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330B1 -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전지 - Google Patents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330B1
KR100757330B1 KR1020060098905A KR20060098905A KR100757330B1 KR 100757330 B1 KR100757330 B1 KR 100757330B1 KR 1020060098905 A KR1020060098905 A KR 1020060098905A KR 20060098905 A KR20060098905 A KR 20060098905A KR 100757330 B1 KR100757330 B1 KR 100757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sedimentation basin
blocking
sheet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to KR102006009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상,하수 처리용 침전지에서 밀도류에 의한 침전물의 부유를 차단하는 장치 및 이와 같은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를 구비하는 침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는, 침전지 벽사이에 구비된 지지수단 및,상기 지지수단의 하방으로 신장되도록 구비되어 침전지내 밀도류에 편승하는 침전물의 부유를 차단하는 침전물 부유 차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침전지는 상기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침전지 밀도류에 의하여 응집지에서 발생된 플럭(floc)(탁질물질) 등의 침전물이 수면상으로 부유하여 월류웨어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미리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는다.
침전지, 밀도류, 플럭, 탁질물질, 침전성, 밀도류 조정수단

Description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전지{An Apparatus for Preventing Deposit from Floating in a Settling Pond and The Settling Pond having the Same}
도 1은 상하수 처리설비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침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침전지의 밀도류 분포를 도시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와 침전지 설치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인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분해사시도
(b)는 조립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인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에서 침전물 부유 차단시트가 스크래퍼에 의하여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인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에서 침전물 부유 차단시트가 스크래퍼에 구비된 텃치부재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10.... 체결구
30.... 지지수단 34.... 라이너링
50.... 침전물 부유 차단시트 52.... 지지판
70.... 웨이트부재 140.... 침전지
FD.... 하향 밀도류 FU.... 상향 밀도류
본 발명은 상,하수 처리용 침전지에서 침전물 부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침전지에서의 밀도류에 의하여 침전물이 수면상으로 부유하여 월류웨어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미리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한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생산하여 가정에 공급하는 상,하수 처리설비(정수장)에서의 정수 처리과정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원지에서 취수된 정수원수의 수위 동요를 안정시키는 착수정(110)과, 상기 착수정(110)에서 처리된 정수원수를 수처리 약품 과 투입 혼화시키는 혼화지(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혼화지(120)에서 수처리약품과 화학반응된 정수 원수에서 응집된 플록(floc)을 형성시키며 이를 위하여 패들(미부호)이 구비된 응집지(130)와, 상기 응집지(130)에서 정류벽(132)으로 구분되어 형성된 플록을 중력에 의해 자연 침강시켜 침전시키는 침전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침전지(140)에서 플록이 제거된 정수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지(150) 및, 상기 여과지(150)에서 여과된 정수원수에 염소, 불소등의 소독약품을 투입시켜 최종 정수시킨 후 가정집으로 공급하는 정수지(160)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상,하수 처리설비의 침전지(Settling Pond)(14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수에 포함된 탁질 물질인 플럭(floc) 또는 흙이나 모래 등을 가라앉혀 유입수를 맑게 하기 위한 폰드(못)이다.
그리고, 침전지에서는 가라앉은 침전물을 스크래퍼 수단(도 4, 6의 90 참조)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즉, 통상 침전지에 유입되는 유입수는 그전에 탁도가 심한 지표수에 약품을 넣고 정수하는 혼화단계를 거쳐 유입되므로, 유입수에 포함된 뭉쳐진 탁질물질인 플럭을 침전지에서 침전시키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침전지(140)는 깊이는 대략 3 - 4m에 이르고, 그 길이(장변)은 적어도 50-70m 이고, 장방형인 경우 길이가 너비의 3-5배 정도가 되는 대형 장방형 구조물이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침전지(140)는 중앙을 가로질러 턱(144)이 세워지고, 그 턱의 끝부분에는 기둥(미도시)들이 세워져 중앙측 월류웨어(142)가 구비되고, 침전지 양측벽에도 월류웨어(142)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턱에는 침전지를 가로 질러 물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는 격벽(146)들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이와 같은 침전지(140)에서 발생되는, 밀도류 분포를 침전지의 길이방향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밀도류(density current)는 통상적으로는 해류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해류는 바닷물의 수평적 밀도차(수온과 염분의 밀도차)에 의하여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밀도류를 인정하는 해류는 실제로는 심층류(深層流)에 한정되는데, 해수는 온도와 염분에 따라 밀도가 변한다.
예를 들어, 온도가 낮은 극지방의 해수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밀도가 높고, 당연히 밀도가 높기 때문에, 아래쪽으로 흐르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밀도류의 분포변화가 침전지에서도 발생되며, 이와 같은 밀도류는 침전지에서의 침전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침전지(140)에서의 밀도류 분포를 정밀하게 측정한 것을 모식도로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모식도는 한국물환경학회와 대한 상하수도학회에서 2001년에 발표된 자료에 근거한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은 침전지에서의 밀도류 분포는 장방형 침전지에서 발생되기 쉽다.
따라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응집지(130)의 정류벽(132)을 통과한 유입수의 밀도류는 침전지(140)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3/4 지점 예를 들어, 통상 침전지(140)의 전체 길이를 70m라 할때 대략 50-60m 까지는 정류벽(130)에서 부터 하향 밀도류(FD,Flow Down)가 발생되고, 거기서부터 다시 침전지(140)의 벽까지는 상향 밀도류(FU,Flow Up)가 급속하게 발생됨을 알수 있다.
결국, 밀도류 변화가 심한 침전지(140)에 유입된 유입수에 포함된 플럭 등의 탁질 물질은 밀도류를 따라 월류웨어(142)와 배수구(142a)를 통하여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는, 플럭 등의 침전물이 월류되지는 않는다 해도 침전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고, 부유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하향 밀도류(화살표 FD)는 침전물이 쌓인 침전지 바닥을 향하여 하향 흐름을 유지하기 때문에, 침전물을 오히려 수면상으로 부유시키게 되고, 상향 밀도류(화살표 FU)는 급속한 상승 흐름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플럭 등의 침전물이 침전되지 않고 그대로 수면상으로 부유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결국, 침전지에서의 밀도류는 유입수의 침전지 체류시간을 단축시키어 플럭등의 침전물 침전성을 저하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은 침전지내의 유입수에서 발생되는 밀도류 자체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밀도류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여 침전성을 높이도록 하는 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침전지 밀도류에 의하여 응집지에서 발생된 플럭 등의 침전물이 수면상으로 부유하여 월류웨어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미리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한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전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침전지 벽사이에 구비된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의 하방으로 신장되도록 구비되어 침전지내 밀도류에 편승하는 침전물의 부유를 차단하는 침전물 부유 차단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침전지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수단은 침전지내에 밀도류가 하향에서 상향으로 바뀌는 지점 이후에 배치되어 상기 차단수단은 침전지내 상향 밀도류에 편승하는 침전물의 부유를 차단토록 구성된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수단인 시트는 상기 지지수단인 지지봉에 조립되는 체결구에 고정되고, 상기 차단시트의 하단부에는 웨이트부재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인 지지봉에 차단시트를 고정하는 체결구는 분할 조립되며, 상기 체결구와 지지봉사이에는 마모를 차단하는 라이너링이 개재된다.
한편, 상기 체결구는 조립을 위한 볼트 체결용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수단인 시트는 상기 체결구 플랜지에 지지판을 개재하여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웨이트부재는 상기 차단수단인 차단시트의 하부가 말려져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웨이트봉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침전지 정류벽에서 부터 벽까지의 침전지 길이를 X라 할때, 침전지내 하향 밀도류가 상향 밀도류로 전환되는 0.71 ×X - 0.85 ×X 이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수단인 시트는 하단부 웨이트부재 부분이 침전지 바닥측에 설치된 침전물 제거용 스크래퍼 수단의 스크래퍼와 접촉하도록 그 길이가 조정되어 유동토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단수단인 시트는 하단부 웨이트부재 부분이 침전지 바닥측에 설치된 침전물 제거용 스크래퍼 수단의 스크래퍼에 구비된 텃치부재와 접촉토록 그 길이가 조정되어 유동토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기술적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를 구비하는 침전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침전지를 바람직하게는 바닥측에 무한궤도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의 차단수단인 시트 하부의 웨이트부재를 텃치하는 스크래퍼수단의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침전지 등의 상,하수 처리설비의 도면부호는 종래 기술과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먼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지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1) 및, 이를 구비하는 침전지(14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전지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1)는, 침전지(140)내에 밀도류가 하향에서 상향으로 바뀌는 지점(도 3의 S) 이후에 침전지 벽사이에 설치된 지지수단(30) 및, 상기 지지수단(30)의 하방으로 신장되도록 구비되어 밀도류 상향 흐름을 따라 부유되는 침전물 부유를 차단하는 침전물 부유 차단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1)는 지지수단(30)의 하방으로 길게 신장된 침전물 부유 차단수단(50)이 적어도 하향 밀도류(FD)에서 상향 밀도류( FU)로 변경되는 지점(S)이후에 배치되면서 상향 밀도류에 편승하여 침전물(도 6의 F 참조)이 부유하여 월류웨어(142)를 통하여 배수구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가 설치되는 위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침전지(140)의 정류벽(132)을 통과한 유입수의 밀도류는 침전지(140)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3/4 지점(도 3 및 도 4의 S 지점) 이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침전지(140)의 정류벽에서 부터 길이를 70m라 할때 대략 50-60m 까지는 하향 밀도류(Flow Down)(FD)가 발생되고, 거기서부터 다시 침전지 벽(140a) 까지는 상향 밀도류(Flow Up)(FU)가 급속하게 발생되므로 70m의 침전지를 기준으로 50-60m 이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1)는, 침전지의 밀도류 흐름이 하향에서 상향으로 전환되는 침전지 정류벽(132)에서 부터 침전지 길이방향으로 0.71 ×X - 0.85 ×X 이후에 설치되어 적어도 밀도류 상향흐름에 편승하여 부유되는 침전물의 부유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X는 침전지 길이이다.
이때, 상기 0.71과 0.85의 수치는 도 3에서 침전지 구조물(30)의 길이를 70m 라 할때, 50-60m사이에서 하향 밀도류(FD)가 상향 밀도류(FU)로 전환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침전지 구조물(30)의 전체 길이를 70m라 할때, 50-60m의 범위를 감안해 구한 수치이다.
물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는 침전지 벽(140a)에 너무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우에는 부유되는 침전물이 그 전에 월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이후로 'S'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또한, 침전지 구조물의 전체길이가 같아도 침전지 구조물의 깊이에 따라 상기 밀도류의 흐름방향이 전환되는 범위(0.71 ×X - 0.85 ×X)는 다소 변경될 수 있으나, 침전지 구조물의 길이 대비 깊이는 거의 일정하다고 가정하여 상기 범위를 도 3의 모식도(그래프)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다음, 도 5a 및 도 5b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인 침전지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1)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의 장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에서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침전지(140)의 양측벽(140b)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된 지지봉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격벽(146)이 배치된 경우에는 침전지 일측벽(140b)과 격벽(146)의 고정철물(고정 형강)(미부호)사이에 지지수단(30)을 가로질러 고정하면 된다.
그리고,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30)의 지지봉은, 침전지 측벽(140b)에 앵커 고정되는 고정대(32)에 단부가 끼워져 침전지를 가로 질러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침전물 부유 차단수단(50)은 상기 지지수단(30)의 하방으로 신장되고 침전지 폭에 대응하여 길이가 형성되어 부유되는 침전물의 부유를 차단하는 시트 예를 들어, 소정 두께의 내부식성 합성수지 시트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상기 침전물 부유 차단수단(50)의 시트는 침전지에서 상향 밀도류가 발생되는 앞에서 설명한 위치(S)이후에 배치된 상태에서 침전물(도 6의 F)이 부유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시트는 미세한 메쉬를 갖는 망 구조물이어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수단(50)인 시트는 상기 지지수단(30)인 지지봉에 조립되는 체결구(10)의 하방에 고정되고, 상기 차단수단인 시트의 하단부에는 웨이트부재(70)가 제공된다.
따라서, 침전불 부유 차단수단(50)인 시트는 하부에 구비된 웨이트 부재(70)에 의하여 가능한 팽팽하게 펴진 상태에서 침전지 내에 배치되어 침전물 부유의 차단을 원활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30)인 지지봉에 차단시트를 고정하는 체결구(10)는 도 5a와 같이 2분할 조립되고, 이와 같은 상기 체결구(10)와 지지봉사이에는 마모를 차단하는 라이너링(34)이 개재되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체결구(10)는 지지봉에서 하방 고정된 시트가 침전지 밀도류에 의하여 유동할 때 지지봉과 체결구 밀착부위에서 마모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10)는 조립을 위한 볼트 체결용 플랜지(10a)를 포함하고 있어 지지봉에의 조립이 간단하게 되고, 상기 체결구(10)를 지지봉에 조립할때에는 침전물 부유 차단수단(50)의 찢어짐등을 방지토록 지지판(52)을 개재하여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웨이트부재(70)는 상기 침전물 부유 차단수단(50)인 차단시트의 하부가 말려져 그 내측의 공간에 삽입되는 소정 무게의 웨이트봉으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웨이트부재(70)인 봉이 삽입되는 시트 하단부에 별도의 지지판을 개재하여 찢어짐 없이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를 침전지(140)내에서 유동시키는 구조 를 도시하고 있는데, 통상 침전지(140)에 침전물 제거를 위하여 설치되는 스크래퍼 수단(90)의 이동을 이용한 것이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전지(140)의 바닥(140c)에 쌓이는 플럭 등의 침전물(F)은 모터(도 4의 M) 구동되는 체인(도 4의 94a)(도 6의 94)과 스프로켓(98)으로 침전지 바닥(140c)에서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스크래퍼(92)가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침전물 부유 차단수단(50)인 차단시트의 길이를 하단부 웨이트부재(70) 부분이 상기 스크래퍼(92)와 접촉하도록 조정하면, 도 6과 같이 무한궤도 이동하는 상부 이동측 스크래퍼(92)가 이동하면서 시트 하부의 웨이트부재를 텃치하고, 시트의 유동이 발생된다.
결국, 차단시트가 침전지내에 고정상태로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스크래퍼의 이동시 일정하게 텃치되어 유동되므로 부유 침전물이 시트에 부착 누적되지 않고 부유의 차단도 보다 원활하게 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스크래퍼 수단을 이용하여 장치의 시트 전후 유동을 구현하기 때문에,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없어 비용절감도 가능한 것이다.
다음,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를 침전지(140)내에서 유동시키는 다른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스크래퍼 수단(90)의 스크래퍼(92)에 텃치부재(96)를 설치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수단(50)인 시트의 길이를 그 하단부 웨이트부재(70) 부분이 스크래퍼(92)에 구비된 텃치부재(96)와 접촉토록 그 길이를 조정하면, 스크래퍼(92)의 이동시 텃치부재(96)는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1)의 시트 하부 웨이트부재를 무한궤도 상부측 이동과 하부측 이동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게 된다.
결국, 스크래퍼의 이동에 따라 텃치바아가 순차로 웨이트부재를 침전지 벽(140a) 측으로 밀고, 그 다음 반대쪽으로 정류벽(132) 쪽으로 밀어서 장치의 차단수단인 시트를 침전지 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전후 유동시키는 것이다.
이경에도, 차단시트가 침전지내에 고정상태로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스크래퍼의 이동시 일정하게 전후로 유동되므로 부유 침전물이 시트에 부착 누적되지 않고 부유의 차단도 보다 원활하게 할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1)에서 지지수단인 지지봉과 웨이트봉 등은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가 코팅된 봉이나 합성수지 성형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체결구 등의 모든 구성부품을 합성수지 성형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1)를 포함하는 침전지(140)의 경우에는 침전지 밀도류에 의하여 침전물이 부유되다가 상기 장치에서 부유가 차단 방지되기 때문에, 플럭 등의 침전물이 월류웨어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고, 침전성도 양호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전지에 의하면, 응집지에서 발생된 플럭이 포함된 유입수가 침전지에 유입된후 물의 온도차 등에 의한 침전지에서의 밀도류 에 의하여 상기 플럭 등의 침전물이 부유하면서 침전지 월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침전지에서의 침전물 월류에 의한 상,하수 처리 효율 저하를 방지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1)

  1. 침전지 벽사이에 구비된 지지수단(30); 및,
    상기 지지수단(30)의 하방으로 신장되도록 구비되어 침전지내 밀도류에 편승하는 침전물의 부유를 차단하는 침전물 부유 차단수단(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침전지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0)은 침전지내에 밀도류가 하향에서 상향으로 바뀌는 지점 이후에 배치되어 상기 차단수단(50)은 침전지내 상향 밀도류에 편승하는 침전물의 부유를 차단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침전지(140)의 측벽(140b)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 지지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차단수단(50)은 상기 지지봉의 하방으로 신장되고 침전지 폭에 대응 형성되어 침전물의 부유를 차단하는 차단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50)인 시트는 상기 지지수단(30)인 지지봉에 조립되는 체결구(10)에 고정되고, 상기 차단시트의 하단부에는 웨이트부재(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0)인 지지봉에 차단시트를 고정하는 체결구(10)는 분할 조립되며, 상기 체결구(10)와 지지봉사이에는 마모를 차단하는 라이너링(34)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10)는 조립을 위한 볼트 체결용 플랜지(10a)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수단인 시트는 상기 체결구 플랜지에 지지판(52)을 개재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70)는 상기 차단수단인 차단시트의 하부가 말려져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웨이트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침전지 정류벽(132)에서 부터 벽(140a)까지의 침전지 길이를 X라 할때, 침전지내 하향 밀도류가 상향 밀도류로 전환되는 0.71 ×X - 0.85 ×X 이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50)인 시트는 하단부 웨이트부재(70) 부분이 침전지 바닥(140c)에 설치된 침전물 제거용 스크래퍼 수단(90)의 스크래퍼(92)와 접촉하도록 그 길이가 조정되어 유동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50)인 시트는 하단부 웨이트부재(70) 부분이 침전지 바닥(140c)측에 설치된 침전물 제거용 스크래퍼 수단 스크래퍼(92)에 구비된 텃치부재(96)와 접촉토록 그 길이가 조정되어 유동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기재된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1)를 구비하는 침전지.
KR1020060098905A 2006-10-11 2006-10-11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전지 KR100757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905A KR100757330B1 (ko) 2006-10-11 2006-10-11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905A KR100757330B1 (ko) 2006-10-11 2006-10-11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7330B1 true KR100757330B1 (ko) 2007-09-11

Family

ID=3873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905A KR100757330B1 (ko) 2006-10-11 2006-10-11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3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170B1 (ko) 2007-09-21 2008-01-2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침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침전지
KR100885089B1 (ko) 2007-03-23 2009-02-25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 침전지
CN110314426A (zh) * 2019-06-30 2019-10-11 路德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沉淀池排表面水装置及排水方法
CN110589922A (zh) * 2019-09-20 2019-12-20 无锡海拓环保装备科技有限公司 浮选整流气浮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052A (ja) 2001-04-11 2002-10-22 Sekisui Chem Co Ltd 貯留槽の仕切構造
KR20040004804A (ko) * 2002-07-05 2004-01-16 이영근 침전조의 슬러지 처리장치
KR20040058767A (ko) * 2002-12-27 2004-07-05 농업기반공사 차수막을 이용한 오염물질 침강시설 조성기법
KR20060093997A (ko) * 2005-02-25 2006-08-28 신한건설산업(주)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052A (ja) 2001-04-11 2002-10-22 Sekisui Chem Co Ltd 貯留槽の仕切構造
KR20040004804A (ko) * 2002-07-05 2004-01-16 이영근 침전조의 슬러지 처리장치
KR20040058767A (ko) * 2002-12-27 2004-07-05 농업기반공사 차수막을 이용한 오염물질 침강시설 조성기법
KR20060093997A (ko) * 2005-02-25 2006-08-28 신한건설산업(주)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89B1 (ko) 2007-03-23 2009-02-25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 침전지
KR100797170B1 (ko) 2007-09-21 2008-01-2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침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침전지
CN110314426A (zh) * 2019-06-30 2019-10-11 路德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沉淀池排表面水装置及排水方法
CN110589922A (zh) * 2019-09-20 2019-12-20 无锡海拓环保装备科技有限公司 浮选整流气浮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9271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electrocoagulative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 water
KR100787149B1 (ko) 수처리를 위한 인공습지
US6294061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electrocoagulative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 water
KR101305225B1 (ko) 수질자동측정기기 및 가압부상을 이용한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KR100757330B1 (ko) 침전물 부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전지
JP6292612B2 (ja) 河川水の清澄化方法
KR200426877Y1 (ko) 침전지용 경사판
KR100982506B1 (ko) 플로팅 정화장치.
KR100627641B1 (ko)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
KR20080105445A (ko)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
JP2012228634A (ja) 再生水製造装置
KR100957695B1 (ko) 하수처리조의 플록 및 이끼 저감 배출장치
KR101233416B1 (ko) 수질자동측정기기 및 상압부상을 이용한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JP4022499B2 (ja) 閉鎖性水域の浄化システム
JPH03238006A (ja) 汚泥掻寄機
KR100545746B1 (ko) 슬러지의 침전효율과 수처리효율이 우수한 개선된 구조의침전조
KR100225972B1 (ko) 경사판침전지 내장형 산화구
Guyer et al. An Introduction to Preliminary Wastewater Treatment
KR102363866B1 (ko) 응집침전조
KR960014040B1 (ko) 하·폐수 처리장의 포기조에 내장된 침전조(A Clarifier Installed in the Aeration Tank for Waste Water Treatment)
CN218951171U (zh) 一种电厂冲灰废水处理系统
CN220580106U (zh) 一种高效防沙防漂浮物的取水装置
KR100922298B1 (ko) 정수장 침전지 벽면의 부착조류 및 스컴발생 저감장치
JP3818550B2 (ja) スカム沈降除去装置
KR20120046809A (ko) 하수 처리수 내의 총인 제거를 위한 일체형 하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