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445A -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 - Google Patents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445A
KR20080105445A KR1020070053040A KR20070053040A KR20080105445A KR 20080105445 A KR20080105445 A KR 20080105445A KR 1020070053040 A KR1020070053040 A KR 1020070053040A KR 20070053040 A KR20070053040 A KR 20070053040A KR 20080105445 A KR20080105445 A KR 20080105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sedimentation basin
channel
water collecting
coll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4214B1 (ko
Inventor
엄태경
이충원
Original Assignee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053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214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학적 처리를 하는 하, 폐수처리장의 장방형 2차 침전지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 폐수처리장의 장방형 2차침전지에서 발생하는 밀도류의 영향을 저감시켜서, 침전효율을 높이고 수면위에 뜨는 스컴(scum) 제거 효율도 높인 개량된 장방형 2차 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호기 반응조의 후단에 윗면이 하향 경사된 월류 위어와 탈기조를 설치하고, 침전지 유입부에 균등 분배관과 유공 정류벽을 설치하여 침전지로 유입되는 하, 폐수를 균등하게 유입시키고, 침전지의 양쪽 벽면 수면 부근에 상등수 집수 장치를 침전지의 앞쪽에서 뒤쪽까지 길게 설치하였다.
슬러지 수집기는 앞쪽의 유공정류 벽에서부터 침전지 뒤쪽 벽면에 설치한 스컴 제거 수로근처까지 길게 설치하여, 침전지 바닥의 슬러지는 앞 쪽의 슬러지 호퍼로 이송하고 수면위의 스컴은 침전지 뒤쪽의 스컴 제거수로로 이송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개량된 생물학적 처리장의 2차 침전지는 혼합액의 플록(flog)이 깨지지 않고 유입유량이 균등하고 침전지의 양 측벽 부근에서 상등수를 집수하도록 하여, 밀도류의 영향이 적어서, 침전효율이 좋고, 수면상의 스컴을 전부제거 할 수 있어서 스컴 제거율도 높아 침전지의 상등수 수질이 향상되고 침전지 수면이 깨끗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 {Improved secondary sedimentation basins of biological sewage and waste water treatment plant.}
도 1 은 본 발명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상등수 집수 장치 및 스컴 제거 수로의 상세도.
도 5 는 본 발명의 스컴 제거수로부의 상세도.
도 6 은 본 발명의 호기반응조 후단에서 침전지 유입부까지의 상세도.
도 7 은 본 발명의 균등 분배관의 설명도.
도 8 은 전형적인 밀도류의 모양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월류 위어 1-1. 위어 판 1-2. 고정나사
2. 탈기조
3. 파이프 산기 관
4. 도수로
5. 조절 수문
6. 격벽
7. 균등 분배 관 7-1. 분배구멍
8. 경사부
9. 유공 정류벽 9-1. 보강재 9-2. 정류구멍
10. 침전지 벽
11. 상등수 집수 장치 11-1. 비 집수부 11-2. 오리피스 구멍
12. 스컴 방지 판
13. 상등수 배수로
14. 상등수 배수관
15. 스컴 제거수로 15-1. 위어 판 15-2. 관통구멍
15-3. 스컴 이송수로 15-4. 고정나사
16. 스컴 배출관
17. 슬러지 수집기 17-1. 플라이트 17-2. 안내레일 17-3. 콜렉터 체인
18. 침전지 바닥
19. 스컴 밸브
20. 슬러지 인발관
가. 호기 반응조 나. 침전지 다. 공동구 라. 침전지 슬래브
마. 호기조 슬래브 바. 슬러지 호퍼
본 발명은 생물학적 처리를 하는 하, 폐수처리장의 장방형 2차 침전지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의 하, 폐수처리장의 장방형 2차 침전지는 유입부의 구조가 불합리하여 혼합액중의 플록이 깨지거나 편류가 발생하여 침전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생물학적 반응조( 혐기, 호기, 무산소조 등)나 2차 침전지의 기계장치나 구조물의 손상으로 해당 부분을 가동 중단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열의 생물학적 반응조(호기 반응조)와 2차 침전지의 연결이 안 되어서, 해당 열의 운전을 중단하는 등 효과적 운전을 할 수가 없었다.
특히 생물학적 고도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호기 반응조에서 유출되는 슬러지에 다량의 가스가 부착되어 있어서 침전이 불량하고 스컴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사례도 있었다.
생물학적 처리를 하는 하, 폐수 처리장의 2차 침전지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밀도류의 영향이다.
대부분의 침전이론이 상수도 정수장의 침전지에서 발전한 것으로, 상수도 정수장 침전지와 하, 폐수처리장의 2차 침전지와는 밀도류의 발생 원인이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낸다.
상수도 정수장에서는 평상시의 경우 침전지의 부유물 농도가 불과 수십 mg/L정도로 낮아서 농도차에 의한 밀도류 발생은 비교적 적고, 주로 유입수의 온도차이에 의한 밀도류가 주로 발생하며, 간헐적으로 발생하는데 비하여 하, 폐수 처리장의 2차 침전지에서는 통상의 활성 슬러지 공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슬러지 농도가 1,500∼2,500 mg/L 정도이고, 고도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공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3,000∼6,000mg/L로 매우 높으며, 고도처리를 하는 처리장의 경우 침전지에서 미생물 반응조로 반송하는 유량이 100∼300%이고 유량 조정조를 갖춘 경우도 많아서, 하루 중 수온 변화는 정수장 침전지보다 작기 때문에 하, 폐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밀도류는 주로 유입되는 혼합액의 농도차에 의한 밀도류이고, 연 중 계속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정수장 침전지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스컴 발생랑이 거의 없어 문제가 되지 않으나 하, 폐수처리장의 2차 침전지에서는 스컴이 다량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밀도류가 발생하면 침전지내의 물은 층류로 서서히 흐르기 때문에 서로 혼합되지 않고, 밀도가 큰 혼합액이 침전지 바닥을 따라 빠른 속도로 흐르다가 침전지 끝의 벽면에 충돌하여 위로 떠오르는 현상이 발생한다.(도면8 참조)
따라서 생물학적 처리장의 2차 침전지는 혼합액 농도가 매우 높아서 1년 내내 밀도류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데 종래의 2차 침전지는 정수장 침전지와 같이 침전지 후단에 침전지 폭 방향으로 상등수 집수 위어를 설치함으로서, 밀도류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위치에서 상등수를 집수함으로서, 그 영향이 더욱 크게 되어 상등수중에 다량의 부유물이 혼합되어 상등수 수질이 악화되는 큰 원인이 되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등수 집수 장치위치를 밀도류의 영향이 적은 침전지 끝단에서 앞쪽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있으나 이 경우는 그 떨 어진 거리 내에서 발생하는 수면상의 스컴을 제거할 수 없어서 시각적으로 침전지 수면이 불결하여 혐오감을 일으키고 냄새발생, 해충 서식 등의 문제도 발생하였고, 수면상의 스컴이 일부 가라 안거나 상등수 중에 섞여 나가면서 수질을 악화시키기도 하였다.
정수장 침전지에서 일부 상등수 집수위어를 침전지 길이 방향으로 배치한 것도 있으나, 침전지의 폭이 넓어 중간에 지지 기둥을 설치하고 그 위에 상등수 집수 위어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수심이 낮고 상대적으로 침전지 폭이 넓어서, 단면적/ 윤변 길이로 표시되는 프라우드(Froude)(Fr) 수가 작아져서 수류가 불안정하여 침전이 잘 안되고, 정수장 침전지에서 발생하는 밀도류가 주로 물의 온도차에 의한 밀도류이기 때문에 상등수 집수장치를 침전지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해도 밀도류에 의한 영향을 피할 수 없어서(S.Kawamura. 정수시설의 최적설계 및 유지관리(1997.12.03).142쪽.(주)크린테크노 간행), 지금은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스컴제거 기능이 없기 때문에 침전지 길이 방향으로 집수위어를 설치하는 것을,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 침전지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는 것이다.
다른 경우는 밀도류의 상승부분에 방해 판을 설치하여 밀도류의 영향을 방지하려는 시도도 있으나 밀도차의 정도나 유입 하, 폐수량에 따라 밀도류의 상승 위치나 강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호기반응조 후단에서, 균등한 유량분배와 탈기(air stripping)를 하고, 침전지 유입부에서 플록의 파괴 없이 유입수 가 균등한 속도로 유입되고, 상등수는 침전지 양쪽 벽 부근의 집수 장치에서 집수하여 밀도류의 영향을 저감하고, 수면상의 스컴은 침전지 앞쪽에서 맨 뒤쪽까지 이송하여 제거함으로서, 침전 효율과 스컴 제거 효율을 높인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장방형 2차 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호기 반응조(가)의 후단에 호기 반응조 폭과 같은 길이의 월류 위어(1)을 설치하되 월류 위어의 윗면은 하향으로 10∼15° 경사지게 하고;
월류 위어(1)의 다음에는 탈기조(2)를 침전지 전체 폭과 같은 길이로 형성하고;
탈기조(2)의 하부에는 파이프 산기관(3)을 설치하고;
탈기조(2)의 다음에는 도수로(4)를 설치하고, 격벽(6)을 관통되도록 균등분배 관(7)을 설치하고, 균등 분배 관 앞에는 조절수문(5)를 설치하고;
균등 분배 관(7)의 출구 쪽은 30∼45°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부(8)을 설치하고, 경사부의 다음에는 보강재로 지지된 얇은 판재로 되어 있고, 4∼6%의 개구단면적을 가진 유공 정류벽(9)를 설치하고;
침전지(나)의 폭은 6m 이내로 제한하고, 침전지 상부는 침전지 슬래브(라)로 복개하고, 침전지(나)의 양쪽 침전지 벽(10)에는 수면 부근에 오리피스식 상등수 집수장치(11)을 침전지의 앞쪽 부근부터 침전지 뒤쪽 끝까지 설치하고, 상등수 집수장치의 끝은 상등수 배수로(13)에 연결하고, 상등수 집수장치(11)의 바깥쪽에는 폭 100∼300mm의 스컴 방지 판(12)를 수면에서 50∼100mm깊이에, 수평방향으로 상등수 집수위어(11)의 벽에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하고 , 스컴 방지 판(12)의 위쪽에는 플라이트(17-1)용 안내 레일(17-2)를 고정하여 설치하고, 상등수 집수위어(11)의 뒤쪽 끝 미리 정한 길이(3∼5m)에는 오리피스 구멍(11-2)를 설치하지 않고;
침전지의 앞쪽 유공 정류벽(9)부근부터 침전지의 뒤쪽 끝 스컴 제거수로(15)앞까지 슬러지 수집기(17)을 설치하고, 슬러지 수집기의 플라이트(17-1)은 그 끝이 양쪽 상등수 집수장치(11)의 벽에 근접하게 설치하고, 스컴 방지판(12)의 위쪽에 설치하며;
스컴 제거 수로(15)는 수로 벽의 위쪽 끝이 수면에서 1∼2cm잠기게 하고, 침전지 폭 방향으로 수로를 형성하고, 수로 아래에 4각단면의 스컴 이송수로(15-3)을 밀폐구조로 형성하고, 스커 제거 수로와 스컴 이송수로 사이에 관통구멍(15-2)를 형성하고, 관통구멍(15-2)의 위에는 스컴 밸브(19)를 설치하고, 스컴 이송수로(15-3)의 하부에는 스컴 배출관(16)을 설치하고; 및
균등 분배 관(7)은 4각단면의 입구부와 침전지 폭과 같은 긴 수로형의 분배부로 구성하고, 분배부에는 수평으로 미리 정한 크기와 숫자의 원형구멍(7-1)을 형성하고, 원형 구멍의 크기는 중심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점차 더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장방형 2차 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호기 반응조(가)의 출구에 월류 위어(1)을 설치하되, 월류 위어(1)의 윗면은 하향으로 10∼15°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였고, 월류 위어(1)의 다음에는 3분의 체류시간을 가지는 폭과 깊이의 4각단면의 탈기조(2)를 형성하였다.
월류 위어(1)의 높이는 최대 통과 유량에 대하여 가장 작은 낙차를 가지도록 정하되, 탈기조쪽의 하, 폐수가 역류하지는 못하게 정하였다.
탈기조(2)의 바닥에는 탈기조내에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도록 파이프 산기 관(3)을 탈기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하고, 탈기조(2)는 옆의 탈기조와 관통되게 하여 공통 수로를 형성하였다.
탈기조(3)의 다음에는 혼합액중의 고형물이 침전되지 않는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얕은 깊이의 도수로(4)를 설치하고, 도수로 다음에는 격벽(6)을 설치하여 하, 폐수의 혼합액( 이하 그냥 하, 폐수라 칭한다)은 격벽에 관통되게 설치한 균등 분배 관(7)을 통하여 흐를 수 있게 하고, 균등 분배 관(7) 의 입구부에는 조절수문(5)를 설치하였다.
균등 분배 관(7)의 다음에는 30∼45°의 하향 경사부(8)을 설치하였고 경사부의 끝에서 1.5∼2m거리에는 침전지의 전체 횡 단면적에 대하여 4∼6%의 구멍 단면적을 가지며, 얇은 판재로 된 유공 정류벽(9)를 설치하였다.
얇은 판재의 유공 정류벽은 보강재로 지지하여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였다.
침전지(나)의 내부에는 침전지 벽(10)의 양쪽 수면 부근에 오리피스식 상등수 집수장치(11)를 침전지(나)의 정류벽 부근에서 침전지 뒤쪽 끝까지 설치하고 상등수 집수장치(11)의 끝은 상등수 배수로(13)에 연결되게 하였다.
상등수 집수장치(11)의 침전지 안쪽 방향에 있는 벽에는 100∼300mm의 폭을 가진 스컴 방지 판(12)를 수면에서 50∼100mm깊이에 수평으로 설치하되, 상등수 집수장치(11)의 벽에 직각(90°)으로 일체가 되게 고정하여 설치하고 스컴 방지 판(12)의 윗면에는 플라이트(17-1)의 안내 레일(17-2)을 고정되게 설치하여 스컴 방지 판(12)를 안내레일 지지대로 겸용하도록 하였다.
스컴 방지 판(12)의 침전지 뒤쪽 구조는 슬러지 수집기(17)의 플라이트(17-1)이 지나 갈 수 있도록 상등수 집수장치(11)의 일부에는 스컴 방지 판(12)를 설치하지 않았다.
슬러지 수집기(17)은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로 침전지의 유공 정류벽(9)후단부터, 수면에서는 침전지 뒤쪽의 스컴 제거 수로(15)앞까지, 침전지 바닥에서는 침전지 뒤쪽 벽 앞까지 연장되게 설치하여 수면위의 스컴과 침전지 바닥(18)에 침전된 슬러지를 전부 이송할 수 있게 하였다.
스컴 배출 수로(15)는 침전지의 끝에 횡 방향으로 길게 설치하고, 스컴 제거 수로(15) 벽의 위쪽 끝은 수면에서 1∼2cm잠기게 하고, 스컴 배출 수로의 밑에는 4각단면의 스컴 이송 수로(15-3)을 밀폐구조로 설치하고, 관통구멍(15-2)을 통하여 스컴 제거 수로와 관통되게 하였고 관통구멍 위에는 스컴 밸브(19)를 설치하여 개폐할 수 있게 하였다.
이송된 스컴은 스컴 배출관(16)을 통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어 처리되고, 상등수는 상등수 배수관(14)를 통하여 다음 공정인 응집 침전 공정 또는 소독시설로 이송된다.
균등 분배 관(7)은 [도면7]과 같은 모양으로 하고, 균등 분배 관(7)은 폭 방 향의 끝 쪽으로 갈수록 단면이 축소되게 하였고, 분배구멍(7-1)은 중앙에서 양쪽 끝으로 갈수록 구멍 지름이 크게 하여 균등한 하, 폐수의 분배가 이루어지게 하였다.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호기 반응조(가)에서 이송된 하, 폐수는 월류 위어(1)을 통하여 다음의 탈기조(2) 및 도수로(4)를 지나서 균등 분배 관(7)을 통하여 균등하게 분배되면서 침전지의 유공 정류벽(9) 쪽으로 이송된다.
월류 위어(1)의 윗면은 하향으로 15° 경사되어 있으므로 위어를 넘는 하, 폐수는 직접 자유낙하하지 않고 월류 위어의 윗면을 타고 흐르므로 하, 폐수 중의 플록은 파괴되지 않기 때문에 침전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탈기조(2)는 3분이상의 체류시간을 가지고 있고, 파이프 산기관(3)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교반 작용으로 하, 폐수중의 슬러지에 부착된 미세 공기 방울을 제거하여 슬러지가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여 스컴 발생량을 저감시키고, 충분한 크기의 단면을 가지고 있어 호기 반응조나 침전지에 어느 지이든 설비 고장 등으로 가동을 중지하는 경우에도, 남은 침전지들로 하, 폐수를 균등하게 분배하는 작용을 한다.
균등 분배 관(7)은 유입된 하, 폐수를 침전지 폭 방향으로 일정하게 균등히 분배하는 역할을 하여 침전지에 유입되는 하, 폐수의 편류를 방지한다.
균등 분배 관(7)의 분배구멍은 양쪽 끝으로 갈수록 크기가 크므로 손실 수두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균등한 하, 폐수를 통과시킨다.
도수로(4)는 하, 폐수 통과 시 0.1m/s이상의 유속을 유지하도록 수로 폭과 깊이를 정하였기 때문에 도수로에서 슬러지가 침전되지 않는다.
조절 수문은 침전지간의 하, 폐수 유입량 불균형이나 침전지의 가동 중단시 해당 침전지로의 하, 폐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균등 분배 관(7)의 다음에 설치된 경사부(8)에서는 유입된 하, 폐수가 더욱 확산되면서 균등한 속도로 유공 정류벽(9)에 접근하도록 한다.
유공 정류벽(9)는 얇은 판재로 되어 있어 유공 정류벽에 천공되어 있는 정류구멍(9-2)를 통과하는 하, 폐수 중의 슬러지가 정류구멍 내에 침전되어 쌓이거나 막히는 일이 없고, 정류효과가 가장 좋은 유공 면적비 4∼6%로 되어 있어 유공 정류벽(9)를 통과한 하, 폐수는 침전지의 횡단면 전면에 걸쳐 균등한 유속으로 이송되면서 침전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하, 폐수의 2차 침전지의 특성상 농도가 높은 슬러지를 포함한 하, 폐수가 유입되므로 [도면 8] 에서 보는 것과 같은 밀도류가 발생하여 하, 폐수가 침전지의 전 횡단면적에 대하여 균등하게 흐르지 않고 밀도류는 침전지의 바닥을 따라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침전지 후단에 이르고 이동 속도의 영향으로 침전지 후단에서 침전지 수면을 향하여 떠오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 폐수 처리장의 침전지에서 발생하는 밀도류는 하, 폐수의 높은 농도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수온차에 의한 밀도류와는 특성이 다른 면이 있다.
수온 차에 의한 밀도류는 슬러지가 침전된 후의 분리된 상등수도 저온이라 계속 밀도류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어서 침전에 방해가 되지만, 농도차에 의한 밀 도류는 슬러지가 침전된 후의 분리된 상등수는 침전지내 물과 온도가 같기 때문에 침전지내에 존재하던 물에 쉽게 혼합 확산되어 침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도면 8] 에서 보는 것과 같은 밀도류의 모양을 보면 슬러지를 포함한 밀도류가 침전지의 전체 길이 방향에 거의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분포 모양은 상향류 침전지의 슬러지 분포와 거의 같은 모양이다.
따라서 횡류식 침전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침전지 후단에서의 상등수 집수방식을 사용하면 밀도류의 상승 작용을 더욱 촉진하는 결과가 되어 침전이 잘 안되고 상등수 중에 슬러지가 유출될 수 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등수 집수 장치를 침전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하고 침전지 후단에서 일정 거리에서는 상등수를 집수하지 않고, 나머지 구간에서 상등수를 집수하면, 상등수는 침전지의 밀도류가 흐르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흐르면서 집수되어, 밀도류의 속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침전 작용이 일어나서 밀도류의 영향이 저감되어, 깨끗한 상등수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침전지의 후단 끝에서는 어느 정도의 밀도류 상승이 있을 수 있으므로 침전지 후단에서 일정한 거리( 예를 들면 3∼5m)에서는 상등수 집수를 하지 않는 것이다.
상등수 집수장치(11)에 오리피스식 집수장치를 사용하고 있어서, 오리피스 구멍(11-1)이 전부 수중에 잠기기만 하면, 오리피스 구멍의 높이차에 관계없이 균등한 집수가 이루어지므로 긴 거리에 걸친 상등수 집수에는 삼각 위어식보다 설치가 용이하고, 균등한 집수가 이루어지고, 바람이나 물결에 의한 영향도 받지 않기 때문에 항상 안정된 상등수 집수가 이루어진다.
수면 상에 떠오른 스컴은 상등수 집수 장치(11)의 벽에 수평으로 설치된 스컴 방지 판(12)위에 설치된 슬러지 수집기의 플라이트(17-1)이 상등수 집수장치(11)의 벽 사이에 꼭 맞게 설치되어 있는 상태로 침전지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스컴 제거수로(15)의 앞까지 밀어서 이송하고, 스컴 밸브(19)를 열면 침전지내의 수면상에 있는 물과 스컴이 함께 스컴 제거 수로(19)내로 흘러 들어가고 스컴 이송 수로(15-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되므로, 수면상의 스컴은 남김없이 깨끗하게 제거된다.
스컴 제거는 슬러지 수집기는 연속해서 가동하고 스컴 밸브(19)를 주기적으로 열었다 닫으면서 제거한다.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17)은 가동하면서 수면상의 스컴을 이송함과 동시에 침전지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침전지 앞쪽에 있는 슬러지 호퍼(바)로 이송한다.
슬러지 수집기의 플라이트(17-1)은 상등수 집수장치(11)의 벽에 수평으로 설치한 스컴 방지 판(12)위에 고정하여 설치한 플라이트 안내레일(17-2)를 타고 움직이므로, 플라이트 안내레일 지지대 역할도 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플라이트 안내레일(17-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매우 경제적이고 설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여 특정한 조건을 가진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무 수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 모든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는 유입부에서 하, 폐수가 탈기되어 스컴 발생이 적고, 하, 폐수가 균등하게 분배되고, 침전지내에서 밀도류의 영향이 저감되고, 상등수 집수가 가능하여 침전효율이 높고, 수면상의 스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상등수 수질 개선, 시각적 청결 확보, 악취방지 및 유해곤충 서식을 방지하는 효과와 상등수 집수장치와 스컴 방지판에 플라이트의 안내레일을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플라이트 안내레일용 지지대가 필요 없어서 설치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호기 반응조(가)의 후단에 호기 반응조 폭과 같은 길이의 월류 위어(1)을 설치하되 월류 위어의 윗면은 하향으로 10∼15° 경사지게 하고;
    월류 위어(1)의 다음에는 탈기조(2)를 침전지 전체 폭과 같은 길이로 형성하고;
    탈기조(2)의 하부에는 파이프 산기관(3)을 설치하고;
    탈기조(2)의 다음에는 도수로(4)를 설치하고, 격벽(6)을 관통되도록 균등분배 관(7)을 설치하고, 균등 분배 관 앞에는 조절수문(5)를 설치하고;
    균등 분배 관(7)의 출구 쪽은 30∼45°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부(8)을 설치하고, 경사부의 다음에는 보강재로 지지된 얇은 판재로 되어 있고, 4∼6%의 개구단면적을 가진 유공 정류벽(9)를 설치하고;
    침전지(나)의 폭은 6m 이내로 제한하고, 침전지 상부는 침전지 슬래브(라)로 복개하고, 침전지(나)의 양쪽 침전지 벽(10)에는 수면 부근에 오리피스식 상등수 집수장치(11)을 침전지의 앞쪽 부근부터 침전지 뒤쪽 끝까지 설치하고, 상등수 집수장치의 끝은 상등수 배수로(13)에 연결하고, 상등수 집수장치(11)의 바깥쪽에는 폭 100∼300mm의 스컴 방지 판(12)를 수면에서 50∼100mm깊이에, 수평방향으로 상등수 집수위어(11)의 벽에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하고 , 스컴 방지 판(12)의 위쪽에는 플라이트(17-1)용 안내 레일(17-2)를 고정하여 설치하고, 상등수 집수위어(11)의 뒤쪽 끝 미리 정한 길이(3∼5m)에는 오리피스 구멍(11-2)를 설치하지 않고;
    침전지의 앞쪽 유공 정류벽(9)부근부터 침전지의 뒤쪽 끝 스컴 제거수로(15)앞까지 슬러지 수집기(17)을 설치하고, 슬러지 수집기의 플라이트(17-1)은 그 끝이 양쪽 상등수 집수장치(11)의 벽에 근접하게 설치하고, 스컴 방지판(12)의 위쪽에 설치하며;
    스컴 제거 수로(15)는 수로 벽의 위쪽 끝이 수면에서 1∼2cm잠기게 하고, 침전지 폭 방향으로 수로를 형성하고, 수로 아래에 4각단면의 스컴 이송수로(15-3)을 밀폐구조로 형성하고, 스커 제거 수로와 스컴 이송수로 사이에 관통구멍(15-2)를 형성하고, 관통구멍(15-2)의 위에는 스컴 밸브(19)를 설치하고, 스컴 이송수로(15-3)의 하부에는 스컴 배출관(16)을 설치하고; 및
    균등 분배 관(7)은 4각단면의 입구부와 침전지 폭과 같은 긴 수로형의 분배부로 구성하고, 분배부에는 수평으로 미리 정한 크기와 숫자의 원형구멍(7-1)을 형성하고, 원형 구멍의 크기는 중심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점차 더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장방형 2차 침전지.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등수 집수장치(11)에 수직으로 설치한 스컴 방지판(12)의 위에 안내레일(17-2)를 고정하고, 안내레일 위로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의 플라이트(17-1)이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상등수 집수장치와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20070053040A 2007-05-31 2007-05-31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 KR100904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040A KR100904214B1 (ko) 2007-05-31 2007-05-31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040A KR100904214B1 (ko) 2007-05-31 2007-05-31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445A true KR20080105445A (ko) 2008-12-04
KR100904214B1 KR100904214B1 (ko) 2009-06-25

Family

ID=4036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040A KR100904214B1 (ko) 2007-05-31 2007-05-31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2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542A (ko) * 2007-11-30 2010-10-07 엑카르트 게엠베하 레이저 마킹제 또는 레이저 용접제로서 구형 금속 입자 및 금속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용도, 및 레이저 마킹가능한 및/또는 레이저 용접가능한 플라스틱
KR102124730B1 (ko) * 2019-07-26 2020-06-19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Cip-sbr 공법에 의한 하수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785B1 (ko) 2018-08-09 2019-03-13 (주)가온텍 개량형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KR102369289B1 (ko) 2021-08-30 2022-03-03 주식회사 가온텍 생물학적 고도처리용 장방형 2차 침전지
KR102358524B1 (ko) 2021-09-06 2022-02-08 주식회사 가온텍 장방형 침전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구동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549B1 (ko) 2000-07-14 2003-03-10 주식회사 에이더불유티 부유성 내장형 침전조
JP4718711B2 (ja) 2001-04-11 2011-07-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貯留槽の仕切構造
KR20060024288A (ko) * 2004-09-13 2006-03-16 윤선숙 반응조형 침전장치를 이용한 고효율 하수 및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27641B1 (ko) 2005-02-16 2006-09-25 주식회사 젠트로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542A (ko) * 2007-11-30 2010-10-07 엑카르트 게엠베하 레이저 마킹제 또는 레이저 용접제로서 구형 금속 입자 및 금속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용도, 및 레이저 마킹가능한 및/또는 레이저 용접가능한 플라스틱
KR102124730B1 (ko) * 2019-07-26 2020-06-19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Cip-sbr 공법에 의한 하수처리 시스템
WO2021020653A1 (ko) * 2019-07-26 2021-02-04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Cip-sbr 공법에 의한 하수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4214B1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6018A (en) Waste treatment system having integral intrachannel clarifier
CN104817209A (zh) 地埋式高效初期雨水处理装置
US46145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ological aerobic wastewater treatment
KR100904214B1 (ko)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
CA1160767A (en) Waste treatment system having integral intrachannel clarifier
US4154685A (en) Gravity flow septic tank system
EP0659690B1 (en) Water purification plant
KR101956785B1 (ko) 개량형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KR100861022B1 (ko) 개량된 장방형침전지
NZ209789A (en) Fluidised bed waste water treatment reactor;external access to individual fluidising pipes
KR20060029765A (ko) 정수처리용 상향류식 일체형 응집·침전장치
JP2010155184A (ja) 担体投入型生物反応装置
KR100957695B1 (ko) 하수처리조의 플록 및 이끼 저감 배출장치
US4473467A (en) Gravity flow septic tank system
KR100545746B1 (ko) 슬러지의 침전효율과 수처리효율이 우수한 개선된 구조의침전조
JPH11290882A (ja) 窒素除去装置
JP4765041B2 (ja) 水処理装置
BE1024467B1 (nl) Afvalwaterbehandelingsinstallatie
KR200367936Y1 (ko) 하수 및 오폐수 3차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CN115403186B (zh) 一种用于软化后废水处理的过滤装置
CN214360395U (zh) 预沉隔油池布置结构
KR100613206B1 (ko) 하수 및 오폐수 3차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JP3818550B2 (ja) スカム沈降除去装置
JPH09117785A (ja) 廃水処理装置
CN219646782U (zh) 一种脱销系统用斜板沉淀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