317B1 (ja) * 2019-05-31 2020-06-03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
CN112077369A (zh) * 2019-06-13 2020-12-15 肯纳金属印度有限公司 可转位钻头刀片
CN112077370A (zh) 2019-06-13 2020-12-15 肯纳金属印度有限公司 可转位钻头刀片
CN112108697A (zh) * 2019-06-20 2020-12-22 肯纳金属印度有限公司 具有容纳间隙角不同的切割插入件的凹穴的工具固持器
CN112388033A (zh) 2019-08-14 2021-02-23 肯纳金属印度有限公司 可转位钻头刀片
JP6858354B1 (ja) * 2019-12-13 2021-04-14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
JP6868200B1 (ja) * 2019-12-13 2021-05-12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
JP7433036B2 (ja) * 2019-12-16 2024-02-19 株式会社Subaru 切削インサート、刃先交換式転削工具および転削加工方法
CN113399713B (zh) * 2021-05-19 2023-05-12 赣州澳克泰工具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孔加工的刀片
US11897043B2 (en) 2021-12-31 2024-02-13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s for use in milling tools
US11834909B1 (en) 2023-02-27 2023-12-05 Dynasty Energy Services, LLC Cutter insert for a section mill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450B2 (ja) * 1976-02-25 1984-12-08 ダイジヱツト工業株式会社 スロ−アウエイチツプ
SE454330B (sv) * 1984-03-28 1988-04-25 Santrade Ltd Vendsker for spanavskiljande bearbetning
SE465959B (sv) * 1988-09-06 1991-11-25 Sandvik Ab Skaer foer spaanavskiljande bearbetning
GB9010769D0 (en) * 1990-05-14 1990-07-04 Iscar Hartmetall Cutting insert
JPH07276129A (ja) * 1990-11-15 1995-10-24 Toshiba Tungaloy Co Ltd 仕上げ刃チップおよびこの仕上げ刃チップを組込んだ正面フライス
JP2833239B2 (ja) * 1991-03-08 1998-12-0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DE4213284C1 (ko) * 1992-04-23 1993-04-01 Wilhelm Fette Gmbh, 2053 Schwarzenbek, De
JPH0615517A (ja) * 1992-07-01 1994-01-25 Sumitomo Electric Ind Ltd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正面フライスカッタ
IL103115A (en) * 1992-09-09 1996-09-12 Iscar Ltd Milling placement
SE500719C2 (sv) 1993-01-27 1994-08-15 Sandvik Ab Skär med skruvformigt vriden spånyta
IL108995A (en) * 1994-03-16 1996-12-05 Iscar Ltd Alternate cutting placement
SE509219C2 (sv) * 1994-10-21 1998-12-21 Sandvik Ab Frässkär
IL111367A0 (en) * 1994-10-23 1994-12-29 Iscar Ltd An exchangeable cutting insert
DE19516893A1 (de) 1995-05-09 1996-11-14 Widia Gmbh Schneideinsatz und Fräswerkzeug
JPH09295213A (ja) * 1996-05-07 1997-11-18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
DE19709436C2 (de) * 1997-03-07 1999-03-04 Felix Leeb Zirkularbohrfräser
SE512040C2 (sv) 1998-05-06 2000-01-17 Sandvik Ab Vändskär för pinnfräsar
JP2001009628A (ja) * 1999-07-01 2001-01-16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
JP4140161B2 (ja) * 2000-02-09 2008-08-2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転削工具
US6769844B2 (en) * 2001-01-10 2004-08-03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SE525714C2 (sv) * 2002-05-29 2005-04-12 Sandvik Ab Borrverktyg jämte indexerbart borrskär där centrumskärets första delegg är fjärmad från centrumaxeln
US7220083B2 (en) * 2003-10-15 2007-05-22 Tdy Industries, Inc. Cutting insert for high feed face milling
JP2005169511A (ja) * 2003-12-08 2005-06-30 Hitachi Tool Engineering Ltd 刃先交換式回転工具
JP4903378B2 (ja) * 2004-09-27 2012-03-28 京セラ株式会社 フライス工具
WO2008038804A1 (fr) * 2006-09-29 2008-04-03 Kyocera Corporation Insert de découpe, outil de découpe utilisant cet insert, et procédé de découp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547B1 (ko) * 2010-08-11 2015-03-04 쿄세라 코포레이션 절삭 인서트, 절삭 공구, 및 이들을 이용한 절삭 가공물의 제조 방법
KR101459062B1 (ko) * 2012-06-14 2014-11-07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KR101407168B1 (ko) * 2012-08-07 2014-06-12 대구텍 유한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14398B1 (en) 2011-01-26
DE602008004698D1 (de) 2011-03-10
US20080304924A1 (en) 2008-12-11
SE0701370L (sv) 2008-12-06
CN101318234A (zh) 2008-12-10
JP2008302493A (ja) 2008-12-18
CN101318234B (zh) 2010-12-22
SE531250C2 (sv) 2009-02-03
US8926234B2 (en) 2015-01-06
ATE496716T1 (de) 2011-02-15
KR101532780B1 (ko) 2015-06-30
EP2014398A1 (en) 2009-01-14
JP5378708B2 (ja) 2013-12-25
ES2355862T3 (es)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780B1 (ko) 인덱서블 엔드 밀링 인서트
KR101315627B1 (ko) 칩 제거 가공용 공구 및 절삭 인서트
KR101505676B1 (ko) 칩 제거 기계가공용 공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위한 본체
JP5654212B2 (ja) フライス加工用インサート
JP5297422B2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被削材の切削方法
US9555489B2 (en) Cutting insert and indexable cutting tool
KR100970364B1 (ko) 절삭 인서트, 칩 제거 기계 가공 공구 및 이 공구용 부속물
RU2358844C2 (ru) Двухсторонняя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CN108349022B (zh) 三角形切向铣削刀片和铣削工具
US6802676B2 (en) Milling insert
KR102090835B1 (ko) 밀링 공구 및 상기 밀링 공구용 밀링 인서트
KR100850660B1 (ko) 인덱서블 커팅 인서트와 이를 구비한 절삭 공구 및인덱서블 커팅 인서트의 제조 방법
EP2939780B1 (en) Cutting insert and rotary cutting tool with replaceable blade edge
CN110035856A (zh) 切削刀片和肩铣刀具
RU2744132C2 (ru) Металло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для фрезерования
KR101281524B1 (ko) 교체 가능한 절삭 인서트와 밀링 공구
JPH01378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