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641B1 -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 - Google Patents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641B1
KR100627641B1 KR1020050012782A KR20050012782A KR100627641B1 KR 100627641 B1 KR100627641 B1 KR 100627641B1 KR 1020050012782 A KR1020050012782 A KR 1020050012782A KR 20050012782 A KR20050012782 A KR 20050012782A KR 100627641 B1 KR100627641 B1 KR 100627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ation basin
flow
downward
sedimentation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1973A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to KR1020050012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641B1/ko
Publication of KR2006009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Abstract

상,하수를 처리하면서 특히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는, 유입수가 통과하는 유공 정류벽과 상등수의 방류를 위한 월류웨어를 구비하는 장방형 침전지 구조물 및, 상기 침전지 구조물의 길이 및 깊이 방향으로 침전지 구조물내의 밀도류에 대응하면서 그 흐름을 하향에서 상향 및 상향에서 하향으로 각각 조정하도록 침전지 구조물을 가로질러 설치된 복수개의 경사플레이트로 구성된 밀도류 상향 조정수단과 밀도류 하향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수에 포함되어 있는 플럭(floc)(탁질물질)이나 모래 등을 침전시키는 침전지에서 물의 온도차에 의한 밀도류 분포에 정밀하게 대응하여 물의 흐름을 난류에서 층류로 변환시킴으로써, 침전지의 침전성을 극대화시키는 한편, 침전물의 제거도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침전물의 처리효율도 향상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침전지, 밀도류, 플럭, 탁질물질, 침전성, 밀도류 조정수단

Description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Settling Pond}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침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침전지의 밀도류 분포를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제 1 실시예의 침전지에서 밀도류 상향 및 하향조정수단을 도시한 것으로써,
(a)는 침전지 구조물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b)는 도 4a의 구조도
(c)는 각도 조정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d)는 조정수단인 경사 플레이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5는 침전물 제거수단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인 침전물 제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침전지에서 유공 정류벽의 유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침전지 10.... 정류벽
12.... 유공 20.... 월류웨어
30.... 침전지 구조물 32.... 침전지 밀폐벽
34.... 침전지 양측벽 50,70.... 밀도류 하향 및 상향 조정수단
52,72.... 경사 플레이트 54,74.... 지지축
90.... 침전물 제거수단 96.... 이동체인
98.... 침전물 제거빔
본 발명은 상,하수 처리를 위한 침전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유입수에 포함되어 있는 플럭(floc)(탁질물질)이나 모래 등을 침전시키는 침전지에서 물의 온도차에 의한 밀도류 분포에 정밀하게 대응하여 물의 흐름을 난류에서 층류로 변환시킴으로써, 침전지의 침전성을 극대화시키는 한편, 침전물의 제거도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침전물의 처리효율도 향상시키는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에 관한 것이다.
침전지(Settling Pond)는 물속에 섞인 흙이나 모래 또는 탁질물질인 플럭(floc) 등을 가라앉혀 유입수를 맑게 하기 위한 폰드(못)이다.
이와 같은 침전지에서는 유입수에 포함되어 있는 플럭(floc) 등을 침전 분리작용으로 가라 앉히고, 유입수의 흐름도 조절하고, 가라앉은 침전물을 제거한다.
즉, 통상 침전지에 유입되는 유입수는 그전에 탁도가 심한 지표수에 약품을 넣고 정수하는 혼화단계를 거쳐 유입되므로, 유입수에 포함된 뭉쳐진 탁질물질인 플럭을 침전지에서 침전시킨다.
한편, 이와 같은 침전지는 다음의 도 1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땅을 파내어 지중에 시공하거나 또는, 콘크리트나 강철 구조물로 만드는데, 최근에는 뚜껑이 없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많이 시공하고, 그 층도 단층이거나 여러 층으로 구조하고, 형태는 침전 효과가 좋은 장방형이 대부분이나, 원형의 침전지를 사용하기도 하며, 통상 침전지의 깊이는 3 - 4m가 대부분이다.
또한, 정사각의 침전지는 한변이 대략 30m 정도이고, 장방형은 길이가 너비의 3-5배 정도이다.
그런데, 플럭 또는 모래 등을 침전 분리작용을 통하여 침전시키는 침전지는 그 깊이에 따라 온도차이가 발생되는데, 예를 들어 수면과 침전지 내부의 심층부분의 물의 온도는 서로 차이가 난다.
즉, 수면상의 물은 햇빛을 받기 때문에, 물의 온도가 내부 심층부분의 물보다 더 높게 되고, 이와 같은 물의 온도차는 침전지내의 밀도류에 영향을 미치고, 이와 같은 밀도류는 침전지내에 물의 흐름을 난류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침전지에서의 플럭 등의 침전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침전지의 밀도류에 대응하여 밀도류의 영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침 전지에서의 침전효율을 높인 침전지는 제안된 바가 없는 것이다.
특히, 밀도류의 흐름분포에 대응하여 정밀하게 그 흐름을 난류에서 층류로 전환시키는 밀도류 조정기구를 침전지에서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는 없었다.
이에 따라서, 침전지에서 침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밀도류에 대응하는 밀도류 조정수단을 갖추면서, 침전물의 제거도 용이하게 하여 전체적으로 침전성을 극대화시키는 침전지의 개선된 구조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입수에 포함되어 있는 플럭(탁질물질)을 침전 분리작용을 통하여 침전시키는 침전지에서 밀도류의 분포에 대응하여 밀도류에 의한 물의 흐름을 난류에서 층류로 변환시킴으로써, 침전지의 침전성을 향상시키는 침전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전물(플럭)의 지속적인 제거가 수행됨으로써, 침전물의 처리효율도 향상시키는 침전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유입수가 통과하는 유공 정류벽과 상등수의 방류를 위한 월류웨어를 구비하는 장방형 침전지 구조물; 및,
상기 침전지 구조물의 길이 및 깊이 방향으로 침전지 구조물내의 밀도류에 대응하면서 그 흐름을 하향에서 상향 및 상향에서 하향으로 각각 조정하도록 침전지 구조물을 가로질러 설치된 복수개의 경사플레이트로 구성된 밀도류 상향 조정수단과 밀도류 하향 조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침전성을 향상토록 구성된 침전지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전지 구조물의 내부에 무한궤도로 이동하면서 침전물을 제거토록 제공된 침전물 제거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방형 침전지 구조물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고, 상기 유공 정류벽은 침전효율을 높이는 다수의 하단축소형 유공들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밀도류 상향 조정수단의 경사 플레이트는 침전지 구조물의 정류벽에서 부터 밀도류가 하향에서 상향으로 전환되는 길이까지 배치되고, 이후 침전지 구조물의 밀폐벽까지 상기 하향 조정수단의 경사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도류 상향 조정수단의 경사 플레이트는 상기 침전지 구조물내의 밀도류가 하향에서 상향으로 전환되는 정류벽에서 부터 0.71 ×X - 0.85 ×X의 범위까지 상향(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밀도류 하향 조정수단의 경사플레이트는 침전지 구조물내의 밀도류가 하향에서 상향으로 전환되는 0.71 ×X - 0.85 ×X에서 부터 밀폐벽까지의 범위내에 하향(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고, 여기서 X는 침전지 구조물의 길이이다.
또한, 상기 밀도류 상향 조정수단의 경사플레이트는 정류벽에서 부터 다층에 서 단층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향으로 40-50°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때, 상기 하향 조정수단의 경사플레이트는 다층으로 배열 설치되고, 하향으로 40-50°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도류 상향 및 하향 조정수단의 경사 플레이트들은 양측에 제공된 지지축이 침전지 구조물의 양측벽에 형성된 삽입구에 고정된 축지지구에 경사조정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침전물 제거수단은, 상기 침전지 구조물의 양측벽사이에 다수 지점에 설치된 지지봉상의 한쌍의 구동스프로켓에 체결되어 무한궤도로 이송되는 한쌍의 이동체인 및, 상기 이동체인사이에 고정되어 침전지 구조물의 바닥 침전물을 강제로 이동시키는 침전물 제거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침전지 구조물에는 제거된 침전물이 수용되는 침전물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1)에서 침전지 구조물(30)과, 다음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밀도류 상향 및 하향 조 정수단(50)(70) 및, 침전물 제거수단(90)을 단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침전지(1)는 크게 침전지 구조물(30) 및, 밀도류 상향 및 하향 조정수단(50)(70)을 포함하고, 추가로 침전물 제거수단(9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들 구성수단(30)(50)(70)(9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전물 구조물(30)은, 상,하수처리과 같은 수처리 설비에서 유입수에 포함되어 있는 플럭(floc)을 침전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장방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인 침전지 구조물(30)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침전지 구조물(30)은 여러개가 연이어 월류웨어(20)를 통하여 상등수 월류를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될 수 있는데, 이를 1지, 2지... 라 한다.
이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전지(1)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인 침전물 구조물(30)은 유입수가 최초 통과하는 정류벽(10)과 상등수의 방류를 위한 월류웨어(20)가 구비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정류벽(1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전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규칙한 난류의 흐름을 갖기 쉬운 유입수를 유공(12)을 통하여 균등하게 통수시켜서 그 유입수에 포함되어 있는 플럭의 침전작용을 상승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밀도류(density current)는 통상적으로는 해류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해류는 바닷물의 수평적 밀도차(수온과 염분의 밀도차)에 의하여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밀도류를 인정하는 해류는 실제로는 심층류(深層流)에 한정되는데, 해수는 온도와 염분에 따라 밀도가 변한다.
예를 들어, 온도가 낮은 극지방의 해수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밀도가 높고, 당연히 밀도가 높기 때문에, 아래쪽으로 흐르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밀도류의 분포변화가 침전지에서도 발생되며, 이와 같은 밀도류는 침전지에서의 침전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지(1)에서의 밀도류 분포를 정밀하게 측정한 것을 모식도로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모식도는 한국물환경학회와 대한 상하수도학회에서 2001년에 발표된 자료에 근거한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은 침전지에서의 밀도류 분포는 장방형 침전지에서 발생되기 쉽다.
따라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류벽(10)을 통과한 유입수의 밀도류는 침전지 구조물(30)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3/4 부분 즉, 침전지 구조물(30)의 길이를 70m라 할때 대략 50-60m 까지는 정류벽(10)에서 부터 하향 밀도류(Flow Down)(FD)가 발생되고, 거기서부터 다시 침전지 구조물(30)의 밀폐벽(32)까지는 상향 밀도류(Flow Up)(FU)가 급속하게 발생됨을 알수 있다.
결국, 침전지 구조물(30)내에 유입된 유입수의 수면과 내부 심층수간의 온도 차에 의하여 발생되는 밀도류는 결국에는 유입수에 포함된 플럭(탁질물질)의 침전에 영향을 미친다.
즉, 하향 밀도류(FD)는 침전물이 쌓인 침전지 구조물의 바닥측을 향하여 하향 흐름을 유지하기 때문에, 침전된 침전물을 오히려 수면상으로 부유시키어 월류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반대로, 상향 밀도류(FU)는 급속한 상승 흐름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플럭 등의 탁질물질이 침전지 구조물(30)의 바닥에 침전되는 것을 방해하고, 그대로 수면상으로 부유되기 때문에 원활한 침전을 어렵게 한다.
이에 따라, 도 2에서 도시한 밀도류 분포는 침전지 구조물(30)내의 안정적인 침전을 방해하게 됨을 알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밀도류는 유입수의 침전지 체류시간을 단축시키어 플럭의 침전성을 저하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은 침전지내의 유입수에서 발생되는 밀도류 자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한데, 이는 침전지내의 물의 온도차에 의하여 밀도차이가 발생되면서 점성을 갖는 유입수에서의 연속흐름 예를 들어, 밀도류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밀도류의 방향을 전환시키어 침전지에서의 침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에 그 특징이 있는데, 상기 밀도류 상향 및 하향 조정수단(50)(70)은 밀도류의 흐름방향을 침전지내에서 강제로 전환시키어 침전효율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밀도류 상향 및 하향 조정수단(50)(70)은, 침전지 구조물(30)의 길이 및 깊이방향으로 침전지 구조물(30)내의 밀도류 분포에 정밀하게 대응하도록 다수개가 제공되어 하향 밀도류(FD)와 상향 밀도류(FU)를 역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밀도류 상향 및 하향 조정수단(50)(70)은, 도 3 및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밀도류에 대응하여 그 흐름을 하향에서 상향 그리고 반대로, 상향에서 하향으로 조정하도록 침전지 구조물(30)을 가로질러 설치된 경사플레이트(52)(7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향 조정수단(50)은 상기 침전지 구조물(30)의 밀도류가 하향 흐름에서 상향 흐름으로 전환되는 지점(S)까지 즉, S1의 범위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의하면 침전지 구조물(30)의 길이가 70m 인 경우, 정류벽(10)에서 부터 50-60m(도 2의 그래프 참조)의 범위(S1)내에서 밀도류는 하향 밀도류(FD)로 형성되므로, 상향(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플레이트(52)들을 정류벽에서 부터 다층에서 단층으로 배열 설치시킨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향 조정수단(50)은 상기 침전지 구조물(30)의 밀도류가 하향에서 상향으로 전환되는 범위 즉, 침전지 구조물의 전체 길이를 X라 할 때, 정류벽에서 부터 0.71 ×X - 0.85 ×X의 범위(침전지의 길이가 70m 일때, 대략 50-60mm)까지 상향(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침전지 구조물(30)의 길이가 70m인 경우 50-60m 정도에서 밀도류가 하향에서 상향으로 전환되므로, 침전지 구조물의 길이를 X라 할때, 정류벽(10)에서 부터 0.71 ×X - 0.85 ×X 의 범위(단위 m)까지 즉 S1의 범위에 정류벽에서 부터 밀도류 상향 조정수단(50)을 설치하여 도 3에서와 같이 하향 밀도류의 방향을 상향 흐름(fu)으로 유도하면, 침전물이 수면상으로 부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유벽(10)에 인접하여서는 밀도류의 분포가 넓기 때문에 침전지 구조물의 수직방향으로 2개의 경사플레이트(52)인 상향 조정수단(50)을 다층으로 설치하고, 하향 밀도류 분포가 좁아지는 부분에서는 단층의 상향 조정수단(50)을 설치한다.
반대로,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향 조정수단(70)은 상기 침전지 구조물(30)의 밀도류가 상향으로 발생되는 범위 즉, 정류벽의 전체 길이를 X라 할 때, 0.71 ×X - 0.85 ×X 의 범위(단위 m)에서 부터 밀폐벽(32)까지 즉, S2의 범위내에 상향(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침전지 구조물(30)의 길이가 70m 인경우, 50-60m 에서 부터 밀폐벽까지의 길이 70m사이의 범위(S2)에 본 발명의 밀도류 하향 조정수단(70)이 배치되는데,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향 조정수단(70)은 상향 밀도류 분포가 급속하게 넓게 분포되면서 발생되므로 상기 범위내에서는 다층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향 조정수단(70)의 경사플레이트(72)는 상향 밀도류를 하향 흐름(fd, 화살표)으로 전환시키어 침전물이 상향 밀도류에 의하여 침전되지 않고 바로 수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시키고, 결국 침전율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0.71과 0.85의 수치는 도 2에서 침전지 구조물(30)의 길이를 70m 라 할때, 50-60m사이에서 하향 밀도류(FD)가 상향 흐름(fu)으로 전환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침전지 구조물(30)의 전체 길이를 70m라 할때, 50-60m의 범위를 감안해 구한 수치이고, 따라서 이를 기준으로 침전지 구조물(30)의 전체 길이를 X라 할때 정류벽(10)에서 부터 0.71 ×X - 0.85 ×X의 범위까지는 상향 조정수단(50)이 설치되고, 그 이후부터 밀폐벽(전체 길이 X)(32)까지의 범위에서는 하향 조정수단(70)을 설치하는 것이다.
물론, 침전지 구조물의 전체길이가 같은 X(단위 m)라 할지라도, 침전지 구조물의 깊이에 따라 상기 밀도류의 흐름방향이 전환되는 범위(0.71 ×X - 0.85 ×X)는 다소 변경될 수 있으나, 침전지 구조물의 길이 대비 깊이는 거의 일정하다고 가정하여 상기 범위를 도 2의 모식도(그래프)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향 및 하향 조정수단(50)(70)의 경사플레이트(52)(72)들은 각각 상향 및 하향방향으로 구체적으로는 상향인 경우 시계반향으로 하향인 경우에는 반시계방향으로 40-50°바람직하게는 45 °경사지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각도 보다 작거나 크면 밀도류의 전환방향이 너무 완만하거나 급속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향 및 하향 조정수단(50)(70)들은 하향 밀도류(FD)를 상향 흐름(fu)으로 전환시키고, 상향 밀도류(FU)를 하향 흐름(fd)으로 전환시키면서, 밀도류에 의한 침전방해나 침전물의 수면상승 등을 방지시키어 침전지 의 침전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결국, 하향 밀도류와 침전지 밀폐벽(말단부)에서의 급속한 상향 밀도류의 유속을 억제시키기 때문에, 밀도류에 의한 난류를 층류로 전환시키면서 침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밀도류의 반복적인 전환으로 침전지내에서의 침전 체류시간을 증대시키어 전체적으로 침전성을 높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침전지에서는 상향 및 하향 조정수단(50)(70)인 경사 플레이트(52)(72)들은 밀도류 분포에 대응하여 배열 설치하는 간단한 구조이고, 기존의 침전지에도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 설치는 물론 운영면에서도 유용한 것이다.
한편, 도 4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향 및 하향 조정수단(50)(7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정수단(50)(70)의 경사 플레이트(52)(72)는 양측벽에 제공된 지지축(54)(74)이 침전지 구조물(30)의 양측벽(34)에 형성된 삽입구(36)에 삽입 고정되는 축지지구(38)에 스토핑 볼트(40)로서 경사 조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침전지 구조물(30) 예를 들어, 장방향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측벽(34)에 경사플레이트들의 배치에 맞추어 삽입구(36)를 형성하고, 축지지구(38)를 끼운 후, 경사플레이트(52)(72)들의 양측에 제공된 지지축(54)(74)을 끼우고 스토핑볼트(40)로서 경사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시키면, 본 발명의 상향 및 하향 조정수단(50)(7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때, 도 4a 내지 도 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축지지구(38)에는 경사각도에 맞추어 스토핑 볼트 체결홈(38a)을 형성시키고, 이에 지지축(54)(74)의 체결홈(54a)(74a)을 맞추면, 경사 플레이트(52)(72)의 경사각도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 경사 플레이트(52)와 하향 경사 플레이트(72)의 각도인 각각 45°씩 일정하게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4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도류 상향 및 하향 조정수단(50)(70)인 경사플레이트들중 침전지 구조물(30)의 바닥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사 플레이트는 딱딱한 상부부분(52)(72)과 유동이 가능한 하부고무판(52')(72')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다음에 설명하는 침전물 제거수단(90)의 제거빔(도 6의 98)의 이동시 간섭되어도 상기 경사플레이트들의 하부 고무판부분이 휘어질 수 있어 경사플레이트의 파손이 방지될 것이다.
다음, 도 5 및 도 6에서는 침전물 제거수단(90)을 추가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침전지(1')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침전물 제거수단(90)은, 상기 침전지 구조물(30)의 내부에 무한궤도로 이동하면서 침전지 구조물(30)의 바닥측 침전물(S)을 제거토록 제공된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침전물 제거수단(90)은, 상기 침전지 구조물(30)의 양측벽(34)사이에 다수 지점에 설치된 지지봉(92)상의 한쌍의 구동스프로켓(94)에 체결되어 무한궤도로 이송되는 한쌍의 이동체인(96) 및, 상기 이 동체인(96)사이에 연결 고정되어 이동중 침전지 구조물(30)의 바닥측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침전물(S)을 강제로 이동시키는 침전물 제거빔(98)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스프로켓(94)중 하나에는침전지 구조물(30)의 상부에 제공된 구동모터(94b)로서 구동되는 모터 스프로켓(94d)과 구동체인(94c)으로 체결되는 작동스프로켓(94a)이 연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스프로켓(94)은 도 5에서와 같이, 상향 및 하향 조정수단(50)(70)과 간섭되지 않고 이동체인(96)이 삼각형태의 무한궤도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이와 같은 구동 스프로켓(94)들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전지 구조물(30)의 양측벽(34)사이에 수평 장착된 지지봉(92)에 베어링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94b)가 구동되면 이동체인(96)은 시계방향으로 무한궤도로 이동하고, 이 이동체인(96)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된 H 빔등의 침전물 제거빔(98)은 침전지 구조물(30)의 바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침전물(S)을 정류벽측에 제공된 수용부(100)로 밀어내어 침전물의 제거를 수작업없이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이동체인(96)의 이동궤도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밀도류 상향 및 하향 조정수단(50)(70)의 경사 플레이트(52)(72)들과 간섭되지 않는 궤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다음,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침전지(1)(1')에서 제공된 정류벽(10)의 유공 (12)들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정류벽(10)에서 유공(12)들은 하단 축소형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정류벽의 유공(12)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은 하단이 직경이 넓은 상태에서 하단이 축소되어 직경이 감소되는 유공을 통과하기 때문에, 통과하는 물의 흐름이 서로 충돌하면서 하향 흐름(fd)을 발생시키고, 결국 물의 흐름이 침전지 구조물(30)의 바닥을 향하게 하면서, 침전효율을 높이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하단축소형 유공(12)은, 정류벽의 구멍(10a)은 직선으로 관통시키고 하단축소형의 유공을 형성하는 성형물(14)을 장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침전지는 1차적으로 플럭의 수면상승과 밀폐벽 근처에서의 급속한 상향유속을 발생시키는 밀도류의 초기 하향 흐름을 상향흐름으로 전환시키고, 동시에 상향 흐름은 하향 흐름으로 전환시키기 때문에, 플럭들의 침전효율을 향상시키고 밀도류의 영향을 없앤다.
그리고, 침전물 제거수단(90)을 통하여 침전지 구조물(30)의 바닥 침전물을 지속적으로 제거함으로서, 침전물의 수명상승이나 부유 등을 방지시키어 침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에 의하면, 유입수에 포함되어 있는 플럭(탁질물질)을 침전 분리작용을 통하여 침전시키는 침전지에서 밀도류 의 분포에 대응하여 밀도류에 의한 물의 흐름을 난류에서 층류로 변환시킴으로써, 침전지의 침전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추가로 침전된 침전물(플럭)의 지속적인 제거가 수행됨으로써, 침전물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다른 우수한 효과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1)

  1. 유입수가 통과하는 유공 정류벽과 상등수의 방류를 위한 월류웨어를 구비하는 장방형 침전지 구조물; 및,
    상기 침전지 구조물의 길이 및 깊이 방향으로 침전지 구조물내의 밀도류에 대응하면서 그 흐름을 하향에서 상향 및 상향에서 하향으로 각각 조정하도록 침전지 구조물을 가로질러 설치된 복수개의 경사플레이트로 구성된 밀도류 상향 조정수단과 밀도류 하향 조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침전성을 향상토록 구성된 침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 구조물의 내부에 무한궤도로 이동하면서 침전물을 제거토록 제공된 침전물 제거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 침전지 구조물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고, 상기 유공 정류벽은 침전효율을 높이는 다수의 하단축소형 유공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도류 상향 조정수단의 경사 플레이트는 상기 침전지 구조물내의 밀도류가 하향에서 상향으로 전환되는 정류벽에서 부터 0.71 ×X - 0.85 ×X의 범위까지 상향(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밀도류 하향 조정수단의 경사플레이트는 침전지 구조물내의 밀도류가 하향에서 상향으로 전환되는 0.71 ×X - 0.85 ×X에서 부터 밀폐벽까지의 범위내에 하향(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고, 여기서 X는 침전지 구조물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도류 상향 조정수단의 경사플레이트는 정류벽에서 부터 다층에서 단층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향으로 40-50°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
  8. 삭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조정수단의 경사플레이트는 다층으로 배열 설치되고, 하향으로 40-50°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도류 상향 및 하향 조정수단의 경사 플레이트들은 양측에 제공된 지지축이 침전지 구조물의 양측벽에 형성된 삽입구에 고정된 축지지구에 경사조정상태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 제거수단은, 상기 침전지 구조물의 양측벽사이에 다수 지점에 설치된 지지봉상의 한쌍의 구동스프로켓에 체결되어 무한궤도로 이송되는 한쌍의 이동체인 및, 상기 이동체인사이에 고정되어 침전지 구조물의 바닥 침전물을 강제로 이동시키는 침전물 제거빔으로 구성되고,
    상기 침전지 구조물에는 제거된 침전물이 수용되는 침전물 수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
KR1020050012782A 2005-02-16 2005-02-16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 KR100627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782A KR100627641B1 (ko) 2005-02-16 2005-02-16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782A KR100627641B1 (ko) 2005-02-16 2005-02-16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973A KR20060091973A (ko) 2006-08-22
KR100627641B1 true KR100627641B1 (ko) 2006-09-25

Family

ID=3759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782A KR100627641B1 (ko) 2005-02-16 2005-02-16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6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214B1 (ko) 2007-05-31 2009-06-25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34B1 (ko) * 2007-07-05 2007-11-28 최호상 수질정화용 취송류 하강유도장치
KR100797170B1 (ko) * 2007-09-21 2008-01-2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침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침전지
CN117623475B (zh) * 2024-01-25 2024-03-29 山东凯丰源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絮凝自排料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214B1 (ko) 2007-05-31 2009-06-25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973A (ko) 200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641B1 (ko)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
JP4351713B2 (ja) 蝶番式ゲート水門
KR20070021288A (ko) 오염된 물을 자연적으로 정화하는 방법
US7226242B2 (en) Catch basin for salt water sand
KR100757330B1 (ko)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전지
KR100812539B1 (ko) 전단면 전폭의 배수장치를 설치하여 오염된 수질을정화시켜주면서 토사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친환경공법을 이용한 댐
KR100819548B1 (ko) 하천 퇴적물 제거시설
KR101180436B1 (ko) 이끼 및 조류 발생 방지를 위한 판넬 시공방법
KR101233416B1 (ko) 수질자동측정기기 및 상압부상을 이용한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JP4041902B2 (ja) 河川感潮域のヘドロ及び土砂礫堆積用凹部
KR20100069524A (ko) 침전물 퇴적 방지용 수중보 구조물
KR100680156B1 (ko) 갈수기 하천바닥 오염물 처리시설
KR100812595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100545746B1 (ko) 슬러지의 침전효율과 수처리효율이 우수한 개선된 구조의침전조
KR100721897B1 (ko) 하천 정화 구조물
JP2005194803A (ja) 河川感潮部におけるヘドロ除去方法
KR20070033400A (ko) 모래와 니토를 선별하여 포집할 수 있는 이안제
KR100660527B1 (ko) 수중파이프를 이용한 침전지의 오수 유입장치
KR200406307Y1 (ko) 하천 정화 구조물
KR102363866B1 (ko) 응집침전조
KR200308775Y1 (ko) 차수막을 이용한 오염물질 침강장치
JP5608858B2 (ja) 放水路の分離装置
KR20130050020A (ko) 토사 침전조
JP6146722B2 (ja) スカム除去装置
KR20070108442A (ko) 물을 자연적으로 정화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